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646Y1 -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646Y1
KR200447646Y1 KR2020090004386U KR20090004386U KR200447646Y1 KR 200447646 Y1 KR200447646 Y1 KR 200447646Y1 KR 2020090004386 U KR2020090004386 U KR 2020090004386U KR 20090004386 U KR20090004386 U KR 20090004386U KR 200447646 Y1 KR200447646 Y1 KR 200447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support body
rail
guid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주)동성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성오에이 filed Critical (주)동성오에이
Priority to KR2020090004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6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6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02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빌랙용 레일블럭 및 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모빌랙의 이동을 지지 및 안내하는 모빌랙용 레일블럭에 있어서, 안착된 상기 모빌랙 랙바퀴의 수평이동을 지지하되, 상기 랙바퀴가 안착되는 상단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양측면에 결합됨과 함께 바닥층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바닥층에 대해 상기 지지몸체가 수평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 및 상기 지지몸체의 상단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랙바퀴가 상기 지지몸체의 평평한 상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탈선하지 않고 직선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안정적이면서도 용이하게 랙바퀴를 구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용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모빌랙, 레일

Description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 {RAIL STRUCTURE OF MOBILE RACK}
본 고안은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랙바퀴가 이동되는 상단면이 평평하게 형성됨과 함께 일측에 구비된 가이드부를 통해 랙바퀴의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랙바퀴의 구동용이성 및 안정성을 제공함과 함께 이용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빌랙(Mobile-rack)이라 함은 기존 보관 공간에 한계를 가지고 있는 고정식 책장에서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좁은 공간에 많은 양의 책이나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하여 하부의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식 보관함을 말한다.
이러한 모빌랙의 활용으로 고밀도의 수납이 가능하고, 수납효율을 2 ∼ 3배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자료의 집중 보관이나 분산 보관 등 가장 효율적인 자료보관을 구현할 수 있어 공간절약, 환경개선, 사무능률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과거 이러한 모빌랙은 주로 책, 문서 등과 같은 자료를 보관하기 위한 서가용 모빌랙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유통, 제조업을 막론하고 다양한 산업현장에 설치됨으로써 물류의 보관, 입출고 및 나아가 재고관리를 도모하는데 기여할 수 있 는 물류산업의 자동화 구축과 함께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모빌랙은 일반적으로 구동핸들을 돌려주면 모빌랙의 하부에 장착된 랙바퀴가 바닥층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수평이동을 하면서 문서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동된다.
그런데, 종래 모빌랙의 이동을 지지 및 안내하는 레일은 일반적으로 바닥층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모빌랙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돌출된 레일에 걸려 넘어지거나 문서 수납을 위한 운반기구를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곤란한 이용상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종래의 레일은 요입된 구조를 갖는 랙바퀴가 레일의 레일봉을 따라 가이드 이동되는 구조인데, 이 경우 모빌랙의 하중이 집중되는 랙바퀴와 레일봉의 접촉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그에 따른 랙바퀴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이 증가하게 됨과 함께 랙바퀴의 이동시 랙바퀴와 레일봉의 유격 등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 레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411805에 매립형 레일설치구조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매립형 레일설치구조는 기초 바닥층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베이스와, 상기 레일베이스의 상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지지되는 상부 가이드와, 상기 상부 가이드의 상부 안착홈에 안착되는 레일봉과, 상기 상부 가이드의 높이까지 기초 바닥층상에 형성되는 미장 마감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매립형 레일설치구조는 레일이 바닥층에서 돌출되지 않고 미장마감층에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돌출형 레일구조에 비해 일부분 이용 편의성을 제공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랙바퀴의 일부분이 상부 가이드의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수용되어 레일봉을 따라 이동되는 구조로서 랙바퀴의 직선이동을 위한 가이드구조는 종래와 동일하기 때문에, 즉, 하중이 집중되는 랙바퀴 자체를 가이드하기 때문에 여전히 소음이 발생함과 아울러 랙바퀴의 이동을 위해 큰 구동력을 제공해야 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또한 랙바퀴의 수용을 위한 개구부가 레일의 상단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부위에 사용자가 걸리거나 운반기구가 지날 때 덜컹거릴 수 있는 등 이용 편의성 측면에서도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중이 집중되는 랙바퀴와 레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랙바퀴의 용이한 구동성을 제공함과 함께 구동시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하중이 집중되는 랙바퀴의 지지와 랙바퀴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분리 구성시켜 레일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도 내구성의 향상 및 안정적인 직선운동을 담보할 수 있는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레일이 돌출되지 않으면서 상단면에 굴곡진 부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이용에 따른 편의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모빌랙의 이동을 지지 및 안내하는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안착된 상기 모빌랙 랙바퀴의 수평이동을 지지하되 상기 랙바퀴가 안착되는 상단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양측면에 결합됨과 함께 바닥층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바닥층에 대해 상기 지지몸체가 수평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레일블럭, 및 상기 한 쌍의 레일블럭이 매립되도록 상기 지지몸체의 상단면 높이까지 상기 바닥층 위에 형성되는 매립층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레일블럭 중 적어도 어느 일측 레일블럭의 지지몸체에는, 상기 지지몸체의 상면 일측에 요입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지지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랙바퀴의 바퀴하우징 하단에서 수평하게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구속되어 상기 랙바퀴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가 구비되어 상기 랙바퀴가 상기 지지몸체의 평평한 상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탈선하지 않고 직선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가 개시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면에는 상기 랙바퀴와 직접 대면하는 위치에 스틸재질의 보강판재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는,
하중이 집중되는 랙바퀴를 별도의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하면서 평평한 상단면을 따라 수평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랙바퀴와 레일블럭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어 보다 용이하게 랙바퀴를 구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에 의해 랙바퀴가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되기 때문에 탈선, 유격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면서 종래에 비해 모빌랙이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일블럭이 매립된 구조를 이루면서 상단면에 굴곡진 부분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걸림방지, 운반기구의 덜컹거림 방지 등 이용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용 레일블럭(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용 레일블럭(100)은 모빌랙(200)의 랙바퀴(300)를 지지하는 지지몸체(10)와, 상기 지지몸체(10)를 바닥층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부재(20)와, 랙바퀴(300)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몸체(10)는 랙바퀴(300)가 안착되어 수평이동을 하는 부위로서, 그 단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랙바퀴(300)의 수평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다.
상기 지지몸체(10)의 양측면에는 볼트수용구(1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상기 볼트수용구(11)에는 결합볼트(12)의 헤드부가 끼워져 수용된다.
이러한 지지몸체(10)는 그 상단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랙바퀴(300)와 대면하는 지지몸체(10)에 랙바퀴(300)를 가이드하기 위한 개구부, 레일봉 등의 구성이 필요없으며, 따라서 랙바퀴(300) 또한 종래와 같이 레일봉을 따라 가이드 이동하기 위한 요입면 등이 구비될 필요없이 통상적인 바퀴의 모양(즉, 바퀴의 외주면이 평평한 형상)을 가지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몸체(10)는 랙바퀴(300)에 걸린 모빌랙(200)의 하중만을 지지하면서 랙바퀴(300)의 수평이동을 지지하는 기능을 할 뿐 랙바퀴(300) 자체의 직선이동 경로를 가이드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지지몸체(1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랙바퀴(300)에 걸리는 하중을 고려하여 랙바퀴(300)와 직접 대면하는 지지몸체(10)의 상단면 위치에는 스틸 재질의 보강판재(13)를 더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지지몸체(10)의 상단면에는 상기 보강판재(13)의 두께만큼 요입된 판재삽입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강판재(13)가 판재삽입부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강판재(13)가 결합되더라도 지지몸체(10)의 상단면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20)는 상기 지지몸체(10)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지지몸체(10)가 바닥층(500)에 대해 일정높이에서 수평하게 위치되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20)는 바닥층(5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21)과, 상기 고정브라켓(21)에 그 높이를 조절하면서 체결 결합되는 조절판재(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라켓(21)은 “ㄴ”자 형태로 이루어져 수평부(21a)와 수직부(21b)를 갖는데, 수평부(21a)에는 앵커볼트(27)가 체결되는 앵커볼트공(23)이 형성되고 수직부(21b)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천공된 수직장공(24)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21)은 상기 앵커볼트공(23)에 앵커볼트(27)가 체결됨으로써 바닥층(500)에 고정 설치가 된다.
상기 조절판재(22)에는 상하측에 각각 볼트체결공(25, 26)이 형성된다.
상기 상측의 볼트체결공(25)에는 전술한 지지몸체(10)의 볼트수용구(11)에 끼워진 체결볼트(12)가 관통 결합되며, 그에 따라 상기 조절판재(22)가 지지몸체(10)의 일측면에 볼트 결합된다.
상기 하측의 볼트체결공(26)은 고정브라켓(21)의 수직장공(24)에 대응하는 것으로 체결볼트(28)가 끼워져 조절판재(22)를 고정브라켓(21)에 결합시키기 된다. 이 때, 수직장공(24)에 대해 상기 볼트체결공(26)의 대응위치를 상하 조정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바닥층(500)에 대한 지지몸체(10)의 높이 및 지지몸체(10)의 수평상태를 조정하면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30)는 상기 지지몸체(10)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몸체(10)의 상단면 일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부(30)는 가이드레일(31)과, 상기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더(32)와, 상기 슬라이더(32)의 이동에 구속되는 가이드프레임(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31)은 상기 지지몸체(10)의 상단면 일측에 소정 깊이로 요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32)는 하측이 상기 가이드레일(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됨과 함께 그 상단면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33)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볼트(34)가 돌출 구비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1)의 내부 양측면에 레일홈(35)을 각각 형성시키고, 상기 레일홈(35)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볼베어링(36)이 슬라이더(32)의 양측면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32)가 가이드레일(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슬라이딩 결합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 공지된 슬라이딩 결합을 위한 구조들이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33)는 랙바퀴(300)의 바퀴하우징(400) 하단에서 수평하게 돌출되도록 바퀴하우징(400)에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더(32)에 구비된 체결볼트(34)가 체결되기 위한 볼트체결공(37)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33)는 상기 슬라이더(32)의 상단에 체결볼트(34)에 의해 볼트 체결됨으로써 슬라이더(32)의 이동에 구속되며, 그에 따라 랙바퀴(300)가 지지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탈선하지 않고 슬라이더(32)의 이동방향에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용 레일블럭(100)의 설치구조 및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용 레일블럭(100)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면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레일블럭(100)은 모빌랙(200)에 구비된 랙바퀴(300)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바닥층(500)에 일정간격으로 한 쌍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설치된 한 쌍의 레일블럭(100)이 매립되도록 각 레일블럭(100)의 지지몸체(10)의 상단면 높이까지 상기 바닥층(500) 위에 매립층(60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매립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블럭(100)에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부(30)가 한 쌍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어느 일측의 레일블럭(100)에만 가이드부(30)가 구비되더라도 랙바퀴(300)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 쌍의 레일블럭(100) 중 어느 일측의 레일블럭(100)에만 구비되고, 타측 레일블럭(100´)에는 가이드부(30)가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레일블럭(100)의 설치방법은, 먼저 모빌랙(200)에 구비된 랙바퀴(300)의 이격간격에 맞추어 바닥층(500)에 고정브라켓(21)을 각각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지지몸체(10)의 양측면에 조절판재(22)를 결합시킨 후,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수직장공(24)에 설계된 높이에 맞도록 조절판재(22)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조절판재(22)를 볼트 결합시킴으로써 지지몸체(10)을 바닥층(500)에 고정 설치시킨다.
이 때, 지지몸체(10)와 결합된 조절판재(22)를 고정브라켓(21)에 결합시킬 때, 높이에 오차를 발생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21) 사이에는 지지몸체(10)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높이조절부재(80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700)는 일정높이를 갖는 다수의 판재로 구성되어 지지몸체(10)가 설치될 높이에 따라 다수 개를 가변적으로 적층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지지몸체(10)가 바닥층(500)에 설계된 높이에 맞도록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바닥층(500) 위에 시멘트 몰타르를 설치된 지지몸체(10)의 상단면 높이까지 시공하여 지지몸체(10)와 고정부재(20)가 매립되도록 하는 매립층(600)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매립층(600)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매립층(600)의 상부에 다수의 마감용 타일층(700)을 시공 설치하게 된다.
이렇게 본 고안에 따른 레일블럭(100)의 매립 설치가 완료된 이후, 상기 레일블럭(100)의 지지몸체(10) 위에 모빌랙(200)을 위치시킨 후, 랙바퀴(300)의 바퀴하우징(400)에 형성된 가이드프레임(33)를 슬라이더(32)에 볼트 결합시키면 본 고안에 따른 레일블럭(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모빌랙용 레일블럭 및 그 설치구조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방향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방향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레일블럭 200: 모빌랙
300: 랙바퀴 400: 바퀴하우징
500: 바닥층 600: 매립층
700: 타일층 800: 높이조절부재
10: 지지몸체 11: 볼트수용구
13: 보강판재 20: 고정부재
21: 고정브라켓 22: 조절판재
24: 수직장공 30: 가이드부
31: 가이드레일 32: 슬라이더
33: 가이드프레임 35: 레일홈
36: 볼베어링

Claims (4)

  1. 삭제
  2. 모빌랙의 이동을 지지 및 안내하는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안착된 상기 모빌랙 랙바퀴의 수평이동을 지지하되 상기 랙바퀴가 안착되는 상단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양측면에 결합됨과 함께 바닥층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바닥층에 대해 상기 지지몸체가 수평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레일블럭; 및
    상기 한 쌍의 레일블럭이 매립되도록 상기 지지몸체의 상단면 높이까지 상기 바닥층 위에 형성되는 매립층;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레일블럭 중 적어도 어느 일측 레일블럭의 지지몸체에는,
    상기 지지몸체의 상면 일측에 요입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지지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랙바퀴의 바퀴하우징 하단에서 수평하게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구속되어 상기 랙바퀴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가 구비되어 상기 랙바퀴가 상기 지지몸체의 평평한 상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탈선하지 않고 직선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면에는 상기 랙바퀴와 직접 대면하는 위치에 스틸재질의 보강판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
  4. 삭제
KR2020090004386U 2009-04-14 2009-04-14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 KR2004476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386U KR200447646Y1 (ko) 2009-04-14 2009-04-14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386U KR200447646Y1 (ko) 2009-04-14 2009-04-14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646Y1 true KR200447646Y1 (ko) 2010-02-11

Family

ID=4421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386U KR200447646Y1 (ko) 2009-04-14 2009-04-14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64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413B1 (ko) 2012-11-09 2014-06-11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빔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셔틀 랙
KR200478856Y1 (ko) * 2013-02-20 2015-1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캣워크 레일 오일 차단장치
KR101804281B1 (ko) * 2016-03-02 2018-01-11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모빌랙용 매립형 레일
CN114348659A (zh) * 2021-12-15 2022-04-15 安徽精菱玻璃机械有限公司 一种大型件输送用导向组件及大型件中转装置
KR102534718B1 (ko) 2022-07-19 2023-05-30 주식회사 디에스나이키 모빌랙용 레일장치
KR102638324B1 (ko) 2023-05-16 2024-02-21 주식회사 디에스나이키 모빌랙 레일의 높낮이 조절장치
CN114348659B (zh) * 2021-12-15 2024-06-11 安徽精菱玻璃机械有限公司 一种大型件输送用导向组件及大型件中转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938A (ja) * 1995-08-31 1997-03-11 Daifuku Co Ltd 移動棚設備
JP2001211944A (ja) * 2000-02-01 2001-08-07 Okamura Corp 移動棚等におけるレール及びレールの固定構造
KR200347809Y1 (ko) * 2003-11-28 2004-04-17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매립형 모빌랙용 레일조립체의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사용되는 조립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938A (ja) * 1995-08-31 1997-03-11 Daifuku Co Ltd 移動棚設備
JP2001211944A (ja) * 2000-02-01 2001-08-07 Okamura Corp 移動棚等におけるレール及びレールの固定構造
KR200347809Y1 (ko) * 2003-11-28 2004-04-17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매립형 모빌랙용 레일조립체의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사용되는 조립부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413B1 (ko) 2012-11-09 2014-06-11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빔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셔틀 랙
KR200478856Y1 (ko) * 2013-02-20 2015-1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캣워크 레일 오일 차단장치
KR101804281B1 (ko) * 2016-03-02 2018-01-11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모빌랙용 매립형 레일
CN114348659A (zh) * 2021-12-15 2022-04-15 安徽精菱玻璃机械有限公司 一种大型件输送用导向组件及大型件中转装置
CN114348659B (zh) * 2021-12-15 2024-06-11 安徽精菱玻璃机械有限公司 一种大型件输送用导向组件及大型件中转装置
KR102534718B1 (ko) 2022-07-19 2023-05-30 주식회사 디에스나이키 모빌랙용 레일장치
KR102638324B1 (ko) 2023-05-16 2024-02-21 주식회사 디에스나이키 모빌랙 레일의 높낮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646Y1 (ko) 모빌랙용 레일블럭의 설치구조
US20060137137A1 (en) Retracting apparatus, drawer apparatus and sliding door apparatus
CN1144553C (zh) 橱柜的伸缩式拉出部件
JP7345294B2 (ja) 客室内における座席配列の変更構造
CN101707903A (zh) 车辆用座椅滑动装置
JP6555525B2 (ja) 台車
KR101704981B1 (ko) 모빌랙용 대차
JPH0515446B2 (ko)
KR20130138579A (ko) 모빌랙용 대차 어셈블리
KR101804281B1 (ko) 모빌랙용 매립형 레일
JP6255200B2 (ja) 運搬用台車の中間棚システム
US20220194190A1 (e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sliding door for vehicle
JP2008207075A (ja) 駆動装置及び自動溶射装置
KR101239779B1 (ko) 모빌랙의 주행롤러 자동 스토퍼장치
JP5067263B2 (ja) 軌道固定設備
JP4464991B2 (ja) 自転車収納装置
JP4284127B2 (ja) 駐輪装置
KR200449821Y1 (ko) 전동모빌랙 대차용 비임 체결브라켓
JPH0342258Y2 (ko)
JP6915979B2 (ja) 駐輪装置
KR200422655Y1 (ko) 전동 파렛트용 레일의 설치구조
KR102136282B1 (ko) 슬라이드형 3단 레일
CN112046572B (zh) 一种建筑工程组合式钢管运输工具
JPH09125533A (ja) 床用目地装置
CN101801238B (zh) 用于移动搁架轨道的末端止动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