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329B1 -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329B1
KR102081329B1 KR1020190103616A KR20190103616A KR102081329B1 KR 102081329 B1 KR102081329 B1 KR 102081329B1 KR 1020190103616 A KR1020190103616 A KR 1020190103616A KR 20190103616 A KR20190103616 A KR 20190103616A KR 102081329 B1 KR102081329 B1 KR 102081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rail
cov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순
Original Assignee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3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52Frames; Posts
    • E05Y2800/353Frames; Posts fixed
    • E05Y2800/356Frames; Posts fixed horizontal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창틀프레임에 커버를 결합하여 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하므로 베란다와 거실 간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출입문의 폭을 슬림화하여 제조비용 절감 및 무게를 경량화하며, 상부커버의 하부에 안내프레임을 고정하여 상부호차를 안정적으로 안내하므로 출입문의 흔들림 방지 및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는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folding door structure used with living room window}
본 발명은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창틀프레임에 커버를 결합하여 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하므로 베란다와 거실 간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출입문의 폭을 슬림화하여 제조비용 절감 및 무게를 경량화하며, 상부커버의 하부에 안내프레임을 고정하여 상부호차를 안정적으로 안내하므로 출입문의 흔들림 방지 및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는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실내는 여러 개의 방과 거실 및 베란다 등이 분리되어 각각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거실과 베란다 사이에는 거실창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거실과 베란다의 경계부분에는 바닥면과 측면 및 천정면에 걸쳐 창틀프레임이 시공되어 있으며, 상기 창틀프레임에는 조망권과 일조권 등을 높여주기 위하여 크게 제작되는 고정창과 베란다 출입을 위한 슬라이드창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거실창은 베란다를 출입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드창을 개방하여 이동하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고 슬라이드창이 이동된 부분만 개방되므로 개방면적이 협소하다.
또한, 거실창으로 인해 거실과 베란다를 각각 분리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시각적으로 답답함을 느낄 수 있으며, 실내 공간을 넓게 활용하지 못하므로 공간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0-1751470호로 중문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및 시공방법이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된 발명은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개폐문이 이동안내부의 안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슬라이드되면서 실내의 출입공간을 개방 및 폐쇄하게 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선 등록된 발명은 고정프레임의 폭이 창틀프레임의 레일 폭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거실과 베란다 사이에 설치된 기존의 창틀프레임에 상기 고정프레임을 작용할 경우, 개폐문이 고정된 고정프레임을 창틀프레임의 상부에 안착시키면서 결합해야 하므로 조립성이 현저하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창틀프레임과 고정프레임과의 결합력이 취약하여 장시간 사용시 고정프레임의 변형 및 소음이 발생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떨어트리는 단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고정프레임이 창틀프레임에 안착되면서 결합됨으로 인해 거실과 베란다 사이에 걸림턱이 존재하게 되므로 거실과 베란다 공간을 왕래시 걸림턱이 걸려 넘어지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으며, 거실 바닥과 베란다 바닥의 높이가 동일할 경우, 청소기와 같이 바퀴가 있는 기기 사용시 이동이 원활하지 못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수반하는 걸림턱을 없애기 위해서는 기존의 창틀프레임을 철거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을 시공해야 하나, 시공비용이 상승할 뿐 아니라 시공기간 동안 거주자의 생활에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751470호(2017.06.21. 등록)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의 창틀프레임을 철거하지 않고 유지하면서 상기 창틀프레임에 커버를 결합하여 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하므로 베란다와 거실 간의 이동이 용이한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의 다른 목적은 출입문의 폭을 슬림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무게를 경량화하는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의 다른 목적은 상부커버의 저면에 안내프레임을 고정하여 출입문의 이동시 상부호차를 안정적으로 안내하므로 출입문의 흔들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는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는, 베란다와 거실의 경계부분에 설치되는 창틀프레임;
상기 창틀프레임 내측면의 네 변에 고정되어 창틀프레임의 레일을 폐쇄하면서 걸림턱을 없애 베란다와 거실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커버;
상기 커버 중 상부에 고정된 상부커버의 저면 중앙에 고정되어 상부호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프레임;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베란다와 거실 공간을 분리하도록 연속 설치되는 출입문;
상기 출입문과 출입문 사이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출입문을 회전 가능하게 개폐시키는 경첩부재;
상기 경첩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어 안내프레임과 커버를 따라 이동하는 상,하부호차;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출입문을 회전시키는 손잡이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상부 저면에 결합되어 창틀프레임의 레일을 폐쇄하면서 안내프레임이 고정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상부커버;
상기 창틀프레임의 하부 상면에 고정되어 창틀프레임의 레일을 폐쇄하면서 하부호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커버;
상기 창틀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는 측면커버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레일을 폐쇄하도록 결합되어 스크류로 고정되는 폐쇄판;
상기 폐쇄판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부호차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폐쇄판의 저면에 형성되어 레일에 안착되는 안착홈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폐쇄판의 폭방향 양측 단부는 베란다와 거실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첩부재는, 상기 출입문과 출입문 사이에 결합되는 경첩몸체;
상기 경첩몸체에 형성되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어 출입문이 각각 회전되게 하는 결합편;
상기 경첩몸체의 상,하부에 돌출되어 상,하부호차가 결합되는 결합돌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에 의하면, 기존의 창틀프레임을 철거하지 않고 유지하면서 상기 창틀프레임에 커버를 결합하여 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하므로 바퀴가 달린 이동수단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어린이들이 베란다와 거실공간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에 의하면, 출입문의 폭을 슬림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무게를 경량화하므로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에 의하면, 상부커버의 저면에 안내프레임을 고정하여 출입문의 이동시 상부호차를 안정적으로 안내하므로 출입문의 흔들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출입문과 경첩부재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창틀프레임에 커버가 고정된 상태에서 안착공간에 출입문이 결합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출입문과 출입문 사이에 경첩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고,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프레임(100), 커버(200), 안내프레임(300), 출입문(400), 경첩부재(500), 상,하부호차(600)(600')로 구성된다.
공동주택의 실내는 기본적으로 거실과 베란다가 분리되어 있으며, 분리된 거실과 베란다의 경계부분에는 거실창이 시공된다.
상기와 같은 거실창이 좌,우로 슬라이드되어 베란다와 거실 공간을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해서는 실내의 천정 및 바닥면과 측면에 걸쳐 창틀프레임(100)이 시공되어야 한다.
상기 창틀프레임(100)은 창틀이 결합되어 좌,우로 슬라이도되도록 다수의 레일(110)이 형성되며, 여기서는 상기 창틀프레임(100)에 출입문(400)을 설치하기 위해 기존의 창틀을 모두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공된 창틀프레임(100)은 내측으로 골이 형성되면서 일정 간격으로 레일(11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거실에서 베란나 측으로 바퀴가 달린 이동수단이 이동할 경우, 걸림턱에 걸려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게 되며, 어린이들이 걸림턱에 걸려 넘어질 수도 있다.
상기 커버(200)는 창틀프레임(100) 내측면의 네 변에 고정되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커버(200)는 상부커버(210), 하부커버(220), 측면커버(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커버(210)는 창틀프레임(100)의 상부 저면에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안내프레임(300)이 고정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수용공간(212)이 형성되어 상부커버(210)가 레일(110)과 레일(110) 사이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면서 레일(110)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수용공간(212)은 레일(110)과 레일(110) 사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출입문(400)의 폭도 이와 대응하도록 슬림화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210)는 창틀프레임(100)의 레일(110)과 밀착되는 부분에 안착홈(213)이 형성되어 상부커버(210)의 변형 및 뒤틀림을 방지하면서 창틀프레임(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하부커버(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프레임(100)의 하부 상면에 결합되어 레일(110)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하부커버(220)는 레일(110)과 레일(110) 사이에 결합되면서 레일(110)의 상면이 안착되어 스크류를 통해 창틀프레임(100)에 고정되며, 레일(1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시키는 폐쇄판(221), 상기 폐쇄판(221)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부호차(600')가 안착되는 안착공간(222)이 형성된다.
상기 폐쇄판(221)의 폭방향 양측 단부는 베란다와 거실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걸림턱을 없애므로 바퀴가 달린 이동수단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베란다와 거실공간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착공간(222)은 레일(110)과 레일(110) 사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출입문(400)의 폭도 이와 대응하도록 슬림화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다.
상기 폐쇄판(221)의 저면의 양측에는 레일(110)과 밀착되는 부분에 안착홈(223)이 형성되어 하부커버(220)의 변형 및 뒤틀림을 방지하면서 창틀프레임(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안내프레임(300)은 상부호차(6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열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커버(210)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수용공간(212)으로 결합되어 스크류를 통해 고정되며, 안내프레임(300) 내부에 상부호차(60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커버(210)에 안내프레임(300)을 고정함으로써, 출입문(400)의 이동시 상부호차(600)가 상부커버(210)에 직접 밀착될 때보다 출입문(400)을 더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출입문(400)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410)의 상,하부에 'ㄱ'자 형상의 연결부재(미도시)를 강제삽입하여 결합하고, 상기 수직프레임(410)의 상,하부에서 수평프레임(420)의 단부를 연결부재에 강제삽입하여 결합시키면 단위의 출입문(400)이 형성되며, 수직프레임(410)과 수평프레임(420)의 내측에는 유리가 장착된다.
상기 출입문(400)은 적어도 하나 이상 연속 설치되어 베란다와 거실 공간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첩부재(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400)과 출입문(400) 사이에 각각 결합되며, 경첩몸체(510), 결합편(520), 결합돌부(530)로 구성된다.
상기 경첩몸체(510)는 각 출입문(400)이 서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경첩몸체(510)에는 결합편(520)이 형성되어 출입문(400)의 수직프레임(410)에 형성된 결합홈(411)에 결합된다.
상기 경첩몸체(510)에는 상,하부에 일정 길이로 각각 돌출되는 결합돌부(530)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부(530) 중 상부에 형성된 결합돌부(530)는 안내프레임(30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호차(600)는 출입문(400) 상부에 결합된 경첩부재(500)의 결합돌부(530)에 스크류를 통해 결합되며, 출입문(400)의 이동시 안내프레임(300) 내측면에 밀착되어 출입문(4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하부호차(600')는 출입문(400)의 하부에 결합된 경첩부재(500)의 결합돌부(530)에 스크류를 통해 결합되며, 하부커버(220)에 형성된 안착공간(222)에 안착되어 출입문(400)의 이동시 안착공간(222)의 내측 상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출입문(4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700)는 출입문(4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 연속 설치되는 출입문(400) 중에 중간부분에 위치한 출입문(400)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는, 기존의 창틀프레임(100)을 철거하지 않고 유지하면서 상기 창틀프레임(100)에 커버(200)를 결합하여 레일(1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하므로 베란다와 거실의 이동시 장애요소를 최소화하며, 상기 커버(200)에 설치되는 출입문(400)의 폭을 슬림화하여 경량화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창틀프레임
110: 레일
200: 커버
210: 상부커버
220: 하부커버
230: 측면커버
300: 안내프레임
400: 출입문
500: 경첩부재
510: 경첩몸체
520: 결합편
530: 결합돌부
600: 상부호차
600': 하부호차
700: 손잡이

Claims (6)

  1. 베란다와 거실의 경계부분에 설치되는 창틀프레임;
    상기 창틀프레임 내측면의 네 변에 고정되어 창틀프레임의 레일을 폐쇄하면서 걸림턱을 없애 베란다와 거실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커버;
    상기 커버 중 상부에 고정된 상부커버의 저면 중앙에 고정되어 상부호차의 이동을 안내하므로 출입문을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안내프레임;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베란다와 거실 공간을 분리하도록 연속 설치되는 출입문;
    상기 출입문과 출입문 사이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출입문을 회전 가능하게 개폐시키는 경첩부재;
    상기 경첩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어 안내프레임과 커버를 따라 이동하는 상,하부호차;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출입문을 회전시키는 손잡이가 구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상부 저면에 결합되어 창틀프레임의 레일을 폐쇄하면서 안내프레임이 고정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은 레일과 레일 사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출입문의 폭도 이와 대응하도록 슬림화할 수 있는 상부커버;
    상기 창틀프레임의 하부 상면에 고정되어 창틀프레임의 레일을 폐쇄하면서 하부호차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창틀프레임의 레일을 폐쇄하도록 결합되어 스크류로 고정되며 폭방향 양측 단부는 베란다와 거실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폐쇄판; 상기 폐쇄판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부호차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며 레일과 레일 사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출입문의 폭도 이와 대응하도록 슬림화할 수 있는 하부커버;
    상기 창틀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는 측면커버;
    상기 폐쇄판의 저면에 형성되어 레일에 안착되며 하부커버의 뒤틀림을 방지하면서 창틀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안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경첩부재는,
    상기 출입문과 출입문 사이에 결합되는 경첩몸체;
    상기 경첩몸체에 형성되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어 출입문이 각각 회전되게 하는 결합편;
    상기 경첩몸체의 상,하부에 돌출되어 상,하부호차가 결합되는 결합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KR1020190103616A 2019-08-23 2019-08-23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KR102081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616A KR102081329B1 (ko) 2019-08-23 2019-08-23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616A KR102081329B1 (ko) 2019-08-23 2019-08-23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329B1 true KR102081329B1 (ko) 2020-02-25

Family

ID=69647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616A KR102081329B1 (ko) 2019-08-23 2019-08-23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3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525A (ko) *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대현상공 폴딩 도어용 힌지장치
KR101751470B1 (ko) 2016-10-24 2017-06-29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중문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및 조립 시공방법
KR101759322B1 (ko) * 2017-06-09 2017-07-21 주식회사 두현 마감과 추가 시공을 겸하는 폴딩 도어용 일체형 하부 레일
KR101763928B1 (ko) * 2016-09-10 2017-08-01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기밀단열성능이 개선되는 커버 프레임형 창호 리모델링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525A (ko) *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대현상공 폴딩 도어용 힌지장치
KR101763928B1 (ko) * 2016-09-10 2017-08-01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기밀단열성능이 개선되는 커버 프레임형 창호 리모델링 구조
KR101751470B1 (ko) 2016-10-24 2017-06-29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중문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및 조립 시공방법
KR101759322B1 (ko) * 2017-06-09 2017-07-21 주식회사 두현 마감과 추가 시공을 겸하는 폴딩 도어용 일체형 하부 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3747B2 (en) Modular window apparatus with liquid drainage ability
CN107109891B (zh) 滑动和枢转打开均可的窗户
CA2884931C (en) Window and door system having easily changeable structure
KR20080053259A (ko) 폴딩, 틸트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창호
WO2019143417A1 (en) Door header
KR102081329B1 (ko)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KR102081330B1 (ko) 폴딩도어 구조
WO2006137804A1 (en) Top hung sliding door system for interior use
US11371277B2 (en) Biaxial track system for fenestration panels
KR101467244B1 (ko)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KR101975663B1 (ko) 비철거식 개보수용 슬림 창호
US5850672A (en) Apparatus or kit for closing sliding closure
KR101103152B1 (ko) 창호 시스템
JPH0113187Y2 (ko)
JPH04113689U (ja) 防音用引き戸装置
KR101340443B1 (ko) 공동주택용 미닫이문
JPH0342232Y2 (ko)
JPS6319500Y2 (ko)
US20080222958A1 (en) Safety Window
JPH0314559Y2 (ko)
JPH0113184Y2 (ko)
JPS6012074Y2 (ja) 引違い吊り障子
JP2750477B2 (ja) 引違い防音サッシ
JPH0552077A (ja) 横引きシヤツター
JP3010545B2 (ja) 可動障子を備えた出入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