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100B1 -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100B1
KR101852100B1 KR1020170121148A KR20170121148A KR101852100B1 KR 101852100 B1 KR101852100 B1 KR 101852100B1 KR 1020170121148 A KR1020170121148 A KR 1020170121148A KR 20170121148 A KR20170121148 A KR 20170121148A KR 101852100 B1 KR101852100 B1 KR 101852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etachable
outer body
frame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환
Original Assignee
(주) 메탈프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메탈프린스 filed Critical (주) 메탈프린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05C17/5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comprising a snap, catch,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문의 완충구조(1)에 관한 것으로, 문틀(F)의 상면보다 위에 안내레일(37,38)이 배치되는 고정프레임(3); 외측 문짝(Do)을 상기 고정프레임(3)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프레임(5); 및 상기 이동프레임(5) 상에 장착된 스토퍼(S)에 결합된 때, 상기 이동프레임(5)을 통해 연결된 상기 외측 문짝(Do)의 운동을 감쇠시키는 멈춤댐퍼(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외측 문짝을 멈춤댐퍼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큰 충격 없이 정지시킬 수 있게 되며, 고정프레임 상에 멈춤댐퍼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멈춤댐퍼의 외부 노출을 막아 미닫이문의 외관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미닫이문의 완충구조{Buffering Structure For Sliding Door}
본 발명은 미닫이문의 완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장, 붙박이장, 책장 등에 적용되는 양방향 미닫이문 등의 문짝을 문틀의 정중앙 등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시켜 멈출 수 있도록 하되, 이동하는 문짝을 원하는 지점에 정지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한 미닫이문의 완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는 미닫이문 이외에도 미닫이창, 미닫이선반, 미닫이 붙박이장, 미닫이 책장 등에 사용되는 문짝 또는 문틀 등을 두루 이르는 말로, 예컨대 문짝은 문틀과 같은 외부틀체에 좌우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도 1에 도시된 미닫이문(중국 실용신안 등록공고번호 CN 20421258 U)은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은 양방향 리셋 완충기를 구비함으로써, 좌우로 이동하는 문짝(103)을 문틀(105)의 소정 위치에서 정지시킬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고 있다.
이 완충기(10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문틀(105)의 상단부 저면 중간에 장착되는 바, 미닫이문의 문짝(103) 상단 모서리면에 장착된 스토퍼(S)와 걸림으로써 문짝(103)을 정해진 위치에 정지시키며, 그에 따라 문틀(105)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그런데, 이러한 완충기(101)는 도 2에 C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몸체를 이루는 외체부(111) 양단에 복수의 나사 체결공(113)이 관통되고, 이 나사 체결공(113) 위에 나사 클립(115)이 끼워지는 바, 나사 클립(115)을 외체부(111) 양단에 끼운 채로 문틀(105) 상단부 저면의 원하는 위치에 대고, 나사 체결공(113)에 체결나사를 박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완충기(101)는 문틀(105) 상에 체결한 때 체결나사나 체결공(113)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자체의 외관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체결공(113)을 통과해 문짝(103)에 체결되는 체결나사에 의해 문틀(105) 표면에 체결 흔적이 발생하므로, 문틀(105)에서 완충기(101)를 분리한 때 문틀(105)의 외관이 체결 흔적으로 인해 훼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완충기(101)를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완충기(101)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곤란하고, 공간 확보를 위해서는 문틀(105)이나 문짝(103)이 불필요하게 확대되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완충기(101)를 문틀(105)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체결나사를 박을 수 있는 체결공을 사전에 문틀(105)에 형성하여야 하므로, 완충기(101) 설치 작업이 번거롭게 되고, 따라서 조립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CN 20421258 U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완충기 설치구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문틀에 대해 복수의 문짝을 전후로 겹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면서 앞쪽에 배치된 문짝을 소정의 위치에 큰 충격 없이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앞쪽 문짝을 충격 없이 소정의 위치에 정지시키는 멈춤댐퍼가 문틀이나 문짝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등 천장과 문틀 사이의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닫이문의 외관이 멈춤댐퍼 등의 노출로 인해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멈춤댐퍼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설치함에 있어, 멈춤댐퍼의 고정구조를 단순화하여, 멈춤댐퍼 자체의 생산 효율성을 제고할 뿐 아니라, 멈춤댐퍼의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문틀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문틀의 상면보다 위에 내외측 안내레일이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내측 안내레일에 의해 내측 문짝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프레임; 일단이 상기 외측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타단이 외측 문짝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 문짝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 상에 장착된 스토퍼에 결합된 때, 상기 이동프레임을 통해 연결된 상기 외측 문짝의 운동을 감쇠시키는 멈춤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닫이문의 완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기부 및 기립부로 이루어지도록 절곡된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기부는 상기 문틀 상면에 놓여 고정되되 상기 문짝을 향한 부분의 상면에 상기 내외측 안내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기립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위로 연장되되 상기 외측 문짝을 향해 열리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댐퍼홈(39)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댐퍼홈의 개구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댐퍼홈에 끼워진 상기 멈춤댐퍼를 관통하여 장착된 체결나사가 상기 멈춤댐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댐퍼홈 바닥에 가압될 때 발생하는 반력을 지탱함으로써, 상기 멈춤댐퍼를 상기 댐퍼홈 내에 고정시키는 지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내측 문짝 및 상기 외측 롤러를 넘도록 배치되어, 상기 내측 문짝보다 외측에 있는 상기 외측 문짝이 상기 외측 롤러보다 내측에 있는 상기 내측 롤러를 통해, 상기 외측 레일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외측 문짝이 상기 문틀의 상단보다 위로 올라와 천장과 상기 문틀 사이의 공간을 상기 내외측 문짝에 의해 가리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멈춤댐퍼는, 외부몸체를 이루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기 댐퍼홈에 설치되는 외체부; 상기 외체부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외체부 밖으로 노출된 파지홀더가 상기 스토퍼에 걸린 때 변형되어 제1 위치에서 상기 스토퍼와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가 걸린 상태에서 상기 외측 문짝이 움직인 때 상기 스토퍼가 해제되는 제2 위치까지 상기 외체부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파지부가 상기 외체부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때 상기 파지부와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파지부가 상기 외체부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때 상기 파지부로부터 분리되는 제1 착탈부; 상기 파지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파지부가 상기 외체부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때 상기 파지부와 함께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파지부가 상기 외체부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때 상기 파지부로부터 분리되는 제2 착탈부; 상기 파지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외체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때 제1 착탈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착탈부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때 제1 착탈부로부터 분리되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한 때 상기 제1 착탈부와 재결합되는 제1 전동부; 상기 파지부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때 제2 착탈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착탈부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때 제2 착탈부로부터 분리되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한 때 상기 제2 착탈부와 재결합되는 제2 전동부; 상기 외체부의 상기 제1 착탈부 쪽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착탈부가 상기 파지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당겨질 때 반대쪽으로 탄성 반발하는 제1 완충부; 상기 외체부의 상기 제2 착탈부 쪽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착탈부가 상기 파지부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당겨질 때 반대쪽으로 탄성 반발하는 제2 완충부; 및 상기 외체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상기 외체부를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닫이문 완충구조에 따르면, 문틀에 대해 복수의 문짝을 전후로 겹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앞쪽에 배치된 문짝을 멈춤댐퍼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큰 충격 없이 정지시킬 수 있게 되므로, 미닫이문의 사용 편리성이나 내구수명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외측 문짝과 결합된 이동프레임을 안내레일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프레임에 멈춤댐퍼가 설치되므로, 외측 문짝에 의해 멈춤댐퍼가 가려져 문틀이나 문짝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미닫이문의 외관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멈춤댐퍼를 고정프레임에 고정하는 제1 및 제2 체결부의 고정구조가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멈춤댐퍼의 생산 효율성과 설치 작업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프레임은 중간에 형성된 댐퍼홈에 의해 위와 같이 멈춤댐퍼를 설치하고 있고 제1 및 제2 체결부와 지지턱에 의해 댐퍼홈 내에 멈춤댐퍼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멈춤댐퍼가 고정되는 댐퍼홈 저면이 멈춤댐퍼의 고정을 위해 훼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멈춤댐퍼의 설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멈춤댐퍼가 제1 및 제2 체결부 체결나사의 반력에 의해 댐퍼홈 바닥에 고정되므로, 멈춤댐퍼 고정작업의 작업효율성과 편리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문틀 위에 내외측 레일을 설치하고, 그 위에 내외측 롤러를 설치하여 내외측 문짝이 문틀의 상단보다 위로 올라오게 할 수 있으므로, 멈춤댐퍼 등 천장과 문틀 사이의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닫이문의 외관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미닫이문 문짝 완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와 B로 표시된 부분을 결합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문 완충구조가 적용된 미닫이문의 문틀과 문짝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멈춤댐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횡단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사시도.
도 7은 멈춤댐퍼가 체결부에 의해 댐퍼홈 내에 고정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멈춤댐퍼의 부분 단면 확대정면도.
도 8은 도 4의 멈춤댐퍼를 분해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제1 위치에 있는 파지부의 파지편이 스토퍼에 의해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11은 제1 위치에서 스토퍼와 결합된 상태의 파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제1 위치의 파지부가 제2 착탈부로 접근을 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제1 위치의 파지부가 제2 착탈부로 접근 중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파지부가 제2 위치에 도착하여 파지홀더가 피벗 회전을 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제2 위치에서 파지부가 완전히 개방되어 스토퍼를 해제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문 완충구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완충구조는 도 3 내지 도 6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고정프레임(3), 이동프레임(5), 및 멈춤댐퍼(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고정프레임(3)은 이동프레임(5) 및 문짝(Di,Do)을 문틀(F)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F)의 상단 모서리를 따라 좌우로 길게 연장되며, 이동프레임(5)과 문짝(Di,Do)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기부(31)와 기립부(33)로 이루어진 ㅗ자 모양으로 절곡된 횡단면 형상을 포함한다. 이때, 기부(31)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문틀(F) 상면에 놓여져 고정되며, 문짝(Di,Do)을 향한 부분의 상면에 즉, 문틀(F)의 상면보다 위쪽에 복수의 안내레일(37,38)을 형성한다. 또한, 기립부(33)는 기부(3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천장으로부터 돌출된 고정구를 끼울 수 있는 끼움홈(35)이 상단에 형성된다. 특히, 기립부(33)는 끼움홈(35) 아래에 댐퍼홈(39)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 이 댐퍼홈(39)은 멈춤댐퍼(7)를 끼워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멈춤댐퍼(7)의 파지부가 이동프레임(5) 쪽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외측 문짝(Do)을 향해 열린 오목한 형태를 취한다.
특히, 고정프레임(3)은 위와 같은 댐퍼홈(39) 내에 멈춤댐퍼(7)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턱(41)을 더 포함하는 바, 이 지지턱(41)은 고정프레임(3)의 댐퍼홈(39) 개구를 따라 돌출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홈(39)에 끼워진 멈춤댐퍼(7)가 양단에 관통되는 체결나사(741)의 돌출로 인해 댐퍼홈(39) 바닥에 가압될 때 발생하는 반력에 의해 댐퍼홈(39)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프레임(5)은 외측 문짝(Do)을 고정프레임(3)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모양의 횡단면 형상을 갖도록 3단으로 절곡된 제1 내지 제3 절곡부(51,53,55)를 포함하는 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문짝(Do)의 양측 상단 모서리에 제3 절곡부(55)가 부착되어 외측 문짝(Do)과 연결된다. 이때, 제1 절곡부(5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문짝(Di)과 이 내측 문짝(Di) 양측 상단 부분에 장착된 외측 롤러(58)를 넘도록 배치된다. 또, 제2 절곡부(53)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절곡부(51)의 내측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측변 내측에 장착된 내측 롤러(37)를 통해 안내레일(37,38)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제3 절곡부(55)는 제1 절곡부(51)의 외측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외측 문짝(Do)의 내측면 양단 상측 모서리 부분에 부착된다.
따라서, 이동프레임(5)은 내측 문짝(Di)보다 외측에 있는 외측 문짝(Do)이 외측 롤러(58)보다 내측에 있는 내측 롤러(57)를 통해, 외측 레일(38)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레일(37) 상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이에 따라, 내외측 문짝(Di,Do)이 문틀(F)의 상단 즉, 상단면보다 위로 올라와 천장과 문틀(F) 사이의 공간을 내외측 문짝(Di,Do)에 의해 가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동프레임(5)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곡부(53)의 내측면에 단면 ㄴ자 형태의 브래킷(59)이 부착되는 바, 이 브래킷(59)을 통해 스토퍼(S)가 파지부(705)에 걸리도록 제2 절곡부(53) 안쪽에 수직하게 세워져 장착된다.
상기 멈춤댐퍼(7)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외체부(703), 파지부(705), 제1 및 제2 착탈부(707,708), 제1 및 제2 전동부(709,710), 제1 및 제2 완충부(711,712), 및 제1 및 제2 체결부(713,7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외체부(703)는 멈춤댐퍼(7)의 외부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4,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플라스틱 재질의 사각 통체로 이루어지는 바, 고정프레임(3) 일측에 설치되도록 즉, 댐퍼홈(39)에 삽입되도록 축방향으로 길고 납작하게 연장된다.
또한, 외체부(70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제1 및 제2 완충부(711,712)를 제외한 중앙 부분만을 덮고 있는 전방외체부(715)와 전장에 걸쳐 연장된 후방외체부(717)로 이루어지는 바, 이들 전후방외체부(715,717)의 내벽면에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더 안내홈(719)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더 안내홈(719)은 양단이 도시된 것처럼 서로 대칭이 되도록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러져 이탈구(721)를 형성한다. 또한, 전방외체부(703)도 마찬가지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더 안내홈(719)과 동일한 형태의 슬라이더 안내홈(719)이 형성되는 바, 이들 안내홈(719)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중간에 끼워진 걸림돌기(533)를 통해 파지홀더(753), 더 나아가 파지부(705)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외체부(703)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후방외체부(703) 내벽면의 슬라이더 안내홈(719) 위쪽에 좌우로 한 쌍의 착탈부 안내홈(72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착탈부 안내홈(723)도 마찬가지로 외체부(703)의 외측단(여기에서, 외측단이라 함은 외체부(703)의 중심에서 먼 쪽 끝을 의미한다)이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러져 회동구(725)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전방외체부(703)도 마찬가지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착탈부 안내홈(723)과 동일한 형태의 착탈부 안내홈(7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 안내홈(723)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중간에 끼워진 회동편(773)의 회동돌기(777)를 통해 회동편(773), 더 나아가 착탈부(707,708)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파지부(70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S)가 외측 문짝(Do)를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파지부(705)와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수단으로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외체부(703) 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예컨대 외측 문짝(Do)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고정프레임(3)의 위치에 설치된 스토퍼(S)와 수시로 결합 또는 해제를 반복하도록 일부분 즉, 파지돌기(532)가 외체부(703)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특히, 파지부(705)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돌기(532)가 스토퍼(S)에 걸리게 되면, 외측 문짝(Do)이 예컨대 도 11의 화살표(A)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함께 이동하지 못하므로, 스토퍼(S)가 해제되는 제2 위치(ⅱ)까지 외체부(703)에 대해 제1 방향(B)으로 상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파지부(705)는 다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751)과 파지홀더(7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외통(751)은 외체부(703)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사각 통체의 형태로 제작된 파지부(705)의 외부 몸체로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전면판(756)과 후면판(757)이 양측단의 요철(759)이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전면판(756) 및/또는 후면판(757)의 중앙 부분에 공히 외체부(703)의 이탈구(721)와 동일한 형태의 피벗홈(761)이 상호 대칭을 이루면서 쌍을 이루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지홀더(753)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파지부(705) 중에서 스토퍼(S)를 파지하는 부분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751) 내에 삽입, 설치되는 바, 일측 즉, 상측의 파지돌기(532)는 외통(751) 상단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 즉, 하측의 몸체판(531)은 외통(751)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파지부(705)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외체부(703) 정중앙에 해당하는 제1 위치(ⅰ)에 있을 때, 파지홀더(753)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예컨대 걸림돌기(533)와 같은 몸체판(531)의 일부가 슬라이더 안내홈(719)에 걸려 상하 이동이 구속됨으로써, 외체부(703) 외부로 노출된 파지돌기(532)가 도 9에 은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스토퍼(S)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가압되어, 외통(751) 안쪽으로 압축 변형되고, 곧이어 결과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스토퍼(S)와 스냅식으로 결합된다. 반면, 파지홀더(753)는 파지부(705)가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위치(ⅱ)에 있을 때는 스토퍼(S)에 의해 화살표(C) 방향으로 가압된 때, 예컨대 걸림돌기(533)가 이탈구(721)를 따라 이동하면서 피벗 회전하여 스토퍼(S)를 해제시킨다.
이를 위해, 파지홀더(753)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몸체판(531), 파지돌기(532), 및 걸림돌기(5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판(531)은 파지홀더(753)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외통(751) 내에 상하이동 또는 회전 등의 변위가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 상변의 중앙에 파지돌기(532)의 걸림훅(536)을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턱(534)이 형성되며, 이 걸림턱(534)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에 회동홈(535)이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쌍을 이루어 절결되는 바, 파지돌기(532)의 걸림훅(536)이 피벗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파지돌기(532)도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직접적으로 스토퍼(S)를 파지 또는 해제하는 수단으로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판(531) 위에 상호 대칭되도록 쌍으로 배치되는 바, 전체적으로는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절곡된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파지돌기(53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즉, 외측단이 몸체판(531)의 상변 양측단 어느 한 쪽에 각각 피벗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걸림턱(534)에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훅(536)을 형성한다. 더욱이, 파지돌기(532)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스토퍼(S)에 의해 외측에서 가압된 때 회동구(725)를 따라 피벗 회전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고, 경사면에 이웃함으로써 서로 마주보는 수직면에 의해 스토퍼(S)를 파지 또는 해제하는 파지죠(537)를 형성한다.
끝으로, 상기 걸림돌기(533)도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파지홀더(753)가 슬라이더 안내홈(719)를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판(531)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상호 대칭되도록 좌우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바, 도 8 및 도 10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홈(761)을 통해 외통(751)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체부(703)의 슬라이더 안내홈(719)에 끼워진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705)가 제1 위치(ⅰ)에 있을 때, 걸림돌기(533)는 슬라이더 안내홈(719)에 끼워진다. 따라서, 파지홀더(753)는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돌기(532)가 스토퍼(S)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걸림돌기(533)가 슬라이더 안내홈(719)에 걸려 상하방향으로 상대 변위가 불가하므로, 파지돌기(532) 자체가 아래 쪽으로 피벗 회전하는 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스토퍼(S)가 파지죠(537)에 위치하도록 즉, 파지죠(537)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피벗 회전한 파지돌기(532)의 걸림훅(536)은 회동구(725)를 따라 이동하면서 파지돌기(532)의 피벗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705)가 제2 위치(ⅱ)에 있을 때, 어느 한 쪽에 예컨대, 도 14 상의 우측에 위치하는 걸림돌기(533)는 더 이상 슬라이더 안내홈(719)에 걸리지 못하고 스토퍼(S)의 가압력에 의해 이탈구(721)를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되는 반면, 나머지 한 쪽 예컨대, 도 14 상의 좌측에 위치하는 걸림돌기(533)는 여전히 슬라이더 안내홈(719)에 걸려 높이 변화를 일으키기 못하므로 파지홀더(753)는 결과적으로 도 14와 같이 좌측 걸림돌기(533)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피벗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파지홀더(753)는 도 15와 같이 파지죠(537)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로 되며, 비로소 스토퍼(S)를 파지부(705)로부터 해제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착탈부(707,708)는 파지부(705)와 연동하면서 외측 문짝(Do)의 위치에 따라 파지부(705)에 외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체부(703)의 파지부(705) 양단측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바, 파지부(705) 양단의 제1 및 제2 전동부(709,710) 슬라이더돌기(763)와 착탈을 반복함으로써, 예컨대 제1 착탈부(707)의 경우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부(705)가 제1 위치(ⅰ)에 있을 때는 슬라이더돌기(763)와 결합되며, 제1 방향(B)으로 이동한 때 도 13의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부(705)와 동시에 이동한다. 또한, 예컨대, 제2 착탈부(708)는 파지부(705)가 제1 위치(ⅰ)에서 제1 방향(B)으로 접근하기 시작할 때는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더돌기(763)와 분리됨으로써 움직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반대로,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부(705)에서 스토퍼(S)가 해제된 이후, 착탈부(707,708)는 복귀스프링과 같은 완충부(711,712)의 복원력에 의해 파지부(705)가 예컨대 도 13의 제2 방향(D)으로 이동하여 재차 제1 위치(ⅰ)에 이른 때, 전동부(709,710) 즉, 슬라이더돌기(763)와 재결합된다.
따라서, 제1 착탈부(707)는 도 11의 위치에서 파지부(705)가 제1 방향(B)으로 상대 이동할 때 파지부(705)와 함께 제1 방향(B)으로 이동하며, 파지부(705)가 제2 방향(D)으로 상대 이동할 때 제1 전동부(709)로부터 분리된다. 마찬가지로, 제2 착탈부(708)는 도 11의 위치에서 파지부(705)가 제2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때 파지부(705)와 함께 제2 방향(D)으로 이동하며, 파지부(705)가 제1 방향(B)으로 상대 이동할 때 제2 전동부(710)로부터 분리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착탈부(707,708)는 각각 도 8 및 도 10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몸체(771)와 회동편(7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블럭몸체(771)는 도 10 이하에 도시된 것처럼, 착탈부(707,708)의 외부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사각통체의 형태로 되어 외체부(703) 내주면을 따라 좌우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블럭몸체(771)는 파지부(705)의 외통(751)을 향한 측면과 상면에 걸쳐 회동편(773)을 끼우기 위한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홈이 형성된 외벽에는 회동편(773)의 안내돌기(779)를 끼워 안내하는 회동홈(775)이 관통 형성되는 바, 이 회동홈(775)은 착탈부 안내홈(723)의 회동구(725)와 연속되는 곡률로 만곡되어 회동편(773)의 회동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편(773)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착탈부(707,708)에 장착되어 실질적으로 파지부(705)와의 착탈을 실행하는 부분으로, 도 8 및 도 10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착탈부(707,708)의 내측단 상단에 핀 결합되어 삽입홈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 외측단 상단에 회동돌기(777)가 전후로 돌출됨으로써, 외체부(703)의 착탈부 안내홈(723)에 끼워져 안내된다. 아울러, 회동편(773)은 삽입홈 내에서의 피벗 운동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외측단 하단에 안내돌기(779)가 전후로 돌출된다.
따라서, 회동편(773)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부(705)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전동부(709,710) 슬라이더돌기(763)와 정합된다. 그러나,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위치의 파지부(705)가 제1 방향(B)으로 접근하기 시작할 때 슬라이더돌기(763)에 의해 가압되어 화살표(7E) 방향으로 피벗 회전하여 열림으로써 파지부(705)와 분리된다. 이때, 회동돌기(777)는 착탈부 안내홈(723)의 회동구(725)를 따라 이동하므로 회동편(773)의 피벗을 가능하게 한다. 반대로, 도 13의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부(705)가 제1 위치에서 제1 착탈부(707)으로부터 제1 방향(B)으로 이격될 때, 회동편(773)은 닫힌 상태로서 슬라이더돌기(763)와의 결합을 그대로 유지하며, 따라서 제1 착탈부(707)는 제1 전동부(709) 더 나아가, 파지부(705)를 따라 같은 방향 즉 제1 방향(B)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회동편(773)의 회동돌기(777)는 착탈부 안내홈(723)에 걸려 제1 방향(B)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13의 좌측에 도시된 상태에서 파지부(705)가 제2 방향(D)으로 이동하더라도, 회동편(773)은 슬라이더돌기(763)와의 결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1 착탈부(707)도 제2 방향(D)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동부(709,710)는 파지부(705)의 외통(751)과 착탈부(707,708)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도 8 및 도 9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751)의 좌우 양단측 각각에서 대응하는 좌우의 착탈부(707,708)을 향해 길게 연장된 단면 ㄱ자 형태의 자루로 이루어지는 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부(705)가 즉, 외통(751)이 제1 위치(ⅰ)에 있을 때 각각의 전동부(709,710)는 대응하는 각각의 착탈부(707,708)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제1 위치(ⅰ)에서 외통(751)이 도 11의 제1 방향(B)으로 접근하기 시작한 때,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전동부(709)는 제1 착탈부(707)와 결합된 상태로 제1 착탈부(707)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2 전동부(710)는 제2 착탈부(708)에서 분리된 채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도 13의 상태에서 외통(751)이 제1 위치(ⅰ)로 복귀할 때 각각의 전동부(709,710)는 분리되어 있던 착탈부(707,708)와 재결합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전동부(709,710)는 파지부(705) 즉, 외통(751)의 위와 같은 위치 변화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부(707,708)와 착탈될 수 있는 슬라이더돌기(763)를 말단 측에 구비하는 바, 이 슬라이더돌기(763)는 도 8 및 도 10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부(707,708)에 대해 접근하든 이격되든 관계없이 회동편(773)에 물렸을 때 착탈부(707,708)를 원활히 가압할 수 있도록 각진 사각통체의 형태로 전동부(709,710) 내측에 돌출된다.
따라서, 제1 전동부(709)는 도 11의 위치에서 파지부(705)가 제1 방향(B)으로 상대 이동할 때 제1 착탈부(707)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고, 파지부(705)가 제2 방향(D)으로 상대 이동할 때 제1 착탈부(707)로부터 분리되어 단독으로 이동하며, 제1 착탈부(707)와 분리된 상태에서 파지부(705)가 제1 위치(ⅰ)로 복귀한 때 제1 착탈부(707)와 재결합된다. 반대로, 제2 전동부(710)는 도 11의 위치에서 파지부(705)가 제1 방향(B)으로 상대 이동할 때 제2 착탈부(708)로부터 분리되어 단독으로 이동하고, 파지부(705)가 제2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때 제2 착탈부(708)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며,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착탈부(708)와 분리된 상태에서 파지부(705)가 제1 위치(ⅰ)로 복귀한 때 제2 착탈부(708)와 재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 완충부(711,712)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제1 및 제2 착탈부(707,708)를 통해 파지부(705)의 위치를 제1 위치(ⅰ)에 유지시키는 완충반발수단으로서, 외체부(703) 내에 좌우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바, 도 8 및 도 10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단(여기에서, 내측단이라 함은 외체부(703) 중심에서 가까운 쪽 끝을 의미한다)은 각각의 착탈부(707,708)의 외측단 하측에 연결되고, 그 외측단은 외체부(703) 양측단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타의 완충부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완충부(711,712)는 도 1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착탈부(707,708)가 파지부(705)에 의해 당겨질 때 탄성 변형되어 반대쪽으로 탄성 반발하는 바, 도 15와 같이 스토퍼(S)가 파지부(705)로부터 해제된 때, 파지부(705)를 제1 위치(ⅰ)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 완충부(711)는 외체부(703)의 제1 착탈부(707) 쪽 내부에 배치되는 바, 제1 착탈부(707)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705)에 의해 제1 방향(B)으로 당겨질 때 제1 방향(B)으로 인장되어 탄성 반발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1 완충부(711)는 바람직하게는 외체부(703)의 제1 착탈부(707) 쪽 내부에 배치되어 제1 착탈부(707)에 결합되는 제1 감쇠실린더(733)를 더 포함하는 바, 제1 감쇠실린더(73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로드(731)가 파지부(705)에 결합되어, 파지부(705)가 제2 위치(ⅱ)에서 제1 위치(ⅰ)로 복귀할 때 제1 착탈부(707)의 이동을 감쇠시킨다.
또한, 제2 완충부(712)는 외체부(703)의 제2 착탈부(708) 쪽 내부에 배치되는 바, 제2 착탈부(708)가 도 11의 위치에서 파지부(705)에 의해 제2 방향(D)으로 당겨질 때 제2 방향(D)으로 인장되어 탄성 반발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2 완충부(712)도 바람직하게는 외체부(703)의 제2 착탈부(708) 쪽 내부에 배치되어 제2 착탈부(708)에 결합되는 제2 감쇠실린더(734)를 더 포함하는 바, 제2 감쇠실린더(734)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착탈부(707)가 제1 전동부(709)와 해제된 상태에서 파지부(705)가 제1 위치(ⅰ)로 복귀할 때 제2 착탈부(708)의 이동을 감쇠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713,714)는 멈춤댐퍼(7)를 고정프레임(3)의 댐퍼홈(39)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외체부(703)의 양단에 쌍을 이루어 각각 결합되는 바, 체결나사의 형태로 이루어진 실시 형태인 경우에는 외체부(703)의 양단에서 댐퍼홈(39) 벽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체결부(713,714)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멈춤댐퍼(7)의 고정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체결나사(741), 체결너트(743), 및 지지림(745)으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나사(74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체부(703)의 양단에서 외체부(703)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바, 말단이 외체부(703) 하단면에서 돌출되어 멈춤댐퍼(7)가 설치되는 고정면에 지지된다. 이를 위해, 외체부(703)는 상하측벽에 체결나사(741)를 통과시키는 통공(747,748)이 관통된다.
상기 체결너트(743)는 외체부(703) 내에 장착되어, 체결나사(741)와 나사 체결되는 바, 외체부(703) 내벽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어, 체결나사(74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지 못하고 체결나사(741)와 상대 회전을 일으킴으로써, 회전하는 체결나사(741)가 도 7 (a)와 같이 화살표(m) 방향으로 돌아 올라가 풀리거나 도 7 (b)와 같이 화살표(n) 방향으로 돌아 내려가 잠기게 한다. 특히, 체결너트(743)는 체결나사(741)가 돌아 내려갈 때 체결나사(741)를 따라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바, 도 7 (b)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림(745)에 의해 상승이 구속된 때, 체결너트(743)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이때, 체결나사(741)는 외체부(703) 하단의 통공(748)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댐퍼홈(39) 바닥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림(745)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체결너트(743)의 상승을 구속하도록 외체부(703) 내에 외체부(703) 상하벽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바,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너트(743)의 상승을 구속한 때 체결나사(741)가 외체부(703) 밖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체결나사(741)의 말단이 고정면을 가압하는 반력에 의해 외체부(703)를 고정프레임(3)의 지지턱(41)에 밀착시킴으로써 외체부(703)를 고정면 위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지지림(745) 아래의 보조림(746)은 도 7 (a)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너트(743)가 체결나사(741)에 체결된 상태로 자중에 의해 외체부(703) 아래쪽으로 쳐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문의 완충구조(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완충구조(1)에 의하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3)에 의해 문틀(F)의 상단 모서리 위쪽에 안내레일(37,38)이 배치되는 바, 이 안내레일(37,38)을 통해 문틀(F) 전면 위로 내외측 문짝(Di,Do)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내측 문짝(Di)은 이동프레임(5)의 내측 롤러(57)를 둘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3)과 충분히 이격되며, 내측면 상단에 장착된 외측 롤러(58)을 통해 외측 안내레일(38) 상에 설치되므로, 문틀(F)의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외측 문짝(Do)은 내측 문짝(Di)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이동프레임(5)을 통해 안내레일(37,38) 상에 지지되는 바, 제2 절곡부(53)의 내측면에 장착된 내측 롤러(57)를 통해 내측 안내레일(37) 상에 설치되므로, 내측 문짝(Di)의 앞쪽에서 문틀(F)의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고정프레임(3)의 댐퍼홈(39)에 멈춤댐퍼(7)가 삽입, 장착되어 있고, 제1 위치(ⅰ)에서 멈춤댐퍼(7)의 파지부(705)와 대응하는 이동프레임(5) 제2 절곡부(53) 내측면에 스토퍼(S)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멈춤댐퍼(7)는 스토퍼(S)와의 착탈을 통해 외측 문짝(Do)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멈춤댐퍼(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체결부(713,714)를 통해 댐퍼홈(39) 내에 고정된다. 즉, 체결부(713,714)에 의하면, 도 7 (a)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나사(741)가 반시계방향(m)으로 회전하여 위로 올라온 상태에서 외체부(703)를 댐퍼홈(39)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나서, 도 7 (b)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나사(741)를 시계방향(n)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너트(743)는 외체부(703) 내벽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어, 체결나사(741)에 대해 상대 회전하면서 체결나사(741)를 따라 상승하고, 최종적으로 지지림(745)에 의해 상승이 저지되면서 지지림(745) 저면에 압착되어 체결나사(741)를 외체부(703)에 체결시킨다. 이때, 체결나사(741)는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이 통공(748)을 통해 외체부(703) 아래로 돌출되어 댐퍼홈(39) 바닥을 가압함으로써, 그 반력에 의해 외체부(703)가 지지턱(41)에 밀착되어 댐퍼홈(39) 내에 고정되도록 한다. 반대로 멈춤댐퍼(7)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 (a)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나사(74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위로 올림으로써 외체부(703) 안으로 들여보내 댐퍼홈(39)에 대한 압박을 해제하면 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문짝(Do)과 함께 멈춤댐퍼(7)가 이동하여 제1 위치(ⅰ)에 오려면, 멈춤댐퍼(7)는 도 10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즉, 화살표(A) 방향으로 외력에 의해 이동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파지부(705)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스토퍼(S)와 접촉하는 순간, 파지편(753) 파지돌기(532)가 도 9에 은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스토퍼(S)에 의해 아래로 절곡되는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S)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죠(537)에 끼워져 파지편(753)과 스냅식으로 결합된다. 이후부터 스토퍼(S)에 의해 우측 파지돌기(532)에 가해진 힘 즉, 외력은 그대로 파지부(705)에 전달되며, 이 힘이 제1 완충부(711)의 탄성저항과 제2 감쇠실린더(734)의 감쇠저항을 이기지 못 한 경우 파지부(705), 더 나아가 멈춤댐퍼(7)와 외측 문짝(Do)도 동시에 정지한다.
반대로, 우측 파지돌기(532)에 가해진 외력이 위 제1 완충부(711)와 제2 감쇠실린더(734)의 저항을 압도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돌기(532)에 스토퍼(S)가 물린 파지부(705)는 위 저항을 이긴 채, 외측 문짝(Do)와 함께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는 외체부(703)에 대해 제1 방향(B)으로 상대 이동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파지부(705)는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착탈부(708)에 접근하기 시작하며, 파지부(705) 및 제2 전동부(710)에 의해 우측으로 가압된 제2 착탈부(708)는 더 이상 우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제2 전동부(710)의 슬라이더돌기(763)에 의해 가압된 회동편(773)은 회동돌기(777)가 회동구(725)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블럭몸체(771)에 대해 화살표(7E)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회동돌기(777)는 회동구(725)를 따라 이동하므로 회동편(773)의 피벗 회전을 억제하지 못한다.
외력이 위 탄성 및 감쇠저항을 압도하므로, 파지부(705)는 도 13의 위치를 거쳐 도 14에 도시된 제2 위치(ⅱ)까지 계속해서 이동하는데, 이 제2 위치(ⅱ)에 이르면, 걸림돌기(533)가 이탈구(721)를 따라 아래로 이동 가능해 지므로, 파지편(753)는 화살표(C) 방향으로 피벗 회전한다. 뒤이어,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편(753)은 완전히 개방되고, 따라서, 스토퍼(S)가 파지부(705)와 해제되면서 외측 문짝(Do)은 도 15와 같이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위치(ⅰ)를 벗어나 문틀의 좌측 어딘가에 정지한다. 이때, 파지부(705)는 스토퍼(S)로부터 해방되었지만 파지편(753)의 걸림돌기(533)가 여전히 이탈구(721)에 걸려 있으므로 제2 위치(ⅱ)를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나, 외측 문짝(Do)에 가해진 외력이 파지부(705)를 제2 위치(ⅱ)에 이르게 할 정도로 크지 않으면, 파지부(705)는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위치(ⅰ)와 제2 위치(ⅱ) 중간 어디쯤까지만 이동했다가 제1 완충부(711)의 탄성저항과 제2 감쇠실린더(734)의 감쇠저항을 이기지 못하고 제1 위치(ⅰ)로 수렴한다. 이때, 제1 위치(ⅰ)로 수렴한다는 것은 제1 위치(ⅰ) 우측으로 이동했던 파지부(705)가 한 번에 제1 위치(ⅰ)에 정지되는 것이 아니라, 제1 위치(ⅰ) 좌우로 진동을 겪다가 정지한다는 의미이다. 이에 따라 외측 문짝(Do)은 스토퍼(S)가 설치된 위치 즉, 사용자가 외측 문짝(Do)을 위치시키고자 했던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한편, 도 11의 우측에 있던 외측 문짝(Do)를 압도적 외력에 의해 좌측으로 밀어 외측 문짝(Do)이 도 15와 같이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한 것은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외측 문짝(Do)을 잡고 좌측으로 이동시킨 것과도 동일하며, 따라서 멈춤댐퍼(7)에 의하면, 외측 문짝(Do)을 제1 위치(ⅰ)에서 좌우측 어느 쪽으로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어느 경우이든 즉, 도 11의 우측에 있던 외측 문짝(Do)를 과도한 힘으로 좌측으로 밀었건 또는 외측 문짝(Do)를 계속 잡고 이동시켰건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스토퍼(S)와 해제되어 제1 위치(ⅰ)를 벗어나 좌측으로 이동한 외측 문짝(Do)은 재차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우측으로 경사져 있던 파지편(753)의 좌측 파지돌기(532)가 스토퍼(S)에 걸리는 순간 파지편(753)은 도 15에서 반시계방향(F)으로 피벗 회전하여 파지죠(537)에 스토퍼(S)를 물게 되고, 동시에 걸림돌기(533)가 이탈구(721)에서 빠져나오게 되면서 파지부(705)는 제1 완충부(711)의 복원력에 의해 제1 위치(ⅰ)로 수렴한다. 이렇게 해서 외측 문짝(Do)은 사용자가 계속해서 밀거나 처음 한 차례 밀 때 과도한 힘을 가한 경우가 아니라면, 파지부(705)가 스토퍼(S)에 걸린 때 제1 및 제2 완충부(711,712) 및 제1 및 제2 감쇠실린더(733,734)에 의해 좌우 이동에 따른 충격을 충분히 완충하면서 제1 위치(ⅰ)에 정지하게 된다.
1 :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3 : 고정프레임
5 : 이동프레임 7 : 멈춤댐퍼
37, 38 : 내외측 안내레일 41 : 지지턱
59 : 댐퍼홈 55 : 제3 절곡부
57, 58 : 내외측 롤러 Di, Do : 내외측 문짝
F : 문틀 S : 스토퍼

Claims (5)

  1. 문틀(F)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문틀(F)의 상면보다 위에 내외측 안내레일(37,38)이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내측 안내레일(37)에 의해 내측 문짝(Di)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프레임(3);
    일단이 상기 외측 안내레일(38)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3) 상에 설치되고, 타단이 외측 문짝(Do)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 문짝(Do)을 상기 고정프레임(3)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프레임(5); 및
    상기 고정프레임(3) 상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5) 상에 장착된 스토퍼(S)에 결합된 때, 상기 이동프레임(5)을 통해 연결된 상기 외측 문짝(Do)의 운동을 감쇠시키는 멈춤댐퍼(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프레임(3)은 기부(31) 및 기립부(33)로 이루어지도록 절곡된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기부(31)는 상기 문틀(F) 상면에 놓여 고정되되 상기 외측 문짝(Do)을 향한 부분의 상면에 상기 내외측 안내레일(37,38)을 형성하고, 상기 기립부(33)는 상기 기부(31)로부터 위로 연장되되 상기 외측 문짝(Do)을 향해 열리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댐퍼홈(3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3)은 상기 댐퍼홈(39)의 개구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댐퍼홈(39)에 끼워진 상기 멈춤댐퍼(7)를 관통하여 장착된 체결나사(741)가 상기 멈춤댐퍼(7)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댐퍼홈(39) 바닥에 가압될 때 발생하는 반력을 지탱함으로써, 상기 멈춤댐퍼(7)를 상기 댐퍼홈(39) 내에 고정시키는 지지턱(4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5)은 상기 내측 문짝(Di) 및 상기 내측 문짝(Di)의 상단 부분에 장착된 외측 롤러(58)를 넘도록 배치되어, 상기 내측 문짝(Di)보다 외측에 있는 상기 외측 문짝(Do)이 상기 외측 롤러(58)보다 내측에 있는 내측 롤러(57)를 통해, 상기 외측 레일(38)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레일(37)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외측 문짝(Di,Do)이 상기 문틀(F)의 상단보다 위로 올라와 천장과 상기 문틀(F) 사이의 공간을 상기 내외측 문짝(Di,Do)에 의해 가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멈춤댐퍼(7)는,
    외부몸체를 이루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프레임(3)의 상기 댐퍼홈(39)에 설치되는 외체부(703);
    상기 외체부(703)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외체부(703) 밖으로 노출된 파지홀더(753)가 상기 스토퍼(S)에 걸린 때 변형되어 제1 위치(ⅰ)에서 상기 스토퍼(S)와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S)가 걸린 상태에서 상기 외측 문짝(Do)이 움직인 때 상기 스토퍼(S)가 해제되는 제2 위치(ⅱ)까지 상기 외체부(703)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파지부(705);
    상기 파지부(705)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파지부(705)가 상기 외체부(703)에 대해 제1 방향(B)으로 상대 이동할 때 상기 파지부(705)와 함께 상기 제1 방향(B)으로 이동하되, 상기 파지부(705)가 상기 외체부(703)에 대해 제2 방향(D)으로 상대 이동할 때 상기 파지부(705)로부터 분리되는 제1 착탈부(707);
    상기 파지부(705)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파지부(705)가 상기 외체부(703)에 대해 상기 제2 방향(D)으로 상대 이동할 때 상기 파지부(705)와 함께 상기 제2 방향(D)으로 이동하되, 상기 파지부(705)가 상기 외체부(703)에 대해 상기 제1 방향(B)으로 상대 이동할 때 상기 파지부(705)로부터 분리되는 제2 착탈부(708);
    상기 파지부(705)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파지부(705)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외체부(703)에 대해 상기 제1 방향(B)으로 상대 이동할 때 상기 제1 착탈부(707)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착탈부(707)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제2 방향(D)으로 상대 이동할 때 제1 착탈부(707)로부터 분리되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705)가 상기 제1 위치(ⅰ)로 복귀한 때 상기 제1 착탈부(707)와 재결합되는 제1 전동부(709);
    상기 파지부(705)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파지부(705)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외체부(703)에 대해 상기 제2 방향(D)으로 상대 이동할 때 상기 제2 착탈부(708)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착탈부(708)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제1 방향(B)으로 상대 이동할 때 상기 제2 착탈부(708)로부터 분리되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705)가 상기 제1 위치(ⅰ)로 복귀한 때 상기 제2 착탈부(708)와 재결합되는 제2 전동부(710);
    상기 외체부(703)의 상기 제1 착탈부(707) 쪽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착탈부(707)가 상기 파지부(705)에 의해 상기 제1 방향(B)으로 당겨질 때 반대쪽으로 탄성 반발하는 제1 완충부(711);
    상기 외체부(703)의 상기 제2 착탈부(708) 쪽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착탈부(708)가 상기 파지부(705)에 의해 상기 제2 방향(D)으로 당겨질 때 반대쪽으로 탄성 반발하는 제2 완충부(712); 및
    상기 외체부(703)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3) 상에 상기 외체부(703)를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체결부(713,7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KR1020170121148A 2017-08-21 2017-09-20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KR101852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759 2017-08-21
KR20170105759 2017-08-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347A Division KR101987075B1 (ko) 2018-01-16 2018-01-16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100B1 true KR101852100B1 (ko) 2018-04-27

Family

ID=6208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148A KR101852100B1 (ko) 2017-08-21 2017-09-20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1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9460A (zh) * 2018-09-28 2018-12-11 广东东泰五金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家具侧滑门的中置定位结构
CN109882037A (zh) * 2019-03-10 2019-06-14 广东东泰五金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家具侧滑门的中置开闭定位结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851U (ko) * 1999-03-30 2000-10-25 안중식 도어용 상,하부레일
KR101070300B1 (ko) * 2011-06-17 2011-10-07 (주)메탈프린스 붙박이장의 외측도어용 롤러 이탈 방지장치
KR101186377B1 (ko) * 2011-11-23 2012-09-26 신정철 슬라이드 도어의 자동 열림 및 닫힘 장치
KR20160054923A (ko) * 2014-11-07 2016-05-17 구자호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
KR101632846B1 (ko) * 2015-12-03 2016-06-22 (주)메탈프린스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
KR20170065431A (ko) * 2016-06-13 2017-06-13 (주)메탈프린스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851U (ko) * 1999-03-30 2000-10-25 안중식 도어용 상,하부레일
KR101070300B1 (ko) * 2011-06-17 2011-10-07 (주)메탈프린스 붙박이장의 외측도어용 롤러 이탈 방지장치
KR101186377B1 (ko) * 2011-11-23 2012-09-26 신정철 슬라이드 도어의 자동 열림 및 닫힘 장치
KR20160054923A (ko) * 2014-11-07 2016-05-17 구자호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
KR101632846B1 (ko) * 2015-12-03 2016-06-22 (주)메탈프린스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
KR20170065431A (ko) * 2016-06-13 2017-06-13 (주)메탈프린스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9460A (zh) * 2018-09-28 2018-12-11 广东东泰五金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家具侧滑门的中置定位结构
CN109882037A (zh) * 2019-03-10 2019-06-14 广东东泰五金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家具侧滑门的中置开闭定位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846B1 (ko)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
KR20170065431A (ko)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
US10306983B2 (en) Slide rail mechanism
KR101852100B1 (ko)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KR100937158B1 (ko) 도어의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
US6435636B1 (en) Drawer slide cushion end stop bumper construction
KR101186377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자동 열림 및 닫힘 장치
AU2009256605B2 (en) Sliding door
US8469468B2 (en) Slide assembly with buffering device
US20100123378A1 (en) Self-closing rail system
KR101452688B1 (ko)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ES2556758T3 (es) Conjunto de rodillo con amortiguador
KR101030879B1 (ko)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
RU2013127174A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JP2007537378A5 (ko)
KR101987075B1 (ko)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CA2557108A1 (en) Two bar stays
KR101987070B1 (ko)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KR101855111B1 (ko) 미닫이문의 완충구조
CN110424847B (zh) 一种缓冲铰链快速拆装结构
KR101852075B1 (ko) 미닫이문 멈춤 댐퍼장치
KR20190020602A (ko) 미닫이문 멈춤 댐퍼장치
KR102250157B1 (ko) 도어힌지장치
CN216875634U (zh) 一种阻尼缓冲装置
KR200455096Y1 (ko) 폴딩도어용 롤러유닛 결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