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8766A -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8766A
KR20100108766A KR1020090026961A KR20090026961A KR20100108766A KR 20100108766 A KR20100108766 A KR 20100108766A KR 1020090026961 A KR1020090026961 A KR 1020090026961A KR 20090026961 A KR20090026961 A KR 20090026961A KR 20100108766 A KR20100108766 A KR 20100108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ail
hole
roll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152B1 (ko
Inventor
조신복
Original Assignee
조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신복 filed Critical 조신복
Priority to KR1020090026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152B1/ko
Publication of KR20100108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13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2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은, 상·하 간격을 두고 수평 배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레일이 형성된 수평 프레임 및 이들 수평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사각틀을 형성하는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창문틀과; 상기 창문틀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게 롤러를 구비하고 중앙부에는 창이 구비되는 창문으로 이루어진 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롤러가 구름 접촉되는 레일부 및 이 레일부의 양측에 요입 형성되는 레일홈 그리고 상기 레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레일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창문은 상·하면 중 어느 한쪽 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레일을 향하는 일측이 개방되고 창문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측에 조절나사 구비되는 브라켓트와, 이 브라켓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조절나사와 나사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롤러를 구비한 롤러블럭 및 이 롤러블럭의 일측에 구비되어 레일홈에 삽입되는 레일판을 승강시키는 레일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시공전에는 창문에 구비된 롤러가 상승된 상태이므로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시공작업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시공후에는 하강된 롤러의 일측에 구비된 레일판이 하강하여 창틀 레일홈에 슬라이드 끼움 구비되므로 창문과 창문틀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창문의 흔들림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방풍 및 단열·차폐성을 높일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소 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레일부에 금속재로 된 레일 가이더가 부가설치됨에 따라 미관 향상과 더불어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측에 위치하는 창틀의 일부를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색상 또는 재질로 이루어진 마감몰딩으로 교체 가능하므로 이를 통한 제품의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창호, 창틀, 롤러, 방음, 방풍, 단열

Description

창호 시스템{Composite Windows And Doors System}
본 발명은 주택이나 아파트 빌딩과 같은 건축 구조물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제품의 고급화를 도모하면서 설치 시공시 간소한 조작만으로 롤러와 가이드를 하강시켜 방음·방풍 및 단열·차폐성을 높일 수 있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 시스템은 집합 또는 단독 주택이나 사무실, 학교 및 공공기관 등과 같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어 채광 및 환기 또는 출입과 공간분할을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창호 시스템은 창문이나 문 또는 벽면 전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용도에 따라 채광이나 환기 또는 출입문 및 공간구획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그 재질에 따라 목재, 압출 성형이 가능한 금속재, 사출 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대량 양산이 가능하면서 시공성이 우수한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창호 시스템은 창문을 창틀에 설치할 때, 창틀의 상부홈으로 창문을 밀어 올려서 창틀 하부레일에 올려놓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즉, 창호 시스템의 일부는 상부에 호차를 사용하여 결합하기도 하지만, 이는 창문 상부가 완전하게 창틀 레일과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창문의 일부만을 고착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결합 및 분리방식에서는 창틀과 창문의 탈착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창문과 창틀의 이격이 잘 발생하고 창문을 지탱하는 힘의 중심이 하부에 몰려있어서, 창문의 이탈로 인한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창문과 창틀의 이격으로 인해 방음·방풍 및 단열·차폐성이 떨어져 이로 인한 소비자의 불만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레일부가 압출 성형시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창문의 잦은 이동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내벽 측에 위치한 창틀의 부분이 단조로워 미관 향상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에 구비되는 롤러를 선택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하여 창문이 창틀에 조립된 상태에서 롤러를 하강시켜 조립이 완료되게 함으로써 창문과 창틀의 유격을 최소화하고, 또한 레일부의 양측에 형성된 레일홈에 가이드가 삽입 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안정된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일부에 금속재로 된 레일커버를 부가 설치하여 미관 향상과 함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벽에 위치하는 창틀의 일측에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색상 또는 재질로 이루어진 마감몰딩을 구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상·하 간격을 두고 수평 배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레일이 형성된 수평 프레임 및 이들 수평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사각틀을 형성하는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창문틀과; 상기 창문틀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게 롤러를 구비하고 중앙부에는 창이 구비되는 창문으로 이루어진 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롤러가 구름 접촉되는 레일부 및 이 레일부의 양측에 요입 형성되는 레일홈 그리고 상기 레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레일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창문은 상·하면 중 어느 한쪽 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레일을 향하는 일측이 개방되고 창문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측에 조절나사 구비되는 브라켓트와, 이 브라켓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조절나사와 나사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롤러를 구비한 롤러블럭 및 이 롤러블럭의 일측에 구비되어 레일홈에 삽입되는 레일판을 승강시키는 레일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브라켓트는 양 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수직홀 및 이 제1수직홀의 일측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2수직홀 그리고 이 제2수직홀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관통구멍과; 상기 브라켓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롤러블럭과 레일블럭의 양측면에 각각 사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경사홀 및 제2경사홀과; 상기 레일블럭의 내부에 구비되어 승강되는 부재로 양측에 형성되는 판구멍 및 이 판구멍의 일측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판수직홀이 형성된 레일판과; 상기 롤러의 중심에 형성된 축홀, 제1경사홀, 제1수직홀을 일체로 삽입 통과하는 제1축핀과; 상기 판구멍, 제2경사홀 제2수직홀을 일체로 삽입 통과하는 제2축핀 및 상기 판수직홀, 관통구멍을 일체로 삽입 통과하는 제3축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브라켓트는 상기 창문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측에 상·하 간격을 두고 조절나사가 삽입 통과하는 나사구 멍과; 상기 롤러블럭과 레일블럭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나사가 각각 나사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된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창문틀을 구성하는 수평 프레임 또는 수직 프레임은 외벽 또는 내벽으로 위치하는 일측면에 상호 끼움구조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몰딩이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창문틀은 일측면에 상·하측으로 돌출되는 상·하부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몰딩은 상기 상·하부걸림턱에 끼움되는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시공전에는 창문에 구비된 롤러가 상승된 상 태이므로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시공작업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시공후에는 하강된 롤러의 일측에 구비된 레일판이 하강하여 창틀 레일홈에 슬라이드 끼움 구비되므로 창문과 창문틀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창문의 흔들림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방풍 및 단열·차폐성을 높일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레일부에 금속재로 된 레일 가이더가 부가설치됨에 따라 미관 향상과 더불어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측에 위치하는 창틀의 일부를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색상 또는 재질로 이루어진 마감몰딩으로 교체 가능하므로 이를 통한 제품의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요부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에서 브라켓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 구성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끝으로,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롤러블럭과 레일블럭의 승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럭과 레일블럭이 상승 이동된 상태 즉, 창문을 창틀에 시공하기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롤러블럭을 하강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레일블럭을 하강 이동시킨 상태를 도면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문틀(10)과 창문(20)으로 이루어진 창호 시스템에 적용 실시된다.
상기 창문틀(10)은 상·하 간격을 두고 수평 배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레일(12)이 형성된 수평 프레임(11) 및 이들 한 쌍의 수평 프레임(11)의 양측에서 각각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창문(20)은 상기 창문틀(10)에 설치되어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름요소인 롤러(r)를 구비하고 그 중앙부에는 유리 또는 투명소재로 된 창(w)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창문틀(10)과 창문(20)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 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창문틀(10)과 창문(20)으로 이루어진 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창문틀(10)과 창문(20)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유격으로 인한 창문(20)의 흔들림이니 소음발생을 억제하고, 아울러 방음·방풍 및 단열·차폐성을 높일 수 있도록 레일요소와 롤러블럭(31)과 레일블럭(33)을 승강시키는 요소를 부가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레일요소를 설명하면, 상기 레일(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롤러(r)가 구름 접촉되는 레일부(12a)가 돌출 형성된다. 이 레일부(12a)의 양측으로는 요입된 레일홈(12b)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12a)와 레일홈(12b)에 접촉되도록 굽힘 성형된 레일커버(12c)가 끼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레일커버(12c)는 양산성과 내마모성 등을 고려하여 금속재로 성형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판재를 굽힘 성형한 것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창문(20)은 상·하면 중 어느 한쪽면에 브라켓트(30)가 구비된다. 이때의 상기 브라켓트(3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며 레일을 향하는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하면이 개방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창문(2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창문(20)은 상부 양측면이 연장되어 플랜지(미부호)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에 고정스크류(30s)가 삽입 통과하는 체결홀(30h)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브라켓트(30)는 상기 고정스크류(30s)가 체결홀(30h)을 통과하여 창문(20)의 수평 프레임(21)에 나사체결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트(30)는 상기 창문(20)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그 전·후방측에 조절나사(s1,s2)가 나사 체결된다.
이때의 상기 조절나사(s1,s2)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나사부재로 그 일단은 브라켓트(30)에 형성된 나사구멍(30a,30b)을 각각 통과하고, 이 나사구멍(30a,30b)을 통과한 끝단부가 롤러블럭(31)과 레일블럭(33)에 각각 나사체결된다. 이러한 조절나사(s1,s2)는 도 3에서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하 간격을 두고 창문(20)의 수직 프레임(23)에 형성된 구멍(미부호)을 통해 공구에 의해 정·역 회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절나사(s1,s2)는 정·역 방향으로 회전 조작력을 받는 것에 의해 그 끝단부에 나사체결된 각각의 롤러블럭(31)과 레일블럭(33)을 승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트(30)는 창문(2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후술할 롤러블럭(31)을 승강 안내하기 위한 요소인 제1수직홀(30c)이 형성되고, 이 제1수직홀(30c)의 일측으로는 간격을 두고 후술할 레일블럭(33)을 승강 안내하기 위한 요소인 제2수직홀(30d)이 형성되며, 이 제2수직홀(30d)의 일측으로는 레일블럭(33)의 승강을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한 부가요소인 관통구멍(30e)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브라켓트(30)는 그 내부에 상기 조절나사(s1,s2)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승강되는 요소인 롤러블럭(31)과 레일블럭(33)이 설치된다.
상기 롤러블럭(31)은 상기 브라켓트(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나사(s1)와 나사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롤러(r)를 승강시키는 요소로, 이때의 상기 롤러(r)는 상기 레일(12)에 구름 접촉되는 통상의 바퀴가 사용된다.
상기 레일블럭(33)은 상기 브라켓트(30)의 내부 설치되어 상기 조절나사(s2)와 나사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레일홈(12b)에 삽입되는 레일판(35)을 승강시키는 요소로, 상기 롤러블럭(3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조절나사(s2)는 상기 롤러블럭(31)과 위치 간섭되지 않게 연장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롤러블럭(31)과 레일블럭(33)은 각 일측에 상기 조절나사(s1,s2)가 각각 나사체결되는 체결구멍(h1,h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롤러블럭(31)과 레일블럭(33)은 양측면에 각각 사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경사홀(31s)과 제2경사홀(33s)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홀(31s)은 제1수직홀(30c)에 대응되는 요소이고, 상기 제2경사홀(33s)은 제2수직홀(30d)에 대응되는 요소이다.
또한, 상기 레일블럭(33)의 내부에는 양단이 ′∩′ 자형으로 굽힘된 레일판(35)이 구비되며, 이 레일판(35)의 양측으로는 판구멍(35a)이 관통 형성되고 그 판구멍(35a)의 일측으로는 수직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수직홀(35b)이 형성된다. 이때의 상기 판구멍(35a)은 상기 제2경사홀(33s)에 대응되는 요소이고, 상기 판수직홀(35b)은 상기 브라켓트(30)에 형성된 관통구멍(30e)에 대응되는 요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롤러블럭(31)과 레일블럭(33)의 결합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롤러블럭(31)은 롤러(r)의 중심에 형성된 축홀(rs)과, 상기 롤러블럭(31)에 형성된 제1경사홀(31s) 그리고 상기 브라켓트(30)에 형성된 제1수직홀(30c)은 제1축핀(p1)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 구성에 의해 상기 롤러(r)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롤러(r)가 설치된 롤러블럭(31)은 조절나사(s1)의 회전에 연동하여 수평 이동함에 따라 롤러(r)를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레일블럭(33)은 레일판(35)에 형성된 판구멍(35a)과, 상기 레일블럭(33)에 형성된 제2경사홀(33s) 그리고 브라켓트(30)에 형성된 제2수직홀(30d)은 제2축핀(p2)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판(35)에 형성된 판수직홀(35b)과 상기 브라켓트(30)에 형성된 관통구멍(30e)은 제3축핀(p3)에 의해 체결된다. 이러한 결합 구성에 의해 상기 레일블럭(33)은 조절나사(s2)의 회전에 연동하여 수평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레일판(35)이 상승 또는 하강 이동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은, 상기 창문틀(10)을 구성하는 수평 프레임(11) 또는 수직 프레임(13)은 외벽 또는 내벽으로 위치하는 일측면에 상호 끼움구조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몰딩(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마감몰딩(40)은 창문틀(10)의 내벽이나 외벽쪽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 되는 요소로,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 형태 그리고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몰딩(40)은 상기 창문틀(10)의 일측면 상·하측에 돌출 형성된 상·하부걸림턱(11j,11k)에 끼워 맞춤될 수 있도록 상기 마감몰딩(40)은 상기 상·하부걸림턱(11j,11k)에 끼움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끼움부(4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에서 롤러(r)와 레일판(35)의 승강 동작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롤러(r)와 레일판(35)이 상승 이동되어 상기 브라켓트(30) 내에 숨겨진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의 창문(20)은 롤러(r)나 레일판(35)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보관이나 운반시 이들 부품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창문틀(10)에 시공시에도 작업자가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선정할 수 있다.
도 7은 롤러(r)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조절나사(s1)를 일방향 회전시키면 이에 나사체결된 롤러블럭(31)이 도 6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롤러(r)는 제1축핀(p1)에 의해 상기 브라켓트(30)의 제1수직홀(30c)에 지지된 상태이면서 동시에 상기 제1경사홀(31s)을 삽입 통과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수직홀(30c)이 형성된 롤러블럭(31)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축핀(p1)이 제1수직홀(30c)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롤러(r)가 브라켓트(30) 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레일커버(12c)에 접촉된다.
도 8은 롤러(r)가 하강된 상태에서 레일판(35)을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조절나사(s2)를 일방향 회전시키면 이에 나사 체결된 레일블럭(33)이 도 6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레일판(35)은 제2축핀(p2)과 제3축핀(p3)에 의해 상기 브라켓트(30)의 제2수직홀(30d)과 관통구멍(30e)에 각각 지지되고, 또한 상기 제2축핀(p2)은 제2경사홀(33s)을 삽입 통과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블럭(33)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 레일판(35)의 판구멍(35a)에 삽입된 제2축핀(p2)은 제2수직홀(30d)과 제2경사홀(33s)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때 제3축핀(p3)은 브라켓트(30)의 관통구멍(30e)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판수직홀(35b)을 형성한 레일판(35)이 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요부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에서 브라켓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구성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롤러블럭과 레일블럭의 승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창문틀
20 : 창문
30 : 브라켓트
31 : 롤러블럭
33 : 레일블럭

Claims (5)

  1. 상·하 간격을 두고 수평 배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레일이 형성된 수평 프레임(11) 및 이들 수평 프레임(1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사각틀을 형성하는 수직 프레임(13)으로 이루어진 창문틀(10)과; 상기 창문틀(10)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게 롤러(r)를 구비하고 중앙부에는 창(w)이 구비되는 창문(20)으로 이루어진 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일(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롤러(r)가 구름 접촉되는 레일부(12a) 및 이 레일부(12a)의 양측에 요입 형성되는 레일홈(12b) 그리고 상기 레일부(12a)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레일커버(12c)가 구비되고,
    상기 창문(20)은 상·하면 중 어느 한쪽 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레일을 향하는 일측이 개방되고 창문(20)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측에 조절나사(s1,s2) 구비되는 브라켓트(30)와, 이 브라켓트(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조절나사(s1,s2)와 나사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롤러(r)를 구비한 롤러블럭(31) 및 이 롤러블럭(31)의 일측에 구비되어 레일홈(12b)에 삽입되는 레일판(35)을 승강시키는 레일블럭(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30)는,
    양 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수직홀(30c) 및 이 제1수직홀(30c)의 일측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2수직홀(30d) 그리고 이 제2수직홀(30d)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관통구멍(30e)과;
    상기 브라켓트(30)의 내부에 구비되는 롤러블럭(31)과 레일블럭(33)의 양측면에 각각 사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경사홀(31s) 및 제2경사홀(33s)과;
    상기 레일블럭(33)의 내부에 구비되어 승강되는 부재로 양측에 형성되는 판구멍(35a) 및 이 판구멍(35a)의 일측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판수직홀(35b)이 형성된 레일판(35)과;
    상기 롤러(r)의 중심에 형성된 축홀(rs), 제1경사홀(31s), 제1수직홀(30c)을 일체로 삽입 통과하는 제1축핀(p1)과;
    상기 판구멍(35a), 제2경사홀(33s), 제2수직홀(30d)을 일체로 삽입 통과하는 제2축핀(p2) 및 상기 판수직홀(35b), 관통구멍(30e)을 일체로 삽입 통과하는 제3축핀(p3);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30)는
    상기 창문(2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측에 상·하 간격을 두고 조절나사(s1,s2)가 삽입 통과하는 나사구멍(30a,30b)과;
    상기 롤러블럭(31)과 레일블럭(33)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 절나사(s1,s2)가 각각 나사체결되는 체결구멍(h1,h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10)을 구성하는 수평 프레임(11) 또는 수직 프레임(13)은 외벽 또는 내벽으로 위치하는 일측면에 상호 끼움구조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몰딩(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10)은 일측면에 상·하측으로 돌출되는 상·하부걸림턱(11j,11k)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몰딩(40)은 상기 상·하부걸림턱(11j,11k)에 끼움되는 끼움부(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KR1020090026961A 2009-03-30 2009-03-30 창호 시스템 KR101103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961A KR101103152B1 (ko) 2009-03-30 2009-03-30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961A KR101103152B1 (ko) 2009-03-30 2009-03-30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766A true KR20100108766A (ko) 2010-10-08
KR101103152B1 KR101103152B1 (ko) 2012-01-04

Family

ID=43129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961A KR101103152B1 (ko) 2009-03-30 2009-03-30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1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413B1 (ko) * 2011-01-11 2013-04-30 김순석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의 도어 롤러구조
KR200474799Y1 (ko) * 2012-08-01 2014-10-15 주식회사 케이씨씨 미서기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9269A (ja) * 1995-10-25 1997-05-06 Daiei Kenzai Kk 建 具
KR200216487Y1 (ko) * 2000-07-29 2001-03-15 주식회사엘지화학 하부레일 미돌출형 미세기 문
KR100378096B1 (ko) * 2000-08-24 2003-03-29 임채덕 중량물의 자동 주행장치
KR20020063773A (ko) * 2001-01-30 2002-08-05 고청운 다기능 사은권식 e-business 청첩장
KR200263773Y1 (ko) * 2001-11-02 2002-0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의 외관 및 성능 향상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413B1 (ko) * 2011-01-11 2013-04-30 김순석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의 도어 롤러구조
KR200474799Y1 (ko) * 2012-08-01 2014-10-15 주식회사 케이씨씨 미서기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152B1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0664B2 (ja) 窓戸設備
KR101520149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US4411111A (en) Window sash assembly
KR101103152B1 (ko) 창호 시스템
KR102043814B1 (ko) 플랫 윈도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폴딩 도어
CN201896539U (zh) 可加装窗帘的节能双层组合窗
KR20200001929A (ko) 외부 비노출형 레일 창호
KR101794259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CN104373009A (zh) 一种上推式电动门窗
KR20220063487A (ko) 창호
CN209959080U (zh) 一种推拉门窗下滑型材
JP2005232952A (ja) サッシ窓
KR20130005858U (ko) 레일에 밀착되는 창의 구조
KR20130098123A (ko) 바닥 은폐형 이중 안전창
KR100709042B1 (ko) 역결합 방식의 슬라이딩 창호구조
KR100599157B1 (ko)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
JP3070818U (ja) ドア一体型の欄間構造
CN216690808U (zh) 一种节能型铝塑共挤型材窗户
JP2920760B1 (ja) サッシ窓の取替え方法
KR102081329B1 (ko)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KR20090007358U (ko) 강화유리도어용 하부프레임
KR20130045617A (ko) 창호용 고무가스켓 가이드구조
CN101555766B (zh) 地轨式移门结构
KR20190012374A (ko) 레일 미노출 구조를 갖는 창호
CN206128994U (zh) 铝合金推拉窗带纱窗纵向节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