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877B1 -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877B1
KR101357877B1 KR1020120062282A KR20120062282A KR101357877B1 KR 101357877 B1 KR101357877 B1 KR 101357877B1 KR 1020120062282 A KR1020120062282 A KR 1020120062282A KR 20120062282 A KR20120062282 A KR 20120062282A KR 101357877 B1 KR101357877 B1 KR 101357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roller
roller frame
frame
mobile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579A (ko
Inventor
김홍근
Original Assignee
피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2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877B1/ko
Publication of KR20130138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Abstract

본 발명은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모빌랙의 이동을 위한 롤러를 수용하는 롤러 프레임의 크기를 줄이고 베어링 커버를 용이하고 정확한 위치에 고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는, 내부에 저부를 향해 개방된 롤러 수용부(21)가 형성되면서 양측의 측벽(22)에 각각 커버지지홈(23)이 구비되며 모빌랙의 저부에 고정되는 롤러 프레임(20)과; 상기 롤러 프레임의 내주면에 접하는 판상의 프레임 고정부(31), 상기 프레임 고정부의 일측에서 상기 롤러 프레임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둘레부가 상기 롤러 프레임의 커버지지홈에 지지되는 제1,2베어링 커버(30)와; 축(11), 상기 축에 장착되는 바퀴(12) 및 상기 바퀴의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1,2베어링 커버의 내부에 지지되는 베어링(13)으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 프레임과 제1,2베어링 커버에 걸쳐 구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10)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의 베어링이 상기 제1,2베어링 커버의 베어링 커버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Description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CARRIAGE ASSEMBLY OF MOBILE RACK}
본 발명은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빌랙의 이동을 위한 롤러를 수용하는 롤러 프레임의 크기를 줄이고 베어링 커버를 용이하고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빌랙이라 함은 기존 보관 공간에 한계를 갖고 있는 고정식 책장에서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좁은 공간에 많은 양의 책이나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하여 하부의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식 보관함을 말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모빌랙은, 모빌랙 내부에 설치된 이동장치가 작동하도록 핸들을 돌리면 모빌랙의 하부에 장착된 바퀴가 회전하고, 이로 인하여 모빌랙이 실내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특허문헌1은, 상판의 양측에 측판이 절곡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양측으로 축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축관통부의 양측에 록킹홀이 형성되되 상기 록킹홀의 하측에는 가조립홀이 형성된 롤러프레임과; 상기 측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지지판이 하우징판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하에 록킹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의 선단에는 가조립홀을 관통한 후 상부의 록킹홀로 이동하여 측판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록킹을 유지하는 록킹판이 일체로 연결된 베어링 하우징과; 롤러축의 중앙에 끼움 설치되는 주행롤러와; 상기 주행롤러의 양측으로 롤러축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판의 하측에 형성된 베어링 삽입부에 억지 끼움 설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으로 이루어진다.
특허문헌1에 의하면, 베어링커버가 록킹편을 통해 롤러프레임에 결합되고, 베어링커버에 주행롤러의 양측에 있는 베어링이 지지되는 구성으로, 베어링커버가 롤러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롤러프레임의 폭이 커질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롤러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베어링커버는 록킹편을 통해 롤러프레임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는데, 록킹편이 경시적으로 탄성 변형되어 이탈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특허문헌2도 마찬가지로 베어링 지지브래킷이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우징의 크기와 모빌랙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고, 베어링 지지브래킷이 볼트식으로 고정됨에 따라 볼트를 수회 돌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생산 오차 등으로 인하여 베어링 지지브래킷과 하우징간의 볼트공이 일치되지 않게 되어 베어링 지지브래킷의 고정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등록특허 제10-0952204호 등록특허 제10-0674004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342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빌랙의 이동을 위한 롤러를 수용하는 롤러 프레임의 크기를 줄이고 베어링 커버를 용이하고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는, 내부에 저부를 향해 개방된 롤러 수용부가 형성되면서 양측의 측벽에 각각 커버지지홈이 구비되며 모빌랙의 저부에 고정되는 롤러 프레임과; 상기 롤러 프레임의 내주면에 접하는 판상의 프레임 고정부, 상기 프레임 고정부의 일측에서 상기 롤러 프레임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둘레부가 상기 롤러 프레임의 커버지지홈에 지지되며 내부에 롤러의 양측에 있는 베어링이 지지되는 베어링 커버부로 이루어진 제1,2베어링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의 베어링이 상기 제1,2베어링 커버의 베어링 커버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에 의하면, 모빌랙의 이동을 위한 롤러의 베어링이 롤러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어 베어링의 폭만큼 롤러 프레임의 폭을 줄일 수 있으므로 모빌랙의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중량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 커버의 베어링 커버부를 커버지지홈에 끼우는 작업과 용접 작업을 통해 베어링 커버의 설치가 완료되며, 이에 따라 종래 볼트공의 불량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베어링 커버를 설계상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의 다른 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는, 롤러(10), 롤러 프레임(20), 베어링 커버(30)로 구성된다.
모빌랙(미도시)의 이동을 위한 롤러(10)는 상기 모빌랙의 저부에 고정되는 롤러 프레임(20)을 통해 설치된다.
롤러(10)는 축(11), 축(11)에 결합되는 바퀴(12), 바퀴(12)의 양측에 결합되는 베어링(13)으로 구성된다.
롤러 프레임(20)은 롤러(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서, 예컨대 내부에 저부를 향해 개방된 롤러 수용부(21)가 형성된 박스 형태이고, 서로 마주하는 양측의 측벽(22)에 각각 커버지지홈(23)이 구비된다.
측벽(22)은 예를 들어 단면의 변화가 없는 평평한 판상이며 커버지지홈(23)은 측벽(22)에 저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롤러 프레임(20)은 모빌랙에 체결구 등을 통해 고정되며, 이를 위하여 고정편(24)이 형성된다. 고정편(24)은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구비된 판상으로 롤러 프레임(20)의 길이방향 양측 상부에 돌출된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10)의 바퀴(12)만 롤러 프레임(20)의 내부에 삽입되고 베어링(13)은 롤러 프레임(20)의 외부로 돌출되므로 롤러 프레임(20)의 폭은 바퀴(12)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롤러 프레임(20)에는 하나 이상의 롤러(10)가 설치되며, 따라서, 커버지지홈(22)은 롤러(10)의 수량에 따라 달라진다.
롤러(10)는 롤러(10)의 베어링(13)은 베어링 커버(30)를 매개로 하여 롤러 프레임(20)에 설치된다.
베어링 커버(30)는 바퀴(12)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배치된 베어링(13)을 지지하기 위하여 2개가 구성되며, 이하에서는 제1,2베어링 커버(30)로 설명한다.
제1,2베어링 커버(30)는 동일한 구성이 대칭으로 설치되어 2개의 베어링(13)을 지지하며, 롤러 프레임(20)에 지지되는 프레임 고정부(31) 및 베어링(13)을 지지하는 베어링 커버부(32)로 구성된다.
프레임 고정부(31)는 롤러(10)의 축(11)이 관통하는 홈을 갖는 판상이며 롤러 프레임(20)의 내주면에 접하여 베어링 커버부(32)가 롤러 프레임(20)에 설치되도록 한다. 프레임 고정부(31)는 반드시 롤러 프레임(20)의 내주면에 접하는 것은 아니며 왜냐하면 베어링 커버부(32)가 커버지지홈(23)에 삽입되면서 롤러 프레임(20)에 지지 및 고정되기 때문이다.
베어링 커버부(32)는 프레임 고정부(31)의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롤러 프레임(20)의 커버지지홈(23)을 통해 롤러 프레임(20)의 외부로 돌출된 위치로 설치된다. 즉, 프레임 고정부(31)는 롤러 프레임(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지만 베어링 커버부(32)는 롤러 프레임(20)의 외부로 돌출되어 롤러(10)의 베어링(13)은 롤러 프레임(2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베어링 커버부(32)는 프레임 고정부(31)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며 베어링(13)의 상부를 덮는 수평부(32a), 수평부(32a)의 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베어링(13)의 외부측을 덮는 수직부(32b)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에 따르면, 제1,2베어링 커버(30)를 각각 롤러 프레임(20)의 커버지지홈(23)에 삽입하여 용접으로 고정함으로써 설치하며,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2베어링 커버(30)의 프레임 고정부(31)를 롤러 프레임(20)의 내부에 삽입하고 베어링 커버부(32)의 수평부(32a)를 커버지지홈(23)에 맞춰 끼우며, 롤러 프레임(20)의 외부에서 베어링 커버부(32)와 롤러 프레임(20)의 이음부를 예컨대 스폿 용접하여 제1,2베어링 커버(30)를 고정한다.
이렇게 고정된 제1,2베어링 커버(30)는 베어링 커버부(32)가 롤러 프레임(20)의 외부로 돌출된다.
롤러(10)를 롤러 프레임(20)에 설치하되, 베어링(13)이 각각 제1,2베어링 커버(30)의 베어링 커버부(32) 안에 수용되도록 설치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1,2베어링 커버(30)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하나의 롤러(10)를 지지하는 2개의 베어링 커버 즉 제1,2베어링 커버(30)는 연결부(33)를 통해 일체로 구성된다.
즉,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연결부(33)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양측에 각각 프레임 고정부(31-1,31-2), 베어링 커버부(32-1,32-2)가 구성된다.
연결부(33)는 평평한 판상일 수도 있고, 도면에서처럼 보강을 위하여 절곡된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일체형 구조의 경우 연결부(33)의 양측에 연결되는 프레임 고정부(31-1,31-2)를 하부(개방측)로 가면서 벌어지는 형태[롤러 프레임(2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프레임 고정부(31-1,31-2)의 외부측의 거리는 롤러 수용부(21)의 폭보다 크다]로 형성하여, 제1,2베어링 커버(30)를 롤러 프레임(20)에 삽입할 때 제1,2베어링 커버(30)들이 서로 모아지면서 롤러 프레임(20)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용접 이전에 견고한 가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2베어링 커버(30)를 잡지 않아도 가조립 상태를 유지하여 용접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왜냐하면, 제1,2베어링 커버(30)가 롤러 프레임(20)에 견고하게 조립되지 못하여 빠지는 경우에는 용접시 용접 위치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제1,2베어링 커버(30)를 잡고 있거나 별도의 공구나 지그를 이용하여 제1,2베어링 커버(30)를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일체형 구조에 따르면, 한번의 동작을 통해 제1,2베어링 커버(30)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모빌랙의 사용 중에 제1,2베어링 커버(30)가 손상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롤러 프레임(20)에서 제1,2베어링 커버(30)를 분리한 후 새것의 제1,2베어링 커버(30)를 고정함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반대로, 롤러 프레임(20)만 교체가 필요한 경우 제1,2베어링 커버(30)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롤러 프레임(20)만 새것으로 교체하면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교체가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여 보수함으로써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10 : 롤러, 11 : 축
12 : 바퀴, 13 : 베어링
20 : 롤러 프레임, 21 : 롤러 수용부
22 : 측벽, 23 : 커버지지홈
30 : 제1,2베어링 커버, 31 : 프레임 고정부
32 : 베어링 커버부, 32a : 수평부
32b : 수직부, 33 : 연결부

Claims (4)

  1. 내부에 저부를 향해 개방된 롤러 수용부(21)가 형성되면서 양측의 측벽(22)에 각각 커버지지홈(23)이 구비되며 모빌랙의 저부에 고정되는 롤러 프레임(20)과;
    상기 롤러 프레임의 커버지지홈에 장착되며 연결부(33)를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제1,2베어링 커버(30)와;
    축(11), 상기 축에 장착되는 바퀴(12) 및 상기 바퀴의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1,2베어링 커버의 내부에 지지되는 베어링(13)으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 프레임과 제1,2베어링 커버에 걸쳐 구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2베어링 커버(30)는, 상기 롤러 프레임의 측벽(22)의 내주면에 접하며 상기 롤러의 축(11)이 관통하는 홈을 갖는 판상의 프레임 고정부(31), 상기 프레임 고정부의 외측에서 상기 롤러 프레임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둘레부가 상기 롤러 프레임의 커버지지홈에 끼워지면서 용접되는 베어링 커버부(32)를 포함하되,
    상기 베어링 커버부(32)는 상기 프레임 고정부(31)의 하단부 외측면에서 상기 롤러 프레임의 커버지지홈(23)을 통해 상기 롤러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수평 절곡되며 상기 베어링의 상부를 덮는 수평부(32a),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의 외부측을 덮는 수직부(3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프레임 고정부는, 개방측의 단부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벌어지게 형성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롤러 프레임의 롤러 수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
KR1020120062282A 2012-06-11 2012-06-11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 KR101357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282A KR101357877B1 (ko) 2012-06-11 2012-06-11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282A KR101357877B1 (ko) 2012-06-11 2012-06-11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579A KR20130138579A (ko) 2013-12-19
KR101357877B1 true KR101357877B1 (ko) 2014-02-06

Family

ID=4998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282A KR101357877B1 (ko) 2012-06-11 2012-06-11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8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981B1 (ko) 2016-09-30 2017-02-09 (주)대원모빌랙 모빌랙용 대차
KR102004234B1 (ko) 2019-04-03 2019-07-29 (주)동성오에이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어셈블리
KR20200118348A (ko) 2019-07-19 2020-10-15 (주)동성오에이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및 대차어셈블리
KR20240006386A (ko) 2022-07-06 2024-01-15 현대건설(주) 주방 공간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전동식 무빙 월
KR102648262B1 (ko) 2023-12-15 2024-03-18 현대건설주식회사 트랜스포밍 월 및 무빙 월이 구비된 퍼니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1425A (zh) * 2018-02-28 2018-08-07 刘俊腾 一种便于移动和放置的物品放置架
CN113059948A (zh) * 2021-03-19 2021-07-02 重庆第二师范学院 一种进行公共场所调查问卷调查问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004B1 (ko) * 2005-09-27 2007-01-25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모빌랙용 대차
KR100971264B1 (ko) * 2010-03-09 2010-07-20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모빌랙 주행축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004B1 (ko) * 2005-09-27 2007-01-25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모빌랙용 대차
KR100971264B1 (ko) * 2010-03-09 2010-07-20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모빌랙 주행축 고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981B1 (ko) 2016-09-30 2017-02-09 (주)대원모빌랙 모빌랙용 대차
KR102004234B1 (ko) 2019-04-03 2019-07-29 (주)동성오에이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어셈블리
KR20200118348A (ko) 2019-07-19 2020-10-15 (주)동성오에이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 및 대차어셈블리
KR20240006386A (ko) 2022-07-06 2024-01-15 현대건설(주) 주방 공간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전동식 무빙 월
KR102648262B1 (ko) 2023-12-15 2024-03-18 현대건설주식회사 트랜스포밍 월 및 무빙 월이 구비된 퍼니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579A (ko)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877B1 (ko)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
US7958963B2 (en) Assembly support for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KR101704981B1 (ko) 모빌랙용 대차
US20140167588A1 (en) Rail
US20100320889A1 (en) Telescopic guide for drawers and similar furniture components extendable from a body of furniture
KR101163094B1 (ko) T-브라켓용 결로방지패드
US9915558B2 (en) Parallelogram linkage structure for a scale
US20090074334A1 (en) Concealed Slide Assembly
JP2020508630A (ja) スイッチキャビネットの取付け板組立体
KR200447646Y1 (ko)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
KR101864016B1 (ko)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KR20160054923A (ko)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
JP2009112409A (ja) スライドレール
KR20150134190A (ko) 서랍장
KR200424025Y1 (ko) 접이식도어의 슬라이딩구조
CN217555696U (zh) 一种立柱及升降系统
KR101331393B1 (ko) 붙박이장용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드 개폐를 위한 상부프레임 구조
US20130294713A1 (en) Movable member for linear slide assembly
KR101239779B1 (ko) 모빌랙의 주행롤러 자동 스토퍼장치
CN210029657U (zh) 一种电梯导向结构以及滚轮导向电梯
JP6370642B2 (ja) 上吊り式の引き戸装置
US20210115718A1 (en) Carriage with elastic compensation elements for moving sliding doors
KR200441299Y1 (ko) 미닫이 장롱
KR200425141Y1 (ko) 슬라이드 도어 장롱의 하부레일 지지구조
JP4771515B2 (ja) 下枠フラット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