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923A -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923A
KR20160054923A KR1020140154560A KR20140154560A KR20160054923A KR 20160054923 A KR20160054923 A KR 20160054923A KR 1020140154560 A KR1020140154560 A KR 1020140154560A KR 20140154560 A KR20140154560 A KR 20140154560A KR 20160054923 A KR20160054923 A KR 20160054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rail
horizontal
sliding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4672B1 (ko
Inventor
구자호
Original Assignee
구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호 filed Critical 구자호
Priority to KR1020140154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672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52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56Bottom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그 구체적인 구성은, 상부패널(50)의 상면에 나사를 통해 접속되도록 수평대면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대면부(41)와 하방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수직대면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대면부(42)의 하부 선단에는 수직제1레일(45)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제1레일(45)의 상방에는 수직제2레일(46)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대면부(42)의 반대편으로 수직돌출부(43)가 수직하게 연장되어, 인도어(30)와 아웃도어(31)에 각각 설치된 인도어호차(23)와 아웃도어호차(24)가 상기 수직제1레일(45)과 수직제2레일(46)에 2단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The vertical two-step rail frame for sliding door}
본 발명은 미닫이문용 상부 레일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닫이문을 구성하는 인도어와 아웃도어를 가구의 상부에 안정적이면서 견고하고 편리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인도어와 아웃도어의 호차가 거치되는 레일을 수직하게 2단으로 형성한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미닫이문용 상부 수평프레임(1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미닫이문용 상부 수평프레임(1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종래에는 미닫이문을 상부패널(5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부패널(50)에 장착된 수평프레임(10)의 수평제1레일(11)과 수평제2레일(12)을 이용하였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도어(30)는 수평프레임(10)의 외측에 형성된 수평제1레일(11)에 장착하고, 아웃도어(31)는 수평프레임(10)의 내측에 형성된 수평제2레일(12)에 장착하였다.
이러한 설치 구성은 통상적인 관념과는 정반대의 것으로서, 통상 안쪽에서 옆으로 움직이는 인도어(30)는 내측에 형성된 레일에 장착해야 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수평프레임(10)의 외측에 형성된 수평제1레일(11)에 장착하고,
바깥쪽에서 옆으로 움직이는 아웃도어(31)는 외측에 형성된 레일에 장착해야 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수평프레임(10)의 내측에 형성된 수평제2레일(12)에 장착하는바, 미닫이문의 명칭과 실제 장착되는 상태의 공정이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시공하는 초보 작업자는 물론 실제로 사용하는 소비자가 미닫이문의 착탈과정에서 혼란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미닫이문의 장착 과정상의 혼란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미닫이문의 안쪽에서 옆으로 움직이는 인도어(30)를 수직프레임(40)의 내측에 형성된 수직제1레일(45)에 장착하고, 미닫이문의 바깥쪽에서 옆으로 움직이는 아웃도어(31)를 수직프레임(40)의 외측에 형성된 수직제2레일(46)에 장착함에 따라, 명칭에서 표현되는 의미와 실제 장착 위치를 동일하게 하여 작업자는 물론 소비자에게 미닫이문의 착탈작업상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부패널(50)의 상면에 나사를 통해 접속되도록 수평대면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대면부(41)와 하방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수직대면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대면부(42)의 하부 선단에는 수직제1레일(45)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제1레일(45)의 상방에는 수직제2레일(46)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대면부(42)의 반대편으로 수직돌출부(43)가 수직하게 연장되어, 인도어(30)와 아웃도어(31)에 각각 설치된 인도어호차(23)와 아웃도어호차(24)가 상기 수직제1레일(45)과 수직제2레일(46)에 2단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을 사용하게 되면, 수직제1레일(45)과 수직제2레일(46)이 2단으로 수직하게 형성됨으로써, 인도어(30)와 아웃도어(31)의 장착과정이 동일함에 따라, 작업자는 물론 일반 소비자가 미닫이문을 착탈하는 과정에서 매우 편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으로 인해 인도어(30)와 아웃도어(31)의 명칭에서 의미하는 대로 실제 장착되는 인도어호차(23)와 아웃도어호차(24)의 장착 위치가 안쪽과 바깥쪽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물론 일반 소비자에게 미닫이문의 착탈작업상의 혼란을 줄여주어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되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미닫이문용 상부 수평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미닫이문용 상부 수평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의 설치 상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의 기술과 대비하면서 설명하되, 동일 구성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미닫이문용 상부 수평프레임(1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미닫이문용 상부 수평프레임(1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1, 2에서 확인되듯이, 미닫이문이 장착되는 사무용 가구 또는 가정용 가구의 상부패널(50)에는 미닫이문을 장착하기 위한 레일이 형성된 수평프레임(10)이 장착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0)은 2개의 레일이 수평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수평프레임(10)의 내측에는 수평제2레일(12)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수평제1레일(1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외측에 형성된 수평제1레일(11)에는 미닫이문의 안쪽에서 옆으로 개방되는 인도어(30)가 장착되는바, 상기 인도어(30)의 상부에는 측방에 인도어호차(23)가 장착된 일자브래킷(20)이 설치됨으로써, 도 1, 2에서와 같이 상기 인도어호차(23)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외측에 형성된 수평제1레일(11)에 올려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0)의 내측에 형성된 수평제2레일(12)에는 미닫이문의 바깥쪽에서 옆으로 개방되는 아웃도어(31)가 장착되는바, 상기 아웃도어(31)의 상부에는 측방에 아웃도어호차(24)가 장착된 역"U"자브래킷(21)이 설치됨으로써, 도 1, 2에서와 같이 상기 아웃도어호차(24)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내측에 형성된 수평제2레일(12)에 올려지는 형태로 설치된다.
종래 수평프레임(10)을 이용한 미닫이문의 장착에서의 문제점은, 통상적인 관념과는 정반대의 장착구성이다. 즉, 통상적인 관념은 미닫이문에서 안쪽에 위치하며 옆으로 움직이는 인도어(30)는 명칭에서 표현되는 개념상 설치시에도 수평프레임(10)의 안쪽 레일에 해당하는 수평제2레일(12)에 장착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미닫이문에서 바깥쪽에 위치하며 옆으로 움직이는 아웃도어(31)는 명칭에서 표현되는 개념상 설치시에도 수평프레임(10)의 바깥쪽 레일에 해당하는 수평제1레일(11)에 장착될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실제로는 이와는 정반대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인도어(30)는 수평프레임(10)의 바깥쪽에 형성된 수평제1레일(11)에 장착되고, 아웃도어(31)는 수평프레임(10)의 안쪽에 형성된 수평제2레일(12)에 장착됨으로써, 작업자는 물론 실사용자인 소비자도 미닫이문의 착탈과정에서 혼란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에서 보듯이 종래 아웃도어(31)에 장착된 역"U"자브래킷(21)은 아웃도어(31)가 수평프레임(10)의 안쪽에 형성된 수평제2레일(12)에 장착되어야 하는 구조상의 한계로 인해 절곡하여 만들어야 한다. 이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역"U"자브래킷(21)의 사이 공간에 인도어(30)가 위치되어야 하는 구조에서 기인한 것인바, 부득불 절곡을 해야하므로 절곡공정이 추가되는 공정상의 문제점과,
종래 아웃도어(31)의 장착위치가 수평프레임(10)의 안쪽에 해당하는 수평제2레일(12)임을 감안할 때, 도 2에서와 같이 인도어호차(23)와 인도어(30)의 내측면간의 이격거리(D)보다 아웃도어호차(24)와 아웃도어(31)의 내측면간의 이격거리(D')가 크게 발생됨으로써(D < D'),
아웃도어(31)를 수평제2레일(12)에서 지탱하는 역"U"자브래킷(21)의 두께(L')가 인도어(30)를 직상방의 수평제1레일(11)에서 지탱해 주는 일자브래킷(20)의 두께(L) 보다 크게 형성해야 함에 따라(L < L'), 역"U"자브래킷(21)에 소요되는 자재비의 상승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 2에서와 같이 종래의 아웃도어(31)의 장착은 수평프레임(10)의 수평제1레일(11)에 이미 장착된 인도어(30)를 피하여 인도어(30)의 상부를 넘겨 수평프레임(10)의 안쪽에 형성된 수평제2레일(12)에 장착해야 함에 따라, 무거운 아웃도어(31)를 들고 작업하는 것임을 감안할 때 장착작업이 번거롭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도어(30)와 아웃도어(31)의 장착과정에서 명칭에서 표현되는 그대로 인도어(30)는 프레임의 안쪽에 장착하고, 아웃도어(31)는 프레임의 바깥쪽에 장착할 수 있도록 수직 2단레일 프레임을 제안함으로써, 장착과정의 혼란을 피할 뿐 아니라, 인도어(30)와 아웃도어(31)의 장착과정이 수직 2단레일 프레임으로 인해 간편해 지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듯이 미닫이문이 장착되는 사무용 가구 또는 가정용 가구의 상부패널(50)에는 미닫이문을 장착하기 위한 레일이 2단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프레임(40)이 장착된다.
상기 수직프레임(40)은 상부패널(50)의 상면에 나사를 통해 접속되도록 수평대면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대면부(41)와 하방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수직대면부(42)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대면부(41)와 수직대면부(42)의 교차 지점의 좌측 비어 있는 공간으로 상부패널(50)의 모서리면이 끼워진 다음, 나사를 통해 수직프레임(40)이 견고하고 안정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대면부(42)의 하부 선단에는 수직제1레일(45)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수직제1레일(45)의 상방에는 상기 수평대면부(41)에서 반대편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연장부(44)의 선단에 수직제2레일(46)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제2레일(46)의 견고성을 담보시키고자, 상기 수직대면부(42)의 반대편으로 수직하게 수직돌출부(43)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의 설치 상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보듯이, 인도어(30)의 상부에는 측방에 인도어호차(23)가 장착된 일자브래킷(20)이 설치되고, 아웃도어(31)의 상부에도 측방에 아웃도어호차(24)가 장착된 일자브래킷(20)이 설치된다.
먼저, 작업자는 도 4에와 같이 인도어(30)를 들어서 인도어호차(23)가 상기 수직프레임(40)의 하단에 형성된 수직제1레일(45)에 올려놓은 다음, 아웃도어(31)를 들어서 인도어(30)의 장착과 동일한 과정으로 아웃도어호차(24)가 수직프레임(40)의 상단에 형성된 수직제2레일(46)에 간단하게 올려 놓음으로써, 도 5, 6에서와 같이, 미닫이문에 해당하는 인도어(30)와 아웃도어(31)를 그 명칭에서 표현하는 바와 같이 동일하게 수직프레임(40)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자는 물론 실사용자인 소비자도 미닫이문의 착탈과정에서 작업 위치에 따른 혼란이 초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서 수직제1레일(45)과 수직제2레일(46)이 2단으로 수직하게 형성됨으로써, 인도어(30)와 아웃도어(31)의 장착과정이 동일하게 진행됨에 따라, 미닫이문의 착탈과정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진행된다.
종래에는 수평제1레일(11)과 수평제2레일(12)이 수평하게 형성됨으로써, 인도어(30) 장착후 아웃도어(31)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이미 장착된 인도어(30)를 피하여 인도어(30)의 상부를 넘겨 수평프레임(10)의 안쪽에 형성된 수평제2레일(12)에 아웃도어(31)를 장착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앞서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도어(30)와 아웃도어(31)를 수직프레임(40)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올려놓는 구성과 동일하다.
즉,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구성에서 수평연장부(44)의 구성이 배제됨에 따라, 도 7에서 확인되듯이 인도어호차(23)가 장착되는 수직제1레일(45)의 직상방에 아웃도어호차(24)가 장착되는 수직제2레일(46)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인도어(30)는 측방에 인도어호차(23)가 장착된 일자브래킷(20)에 의하여 수직프레임(40)의 하단에 형성된 수직제1레일(45)에 장착되고, 아웃도어(31)는 측방에 아웃도어호차(24)가 장착된 일자확장브래킷(22)에 의하여 수직프레임(40)의 상단에 형성된 수직제2레일(46)에 장착됨으로써,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도 인도어(30)와 아웃도어(31)의 장착과정이 동일함에 따라 미닫이문의 착탈과정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을 사용하게 되면, 수직제1레일(45)과 수직제2레일(46)이 2단으로 수직하게 형성됨으로써, 인도어(30)와 아웃도어(31)의 장착과정이 동일함에 따라, 작업자는 물론 일반 소비자가 미닫이문을 착탈하는 과정에서 매우 편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으로 인해 인도어(30)와 아웃도어(31)의 명칭에서 의미하는 대로 실제 장착되는 인도어호차(23)와 아웃도어호차(24)의 장착 위치가 안쪽과 바깥쪽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물론 일반 소비자에게 미닫이문의 착탈작업상의 혼란을 줄여주어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되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10 : 수평프레임
11 : 수평제1레일
12 : 수평제2레일
20 : 일자브래킷
21 : 역"U"자브래킷
22 : 일자확장브래킷
23 : 인도어호차
24 : 아웃도어호차
30 : 인도어
31 : 아웃도어
40 : 수직프레임
41 : 수평대면부
42 : 수직대면부
43 : 수직돌출부
44 : 수평연장부
45 : 수직제1레일
46 : 수직제2레일
50 : 상부패널
D, D' : 이격거리
L, L' : 두께

Claims (1)

  1. 상부패널(50)의 상면에 나사를 통해 접속되도록 수평대면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대면부(41)와 하방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수직대면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대면부(42)의 하부 선단에는 수직제1레일(45)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제1레일(45)의 상방에는 수직제2레일(46)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대면부(42)의 반대편으로 수직돌출부(43)가 수직하게 연장되어, 인도어(30)와 아웃도어(31)에 각각 설치된 인도어호차(23)와 아웃도어호차(24)가 상기 수직제1레일(45)과 수직제2레일(46)에 2단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
KR1020140154560A 2014-11-07 2014-11-07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 KR101624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560A KR101624672B1 (ko) 2014-11-07 2014-11-07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560A KR101624672B1 (ko) 2014-11-07 2014-11-07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923A true KR20160054923A (ko) 2016-05-17
KR101624672B1 KR101624672B1 (ko) 2016-05-26

Family

ID=56104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560A KR101624672B1 (ko) 2014-11-07 2014-11-07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6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100B1 (ko) * 2017-08-21 2018-04-27 (주) 메탈프린스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KR101855111B1 (ko) * 2017-08-21 2018-05-04 (주) 메탈프린스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KR20190020604A (ko) * 2018-01-15 2019-03-04 (주)메탈프린스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KR20190032984A (ko) * 2018-01-16 2019-03-28 (주)메탈프린스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3758A (zh) * 2016-10-11 2016-12-14 安徽卡塔门窗有限公司 移门吊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100B1 (ko) * 2017-08-21 2018-04-27 (주) 메탈프린스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KR101855111B1 (ko) * 2017-08-21 2018-05-04 (주) 메탈프린스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KR20190020604A (ko) * 2018-01-15 2019-03-04 (주)메탈프린스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KR20190032984A (ko) * 2018-01-16 2019-03-28 (주)메탈프린스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672B1 (ko)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672B1 (ko)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
JP2014020198A (ja) 案内装置、走行装置及び走行レール
KR101961599B1 (ko) 가구 도어틀
CN105781345A (zh) 一种组合式安全窗
KR101426711B1 (ko) 창호용 기밀 보강유닛
CN203676488U (zh) 一种移门衣柜
KR20090041608A (ko) 조립형 고정브라켓
KR20170065823A (ko) 커튼 박스
KR101331393B1 (ko) 붙박이장용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드 개폐를 위한 상부프레임 구조
CN102953628B (zh) 一种方便安装的窗体安装方式及其结构
CN107060581B (zh) 一种多扇移门的安装结构
KR20140114607A (ko) 창틀용 지지대
KR101555308B1 (ko)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JP5284010B2 (ja) 建具
KR10219705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상부 레일 높이 조절장치
CN105113930A (zh) 一种可调节式室内房间通风窗体机构
PT1974632E (pt) Guarnição para um armário, com uma armação frontal a ser apoiada no lado interior de uma porta do armário
JP5619097B2 (ja) 装飾板付き引き戸
CN205604987U (zh) 一种组合式安全窗
GB2439222A (en) Slidable panels with vertical profiles
CN210622657U (zh) 一种室内移门的钢架龙骨墙面
KR20100108766A (ko) 창호 시스템
CN102116119A (zh) 静音悬挂式趟门轮
JP2018003448A (ja) ルーバー
JP2010116743A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