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330B1 - 폴딩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폴딩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330B1
KR102081330B1 KR1020190103617A KR20190103617A KR102081330B1 KR 102081330 B1 KR102081330 B1 KR 102081330B1 KR 1020190103617 A KR1020190103617 A KR 1020190103617A KR 20190103617 A KR20190103617 A KR 20190103617A KR 102081330 B1 KR102081330 B1 KR 102081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coupled
lower rai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순
Original Assignee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3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1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rack and pinion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공간과 공간을 분리하는 장소 또는 출입공간에 범용적으로 설치되므로 시공성이 향상되고 손잡이의 회전시 잠금부가 연동되어 출입문을 창틀프레임에 잠금설정함과 아울러 출입문의 폭을 슬림화하여 제조비용 절감 및 무게를 경량화하며, 상,하부 잠금쇠가 상,하부 레일홈에 완전하게 삽입되지 않더라도 상,하부 잠금쇠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하부 레일홈에 완전하게 삽입되도록 하므로 출입문의 견고한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폴딩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딩도어 구조{folding door structure}
본 발명은 폴딩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공간과 공간을 분리하는 장소 또는 출입공간에 범용적으로 설치되므로 시공성이 향상되고 손잡이의 회전시 잠금부가 연동되어 출입문을 창틀프레임에 잠금설정함과 아울러 출입문의 폭을 슬림화하여 제조비용 절감 및 무게를 경량화하며, 상,하부 잠금쇠가 상,하부 레일홈에 완전하게 삽입되지 않더라도 상,하부 잠금쇠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하부 레일홈에 완전하게 삽입되도록 하므로 출입문의 견고한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폴딩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베란다와 거실, 현관 측에 공간과 공간을 분리시키기 위해 폴딩도어를 설치하게 되며, 음식점이나 카페 등의 실내공간을 분리하도록 폴딩도어가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폴딩도어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1751470호로 중문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및 시공방법이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된 발명은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개폐문이 이동안내부의 안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슬라이드되면서 실내의 출입공간을 개방 및 폐쇄하게 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선 등록된 발명은 개폐문의 두께가 두꺼울 뿐만 아니라 폴딩도어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수가 많아 제조원가 상승 및 적재과 운반이 용이하지 못하고 조립이 어려워 숙련공에 의해 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폐문과 개폐문이 회전안내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개폐문의 회전시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개폐문이 불규칙하게 흔들리며 이에 따라 개폐문과 회전안내부재 간의 소음이 발생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폐문이 록킹장치에 의해 고정되긴 하나, 수직고정프레임에 고정되므로 개폐문을 견고하게 잠금설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록킹장치의 고정쇠가 수직프레임에 완전하게
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751470호(2017.06.21. 등록)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실내의 공간과 공간을 분리하는 장소 또는 출입공간에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향상되고 소음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단열효과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폴딩도어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의 회전시 잠금부가 연동하여 상,하부 잠금쇠가 창틀프레임의 상,하부 레일홈에 삽입되어 잠금설정되므로 출입문을 견고하게 잠금설정할 수 있는 폴딩도어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잠금봉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면서 하부 잠금쇠의 하단부를 확장형성하여 하부 레일홈에 삽입되게 하므로 출입문의 폭을 슬림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무게를 경량화하는 폴딩도어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입문을 창틀프레임에 잠금 설정시 상,하부 잠금쇠가 상,하부 레일홈으로 완전하게 삽입되지 않을 경우, 상,하부 잠금쇠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완전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폴딩도어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폴딩도어 구조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연속 설치되는 출입문;
상기 출입문과 출입문 사이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출입문을 회전 가능하게 개폐시키는 경첩부재;
상기 경첩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는 상,하부 호차;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출입문을 회전시키는 손잡이;
상기 출입문의 수직프레임에 장착되어 손잡이의 회전시 작동기어가 회전하면서 상,하부 잠금쇠를 상,하부레일홈으로 각각 이동시켜 출입문을 창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잠금부;
상기 출입문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하부 호차가 상,하부 레일홈을 따라 안내되면서 출입문의 이동을 안내하는 창틀프레임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첩부재는, 상기 출입문과 출입문 사이에 결합되는 경첩몸체;
상기 경첩몸체에 형성되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어 출입문이 각각 회전되게 하는 결합편;
상기 경첩몸체의 상,하부에 돌출되어 상,하부 호차가 결합되는 결합돌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손잡이의 축에 결합되는 작동기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래크기어가 작동기어에 치합되며 작동기어의 회전시 상,하부로 이동하는 상,하부 잠금부재;
상기 상,하부 잠금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잠금봉;
상기 잠금봉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선택적으로 높이가 조절되며 창틀프레임의 상,하부 레일홈으로 각각 삽입되어 출입문을 잠금설정하는 상,하부 잠금쇠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잠금쇠의 하단부는 외향으로 확장형성되어 하부 레일홈의 내측면과 근접되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부 잠금쇠의 외측 모서리부는 상,하부 레일홈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모따기 처리된다.
본 발명 폴딩도어 구조에 의하면, 실내의 공간과 공간을 분리하는 장소 도는 출입공간에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향상되고 소음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단열효과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폴딩도어 구조에 의하면, 손잡이의 회전시 잠금부가 연동하여 상,하부 잠금쇠가 창틀프레임의 상,하부 레일홈에 삽입되어 잠금설정되므로 출입문을 견고하게 잠금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폴딩도어 구조에 의하면, 잠금봉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면서 하부 잠금쇠의 하단부를 확장형성하여 하부 레일홈에 삽입되게 하므로 출입문의 폭을 슬림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무게를 경량화할 뿐 아니라 적재량을 높이고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폴딩도어 구조에 의하면, 출입문을 창틀프레임에 잠금 설정시 상,하부 잠금쇠가 상,하부 레일홈으로 완전하게 삽입되지 않을 경우, 상,하부 잠금쇠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완전하게 삽입되도록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잠금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출입문과 출입문 사이에 경첩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손잡이의 회전으로 잠금부가 연동되어 잠금봉이 상,하로 이동되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잠금부가 창틀프레임의 상,하부 레일홈에 장착되어 출입문이 창틀프레임에 잠금설정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잠금부의 하부 잠금쇠가 창틀프레임의 하부 레일홈에 삽입된 상태의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다며, 도 3은 본 발명의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 폴딩도어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400), 경첩부재(500), 상,하부 호차(600)(600'), 손잡이(700), 잠금부(800), 창틀프레임(9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출입문(400)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410)의 상,하부에 'ㄱ'자 형상의 연결부재(미도시)를 강제삽입하여 결합하고, 상기 수직프레임(410)의 상,하부에서 수평프레임(420)의 단부를 연결부재에 강제삽입하여 결합시키면 단위의 출입문(400)이 형성되며, 수직프레임(410)과 수평프레임(420)의 내측에는 유리가 장착된다.
상기 출입문(400)은 시공 장소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연속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첩부재(500)는 출입문(400)과 출입문(400) 사이에 각각 결합되며, 경첩몸체(510), 결합편(520), 결합돌부(530)로 구성된다.
상기 경첩몸체(510)는 각 출입문(400)이 서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경첩몸체(510)에는 결합편(520)이 형성되어 출입문(400)의 수직프레임(410)에 형성된 결합홈(411)에 결합된다.
상기 경첩몸체(510)에는 상,하부에 일정 길이로 각각 돌출되는 결합돌부(530)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부(530)에는 상,하부 호차(600)(60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 호차(600)는 출입문(400) 상부에 결합된 경첩부재(500)의 결합돌부(530)에 스크류를 통해 결합되며, 창틀프레임(900)의 상부 레일홈(911)에 안내되어 출입문(4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하부 호차(600')는 출입문(400)의 하부에 결합된 경첩부재(500)의 결합돌부(530)에 스크류를 통해 결합되며, 창틀프레임(900)의 하부 레일홈(921)에 안착되어 안내되면서 출입문(4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700)는 출입문(4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 연속 설치되는 출입문(400) 중에 중간부분에 위치한 출입문(40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잠금부(800)는 출입문(400)의 수직프레임(410)에 장착되어 손잡이(700)와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700)의 회전시 연동하여 작동하게 된다.
상기 잠금부(8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810), 작동기어(820), 상,하부 잠금부재(830)(830'), 잠금봉(840), 상,하부 잠금쇠(850)(86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810)은 수직프레임(410)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작동기어(820), 상,하부 잠금부재(830)(830')가 결합된다.
도 6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기어(820)는 하우징(810)의 내부 중앙에 장착되어 손잡이(700)의 축(710)에 결합되며, 손잡이(700)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하여 상,하부 잠금부재(830)(830')를 상,하로 각각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상,하부 잠금부재(830)(830')는 하우징(810) 내측에서 작동기어(820)를 중심으로 대향하게 장착되며, 상,하부 잠금부재(830)(830')에 형성된 래크기어(831)가 작동기어(820)의 양측에 맞물린 상태이기 때문에 작동기어(820)의 회전시 상,하부 잠금부재(830)(83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잠금봉(840)은 상기 상,하부 잠금부재(830)(830')에 일정 길이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상,하부 잠금부재(830)(830')와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잠금봉(840)의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하부 잠금쇠(850)(860)가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상,하부 잠금쇠(850)(860)는 손잡이(700)의 회전시 연동되면서 수평프레임(420)에 형성된 작동공(미도시)을 통해 창틀프레임(900)의 상,하부 레일홈(911)(921)으로 삽입되어 출입문(400)을 잠금설정 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하부 잠금쇠(850)(860)의 외측 모서리부는 상,하부 레일홈(911)(921)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모따기 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 잠금쇠(860)는 잠금봉(840)에 나사결합되는 상단부보다 하단부가 외향으로 확장 형성되어 더 큰 직경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하부 잠금쇠(850)(860)는 하부 잠금쇠(860)의 하단부를 확장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상부 잠금쇠(850)의 상단부를 확장형성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잠금쇠(860)가 하부 레일홈(921)에 결합되면 하부 잠금쇠(860)와 하부 레일홈(921) 사이는 최소한의 틈새만 유지하게 되므로 출입문(400)의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잠금설정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잠금봉(840)의 직경은 작게 유지하면서 하부 잠금쇠(860)의 하단부를 확장형성하여 하부 레일홈(921)에 삽입되게 하므로 출입문(400)의 폭을 슬림화하여 제조비용을 점감함과 동시에 무게를 경량화하고, 운반시 적재량을 대폭 늘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잠금부(800)의 작동으로 출입문(400)을 창틀프레임(900)에 잠금설정시 상,하부 잠금쇠(850)(860)가 상,하부 레일홈(911)(921)으로 완전하게 삽입되지 않을 경우, 나사결합된 상,하부 잠금쇠(850)(860)를 회전시키면서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이 상,하부 잠금쇠(850)(86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출입문(400)을 창틀프레임(900)에 견고하게 잠금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810)의 내측면에는 작동기어(820)를 중심으로 상,하부에 스토퍼(870)를 더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스토퍼(870)는 상,하부 잠금부재(830)(830')의 잠금해제로 인한 복귀시 더 이상 유동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창틀프레임(900)은 공동주택의 베란다와 거실의 경계부분, 현관 또는 음식점이나 카페 등의 출입공간 또는 실내공간 즉,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공간을 분리하는 경계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창틀프레임(900)은 상,하부 레일(910)(920)과 측면 레일(930)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부 레일(910)(920)에는 상,하부 레일홈(911)(921)이 형성되어 상,하부 호차(600)(60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폴딩도어 구조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출입공간 또는 실내의 공간과 공간을 분리하는 장소라면 어디든 폭넓게 설치할 수 있으며, 손잡이(700)의 회전시 잠금부(800)가 손잡이(700)와 연동되어 창틀프레임(900)의 상,하부 레일홈(911)(921))에 상,하부 잠금쇠(850)(860)가 삽입되면서 출입문(400)이 잠금설정되며, 상,하부 잠금쇠(850)(860)가 상,하부 레일홈(911)(921)에 완전하게 삽입되지 않더라도 상,하부 잠금쇠(850)(86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하부 레일홈(911)(921)에 완전하게 삽입되게 하므로 출입문(400)을 견고하게 잠금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400: 출입문
500: 경첩부재
510: 경첩몸체
520: 결합편
530: 결합돌부
600,600': 상,하부 호차
700: 손잡이
800: 잠금부
810: 하우징
820: 작동기어
830,830': 상,하부 잠금부재
840: 잠금봉
850: 상부 잠금쇠
860: 하부 잠금쇠
870: 스토퍼
900: 창틀프레임
910,920: 상,하부 레일
911,921: 상,하부 레일홈

Claims (5)

  1.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연속 설치되는 출입문;
    상기 출입문과 출입문 사이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출입문을 회전 가능하게 개폐시키는 경첩부재;
    상기 경첩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는 상,하부 호차;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출입문을 회전시키는 손잡이;
    상기 출입문의 수직프레임에 장착되어 손잡이의 회전시 작동기어가 회전하면서 상,하부 잠금쇠를 상,하부 레일홈으로 각각 이동시켜 출입문을 창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잠금부;
    상기 출입문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하부 호차가 상,하부 레일홈을 따라 안내되면서 출입문의 이동을 안내하는 창틀프레임이 구성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손잡이의 축에 결합되는 작동기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래크기어가 작동기어에 치합되며 작동기어의 회전시 상,하부로 이동하는 상,하부 잠금부재;
    상기 상,하부 잠금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잠금봉;
    상기 잠금봉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선택적으로 높이가 조절되며 창틀프레임의 상,하부 레일홈으로 각각 삽입되어 출입문을 잠금설정하는 상,하부 잠금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작동기어를 중심으로 상,하부에 형성되어 상,하부 잠금부재의 잠금해제로 인한 복귀시 더 이상 유동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잠금쇠의 하단부는 외향으로 확장형성되며 하부 레일홈의 내측면과 근접되게 삽입되어 상부 잠금쇠와 하부 레일홈 사이에 최소한의 틈새만 유지되게 하므로 출입문의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잠금설정할 수 있고,
    상기 상,하부 잠금쇠의 외측 모서리부는 상,하부 레일홈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모따기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경첩부재는,
    상기 출입문과 출입문 사이에 결합되는 경첩몸체;
    상기 경첩몸체에 형성되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어 출입문이 각각 회전되게 하는 결합편;
    상기 경첩몸체의 상,하부에 돌출되어 상,하부 호차가 결합되는 결합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 구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03617A 2019-08-23 2019-08-23 폴딩도어 구조 KR102081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617A KR102081330B1 (ko) 2019-08-23 2019-08-23 폴딩도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617A KR102081330B1 (ko) 2019-08-23 2019-08-23 폴딩도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330B1 true KR102081330B1 (ko) 2020-02-25

Family

ID=69647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617A KR102081330B1 (ko) 2019-08-23 2019-08-23 폴딩도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3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747B1 (ko) 2021-08-09 2022-02-14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폴딩도어 잠금장치
KR20220037106A (ko) *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폴딩도어용 열교방지 창호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62B1 (ko) * 2015-07-31 2016-02-26 주식회사 폴젠코리아 일체형 이동 가이드가 구비된 폴딩도어
KR20160080525A (ko) *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대현상공 폴딩 도어용 힌지장치
KR101751470B1 (ko) 2016-10-24 2017-06-29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중문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및 조립 시공방법
KR20180006213A (ko) * 2016-07-08 2018-01-17 김사관 잠금키가 구비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525A (ko) *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대현상공 폴딩 도어용 힌지장치
KR101597962B1 (ko) * 2015-07-31 2016-02-26 주식회사 폴젠코리아 일체형 이동 가이드가 구비된 폴딩도어
KR20180006213A (ko) * 2016-07-08 2018-01-17 김사관 잠금키가 구비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
KR101751470B1 (ko) 2016-10-24 2017-06-29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중문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및 조립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106A (ko) *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폴딩도어용 열교방지 창호프레임
KR102506892B1 (ko) * 2020-09-17 2023-03-07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폴딩도어용 열교방지 창호프레임
KR102359747B1 (ko) 2021-08-09 2022-02-14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폴딩도어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2287B1 (en) Slide/swing patio door
KR102081330B1 (ko) 폴딩도어 구조
US4930254A (en) Lock for slider mechanism
US20160010377A1 (en) A door or window assembly
US20180216397A1 (en) Inward-opening type casement window having outward-opening pane and screen, and handle lock and hinge used therefor
US20100281779A1 (en) Reversible sliding glass door
KR101303277B1 (ko) 미닫이 창호의 도어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US20120240718A1 (en) Folding handle for lift and slide door
KR101841725B1 (ko) 폴딩도어 구조
KR102081329B1 (ko) 거실창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JP2018105103A (ja) 戸車及び建具
JP2006002345A (ja) 建具
KR100782371B1 (ko) 이단 개폐식 출입문 구조
JPH0518458Y2 (ko)
JP7245754B2 (ja) 建具
KR101860118B1 (ko) 밖에서 잠글 수 있는 미닫이 창문
KR200387010Y1 (ko) 이단 개폐식 출입문 구조
KR102044162B1 (ko) 여닫이 창호 및 미닫이 창호가 결합된 복합 창호 시스템
JP2024024116A (ja) 建具
KR101296443B1 (ko) 도어 조립체
EP1167668A2 (en) Security device for movable closing elements of windows, doors and the like
JPH0138238Y2 (ko)
JPH049407Y2 (ko)
US20230258031A1 (en) Locking device for a barn door
JPS631950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