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630A - 트럭의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트럭의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630A
KR20230145630A KR1020220043902A KR20220043902A KR20230145630A KR 20230145630 A KR20230145630 A KR 20230145630A KR 1020220043902 A KR1020220043902 A KR 1020220043902A KR 20220043902 A KR20220043902 A KR 20220043902A KR 20230145630 A KR20230145630 A KR 20230145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plate
rear wall
loading plate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우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우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우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220043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5630A/ko
Publication of KR20230145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loading floor or a part thereof being movable to form the r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ramp being attached to or making part of the side- or tailboard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의 화물을 트럭의 적재함에 적재하기 위한 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의 프레임을 이루는 후벽; 상기 후벽의 후단에 탈,장착되는 제1적재판; 상기 제1적재판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2적재판;을 포함하며, 후벽, 제1적재판 및 제2적재판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가 지면에서 적재함으로의 경사로인 로더로 기능하거나 또는 지면과 적재함 사이를 승강하는 리프트로 기능하여 다양한 화물의 형태 및 크기에 맞추어 적재, 하역할 수 있어 범용성이 높은 트럭의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럭의 적재장치 {Truck Loading Device}
본 발명은 지상의 화물을 트럭의 적재함에 적재하기 위한 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의 프레임을 이루는 후벽; 상기 후벽의 후단에 탈,장착되는 제1적재판; 상기 제1적재판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2적재판;을 포함하며, 후벽, 제1적재판 및 제2적재판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가 지면에서 적재함으로의 경사로인 로더로 기능하거나 또는 지면과 적재함 사이를 승강하는 리프트로 기능하여 다양한 화물의 형태 및 크기에 맞추어 적재, 하역할 수 있어 범용성이 높은 트럭의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는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차량으로서, 전방에는 운전석과 기관이 배치되고 후방에는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적재함이 구비된다. 이러한 화물차는 화물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고강도의 프레임이 사용되고 프레임의 상부에는 적재함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바퀴와 완충기 및 동력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화물차는 일반적으로 적재함 바닥의 높이가 지면으로부터 1170~1450㎝ 정도에 위치하게 된다. 즉, 화물차의 적재함은 발판을 사용하지 않으면 올라가기 힘든 높이이다. 이러한 이유로 화물차에는 적재함의 하단에 발판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화물차에 화물을 실을 때에는 지게차나 크레인과 같은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인력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근래에는 물류 시설의 발달로 인해 지게차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인력에 의해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경우에도 대부분의 물류기지에 적하역장이 설치되어 있어 적재함으로 화물을 들어 올리지 않고도 화물을 적하역 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적하역 시설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 적재함에 화물을 싣거나, 적재함으로부터 화물을 내릴 경우에는 여전히 인력으로 화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근래에는 화물차의 적재함 후방에 화물 승하강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와 같은 장치를 통상 리프트 게이트라고 한다.
리프트 게이트를 지면과 맞닿도록 하강한 후 화물을 리프트 게이트에 적재하고, 다시 리프트 게이트를 상승시켜 적재함과 동일한 높이가 된 후 화물을 밀면서 적재함으로 적재한다.
지면과 적재함 사이를 왕래하는 리프트 게이트를 통해 화물을 쉽게 적재하고 또는 지면으로 하역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프트 게이트 장치 이외에도 지면에 놓인 화물을 적재함으로 적재시키기 위해 로더도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된다.
로더는 리프트게이트와 마찬가지로 적재함의 후단에 배치되며, 적재함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적재함과 지면 사이의 경사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경사로를 따라 화물을 밀어서 적재함으로 올리게 된다.
적재함으로 적재하려는 화물이 바퀴가 달려 굴러갈 수 있는 형태이거나, 길이가 길어 상기 리프트 게이트로는 적재가 곤란한 경우에는 상기 로더를 이용하여 경사로를 등반하게 해 적재함으로 적재하는 것이 유용하다.
그러나, 트럭에는 상기 리프트 게이트와 로더 중 어느 하나의 장치만 장착되므로 화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제한적인 기능만 수행할 수 있어 범용성이 떨어진다.
또한, 리프트 게이트 및 로더는 한번 설치되고 나면 트럭에서 분리가 쉽지 않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계속 장착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부피가 큰 장치를 접철하여 운행시에 트럭의 운행방향으로 큰 면적이 형성되므로 공기저항을 굉장히 크게 받을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풍절음이 발생하고 트럭의 주행성능이 비효율적이다.
더불어, 리프트 게이트 또는 로더가 접철된 상태에서는 트럭 적재함의 후단이 큰 벽으로 형성되기에 적재함의 용도가 제한되어 일정 크기의 화물을 적재하는 것이 곤란해질 수 있다.
따라서, 화물을 트럭 적재함에 적재하는 작업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화물의 형태 및 크기에 대응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트럭의 적재함으로부터 분리하여 적재함을 보다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트럭의 적재장치가 구비된다.
KR 20-0252678 (Y1) 2001.10.19. KR 10-1495261 (B1) 2015.02.13.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함의 프레임을 이루는 후벽에 승강실린더와 경사실린더가 장착되어 후벽이 틸팅 및 승강이동 하며, 상기 후벽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결합되는 제1적재판 및 상기 제1적재판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2적재판이 구비되므로, 상기 후벽, 제1적재판 및 제2적재판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가 승강실린더 및 경사실린더의 신축이동에 의하여 동작되어 지면과 적재함 사이를 이어주는 경사로로 기능하거나 지면과 적재함을 왕래하여 화물을 승강시키는 승강대로 기능하도록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게이트를 조작할 수 있어 화물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적재함에 용이하고 편리하게 적재,하역하여 범용성이 높은 트럭의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할 시에는 탈,장착이 가능한 제1적재판이 후벽에 장착되어 게이트를 이루므로 게이트를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 하역할 수 있고, 화물의 적재,하역작업이 필요하지 않을 시에는 제1적재판이 후벽에서 분리되되 후벽은 적재함의 프레임을 이루게 되므로 통상의 트럭 적재함으로 가변할 수 있는 트럭의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게이트가 지면과 적재함 사이를 이어주는 경사로로 기능할 시에 후벽의 전단이 적재함의 후단과 접촉되고 제2적재함의 후단이 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게이트 위로 화물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제1적재판과 제2적재판 사이의 힌지가 상부에 구비되어 적재판이 최대로 벌어지는 각을 180°로 제한하며, 제1적재판 하부의 지지대가 게이트 위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여 제1적재판과 제2적재판 이음새 부분에 화물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게이트가 굽혀지지 않고 제1적재판의 후단과 제2적재판의 전단이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트럭의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게이트의 접철시에 제2적재판은 상방으로 회동하여 제1적재판과 제2적재판이 수직으로 세운상태에서 제2적재판이 제1적재판의 전면측에 위치하게 되고 고정장치에 의하여 접철상태가 고정되므로, 트럭의 운행시에 발생하는 풍압에 의해 상기 제2적재판이 펼쳐지지 않아 트럭의 주행 안정성이 향상되는 트럭의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동실린더의 전,후단이 각각 제1적재판과 제2적재판의 측면에 결합되므로 제1적재판에 대하여 제2적재판이 펼쳐지고 접히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 편리하게 조작 가능하고 게이트를 조작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트럭의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함(10)의 후방으로 전개되어 화물을 적재함(10)으로 유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의 후단에 배치되며, 제1적재판(120)이 탈착시에 적재함(10)에 적재된 화물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후벽(110); 상기 후벽(110)의 후단과 탈장착되며, 상기 후벽이(110)이 지면으로 하향경사진 상태에서 화물의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는 지지대(121)가 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21)가 회동되어 수납되는 수용홈(122)이 하부에 형성되는 제1적재판(120); 및 상기 제1적재판(120)과 결합되며, 상기 제1적재판(120)이 후벽(110)에 장착되고 후벽(11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벽(10)보다 적재함(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함(10)에 적재된 화물을 지지하고, 상기 후벽(110)이 눕혀졌을 시에 상기 제1적재판(12)에서 연장되는 제2적재판(13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적재판(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힌지(140)에 의해 상기 제2적재판(130)이 회동하되; 상기 후벽(110)이 눕혀졌을 시에 상기 힌지(140)는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후벽(110)의 양측면에는 고정돌기(11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112)를 파지하여 상기 후벽(11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장치(12)가 상기 적재함(10)의 측벽(11)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돌기(112)가 상기 고정장치(12)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적재판(130)은 상기 제1적재판(120)의 전면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후벽(110)은 경사실린더(200)의 신축이동으로 경사가 조절되어 상기 적재함(10)을 개방하고, 승강실린더(300)의 신축이동으로 높이가 변경되어 상기 적재함(10)과 지면을 왕래하며; 상기 경사실린더(200)의 수축이동에 의해 상기 후벽(110)이 수직에서 수평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적재함(10)의 후단과 상기 후벽(110)의 전단이 맞닿아 상기 적재함(10)과 상기 후벽(110)이 수평을 이루며, 상기 제1적재판(120)이 상기 후벽(110)과 동일하게 수평방향으로 놓이고, 상기 제1적재판(120)의 내측면에 포개어 있는 상기 제2적재판(130)이 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적재판(130)의 전단은 상기 제1적재판(120)의 후단과 접촉되어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후벽(11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제2적재판(130)보다 적재함(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적재판(120)은 그 측면길이가 적재함(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적재판(130)의 측면길이보다 짧아, 제1적재판(120)의 전단은 제2적재판(130)의 후단보다 위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단이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의 측면에 결합되는 회동실린더(150)가 상기 힌지(140)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회동실린더(150)의 신장이동으로 상기 제2적재판(130)이 접철되어 상기 적재함(10)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1적재판(120)과 포개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후벽(110), 제1적재판(120) 및 제2적재판(130)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100)가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지면과 가까운 면인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의 하면은 상기 게이트(100)가 수직으로 접철되면서 서로 바깥쪽으로 배치되며, 지면의 반대면인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의 상면은 상기 게이트가 (100)가 수직으로 접철되면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적재장치는 적재함의 프레임을 이루는 후벽에 승강실린더와 경사실린더가 장착되어 후벽이 틸팅 및 승강이동 하며, 상기 후벽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결합되는 제1적재판 및 상기 제1적재판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2적재판이 구비되므로, 상기 후벽, 제1적재판 및 제2적재판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가 승강실린더 및 경사실린더의 신축이동에 의하여 동작되어 지면과 적재함 사이를 이어주는 경사로로 기능하거나 지면과 적재함을 왕래하여 화물을 승강시키는 승강대로 기능하도록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게이트를 조작할 수 있어 화물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적재함에 용이하고 편리하게 적재,하역하여 범용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할 시에는 탈,장착이 가능한 제1적재판이 후벽에 장착되어 게이트를 이루므로 게이트를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 하역할 수 있고, 화물의 적재,하역작업이 필요하지 않을 시에는 제1적재판이 후벽에서 분리되되 후벽은 적재함의 프레임을 이루게 되므로 통상의 트럭 적재함으로 가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가 지면과 적재함 사이를 이어주는 경사로로 기능할 시에 후벽의 전단이 적재함의 후단과 접촉되고 제2적재함의 후단이 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게이트 위로 화물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제1적재판과 제2적재판 사이의 힌지가 상부에 구비되어 적재판이 최대로 벌어지는 각을 180°로 제한하며, 제1적재판 하부의 지지대가 게이트 위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여 제1적재판과 제2적재판 이음새 부분에 화물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게이트가 굽혀지지 않고 제1적재판의 후단과 제2적재판의 전단이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의 접철시에 제2적재판은 상방으로 회동하여 제1적재판과 제2적재판이 수직으로 세운상태에서 제2적재판이 제1적재판의 전면측에 위치하게 되고 고정장치에 의하여 접철상태가 고정되므로, 트럭의 운행시에 발생하는 풍압에 의해 상기 제2적재판이 펼쳐지지 않아 트럭의 주행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동실린더의 전,후단이 각각 제1적재판과 제2적재판의 측면에 결합되므로 제1적재판에 대하여 제2적재판이 펼쳐지고 접히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 편리하게 조작 가능하고 게이트를 조작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적재장치가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도 1를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적재장치가 수직으로 접철된 상태의 후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적재장치에 수직으로 접철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적재장치가 펼쳐지는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후벽과 제1적재판이 수평으로 펼쳐지는 상태의 측면도, (b)는 도 7(a)에서 제2적재판이 펼쳐지는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도 7(b)의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적재장치가 기능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지면과 적재함을 잇는 경사로인 로더로 기능하는 상태의 측면도, (b)는 지면과 적재함 사이를 승강하는 리프트로 기능하는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적재장치에서 제1적재판과 제2적재판이 분리되고 후벽이 단독으로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적재장치는 화물을 적재함(10)에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의 후단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제1적재판(120)이 탈착시에 적재함(10)에 적재된 화물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후벽(110);
상기 후벽(110)의 후단에 탈장착되며, 상기 후벽이(110)이 지면으로 하향경사졌을 시에 화물의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는 지지대(121)가 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21)가 회동되어 수납되는 수용홈(122)이 하부에 형성되는 제1적재판(120); 및
상기 제1적재판(120)과 결합되며, 상기 후벽(11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벽(10)보다 적재함(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함(10)에 적재된 화물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벽(110)이 눕혀졌을 시에 상기 제1적재판(12)에서 연장되는 제2적재판(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적재장치는 트럭의 후방에 구비되는 적재함(10)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또는 적재된 하물을 지상으로 하역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럭 후방의 적재함(10)은 화물을 지지하는 바닥면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가장자리로 수직으로 세워진 측벽(11) 및 후벽(110)이 형성된다. 측벽(11)과 후벽(110)은 상기 적재함(10)의 프레임을 이룸과 동시에 적재함(10)에 적재된 화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벽으로 작용한다.
상기 후벽(110)은 적재함(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승강실린더(300)와 경사실린더(20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승강실린더(300) 및 경사실린더(200)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경사실린더(200)의 신축이동에 의하여 상기 후벽(110)이 기울어지는 동작이 이루어져, 후벽(110)이 상기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적재함(10)의 화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다가 적재함(10)의 개방시에는 후방을 향해 기울어져 적재함(10)을 열어 화물이 적재함(10)으로 적재 또는 하역될 수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300)는 상기 후벽(110)을 적재함(10)과 지면 사이를 왕래시키도록 동작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후벽(110)을 지면으로 내려서 지상의 화물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리프트 하거나 적재함(10)에 적재된 화물을 지상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후벽(110)에는 제1적재판(120)이 구비되고, 상기 제1적재판(120)에 힌지(140)를 통해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2적재판(130)이 구비된다. 상기 제1적재판(120) 및 제2적재판(130)은 상기 화물을 적재함(10)으로 옮기면서 화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구성이므로, 화물을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견고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화물이 올려질 수 있도록 충분히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은 힌지(140)에 의해 접철되어 적재함(10)의 후단에서 접철된 상태로 이동 및 휴대가 간편해지며, 화물의 적재 또는 하역작업시에는 접철된 제1적재판(120) 및 제2적재판(130)을 펼치게 된다.
후벽(110), 제1적재판(120) 및 제2적재판(130)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100)는 펼쳐진 상태에서 승강실린더(300) 경사실린더(200)의 조작에 따라 게이트(100)의 전,후단이 각각 적재함(10)의 후단과 지면에 맞닿는 경사로로 형성되어 바퀴가 달려 굴러가는 화물을 적재, 하역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게이트(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고 승강실린더(300)의 신축이동에 의해 게이트(100)가 지면과 적재함(10) 사이를 왕래하도록 승강하여, 화물을 지면에서 적재함(10)으로 상승, 하강시켜서 화물의 적재,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후벽(110), 제1적재판(120) 및 제2적재판(13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도 화물을 취급하는 작업자가 게이트(100)의 동작을 조작하여 경사로를 형성하는 로더로서, 또는 승강하는 리프트로서 선택적으로 차용하여 취급하는 화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한 방식으로 다양하게 응용 조작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확장되고 작업자의 적재,하역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적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의 적재함(10)의 후단에 구비되어, 개방된 적재함(10)으로 지상의 화물을 적재하거나 또는 적재함(10)에서 지상으로 하역하는 작업을 보조한다.
트럭의 적재함(10)은 하부에 엔진의 동력을 받아 뒷바퀴를 구동하는 파워트레인 장치 및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장치가 배치되므로, 상기 적재함(10)의 바닥면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이격된다.
따라서 지면보다 다소 높은 위치에 적재함(10)의 바닥면이 배치되어, 지상의 화물을 적재함(10)으로 올리거나, 적재함(10)의 화물을 지상으로 내리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적재장치에 올려져 왕래함으로써 지면과 적재함(10)의 높이차를 극복할 수 있다.
상기 적재함(10)의 바닥면은 화물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고강도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양측면에는 측벽(11)이, 후면에는 후벽(110)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측벽(11)과 후벽(110)은 적재함(10)에 적재된 화물이 적재함(10)을 이탈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벽으로 작용하면서 적재함(10)을 개방시에는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회동한다.
상기 후벽(110)은 적재함(10)의 후단에서 상기 측벽(11)과 함께 차단벽을 이루되, 수동으로 동작되지 않고 경사실린더(200) 및 승강실린더(300)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경사실린더(200)와 승강실린더(300)는 상기 적재함(10) 하부의 후단에 배치되며, 트럭의 파워트레인과 연계되어 파워트레인으로부터 동력을 받아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경사실린더(200)는 상기 후벽(11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후벽(110)을 수직, 수평, 또는 하향 경사지도록 조작한다.
상기 경사실린더(200)의 조작으로 후벽(110)이 수직으로 세워지면 상기 후벽(110)은 적재함(10)을 폐쇄하며, 적재함(10) 내부의 화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즉, 통상의 트럭의 적재함(10)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경사실린더(200)가 신축이동되면 상기 후벽(110)은 후방으로 기울여지며, 수평 또는 하향 경사지도록 더 기울어질 수 있다. 수평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후벽(110)은 후술할 게이트(100)의 일부 구성으로서 화물을 리프트 시키게 되고, 더 기울어져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되어 게이트(100)의 일부 구성으로서 로더로 기능한다.
상기 승강실린더(300)는 상기 후벽(110)을 포함하는 게이트(100)를 지면과 적재함(10) 사이를 왕래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승강실린더(300)는 게이트(100)가 리프트로 기능할 시에 조작되는 실린더이며, 게이트(100)가 경사로인 로더로 기능할 시에는 동작되지 않는다.
상기 후벽(110)이 수평으로 펼쳐져 상기 적재함(10)의 후단과 후벽(110)의 전단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실린더(300)가 신축이동되면 상기 후벽(110)을 포함한 게이트(100)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된다. 화물을 지상에서 적재함(10)으로 적재할 시에는 상기 승강실린더(300)를 동작시켜 게이트(100)를 지면으로 하강하고 게이트(100)에 화물을 올리게 되고, 상기 승강실린더(300)를 반대로 동작시켜서 적재함(10)과 동일한 높이로 게이트(100) 및 화물을 상승시킨다. 화물을 하역할 시에는 적재동작의 반대로 동작시켜 화물의 하역작업을 진행한다.
상기 후벽(110)의 후단에는 후술할 제1적재판(12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후벽(110)의 후단과 제1적재판(120)의 전단이 맞닿은 후, 결합부(111)에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체결하여 상기 후벽(110)과 제1적재판(120)을 고정결합시키는 것이다. 결합수단을 해제하면 상기 후벽(110)과 제1적재판(120)은 분리된다.
본 발명의 후벽(110)은 트럭의 적재함(10)에서 프레임을 이루는 통상의 차단벽으로 기능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을 종래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후벽(110)에 후술할 제1적재판(120) 및 제2적재판(130)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본 발명에서 적재함(10)의 후단을 가로막고 있는 구조물이 없으므로 화물을 적재함(10)의 후단에서 더 돌출되게 적재할 수 있어 더 화물의 적재 및 운송에 용이하다.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이 장착되지 않은 상기 후벽(110)은 단일구성의 차단벽으로서, 경사실린더(200)에 의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경사실린더(200)의 신축이동에 의해 상기 후벽(110)이 후방으로 틸팅되어 수평으로 배치시키면 상기 후벽(110)을 적재함(10) 바닥면이 연장되는 바닥면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더 기울이면 상기 후벽(110)을 하방의 수직상태로 위치되어 수동으로 화물을 적재 및 하역작업을 수행하기에 편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후벽(110)은 게이트(100)를 이루는 일부 구성으로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는 적재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이 분리되면 통상의 적재함(10)의 프레임, 차단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여 활용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화물을 아울러 적재함(10)에 수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뛰어나다.
상기 후벽(110)의 양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11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12)는 적재함(10) 측벽(11)에 구비되는 고정장치(12)에 의해 파지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고정장치(12)가 상기 고정돌기(112)를 잡아 고정시킴으로 상기 후벽(110)이 후방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트럭의 운행시에 풍압이 발생하고, 본 발명의 게이트(100)가 접철된 상태에서는 상기 풍압과 맞서는 방향으로 큰 면적이 형성되기에 공기저항이 형성되는데, 트럭 주행에 발생하는 항력에 의해 게이트(100)가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상기 고정장치(12) 및 고정돌기(112)에 의하여 방지되므로 주행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적재장치에서, 화물의 적재함(10)으로의 적재 및 하역을 보조하는 게이트(100)는 상기 후벽(110)과 더불어 제1적재판(120) 및 제2적재판(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게이트(100)를 이루는 구성 중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은 상기 후벽(110)을 더 연장하여 화물이 올려지기에 충분한 면적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후벽(110)과 함께 게이트(100)를 이루는 상기 제1적재판(120)은 전단이 상기 후벽(110)의 후단과 맞닿게 한 후, 상기 후벽(110)의 결합부(111)에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체결하여 상기 후벽(110)과 제1적재판(120)을 결합시킨다. 결합수단을 해제하면 상기 후벽(110)은 단일 구성으로 트럭 적재함(10)에 구비된다.
상기 제1적재판(120)은 상기 후벽(110)과 유사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후벽(110)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다.
상기 제1적재판(120)은 상기 후벽(110)과 결합되므로 상기 후벽(110)의 동작과 일치하게 동작된다. 상기 후벽(110)이 승강실린더(300) 및 경사실린더(200)에 의해 높이 및 경사가 변화하면 상기 제1적재판(120)도 높이 및 경사가 변화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적재판(120)의 하부에는 상기 제1적재판(120)의 상부에 올려진 화물의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여 화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지지대(121)가 회동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121)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22)에 수납된 지지대(121)를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락장치(123)가 상기 수용홈(122) 부근에 더 구비된다. 트럭의 운행시에 상기 지지대(121)가 상기 수용홈(122)의 내,외부로 회동하면서 부딪치며 불쾌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상기 락장치(123)가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21)는 게이트(100)가 지면과 적재함(10) 사이를 이어주는 경사로인 로더로 기능할 시에 상기 게이트(100)의 중간부분에서 상기 게이트(100)와 지면 사이를 이어 하중을 분산하는 구성이다.
로더로서의 기능을 하는 상기 게이트(100)는 전단에서 상기 후벽(110)을 지지하는 승강실린더(300) 및 경사실린더(200)에 의해 지지받고, 후단에서 지면과 맞닿고 있는 제2적재판(130)의 후단에 화물이 가해진다. 따라서 중간부분인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의 이음새에서 하중이 가해지면 굽힘모멘트가 가중되어 게이트(100)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대(121)가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의 이음새부분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므로, 게이트(100) 상부의 화물의 하중을 세곳으로 분산할 수 있다. 각 부분에서 가해지는 총 하중이 감소하므로 게이트(100)의 변형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적재판(120)의 후단에서 이어지는 상기 제2적재판(130)은 상기 후벽(110) 및 제1적재판(120)과 함께 게이트(10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이다.
상기 제2적재판(130)은 게이트(100)가 로더로 기능할시에 지면과 접촉되며, 게이트(100)가 리프트로 기능할 시에는 추가적인 지지면적을 제공한다.
상기 제2적재판(130)은 상기 제1적재판(120)과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이 접철되도록 하는 힌지(140)는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적재판(130)이 상기 제1적재판(120)에 대하여 회동할 시에 회전축으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140)는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의 상부에서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이 일정 두께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2적재판(130)의 회동각이 최대 180°로 제한된다.
상기 게이트(100)가 완전히 펼쳐지면 상기 제1적재판(120)의 후단과 제2적재판(130)의 전단이 맞닿아 더이상의 회동이 불가하므로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은 평면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힌지(140)가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의 이음새 부분에서 상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게이트(100)가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일 때 접철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적재판(130)은 접철 회동방향이 상부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2적재판(130)은 상기 제1적재판(120)의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제1적재판(120)은 후벽(110)에 연결된 경사실린더(200)의 조작에 따라 후벽(110)과 함께 회동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100)에 화물이 올려져 하중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상기 힌지(140)가 상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1적재판(120)의 후단과 제2적재판(130)의 전단이 맞닿아 더이상의 회동이 제한되므로 화물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평면상을 유지한다.
상기 제2적재판(130)은 상기 제1적재판(120)과 힌지(140)로 결합되기 때문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플레이트이며, 상기 제1적재판(120)에서 분리가 되지 않는다.
상기 제1적재판(120)이 상기 후벽(110)에 탈,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제1적재판(120)이 후벽(110)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2적재판(130)도 상기 제1적재판(120)을 따라 상기 후벽(110)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제1적재판(120)이 후벽(110)에 장착되면 상기 제2적재판(130)도 같이 후벽(110)과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100)가 수직으로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적재판(120)은 상기 제2적재판(130)보다 적재함(10)의 외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2적재판(130)이 더 적재함(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적재판(120)의 측면길이는 상기 제2적재판(130)의 측면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어, 상기 제2적재판(130)의 측면길이가 상기 제1적재판(120)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100)가 수직으로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함(10)에 내측에 배치되는 제2적재판(130)은 상기 후벽(110)과 제1적재판(120)의 측면길이를 더한 길이와 동일하거나, 조금 더 짧게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제2적재판(130)의 측면길이는 상기 제1적재판(120)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게이트(100)가 수직으로 접철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적재판(120)의 전단(후벽(110)과 맞닿는 단부)이 상기 제2적재판(130)의 후단(지면과 맞닿는 단부)보다 더 높게 위치한다.
게이트(100)가 전개되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지면과 가까운 면인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의 하면은 상기 게이트(100)가 수직으로 접철되면 서로 멀리있는 방향인 바깥쪽으로 배치되며, 게이트(100)의 수평상태에서의 지면의 반대면인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의 상면은 게이트(100)가 수직으로 접철되면서 서로 마주보아 맞닿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은 힌지(140)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후벽(110)과 제1적재판(120)이 결합부(111)에 의해 탈부착되도록 결합된다.
그러므로 트럭의 주행시에 발생하는 진동 등 외력에 의하여 체결부위가 느슨해져 제2적재판(130)이 트럭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게이트(100)가 수직으로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2적재판(130)을 적재함(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회동동작이 이루어지므로, 결합부(111), 힌지(140) 등의 체결부위가 느슨해져 이탈되더라도 제2적재판(130)이 상기 적재함(10)으로 떨어지므로 노면에 떨어져 후방 주행하는 다른 차량에 2차사고가 야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상기 제2적재판(130)의 회동동작을 보조하는 회동실린더(150)는 전,후단이 각각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의 측면과 결합된다. 상기 게이트(10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어느 일측에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동실린더(150)는 상기 제2적재판(130)이 상기 제1적재판(120)에 대하여 회동동작을 수행할 시에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동실린더(150)는 가스실린더의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2적재판(130)을 접철하고 펼치는 동작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작용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적재판(130)의 회동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비교적 중량의 제2적재판(130)의 회동동작이 완만한 각속도로 회동하기 때문에 제2적재판(130)이 갑자기 펼쳐지거나 접철되어 작업자가 제2적재판(130)에 크게 부딪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동실린더(150)가 수동이 아닌 동력을 전달받아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동실린더(150)를 작동시키기 위해 차량의 파워트레인으로부터 공압, 유압과 같은 동력을 상기 회동실린더(150)에 제공하여 신장 및 수축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제2적재판(130)을 밀어내거나 잡아당겨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회동실린더(150)의 신장 또는 수축이 일어나는 이동방향은 상기 힌지(140)의 축과 다소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동실린더(150)가 상기 제2적재판(130)에 가하는 힘이 상기 힌지(140)의 축에 대하여 토크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제2적재판(130)이 상기 회동실린더(150)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동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동실린더(150)가 동력을 받아 자동으로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가 트럭의 일측에 구비된 조작레버(미도시)를 통해 제2적재판(130)의 접철 및 펼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조작레버(미도시)는 상기 승강실린더(300)와 경사실린더(200)를 조작하는 조작레버(미도시)와 함께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8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적재장치에서 게이트(100)의 동작과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트럭 적재함(10)은 화물이 올려지는 바닥면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11)과 후벽(110)이 배치된다. 상기 후벽(110)은 독립적으로도 구비되어 화물이 적재함(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벽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후벽(110)이 게이트(100)를 이루지 않은 단일 구성으로 적재함(10)에 배치되면 적재함(10)의 부피를 초과하는 화물도 적재함(1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하여 적재할 수 있다.
상기 제1적재판(120)의 전단을 상기 후벽(110)의 후단과 맞닿도록 한 후, 결합부(111)에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체결시키면 상기 후벽(110)과 제1적재판(120)이 결합된다. 상기 제1적재판(120)의 후단에는 제2적재판(130)이 힌지(140)를 통해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후벽(110)과 제1적재판(120) 및 제2적재판(130)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100)가 지상의 화물을 적재함(10)에 적재하기 위해 트럭 적재함(10)의 후단에서 수직으로 접철된 상태에서 펼쳐지도록 동작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게이트(100)가 수직으로 접철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장치(12)를 풀어 상기 후벽(110)의 고정돌기(112)를 파지한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경사실린더(200)를 작동하여 상기 후벽(110)을 도 7(a)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기울이게 된다.
상기 제1적재함(10)에 포개어있는 제2적재함(10)을 도 7(b)와 같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펼치게 되는데, 회동실린더(150)가 충격을 완화하는 가스실린더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2적재판(130)을 펼치게 되며, 제2적재판(130)은 완만하게 펼치는 회동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실린더(150)가 외부에서 동력을 받아 공압 또는 유압 등으로 작동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회동실린더(150)의 조작레버(미도시)를 조작하게 되면 제2적재판(130)은 회동실린더(150)의 신장이동으로 인해 후방으로 펼쳐진다. 상기 회동실린더(150)가 신축이동하여 상기 제2적재판(130)을 이동시키는 힘은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을 이어주는 힌지(140)의 축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토크로 작용하여 상기 제2적재판(13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적재판(130)이 상기 힌지(140)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도 7(b)와 같이 상기 제2적재판(130)의 상기 힌지(140)의 상부방향의 반원형의 궤적을 그리며 후방으로 펼쳐진다. 상기 제2적재판(130)이 완전히 펼쳐지면 상기 제2적재판(130)의 전단은 제1적재판(120)의 후단과 맞닿게 되어 최대 180°로 회동된다.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이 수평방향으로 완전히 펼쳐지게 되어 후벽(110)과 함께 게이트(100)를 이루게 된다.
이때, 후방으로 완전히 전개된 게이트(100)는 경사로를 이루는 로더 또는 승강되는 리프트로 선택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게이트(100)가 지면과 적재함(10) 사이를 이어주는 경사로인 로더로 동작되는 경우에, 도 8(a)와 같이 상기 경사실린더(200)를 더 기울여서 상기 제2적재함(10)의 후단이 지면에 닿을 때까지 틸팅한다.
상기 후벽(110)의 전단은 상기 적재함(10)의 후단과 접촉되며, 제2적재판(130)의 후단은 지면과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제1적재판(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대(121)가 상기 수용홈(122)에서 회동하면서 인출되어 지면과 접촉된다.
상기 게이트(100)를 통해 화물을 적재함(10)으로 올리면서 상기 게이트(100)에는 화물의 하중이 가해진다. 화물의 하중이 게이트(100)를 상부에서 가압하더라도 상기 제1적재판(120)의 전단과 제2적재판(130)의 후단이 맞닿아 회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게이트(100)는 굽어지지 않고 평면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물이 게이트(100)를 통해 적재함(10)으로 올라가면서,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의 이음새부분에 하중을 가하더라도, 상기 제1적재판(120)의 지지대(121)가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 이음새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면에 전달하고 지탱하고 있으므로, 게이트(100)는 'V'자 형상으로 굽어지지 않고 평면상을 유지한다.
상기 지지대(121)가 게이트(100) 상에 올려진 화물의 하중을 게이트(100) 전,후단 및 중간부분에서 분산시키므로 게이트(100)의 파손 우려가 적고 내구성이 증대된다.
상기 게이트(100)가 화물을 승강시키는 리프트로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게이트(100)가 도 8(b)와 같이 적재함(10)의 후방으로 수평 전개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300)를 동작시켜 상기 게이트(100)를 하강시킨다.
수평상태의 상기 게이트(100)는 하부가 지면과 접촉하게 되고, 지면 상의 화물을 상기 게이트(100)로 쉽게 올릴 수 있다.
다시 상기 승강실린더(300)를 반대로 조작하여 상기 화물과 게이트(100)를 적재함(10)의 높이까지 들어올리며, 상기 적재함(10)과 동일한 높이의 게이트(100)에서 적재함(10)으로 화물을 밀어 적재함(10)으로 적재한다.
화물을 적재함(10)에 탑재한 후, 운송하기 위해서 상기 게이트(100)를 절첩시키게 되는데, 상기 제2적재판(130)을 상기 제1적재판(120)의 전면측에 배치되도록 회동시키고, 상기 경사실린더(200)를 동작시켜 상기 후벽(110) 및 후벽(110)과 결합된 제1적재판(120)을 수직으로 세운다. 그러면 도 5 내지 도 6의 상태가 된다.
측벽(11)에 구비되는 고정장치(12)를 후벽(110)의 고정돌기(112)에 걸어 파지하고 상기 지지대(121)를 수용홈(122)에 수납한 후 락장치(123)를 통해 지지대(121)의 수납상태를 고정한다.
적재함(10)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트럭의 운행시에 트럭의 후방으로 풍압이 가해지는데, 상기 게이트(100)가 수직으로 접철된 상태로 공기저항을 많이 받게 되지만, 상기 제1적재판(120)은 후벽(110)에 체결수단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후벽(110)은 측벽(11)에 구비되는 고정장치(12)에 의해 접철된 상태가 고정되며, 상기 제2적재판(130)은 고정된 제1적재판(120)의 전면측에 위치하므로 공기저항에 의하여 고정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지지대(121)도 락장치(123)에 의하여 수용홈(122)에 수납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운행시에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적재장치는 후벽(110)과 제1적재판(120) 및 제2적재판(130)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100)가 승강실린더(300) 및 경사실린더(200)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경사로로 형성되는 로더 또는 지면과 적재함(10) 사이를 왕래하도록 승강하는 리프트로 동작되어 다양한 화물의 형태 및 크기에 맞추어서 적재함(10)에 적재 및 하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을 결합시키는 힌지(140)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의 최대 회전각을 180°로 제한하므로 화물이 게이트(100) 상부에 올려지더라도 평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후벽(110) 및 제1적재판(120)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2적재판(130)은 상부에서 회동하므로, 상기 후벽(110)이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시에 상기 제2적재판(130)은 제1적재판(120)의 전면측에 위치하므로, 트럭의 운행으로 발생하는 공기저항을 받더라도 펼쳐지지 않아 안정적으로 트럭을 운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적재함 11:측벽 12:고정장치
100:게이트
110:후벽 111:결합부 112:고정돌기
120:제1적재판 121:지지대 122:수용홈 123:락장치
130:제2적재판 140:힌지 150:회동실린더
200:경사실린더 300:승강실린더

Claims (7)

  1. 트럭의 적재함(10)의 후방으로 전개되어 화물을 적재함(10)으로 유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의 후단에 배치되며, 제1적재판(120)이 탈착시에 적재함(10)에 적재된 화물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후벽(110);
    상기 후벽(110)의 후단과 탈장착되며, 상기 후벽이(110)이 지면으로 하향경사진 상태에서 화물의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는 지지대(121)가 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21)가 회동되어 수납되는 수용홈(122)이 하부에 형성되는 제1적재판(120); 및
    상기 제1적재판(120)과 결합되며, 상기 제1적재판(120)이 후벽(110)에 장착되고 후벽(11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벽(10)보다 적재함(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함(10)에 적재된 화물을 지지하고, 상기 후벽(110)이 눕혀졌을 시에 상기 제1적재판(12)에서 연장되는 제2적재판(130);을 포함하는
    트럭의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재판(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힌지(140)에 의해 상기 제2적재판(130)이 회동하되;
    상기 후벽(110)이 눕혀졌을 시에 상기 힌지(140)는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트럭의 적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벽(110)의 양측면에는 고정돌기(11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112)를 파지하여 상기 후벽(11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장치(12)가 상기 적재함(10)의 측벽(11)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돌기(112)가 상기 고정장치(12)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적재판(130)은 상기 제1적재판(120)의 전면에 위치하는
    트럭의 적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벽(110)은 경사실린더(200)의 신축이동으로 경사가 조절되어 상기 적재함(10)을 개방하고, 승강실린더(300)의 신축이동으로 높이가 변경되어 상기 적재함(10)과 지면을 왕래하며;
    상기 경사실린더(200)의 수축이동에 의해 상기 후벽(110)이 수직에서 수평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적재함(10)의 후단과 상기 후벽(110)의 전단이 맞닿아 상기 적재함(10)과 상기 후벽(110)이 수평을 이루며,
    상기 제1적재판(120)이 상기 후벽(110)과 동일하게 수평방향으로 놓이고, 상기 제1적재판(120)의 내측면에 포개어 있는 상기 제2적재판(130)이 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적재판(130)의 전단은 상기 제1적재판(120)의 후단과 접촉되어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트럭의 적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벽(11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제2적재판(130)보다 적재함(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적재판(120)은 그 측면길이가 적재함(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적재판(130)의 측면길이보다 짧아, 제1적재판(120)의 전단은 제2적재판(130)의 후단보다 위에 위치하는
    트럭의 적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양단이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의 측면에 결합되는 회동실린더(150)가 상기 힌지(140)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회동실린더(150)의 신장이동으로 상기 제2적재판(130)이 접철되어 상기 적재함(10)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1적재판(120)과 포개어지는
    트럭의 적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벽(110), 제1적재판(120) 및 제2적재판(130)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100)가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지면과 가까운 면인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0)의 하면은 상기 게이트(100)가 수직으로 접철되면서 서로 바깥쪽으로 배치되며,
    지면의 반대면인 상기 제1적재판(120)과 제2적재판(13)의 상면은 상기 게이트가 (100)가 수직으로 접철되면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트럭의 적재장치.
KR1020220043902A 2022-04-08 2022-04-08 트럭의 적재장치 KR20230145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902A KR20230145630A (ko) 2022-04-08 2022-04-08 트럭의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902A KR20230145630A (ko) 2022-04-08 2022-04-08 트럭의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630A true KR20230145630A (ko) 2023-10-18

Family

ID=8850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902A KR20230145630A (ko) 2022-04-08 2022-04-08 트럭의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563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678Y1 (ko) 2001-08-06 2001-11-23 정철원 운송차용 로딩 램프
KR101495261B1 (ko) 2013-10-24 2015-02-25 오한복 수직식 리프트 게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678Y1 (ko) 2001-08-06 2001-11-23 정철원 운송차용 로딩 램프
KR101495261B1 (ko) 2013-10-24 2015-02-25 오한복 수직식 리프트 게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32310B (zh) 车轮支撑悬置组件
RU2584043C2 (ru) Складная интермодальн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платформа
US20110103925A1 (en) Container trailer
EP2856255B1 (en) Camera crane transport vehicle
KR101495261B1 (ko) 수직식 리프트 게이트
ZA200603713B (en) Rack for freight
US6799935B1 (en) Lifting apparatus for user in the bed of a pickup truck
US8221048B2 (en) Lifting apparatus for use in a truck bed
AU730199B2 (en) Container handling systems
CA2959265A1 (en) Hooklift trailer
JP3193459U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KR101313077B1 (ko)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FR2917077A1 (fr) Niveleur de quai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CA2740189A1 (en) Trailer for the transportation by road of containers
EP0906241B1 (en) A straddle carrier
KR20230145630A (ko) 트럭의 적재장치
JP2007076484A (ja) 折り畳み式荷受台及び床下格納式昇降装置
KR102315209B1 (ko) 로딩 기능이 구비된 덤프트럭
WO2008139035A1 (en) Lifting device for a vehicle and a vehicle equipped with the lifting device
JP5856251B2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KR101313076B1 (ko)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KR102608940B1 (ko) 암롤박스 잔류콘크리트 회수차량
JP3965405B2 (ja) ストッパ装置、これを用いた荷受台及び荷受台昇降装置
KR102409999B1 (ko)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