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308B1 -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308B1
KR101555308B1 KR1020130144826A KR20130144826A KR101555308B1 KR 101555308 B1 KR101555308 B1 KR 101555308B1 KR 1020130144826 A KR1020130144826 A KR 1020130144826A KR 20130144826 A KR20130144826 A KR 20130144826A KR 101555308 B1 KR101555308 B1 KR 101555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handrail
fixing
pane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0429A (ko
Inventor
박진형
Original Assignee
(주)디엠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엠디센터 filed Critical (주)디엠디센터
Priority to KR1020130144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3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6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내부 벽면에 설치되는 핸드레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내부 벽면에 설치되는 인테리어 판넬에 조립되는 방식의 핸드레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는, 엘리베이터 내측 벽면에 설치되며 인테리어 판넬이 고정 조립되는 판넬 고정몰드; 인테리어 판넬의 전방에 설치되는 핸드레일; 판넬 고정몰드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및 핸드레일과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어 핸드레일을 고정시키는 핸드레일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HAND RAIL EQUIPMENT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내부 벽면에 설치되는 핸드레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내부 벽면에 설치되는 인테리어 판넬에 조립되는 방식의 핸드레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내벽에는 핸드레일이 설치된다. 이 핸드레일은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상하로 운행하는 동안 수직방향의 속도변화에 따른 승객의 자립상태가 불안정해지는 경우 또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중 엘리베이터의 요동에 따른 승객의 전도현상이 발생할 경우 승객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다. 즉, 엘리베이터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거의 모든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엘리베이터의 내벽에 설치되는 핸드레일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2207호(이하, ‘선행문헌1’이라 한다)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6791호(이하, ‘선행문헌2’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1의 경우 체결볼트를 엘리베이터 내벽에 관통시킨 후 엘리베이터의 외부에서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체결볼트의 머리부에 핸드레일을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선행문헌2의 경우 엘리베이터의 외부에서 클립의 일부를 엘리베이터 내부로 관통시킨 후 엘리베이터의 내부에서 클립의 단부에 핸드레일을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선행문헌1 및 2의 경우 엘리베이터 외부에서의 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바, 작업에 있어서 어려움이 많다. 즉, 엘리베이터와 그 외부의 벽면 사이에는 공간이 좁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의 설치상태에서는 엘리베이터가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작업 중 추락의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핸드레일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엘리베이터 외부에서의 작업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는, 엘리베이터 내측 벽면에 설치되며 인테리어 판넬이 고정 조립되는 판넬 고정몰드; 인테리어 판넬의 전방에 설치되는 핸드레일; 판넬 고정몰드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및 핸드레일과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어 핸드레일을 고정시키는 핸드레일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인테리어 판넬은 엘리베이터 내측 벽면에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인테리어 판넬의 상단과 하단은 판넬 고정몰드에 의해 각각 고정되고, 상하에 위치된 두 판넬 고정몰드 사이에 고정 브라켓이 고정된다.
핸드레일 고정부재는, 일단은 핸드레일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 브라켓의 전면부를 관통하는 체결볼트; 및 고정 브라켓의 전면부 후방에서 체결볼트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한다.
고정 브라켓은, 체결볼트의 타단이 관통되는 전면부; 및 전면부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판넬 고정몰드에 각각 고정되며, 엘리베이터 내측 벽면과 전면부 사이에 너트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체결부;을 포함한다.
각 체결부에는 판넬 고정몰드로부터 하방 및 상방으로 돌출된 수평 연장부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부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는, 고정 브라켓에 대하여 핸드레일을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레일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내부 벽면에 설치되는 인테리어 판넬에 핸드레일을 조립하여 시공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엘리베이터 외부에서의 작업이 필요치 않아 설치가 용이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인테리어 판넬을 설치하기 위한 판넬 고정몰드에 고정 브라켓 및 핸드 레일 고정부재를 고정 설치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엘리베이터의 내부에서 핸드레일의 설치작업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핸드레일 장치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 및 5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내부 벽면에는 인테리어 판넬(1)이 시공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내부 장식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인테리어 판넬(1)의 전방으로는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승객의 안전을 위한 핸드레일(10)이 인테리어 판넬(1)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핸드레일 장치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 장치는 핸드레일(10)을 인테리어 판넬(1)의 전방에 고정시켜주며, 인테리어 판넬(1)에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핸드레일 장치는 판넬 고정몰드(20), 핸드레일(10), 고정 브라켓(30), 레일 고정부재(40), 및 핸드레일 지지부재(50)를 포함한다.
판넬 고정몰드(20)는 엘리베이터 내부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인테리어 판넬(1)과 고정 브라켓(30)을 고정해준다. 인테리어 판넬(1)은 엘리베이터 내부 벽면에 상하로 이격되게 적층 설치되며, 인테리어 판넬(1)의 상단과 하단은 판넬 고정몰드(20)에 의해 각각 고정되고, 상하에 위치된 두 판넬 고정몰드(20) 사이에 고정 브라켓(30)이 삽입 고정된다.
판넬 고정몰드(20)는 엘리베이터 내부 벽면에 스크류로 고정되는 벽면 고정부(21), 벽면 고정부(21)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22), 및 수직 연장부(22)의 양면으로부터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되 벽면 고정부(21)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 연장부(2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수평 연장부(23) 중 어느 하나에 인테리어 판넬(1)의 상단 및 하단이 각각 끼워져 고정되고, 다른 수평 연장부(23)에 고정 브라켓(30)이 끼워져 고정된다.
핸드레일(10)은 인테리어 판넬(1)의 전방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원형관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 브라켓(30)은 상하로 위치되는 두 판넬 고정몰드(20)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레일 고정부재(40)를 구성하는 후술할 체결볼트(41)의 타단이 관통되는 전면부(31), 및 전면부(31)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판넬 고정몰드(20)에 각각 고정되며 엘리베이터 벽면(2)과 전면부(31) 사이에 레일 고정부재(40)를 구성하는 후술할 너트(42)가 삽입되는 삽입공간(s)을 형성하는 한 쌍의 체결부(32)를 포함한다.
전면부(31)는 엘리베이터 벽면(2)과 평행하게 위치되며, 그 전면에 핸드레일 지지부재(50)가 접촉된다. 전면부(31) 중심에는 체결볼트(41)과 관통되는 체결볼트 관통홀(31a)이 형성된다.
한 쌍의 체결부(32)는 전면부(31)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각각 엘리베이터 벽면(2) 쪽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체결부(32)에는 판넬 고정몰드(20)의 수평 연장부(23)에 끼워지는 끼움홈부(32a)가 각각 형성된다. 끼움홈부(32a)는 체결부(32)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판넬 고정몰드(20)의 수직 연장부(22) 쪽으로 개방된다. 체결부(32)의 선단은 전면부(31)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체결부(32)로 인해 전면부(31)와 엘리베이터 벽면(2) 사이에는 너트(42)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s)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삽입공간(s)은 엘리베이터의 벽면(2) 양측 방향으로 개방되며 개방부를 통해 너트(42)를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또한 개방부를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너트(42)를 잡거나 조일 수 있다.
레일 고정부재(40)는 체결볼트(41)와 너트(42)로 구성된다. 체결볼트(41)의 일단은 핸드레일(10)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며, 그 타단은 고정 브라켓(30)을 구성하는 전면부(31)의 체결볼트 관통홀(31a)을 관통한다. 너트(42)는 고정 브라켓(3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체결부(32)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공간(s)에 삽입되어 체결볼트(41)의 타단에 나사 결합된다.
핸드레일 지지부재(50)는 고정 브라켓(30)에 대하여 핸드레일(10)을 이격된 상태로 지지한다. 이러한 핸드레일 지지부재(50)는 내부에 체결볼트(41)가 삽입되도록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며, 그 일단은 핸드레일(10)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라운딩된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고정 브라켓(30)의 전면부(31)에 밀착된다. 핸드레일 지지부재(50)와 고정 브라켓(30)의 전면부(31) 사이에는 완충부재(60)가 위치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와 같이 복수 개의 인테리어 판넬(1)은 판넬 고정몰드(20)에 의해 엘리베이터 내부 벽면(2)에 상하로 적층 설치된다. 판넬 고정몰드(20)는 스크류를 이용해 엘리베이터의 내부에서 설치하게 된다.
한 쌍의 판넬 고정몰드(20)를 상하로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판넬 고정몰드(20) 사이에는 고정 브라켓(30)을 끼워 고정한다. 이 때, 고정 브라켓(30)을 구성하는 끼움홈부(32a)는 판넬 고정몰드(20)를 구성하는 수평 연장부(23)게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고정 브라켓(30)의 전면부(31)와 엘리베이터 내측 벽면(2) 사이에는 설치공간(s)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인테리어 판넬(1)의 설치 후에는 도 5와 같이 핸드레일(10)에 체결볼트(41)가 접합된 상태에서 체결볼트(41)에 핸드레일 지지부재(50)를 끼운 다음, 체결볼트(41)의 단부를 고정 브라켓(30)을 구성하는 전면부(31)의 체결볼트 관통홀(31a)에 각각 끼운다. 체결볼트(41)를 끼우기 전 고정 브라켓(30)의 두 체결부(32)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s)에 너트(42)를 삽입한다.
이어서, 너트(42)를 체결볼트(41)의 단부에 체결하고 조임으로써 핸드레일(10)의 설치가 완료된다. 너트(42)의 삽입과 조임작업은 고정 브라켓(30)의 양측 개방부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의 핸드레일 고정장치를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10 : 핸드레일 20 : 판넬 고정몰드
21 : 벽면 고정부 22 : 수직 연장부
23 : 수평 연장부 30 : 고정 브라켓
31 : 체결부 40 : 레일 고정부재
41 : 체결볼트 42 : 너트
50 : 핸드레일 지지부재 60 : 완충부재

Claims (6)

  1. 엘리베이터 내측 벽면에 상하로 설치되며, 상하로 이격 설치된 인테리어 판넬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끼워져 고정 조립되는 한 쌍의 판넬 고정몰드;
    상기 인테리어 판넬의 전방에 설치되는 핸드레일;
    상기 한 쌍의 판넬 고정몰드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핸드레일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어 핸드레일을 고정시키는 핸드레일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판넬은 상기 엘리베이터 내측 벽면에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인테리어 판넬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판넬 고정몰드에 의해 각각 고정되고, 상하에 위치된 두 판넬 고정몰드 사이에 상기 고정 브라켓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 고정부재는,
    일단은 상기 핸드레일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전면부를 관통하는 체결볼트;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전면부 후방에서 상기 체결볼트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체결볼트의 타단이 관통되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판넬 고정몰드에 각각 고정되며, 엘리베이터 내측 벽면과 상기 전면부 사이에 상기 너트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체결부;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체결부에는 상기 판넬 고정몰드로부터 하방 및 상방으로 돌출된 수평 연장부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핸드레일을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레일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KR1020130144826A 2013-11-26 2013-11-26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KR101555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826A KR101555308B1 (ko) 2013-11-26 2013-11-26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826A KR101555308B1 (ko) 2013-11-26 2013-11-26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429A KR20150060429A (ko) 2015-06-03
KR101555308B1 true KR101555308B1 (ko) 2015-09-23

Family

ID=5350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826A KR101555308B1 (ko) 2013-11-26 2013-11-26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3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165B1 (ko) * 2015-08-27 2016-07-12 윤일식 엘리베이터 핸드레일 지지장치
CN106829697B (zh) * 2015-12-03 2018-08-28 株式会社日立大厦系统 电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7364A (ja) * 2004-10-20 2006-05-1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かご室の手すり
JP2008285253A (ja) * 2007-05-16 2008-11-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内手摺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7364A (ja) * 2004-10-20 2006-05-1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かご室の手すり
JP2008285253A (ja) * 2007-05-16 2008-11-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内手摺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429A (ko)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82397B (zh) 滑轨总成
KR200482567Y1 (ko) 조립식 책상 결합구조
KR101555308B1 (ko)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KR101029151B1 (ko) 칸막이 패널의 고정 프레임
CN205076605U (zh) 一种电梯导轨的安装结构
JP2007161451A (ja) 間隔調節装置
KR20160054923A (ko) 미닫이문용 상부 수직 2단레일 프레임
KR20170130987A (ko)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JP2010241563A (ja) エレベータ振れ止め装置
JP2016176247A (ja) 仕切り装置
CN204691158U (zh) 装饰板构件安装连接结构
JP3188395U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ラック
KR20150060430A (ko) 엘리베이터 카 내부 조립형 핸드레일 장치
US9340394B2 (en) Equipment for connecting panels of an elevator cage
KR20140019182A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N204341072U (zh) 城轨车辆底架下设备安装结构
KR20140114607A (ko) 창틀용 지지대
CN210725679U (zh) 一种自动驾驶导航控制器
JP5638383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KR101029152B1 (ko) 칸막이 패널 프레임의 결합구조
CN205873601U (zh) 可调节门口位置的方管钢结构井道
KR100988611B1 (ko) 천장 골조용 행거
CN206969943U (zh) 一种无机房电梯的绳头板连接结构
CN210763834U (zh) 一种玻璃幕墙固定结构
JP5608271B1 (ja) 分煙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