KR101313077B1 -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 Google Patents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077B1
KR101313077B1 KR1020120048104A KR20120048104A KR101313077B1 KR 101313077 B1 KR101313077 B1 KR 101313077B1 KR 1020120048104 A KR1020120048104 A KR 1020120048104A KR 20120048104 A KR20120048104 A KR 20120048104A KR 101313077 B1 KR101313077 B1 KR 101313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nk member
platform
coupl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케이
Priority to KR1020120048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pivoted arms raisable abov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후방 하부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과; 상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축에 의해 결합되는 제 1링크 부재와; 일측이 상기 링크 부재의 중단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축에 의해 결합되는 회동 브래킷과; 일단이 상기 링크 부재의 하단에 축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 브래킷과 축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회동 브래킷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회동 브래킷의 타측에서 축에 의해 결합되는 제 2링크 부재와; 일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에 축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링크 부재에 축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회동 브래킷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암과; 상기 제 2링크 부재에 의해 상기 회동 브래킷과 축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의 신장 및 하강에 따라 상기 제 1링크 부재와 회동 브래킷의 각도가 조절되어 경사 조절이 이루어지는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 및 상기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플랫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랫폼이 지면으로 하강시 수평을 유지하며 하강하고, 하강한 상태에서 전면이 경사를 갖도록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지면과 플롯폼의 단차 발생을 차단하여 화물의 적재나 하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STORAGE LIFT GATE}
본 발명은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플랫폼이 지면으로 하강시 수평을 유지하며 하강하고, 하강한 상태에서 전면이 경사를 갖도록 회동되도록 하도록 하는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화물차는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차량으로서, 전방에는 운전석과 기관이 배치되고 후방에는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적재함이 구비된다. 이러한 화물차는 화물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고강도의 프레임이 사용되고 프레임의 상부에는 적재함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바퀴와 완충기 및 동력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화물차는 일반적으로 적재함 바닥의 높이가 지면으로부터 1170~1450㎝ 정도에 위치하게 된다. 즉, 화물차의 적재함은 발판을 사용하지 않으면 올라가기 힘든 높이이다. 이러한 이유로 화물차에는 적재함의 하단에 발판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화물차에 화물을 실을 때에는 지게차나 크레인과 같은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인력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근래에는 물류 시설의 발달로 인해 지게차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인력에 의해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경우에도 대부분의 물류기지에 적하역장이 설치되어 있어 적재함으로 화물을 들어 올리지 않고도 화물을 적하역 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적하역 시설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 적재함에 화물을 싣거나, 적재함으로부터 화물을 내릴 경우에는 여전히 인력으로 화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근래에는 화물차의 적재함 후방에 화물 승하강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와 같은 장치를 통상 리프트 게이트라고 한다.
이러한 리프트 게이트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최소 인원으로도 화물을 적재함에 싣거나 적재함으로부터 화물을 내릴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특히 화물의 바닥에 운반용 롤러가 설치된 경우에는 한 명의 인원만으로도 고중량의 화물을 싣거나 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리프트 게이트는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7312호(화물자동차용 리프트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화물자동차용 리프트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자동차의 적재함(10)으로 화물을 들어 올리고 내리기 위한 승강판(20)과, 상기 승강판(20)을 차체에 연결하는 지지수단(30)과, 상기 지지수단(30)과 함께 승강판(2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이 구비되는 화물자동차용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의 배면 하부측이 소정의 경사기울기(30~60ㅀ)만큼 경사지도록 깎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2)을 설치하여 승강판(20)이 상기 적재함(10)의 경사면(12)에 위치하도록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승강판(20)을 차체에 고정되게 연결하는 지지수단(30)은 핀축(32)이 결합되는 축수부(311)가 구비되어 적재함(10)의 하부 차축(11)에 고정구로 고정되는 고정브래킷(31)과, 상기 고정브래킷(31)의 축수부(311)에 일측단부가 핀축(32)으로 결합되어 상기 핀축(32)을 기점으로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된 메인암(33)과,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길게 장공(341)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341)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핀축(35)에 의해 상기 메인암(33)과 결합되는 보조암(34)과, 상기 보조암(34)의 타측단에 승강판(20)과 함께 결합되는 링크(36)와, 상기 승강판(20)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37)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수단(3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은 일측단이 고정브래킷(31)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메인암(33)에 고정되어 메인암(33)을 구동 제어하는 제1실린더(41)와, 일측단이 링크(36)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고정브래킷(31)에 고정되어 상기 보조암(34)이 길이를 가변시키는 제2실린더(45)로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화물자동차용 리프트장치는 축수부(311)가 구비된 고정브래킷(31)을 적재함(10)의 하부 차축(11)에 고정구로 고정한 다음 상기 고정브래킷(31)의 축수부(311)에 메인암(33)의 일측단을 핀축(32)으로 고정되게 조립하고 상기 메인암(33)의 타측단에는 보조암(34)이 연결한다.
이때, 메인암(33)에 조립되는 보조암(34)은 그 내측에 형성된 장공(341)으로 한 쌍의 핀축(35)을 관통시킨 후 관통되는 축핀(35)을 메인암(33)에 고정하여 메인암(33)에 결합되는 핀축(35)이 보조암(34)의 장공(341)을 따라 이동하면서 신축 또는 이완 즉, 메인암(33)쪽으로 보조암(34)이 이동하면서 지지수단의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신축동작과 반대로 메인암(33)으로부터 보조암(34)이 길게 빠져나와 전체 길이가 늘어나는 이완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수단(30)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수단(40)은 제1실린더(41)와 제2실린더(45)로 구성되며, 상기 제1실린더(41)는 고정브래킷(31)과 메인암(33)에 연결하여 승강판(20)을 적재함(10)쪽으로 들어 올리고 내리는 상,하 운동이 가능하게 하고, 제2실린더(45)는 보조암(34)의 선단에 조립되는 링크(36)와 고정브래킷(31)에 고정되게 연결하여 메인암(33)에 연결되는 보조암(34)을 잡아당기거나 밀어내는 신축 이완동작으로 지지수단(30)의 전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메인암(33)으로부터 보조암(34)의 길이가 길어지는 신축동작은 승강판(20)을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함(10)으로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때 이용하고, 메인암(33)으로부터 보조암(34)의 길이가 줄어드는 이완동작은 작업을 모두 마친 후 승강판(20)이 적재함(10)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적재함(10)의 하부측으로 끌어들인 후 내측으로 끌어 당겨진 승강판(20)을 적재함(10)의 경사면(12)에 위치하도록 안착시킴으로써 차량의 지상고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물자동차용 리프트장치는 승강판이 하강한 상태에서도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기 때문에 단차가 발생하고, 단차로 인해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731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랫폼이 지면으로 하강시 수평을 유지하며 하강하고, 하강한 상태에서 전면이 경사를 갖도록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지면과 플롯폼의 단차 발생을 차단하여 화물의 적재나 하역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후방 하부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과; 상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축에 의해 결합되는 제 1링크 부재와; 일측이 상기 링크 부재의 중단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축에 의해 결합되는 회동 브래킷과; 일단이 상기 링크 부재의 하단에 축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 브래킷과 축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회동 브래킷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회동 브래킷의 타측에서 축에 의해 결합되는 제 2링크 부재와; 일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에 축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링크 부재에 축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회동 브래킷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암과; 상기 제 2링크 부재에 의해 상기 회동 브래킷과 축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의 신장 및 하강에 따라 상기 제 1링크 부재와 회동 브래킷의 각도가 조절되어 경사 조절이 이루어지는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 및 상기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플랫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는 상기 플랫폼을 지지하도록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브래킷의 전면에 부착되는 가이드 봉을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가이드 봉은 상기 롤러 측이 상향으로 절곡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고정 브래킷은 사각 파이프와; 상기 사각 파이프의 양단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후방 하부의 프레임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외측인 상기 사각 파이프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부시가 구비되어 상기 제 1링크 부재가 축에 의해 결합되는 제 1힌지턱; 및 삼각 판 형태로 형성되어 한 쌍이 대칭되어 상기 제 1힌지턱의 외측인 상기 사각 파이프에서 전방으로 상호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 판에 부시가 구비되고, 타측 판에 축홀이 형성되는 제 2힌지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1링크 부재는 직사각 판 형태로 모서리에 곡면이 형성되어 한 쌍이 대칭되고, 각각의 상단에 상기 고정 브래킷의 제 1힌지턱과 결합되도록 축홀이 형성되며, 중단에 상기 회동 브래킷과 결합되도록 부시가 구비되고, 하단에 상기 실린더가 결합되도록 축홀이 형성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플레이트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회동 브래킷은 파이프와; "V"자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에 부시가 구비되고, 절곡 부위에 축홀이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용접 결합되는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실린더가 내부로 수납되도록 서로 대응되되, 직사각 판 형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와 연결 플레이트에서 상호 이격되어 수직으로 용접 결합되되, 일단에 상기 실린더가 결합되는 부시가 구비되고, 타단에 상기 제 1링크 부재의 제 1플레이트에 형성된 부시와 대응되는 축홀이 형성되는 회동 암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회동 암은 상단부 내측에 상기 제 1링크 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 1스토퍼가 하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하향 경사를 가지며 설치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회동 암은 중앙부 상면에 상기 플랫폼의 회전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충격 흡수체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회동 암은 상기 화물자동차의 후방 범퍼가 용접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실린더는 외부의 제어에 따라 신장 및 수축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서 피스톤 상단 및 본체 하단에 각각 부시가 구비되고, 신장 및 수축에 의해 상기 제 1링크 부재를 밀어 상기 고정 브래킷과 면접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동 브래킷의 회동 암을 상기 제 1링크 부재에서 회전시켜 상기 플랫폼을 승하강시키고, 상기 제 2링크 부재가 지면과 접촉되면 더욱 수축되어 상기 제 1링크 부재를 당겨 상기 제 2링크 부재가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플랫폼을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2링크 부재는 직사각 형태로 모서리에 곡면이 형성되고, 양단에 부시가 구비되는 제 3플레이트와; 상기 제 3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 3플레이트와 단차가 형성되도록 일측면이 더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3플레이트의 부시와 대응되도록 축홀이 형성되는 제 4플레이트와; 상기 제 4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회동 브래킷의 회동 암과 간섭이 없도록 모서리에 곡면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 4플레이트의 축홀 중 어느 하나의 축홀과 대응되도록 축홀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제 1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제 5플레이트와; 상기 제 3플레이트와 제 4플레이트를 상호 이격시켜 수직으로 결합시키는 제 6플레이트; 및 상기 제 4플레이트와 제 5플레이트를 상호 이격시켜 수직으로 결합시키는 제 7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암은 양단에 부시가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의 제 2힌지턱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링크 부재의 제 3플레이트의 부시와 제 4플레이트의 축홀에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은 각각 축홀이 형성된 제 3힌지턱과, 제 4힌지턱이 동일 선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고,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3힌지턱 및 제 4힌지턱의 축홀과 동일 선상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 3힌지턱 및 제 4힌지턱의 축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부시가 구비되는 제 5힌지턱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 브래킷의 연결 플레이트가 상기 제 4힌지턱과 제 5힌지턱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 2링크 부재의 제 3플레이트와, 제 4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5힌지턱이 삽입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플랫폼의 회전에 따라 메인 프레임이 회전시 상기 제 2링크 부재의 제 6플레이트와 면접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하며, 상기 플랫폼을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제 2스토퍼와; 상기 제 3힌지턱의 일측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 2걸림턱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 3힌지턱과, 제 4힌지턱 및 제 5힌지턱을 관통하는 축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 2링크 부재의 제 5플레이트에 구비된 제 1걸림턱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 2걸림턱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회동시 탄발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면에서 수직으로 용접 결합되고, 양단에 상기 플랫폼을 결합하도록 볼트홀이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플랫폼은 적어도 1단 이상 절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에 따르면, 플랫폼이 지면으로 하강시 수평을 유지하며 하강하고, 하강한 상태에서 전면이 경사를 갖도록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지면과 플롯폼의 단차 발생을 차단하여 화물의 적재나 하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화물자동차용 리프트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중 고정 브래킷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중 제 1링크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중 회동 브래킷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중 제 2링크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중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중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중 고정 브래킷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중 제 1링크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중 회동 브래킷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중 제 2링크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중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중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100)는 고정 브래킷(110)과, 제 1링크 부재(120)와, 회동 브래킷(130)과, 실린더(140)와, 제 2링크 부재(150)와, 암(160)과,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170) 및 플랫폼(18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고정 브래킷(1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파이프(111)와, 고정 플레이트(113)와, 제 1힌지턱(115)과, 제 2힌지턱(117)으로 구성된다.
사각 파이프(111)는 금속 재질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형성된다.
고정 플레이트(113)는 금속 재질로 사각 파이프의 양단에서 돌출 형성되어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후방 하부의 프레임(P)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 1힌지턱(115)은 금속 재질로 고정 플레이트(113)의 외측인 사각 파이프(111)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기에서 설명할 제 1링크 부재(120)가 축(A)에 의해 결합되도록 부시(B)가 구비된다.
제 2힌지턱(117)은 삼각 판 형태로 형성되어 한 쌍이 대칭되어 제 1힌지턱(115)의 외측인 사각 파이프(111)에서 전방으로 상호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 판에 부시(B)가 구비되고, 타측 판에 축홀(H)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링크 부재(1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플레이트(121)와, 제 2플레이트(123)로 구성된다.
제 1플레이트(121)는 금속 재질로 직사각 판 형태로 모서리에 곡면이 형성되어 한 쌍이 대칭되고, 각각의 상단에 고정 브래킷(110)의 제 1힌지턱(115)과 결합되도록 축홀(H)이 형성되며, 중단에 하기에서 설명할 회동 브래킷(130)과 결합되도록 부시(B)가 구비되고, 하단에 하기에서 설명할 실린더(140)가 결합되도록 축홀(H)이 형성된다.
제 2플레이트(123)는 금속 재질로 직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제 1플레이트(121)의 배면에서 수평하게 용접되어 제 1플레이트(121)를 상호 연결시킨다.
또한, 회동 브래킷(1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31)와, 연결 플레이트(132)와, 회동 암(133)으로 구성된다.
파이프(131)는 금속 재질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형성된다.
연결 플레이트(132)는 금속 재질로 "V"자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에 부시(B)가 구비되고, 절곡 부위에 축홀(H)이 형성되어 파이프(131)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용접 결합된다.
회동 암(133)은 금속 재질로 실린더(140)가 하단 내부로 수납되도록 서로 대응되되, 직사각 판 형태 형성되어 파이프(131)와 연결 플레이트(132)에서 상호 이격되어 수직으로 용접 결합되되, 일단에 실린더(140)가 결합되는 부시(B)가 구비되고, 타단에 제 1링크 부재(120)의 제 1플레이트(121)에 형성된 부시(B)에 축(A)에 의해 결합되도록 축홀(H)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회동 암(133)은 상단부 내측에 제 1링크 부재(120)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 1스토퍼(134)가 하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하향 경사를 가지며 설치되고, 중앙부 상면에 하기에서 설명할 플랫폼(180)의 회전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충격 흡수체(13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의 하단에 화물자동차의 후방 범퍼(RB)가 용접 결합된다.
또, 실린더(140)는 외부의 제어에 따라 신장 및 수축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서 피스톤 상단 및 본체 하단에 각각 부시(B)가 구비되고, 신장 및 수축에 의해 제 1링크 부재(120)를 밀어 고정 브래킷(110)과 면접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회동 브래킷(130)의 회동 암(133)을 제 1링크 부재(120)에서 회전시켜 하기에서 설명할 플랫폼(180)을 승하강시키고, 하기에서 설명할 제 2링크 부재(150)가 지면과 접촉되면 더욱 수축되어 제 1링크 부재(120)를 당겨 제 2링크 부재(150)가 회전되도록 하여 플랫폼(180)을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한다. 이때, 제 2링크 부재(150)의 회전 각도는 약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2링크 부재(1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플레이트(151)와, 제 4플레이트(152)와, 제 5플레이트(153)와, 제 6플레이트(154)와, 제 7플레이트(155)로 구성된다.
제 3플레이트(151)는 금속 재질로 직사각 형태로 모서리에 곡면이 형성되고, 하기에서 설명할 암(160)과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170)이 각각 하단 및 상단에서 축(A)에 의해 결합되도록 양단에 부시(B)가 구비된다.
제 4플레이트(152)는 금속 재질로 제 3플레이트(151)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제 3플레이트(151)와 단차가 형성되도록 일측면이 더 연장 형성되고, 제 3플레이트(151)의 부시(B)와 대응되도록 축홀(H)이 형성된다.
제 5플레이트(153)는 금속 재질로 제 4플레이트(152)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회동 브래킷(130)의 회동 암(133)과 간섭이 없도록 모서리에 곡면이 형성되고, 회동 브래킷(130)의 연결 플레이트(132)와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170)이 제 3플레이트(151)를 관통하는 축(A)에 결합되도록 제 4플레이트(152)의 축홀(H) 중 상단에 위치한 축홀과 대응되도록 축홀(H)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제 1걸림턱(156)이 돌출 형성된다.
제 6플레이트(154)는 금속 재질로 제 3플레이트(151)와 제 4플레이트(152)를 상호 이격시킨 상태에서 이들에 용접되어 이들을 수직으로 결합시킨다.
제 7플레이트(155)는 금속 재질로 제 4플레이트(152)와 제 5플레이트(153)를 상호 이격시킨 상태에서 이들에 용접되어 이들을 수직으로 결합시킨다.
한편, 암(160)은 양단에 부시(B)가 구비되고, 일단이 고정 브래킷(110)의 제 2힌지턱(117)에 축(A)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제 2링크 부재(150)의 제 3플레이트(151)의 하단에 구비된 부시(B)와 제 4플레이트(152)의 하단에 구비된 축홀(H)을 관통하는 축(A)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 브래킷(1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그리고,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17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71)과, 제 2스토퍼(172)와, 제 2걸림턱(173)과, 코일 스프링(174)과, 수직 프레임(175)으로 구성된다.
메인 프레임(171)은 금속 재질로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되, 각각 축홀(H)이 형성된 제 3힌지턱(171a)과, 제 4힌지턱(171b)이 동일 선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고, 제 3힌지턱(171a) 및 제 4힌지턱(171b)의 축홀(H)과 대응되는 위치에 부시(B)가 구비되는 제 5힌지턱(171c)을 구비하며, 회동 브래킷(130)의 연결 플레이트(132)가 제 4힌지턱(171b)과 제 5힌지턱(171c) 사이에서 축(A)에 의해 결합되고, 제 2링크 부재(150)의 제 3플레이트(151)와, 제 4플레이트(152) 사이에 제 5힌지턱(171c)이 삽입되어 축(A)에 의해 결합된다.
제 2스토퍼(172)는 금속 재질로 메인 프레임(171)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플랫폼(180)의 회전에 따라 메인 프레임(171)이 회전시 제 2링크 부재(150)의 제 6플레이트(154)와 면접되어 메인 프레임(171)의 회동을 제한하며, 플랫폼(180)을 지면과 수평하게 유지시킨다.
제 2걸림턱(173)은 금속 재질로 사각 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 3힌지턱(171a)의 일측의 내측에 용접되어 고정 설치된다.
코일 스프링(174)은 메인 프레임(171)의 제 3힌지턱(171a)과, 제 4힌지턱(171b) 및 제 5힌지턱(171c)을 관통하는 축(A)에 삽입 설치되고, 제 2링크 부재(150)의 제 5플레이트(153)에 구비된 제 1걸림턱(156)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 2걸림턱(173)에 타단이 고정되어 메인 프레임(171)의 회동시 탄발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플랫폼(180)을 회전시킬 시 적은 힘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수직 프레임(175)은 금속 재질로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어 메인 프레임(171)의 전면에서 수직으로 용접 결합되고, 양측면에 플랫폼(180)을 결합하도록 볼트홀(177)이 구비된다.
또한, 플랫폼(18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와 같은 경량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170)의 수직 프레임(175)에 형성된 볼트홀(177)에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에서, 플랫폼(180)은 적어도 1단 이상 절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플랫폼(180)은 선택에 따라 전방 또는 측방으로 보조 플랫폼(미도시)이 슬라이딩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의 동작 설명은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에서 물건을 하역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40)가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면, 제 1링크 부재(120)가 실린더(140)에 의해 하단이 밀려 고정 브래킷(110)과 면접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플랫폼(180)은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170)의 수직 프레임(175) 상면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후방 하부에 격납된 상태, 즉 초기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리모콘(미도시)을 통해 실린더(140)를 수축시키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40)가 회동 브래킷(130)의 회동 암(133)을 잡아당기게 되고, 이로 인해 회동 브래킷(130)이 제 1링크 부재(120)에서 회전되면서 지면으로 하강되어 제 2링크 부재(150)가 지면과 면접된다. 이때, 플랫폼(180)은 제 2링크 부재(150)에서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170)의 코일 스프링(174)에 의해 수직 상태를 유지한다. 또, 제 1링크 부재(120)는 계속해서 고정 브래킷(110)과 면접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유지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플랫폼(180)을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여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플랫폼(180)이 고정 프레임(170)의 코일 스프링(174)의 탄발력을 이기면서 회전되다가 고정 프레임(170)의 제 2스토퍼(172)가 제 2링크 부재(150)의 제 6플레이트(154)와 면접되어 메인 프레임(171)의 회전이 저지되면서 플랫폼(180)이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 1링크 부재(120)는 계속해서 고정 브래킷(110)과 면접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유지된다. 또한, 플랫폼(180)의 회전 각도는 약 120˚이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다시 리모콘을 통해 실린더(140)를 신장시키면,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링크 부재(120)가 고정 브래킷(110)과 면접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유지되고, 플랫폼(180)이 지면과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회동 브래킷(130)의 회동 암(133)이 회전되면서 플랫폼(180)을 상승시켜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바닥과 동일 높이에 위치시킨다.
플랫폼(180)에 화물을 적재한 후 다시 리모콘을 통해 실린더(140)를 수축시켜 회동 브래킷(130)의 회동 암(133)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플랫폼(180)이 지면과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하강되고, 제 2링크 부재(150)가 지면과 면접된다.
계속해서, 리모콘을 통해 실린더(140)를 더욱 수축시키면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40)가 제 1링크 부재(120)를 잡아 당겨 고정 브래킷(110)에서 이의 하단을 이격시키면 회동 브래킷(130)의 연결 플레이트(132)가 회전되면서 제 2링크 부재(150)가 제 1링크 부재(120)의 회전각만큼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러면,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170)도 같은 각도로 전방으로 기울어져 결국 플랫폼(180)의 기울어지면서 플랫폼(180)의 전방이 지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플랫폼(180)에 적재된 화물을 지면으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화물을 지면에서 화물차 적재함에 적재하는 과정은 플랫폼(180)을 지면으로 내린 상태에서 기울여 화물을 적재하고, 다시 플랫폼(180)을 수평으로 유지시키고, 이 상태에서 화물차 적재함까지 승강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플랫폼(180)을 수납하는 과정은 플랫폼(180)을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랫폼(180)을 절첩시키고, 리모콘을 통해 실린더(140)를 신장시키면 회동 브래킷(130)의 회동 암(133)의 회전에 의해 플랫폼(180)이 상승되어 화물차의 적재함 하부로 격납된다. 이때, 플랫폼(180)의 회전 각도는 약 270˚이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고정 브래킷 120 : 제 1링크 부재
130 : 회동 브래킷 140 : 실린더
150 : 제 2링크 부재 160 : 암
170 :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 180 : 플랫폼
A: 축 B : 부시
H : 축홀 P : 화물차 프레임
RB : 후방 범퍼

Claims (12)

  1.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후방 하부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과;
    상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축에 의해 결합되는 제 1링크 부재와;
    일측이 상기 링크 부재의 중단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축에 의해 결합되는 회동 브래킷과;
    일단이 상기 링크 부재의 하단에 축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 브래킷과 축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회동 브래킷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회동 브래킷의 타측에서 축에 의해 결합되는 제 2링크 부재와;
    일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에 축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링크 부재에 축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회동 브래킷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암과;
    상기 제 2링크 부재에 의해 상기 회동 브래킷과 축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의 신장 및 하강에 따라 상기 제 1링크 부재와 회동 브래킷의 각도가 조절되어 경사 조절이 이루어지는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 및
    상기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플랫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사각 파이프와;
    상기 사각 파이프의 양단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후방 하부의 프레임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외측인 상기 사각 파이프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부시가 구비되어 상기 제 1링크 부재가 축에 의해 결합되는 제 1힌지턱; 및
    삼각 판 형태로 형성되어 한 쌍이 대칭되어 상기 제 1힌지턱의 외측인 상기 사각 파이프에서 전방으로 상호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측 판에 부시가 구비되고, 타측 판에 축홀이 형성되는 제 2힌지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링크 부재는,
    직사각 판 형태로 모서리에 곡면이 형성되어 한 쌍이 대칭되고, 각각의 상단에 상기 고정 브래킷의 제 1힌지턱과 결합되도록 축홀이 형성되며, 중단에 상기 회동 브래킷과 결합되도록 부시가 구비되고, 하단에 상기 실린더가 결합되도록 축홀이 형성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플레이트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 2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브래킷은,
    파이프와;
    "V"자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에 부시가 구비되고, 절곡 부위에 축홀이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용접 결합되는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실린더가 내부로 수납되도록 서로 대응되되, 직사각 판 형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와 연결 플레이트에서 상호 이격되어 수직으로 용접 결합되되, 일단에 상기 실린더가 결합되는 부시가 구비되고, 타단에 상기 제 1링크 부재의 제 1플레이트에 형성된 부시와 대응되는 축홀이 형성되는 회동 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암은,
    상단부 내측에 상기 제 1링크 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 1스토퍼가 하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하향 경사를 가지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암은,
    중앙부 상면에 상기 플랫폼의 회전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충격 흡수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암은,
    상기 화물자동차의 후방 범퍼가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외부의 제어에 따라 신장 및 수축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서 피스톤 상단 및 본체 하단에 각각 부시가 구비되고, 신장 및 수축에 의해 상기 제 1링크 부재를 밀어 상기 고정 브래킷과 면접되어 지면과 수직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동 브래킷의 회동 암을 상기 제 1링크 부재에서 회전시켜 상기 플랫폼을 승하강시키고, 상기 제 2링크 부재가 지면과 접촉되면 더욱 수축되어 상기 제 1링크 부재를 당겨 상기 제 2링크 부재가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플랫폼을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링크 부재는,
    직사각 형태로 모서리에 곡면이 형성되고, 양단에 부시가 구비되는 제 3플레이트와;
    상기 제 3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 3플레이트와 단차가 형성되도록 일측면이 더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3플레이트의 부시와 대응되도록 축홀이 형성되는 제 4플레이트와;
    상기 제 4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회동 브래킷의 회동 암과 간섭이 없도록 모서리에 곡면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 4플레이트의 축홀 중 어느 하나의 축홀과 대응되도록 축홀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제 1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제 5플레이트와;
    상기 제 3플레이트와 제 4플레이트를 상호 이격시켜 수직으로 결합시키는 제 6플레이트; 및
    상기 제 4플레이트와 제 5플레이트를 상호 이격시켜 수직으로 결합시키는 제 7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양단에 부시가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의 제 2힌지턱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링크 부재의 제 3플레이트의 부시와 제 4플레이트의 축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용 고정 프레임은,
    각각 축홀이 형성된 제 3힌지턱과, 제 4힌지턱이 동일 선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고,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3힌지턱 및 제 4힌지턱의 축홀과 동일 선상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 3힌지턱 및 제 4힌지턱의 축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부시가 구비되는 제 5힌지턱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 브래킷의 연결 플레이트가 상기 제 4힌지턱과 제 5힌지턱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 2링크 부재의 제 3플레이트와, 제 4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5힌지턱이 삽입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플랫폼의 회전에 따라 메인 프레임이 회전시 상기 제 2링크 부재의 제 6플레이트와 면접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하며, 상기 플랫폼을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제 2스토퍼와;
    상기 제 3힌지턱의 일측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 2걸림턱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 3힌지턱과, 제 4힌지턱 및 제 5힌지턱을 관통하는 축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 2링크 부재의 제 5플레이트에 구비된 제 1걸림턱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 2걸림턱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회동시 탄발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면에서 수직으로 용접 결합되고, 양단에 상기 플랫폼을 결합하도록 볼트홀이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적어도 1단 이상 절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KR1020120048104A 2012-05-07 2012-05-07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KR101313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104A KR101313077B1 (ko) 2012-05-07 2012-05-07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104A KR101313077B1 (ko) 2012-05-07 2012-05-07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3077B1 true KR101313077B1 (ko) 2013-10-01

Family

ID=4963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104A KR101313077B1 (ko) 2012-05-07 2012-05-07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0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261B1 (ko) 2013-10-24 2015-02-25 오한복 수직식 리프트 게이트
KR20200001666U (ko) * 2019-01-18 2020-07-28 조미영 농기계 운반차량의 리어게이트 동작실린더용 고정브라켓트
KR102147852B1 (ko) 2020-01-16 2020-08-26 티엔티 주식회사 격납식 차량 적재함용 발판
KR20200114268A (ko) * 2019-03-28 2020-10-07 (주)조은테크 방송차량용 사이드 리프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750Y2 (ja) * 1987-10-28 1994-11-16 日野車体工業株式会社 テールゲートリフタのゲート開閉構造
JP2002187476A (ja) 2000-12-20 2002-07-02 Kitamura Seisakusho:Kk 貨物自動車用リフト装置
KR200417312Y1 (ko) 2006-03-02 2006-05-26 문학용 화물자동차용 리프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750Y2 (ja) * 1987-10-28 1994-11-16 日野車体工業株式会社 テールゲートリフタのゲート開閉構造
JP2002187476A (ja) 2000-12-20 2002-07-02 Kitamura Seisakusho:Kk 貨物自動車用リフト装置
KR200417312Y1 (ko) 2006-03-02 2006-05-26 문학용 화물자동차용 리프트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261B1 (ko) 2013-10-24 2015-02-25 오한복 수직식 리프트 게이트
KR20200001666U (ko) * 2019-01-18 2020-07-28 조미영 농기계 운반차량의 리어게이트 동작실린더용 고정브라켓트
KR200493334Y1 (ko) * 2019-01-18 2021-03-11 조미영 농기계 운반차량의 리어게이트 동작실린더용 고정브라켓트
KR20200114268A (ko) * 2019-03-28 2020-10-07 (주)조은테크 방송차량용 사이드 리프트
KR102217089B1 (ko) * 2019-03-28 2021-02-18 (주)조은테크 방송차량용 사이드 리프트
KR102147852B1 (ko) 2020-01-16 2020-08-26 티엔티 주식회사 격납식 차량 적재함용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1075B2 (en) Hoist with trailer hitch attachment
US5829948A (en) Multipurpose lift apparatus and method
RU2547024C2 (ru) Рычажный механизм вилочного погрузчика
KR101495261B1 (ko) 수직식 리프트 게이트
KR101313077B1 (ko)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NZ547544A (en) Container tilting apparatus
US3737055A (en) Storable elevating platform
US10131264B2 (en) Hooklift trailer
US6799935B1 (en) Lifting apparatus for user in the bed of a pickup truck
US8221048B2 (en) Lifting apparatus for use in a truck bed
AU730199B2 (en) Container handling systems
US9266670B2 (en) Lifting device for a container
JP3193459U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KR101313076B1 (ko)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RU2445248C2 (ru) Способ погрузки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в грузовой контейнер,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набор из грузового контейнера и опорной рамы
JP5856251B2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KR20210083910A (ko) 차량 실내 장착형 파워리프트
US66821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a length of a lift gate
TWM597766U (zh) 用於提升和降低重物的設備
JPH049220Y2 (ko)
JP7212659B2 (ja) 荷箱移動機構
US20220410785A1 (en) Torsion bar bracket with bushing
KR20230145630A (ko) 트럭의 적재장치
KR101528718B1 (ko) 파워게이트 일체형 안전지지대
KR20010033957A (ko) 컨테이너 운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