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401B1 - 이동식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401B1
KR101556401B1 KR1020140061835A KR20140061835A KR101556401B1 KR 101556401 B1 KR101556401 B1 KR 101556401B1 KR 1020140061835 A KR1020140061835 A KR 1020140061835A KR 20140061835 A KR20140061835 A KR 20140061835A KR 101556401 B1 KR101556401 B1 KR 101556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uction
fixed
mov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이우
Original Assignee
최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이우 filed Critical 최이우
Priority to KR1020140061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작업장(90)내 바닥면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를 따라 일정 폭이 상향 개방되도록 한 상부면을 러버 벨트(11)에 의해 커버되도록 하는 고정 덕트(10); 상기 고정 덕트(10)의 양측에서 작업장 바닥면으로 구비되는 이동 레일(20); 상측의 제1 석션룸(31)과 상호 연통되는 양측의 제2 석션룸(32)간 마주보는 면이 상호 연통되도록 제3 석션룸(33)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 레일(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34)를 형성한 무빙 덕트(30); 상기 제2 석션룸(32)의 하부에서 가이드 롤러(42)가 이동 레일(20)의 일측에서 스토퍼 레일(43)에 의해 상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구름이동하도록 하는 이탈방지구(40); 제3 석션룸(33)과의 사이에서 러버 벨트(11)가 선회하도록 롤러(51)를 구비하는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50); 상기 무빙 덕트(30)의 상측 제1 석션룸(31) 상단부에서 수평 회전이 가능하게 하단부가 연결되는 석션 덕트(60); 상기 석션 덕트(60)의 상단부에서 수직 및 수평으로 일정 각도를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제1 덕트(70); 상기 제1 덕트(70)의 선단에서 수직으로 일정 각도를 회전 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제2 덕트(8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집진장치{Movable collecting dust apparatus }
본 발명은 이동식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장의 측단부 바닥이나 측면 또는 천정에 설치되는 덕트를 따라 포집용 대차가 이동하도록 하면서 포집용 대차에는 분진 등의 오염물 발생 부위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흡입관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장에서의 오염물 발생 영역에 좀더 가까운 위치에서 강력하게 오염물이 포집되도록 하여 보다 청결한 작업장 환경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식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집진장치는 작업장 내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유독가스 등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작업장 천정에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비교적 면적이 넓은 작업장에는 많은 수의 후드와 함께 이들 후드들을 연결하는 배기덕트가 천정에 광범위하게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천정에 설치되는 배기덕트에서 복수의 후드들은 통상적으로 정해진 위치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고 있고, 후드들은 작업장 내의 설비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한 높이에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천정에서 복수의 후드가 고정되게 설치되게 하는 설비에서는 분진 등의 오염물이 발생되는 위치와의 높이차가 지나치게 큰 폐단이 있어 오염물 포집에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해서 천정측 덕트로부터 후드를 일정 높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거나 이렇게 인출되는 후드가 덕트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 제안되기도 한 바 있다.
공개특허 제1998-024350호(1998.07.06.명칭:무빙덕트 및 집진장치)는 천정에 설치되는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한 바닥면을 밀봉대에 의해 커버되도록 하면서 이 밀봉대는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회전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고, 하부측 밀봉대의 일부는 관형상의 접속통 상단부가 수직 관통하면서 고정되게 함으로써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서 밀봉대를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밀봉대에 연결된 접속통을 필요로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접속통을 통해 덕트로 이물질이 포집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밀봉대의 회전에 의해 밀봉대에 고정 연결된 접속통이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접속통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덕트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할 수는 있으나, 접속통 이하 호퍼 등의 하부 구조물들이 오로지 밀봉대에 고정되는 구성이므로 밀봉대의 접속통이 연결되는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이 부위에서의 좀더 높은 강도가 필요로 될 뿐만 아니라 덕트 내부에서 밀봉대를 지지하기 위한 대단히 많은 수의 롤러의 구비와 함께 이 롤러들이 포집되는 이물질들에 의해 오염되면서 밀봉대의 작동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0-6979호(2010.01.14.명칭:벨트리프팅설비에 있어서의 벨트고정방법)에서는 고정덕트의 상면개구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벨트를 고정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벨트리프팅설비에 의해 일부의 벨트가 리프팅되게 하여 코크스 배출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고정덕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도 6의 도면을 통해 알 수가 있다.
하지만 이 종래기술에서의 벨트리프팅설비는 이동수단이 명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동덕트가 상부에 구비되도록 하고 있어 스스로 상승하는 가스의 집진에 효과적일 뿐 천정에 복수의 고정덕트를 설치하는 기술 이상의 효과가 없다.
특히, 종래의 이동식 덕트에서는 후드로부터 흡입되는 오염물이 고정덕트로 집진이 되어야 하므로 후드측 단부와 고정덕트 사이의 연결 구성에서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1998-024350호(1998.07.06.) 일본공개특허 제2010-6979호(2010.01.14.)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작업장의 바닥면 또는 측면 또는 천정에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 덕트를 따라 무빙 덕트가 이동하면서 작업장 내 타구조물과의 간섭없이 안정되게 오염물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단측의 후드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오염 위치에 좀더 근접해서 포집될 수 있도록 하여 배기 효율을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이동식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장치는, 작업장내 바닥면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를 따라 구비되면서 일정 폭이 상향 개방되도록 한 상부면을 러버 벨트에 의해 커버되도록 하는 고정 덕트; 상기 고정 덕트의 양측에서 작업장 바닥면으로 구비되는 이동 레일; 상측의 제1 석션룸과 상호 연통되는 양측의 제2 석션룸간 마주보는 면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면서 바닥면의 일정 폭은 일정 높이 하향 연장되어 상기 고정 덕트와 연통되도록 제3 석션룸이 형성되도록 하며, 하부에는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를 형성한 무빙 덕트; 상기 제2 석션룸의 하부에서 상기 바퀴를 축지지하는 고정축의 일단에 고정 브라켓의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단에는 가이드 롤러가 축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이동 레일의 일측에서 하단부가 고정된 스토퍼 레일에 의해 상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구름이동하도록 하는 이탈방지구; 하향 개방되도록 하면서 양측면으로는 제3 석션룸이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고, 양측 하단부의 안쪽과 제3 석션룸 상부의 양측면간으로 축지지되면서 러버 벨트가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 상기 무빙 덕트의 상측 제1 석션룸 상단부에서 수평 회전이 가능하게 하단부가 연결되는 석션 덕트; 상기 석션 덕트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제1 실린더에 의해 수직으로 일정 각도를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면서 상부는 일정 길이가 수평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 덕트; 상기 제1 덕트의 선단에서 상기 제1 덕트와 제2 실린더에 의해 수직으로 일정 각도를 회전 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제2 덕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집진장치는, 작업장내 천정측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를 따라 구비되면서 일정 폭이 상향 개방되도록 한 상부면을 러버 벨트에 의해 커버되도록 하는 고정 덕트; 상측의 제1 석션룸과 상호 연통되는 양측의 제2 석션룸간 마주보는 면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면서 바닥면의 일정 폭은 일정 높이 하향 연장되어 상기 고정 덕트와 연통되도록 제3 석션룸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부에서 상기 고정 덕트와 평행하게 구비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에 연결되어 크레인에 의해 상기 고정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무빙 덕트; 하향 개방되도록 하면서 양측면으로는 제3 석션룸이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고, 양측 하단부의 안쪽과 제3 석션룸 상부의 양측면간으로 축지지되면서 러버 벨트가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 일단이 상기 제1 석션룸에 연통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엘보 덕트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크레인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 주행기에 고정되는 상부 브라켓의 연장단부와 고정되어 상기 크레인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덕트들을 다단으로 연결되도록 한 수평 이동 덕트; 상기 수평 이동 덕트의 상부 브라켓에 고정되는 단부에 결합된 제2 엘보 덕트에 상단부가 고정되게 연결되고, 호이스트 와이어를 따라 일정 높이가 수직의 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덕트들을 다단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호이스트 와이어의 후크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 브라켓의 일측으로 연장된 부위를 하단부가 관통 고정되도록 하고, 하단부의 흡입구는 호이스트 와이어에 견인되는 래들 상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수직 이동 덕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이동식 집진장치에 의해 작업장 내 타 구조물과의 간섭없이 오염물이 발생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오염물에 근접하여 오염물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염물 집진 효율이 대폭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제어에 의해 오염물 발생 위치에 최대한 근접하여 오염물을 포집할 수가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를 제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장치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장치에서 이동 레일에 연결되는 바퀴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장치를 작업장 측벽면측으로 적용한 구성을 예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집진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집진장치에서 무빙 덕트를 크레인에 고정되게 연결한 구성을 예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집진장치에서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간의 연결 구조를 예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고정 덕트(10)와 이동 레일(20)과 무빙 덕트(30)와 이탈방지구(40)와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50)과 석션 덕트(60)와 제1 덕트(70)와 제2 덕트(80)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고정 덕트(10)는 상부면의 일정 폭이 상향 개방되도록 하고, 일측에는 블로워가 연결되도록 하는 박스 형상의 구성으로서, 이러한 형상은 통상의 무빙타입의 덕트에서는 통상적인 구성이지만 본 발명의 고정 덕트(10)는 작업장내에서 바닥면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를 따라 구비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런 고정 덕트(10)는 바닥면의 측단부에 구비되게 할 수도 있으나, 바닥면에 인접하는 측면에서 일정 폭을 개방되도록 한 상부면이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하여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 덕트(10)는 작업장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 일부가 매립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
상향 개방되는 고정 덕트(10)의 개방된 상부면에는 러버 벨트(11)가 얹혀지게 함으로써 내부가 커버되도록 한다.
따라서 러버 벨트(11)의 폭은 고정 덕트(10)의 개방된 상부면 폭보다는 반드시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고정 덕트(10)의 양단부에서 러버 벨트(11)의 양단부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동 레일(20)은 고정 덕트(10)가 설치되는 작업장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서 고정 덕트(10)를 따라 양측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동 레일(20)은 작업장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 바로 고정되게 할 수도 있으나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바닥면이나 측면으로 일정 높이가 매립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동 레일(20)에는 무빙 덕트(30)가 구름 이동이 가능하게 안착된다.
본 발명의 무빙 덕트(30)는 이동식 덕트로서, 내부에는 블로워에 의한 석션에 의해 흡입되는 오염물이 통과하는 제1 석션룸(31)과 제2 석션룸(32)과 제3 석션룸(33)을 형성하는 구성이며, 이동 레일(20)에서의 구름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닥면에는 바퀴(34)가 구비되도록 한다.
무빙 덕트(30)에서의 오염물이 지나는 구성으로서, 상부로부터 제1 석션룸(31)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물이 제1 석션룸(31)의 하부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2 석션룸(32)을 거쳐 다시 양측의 제2 석션룸(32) 사이로 구비되는 제3 석션룸(33)으로 포집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부의 제1 석션룸(31)은 양측면이 제2 석션룸(32)과 상호 연통되도록 하고, 양측 제2 석션룸(32)은 상호 마주보는 면을 통해 이들 사이에 구비되는 제3 석션룸(33)과 연통되는 구성이다.
이때 제3 석션룸(33)은 바닥면이 일정 폭으로 하향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 덕트(10)와 상호 연통되도록 한다.
제3 석션룸(33)으로부터 오염물이 고정 덕트(10)로 안정되게 유도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3 석션룸(33)의 바닥면은 고정 덕트(10)의 개방된 상부면 높이와 같거나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석션룸(33)의 바닥면에서 고정 덕트(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홀은 고정 덕트(10)의 개방되도록 한 홀의 폭보다는 같거나 작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집진장치에서 바퀴의 결합구조를 예시한 확대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바퀴(34)는 이동 레일(20)에서 상향 이탈이 방지되게 구비되도록 한다.
바퀴(34)는 이동 레일(20)에 직접적으로 이탈 방지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이탈방지구(40)에 의해 바퀴(34)의 이탈이 방지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다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이탈방지구(40)는 제2 석션룸(32)의 하부에서 바퀴(34)를 축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고정축(340)의 일단에 고정 브라켓(41)의 상단이 고정되고, 고정 브라켓(41)의 하단에는 가이드 롤러(42)가 축고정되며, 가이드 롤러(42)는 이동 레일(20)의 일측에서 하단부가 고정된 스토퍼 레일(43)에 의해 상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의 가이드 롤러(42)는 스토퍼 레일(43)의 상부면 저면을 따라 구름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도록 하여 스토퍼 레일(43)로부터 상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무빙 덕트(30)에는 제3 석션룸(33)과 동일한 방식으로 양측의 제2 석션룸(32)간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제3 석션룸(33)의 전후방과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간극 이격되도록 하면서 제3 석션룸(33)을 커버되도록 하는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50)이 구비되도록 한다.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50)에서 제3 석션룸(33)과 이격되는 공간으로는 러버 벨트(11)가 통과하도록 한다.
즉,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50)의 내부에서 제3 석션룸(33)의 전방 하부에서 상부로 그리고 후방 상부에서 하부로 러버 벨트(11)가 우회하여 리프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50)의 제3 석션룸(33)과의 이격 공간으로 전방 하부와 상부 그리고 후방 상부와 하부에 각각 러버 벨트(11)가 밀착 권회하는 롤러(51)가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50)의 양측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도록 한다.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50)에서 하부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는 롤러(51)에 의해서는 러버 벨트(11)를 하향 압박하도록 밀착되고, 상부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는 롤러(51)에 의해서는 러버 벨트(11)를 상향 압박하도록 밀착된다.
이러한 롤러(51)들에 의해서 제3 석션룸(33)의 외측에서 러버 벨트(11)의 일정 길이를 일정 높이로 리프팅되도록 하면서 러버 벨트(11)가 일정한 장력으로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50)에서 러버 벨트(11)가 리프팅되도록 지지하는 전후방 상부측 롤러(51)간 길이보다는 하부측 롤러(51)간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도록 하며, 이들 롤러(51)들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러버 벨트(11)와 함께 그 안쪽으로 구비되는 제3 석션룸(33)의 외형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빙 덕트(30)에서 상부의 제1 석션룸(31)은 상부가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석션 덕트(60)의 하단부와 연결된다.
석션 덕트(60)는 석션되어 유입되는 오염물을 무빙 덕트(30)의 제1 석션룸(31)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하지만 무빙 덕트(30)는 오로지 이동 레일(20)을 따라서 직선 이동만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반해 석션 덕트(60)는 이러한 무빙 덕트(30)에서 상부에 형성되도록 한 제1 석션룸(31)의 상단부에서 수평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석션 덕트(60)에는 제1 덕트(70)가 연결되고, 제1 덕트(70)에는 실질적으로 작업장 내에서 오염물이 직접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 덕트(80)가 구비된다.
제1 덕트(70)는 하단부가 석션 덕트(6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일정 각도로 수평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부는 수평 절곡되어 일정 길이가 작업장 안쪽을 향해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1 덕트(70)의 회전을 위해 별도의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공기압을 이용한 제1 실린더(71)를 이용하여 일정 각도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의 제1 실린더(71)는 일단이 석션 덕트(6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덕트(70)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 덕트(70)는 일단이 석션 덕트(60)의 상단부에서 양측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다시 양측으로 분리된 제1 덕트(70)는 타단에서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은 제1 덕트(70)가 석션 덕트(60)와의 연결에서 한 쪽으로만 연결되면 이 연결 부위에서의 편심 부하가 과중해질 수 있어 이러한 편심 부하를 좀더 분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덕트(70)의 선단에 연결되는 제2 덕트(80)는 제1 덕트(70)와 마찬가지로 제1 덕트(70)로부터 일정 각도를 수직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이를 위해서 제2 덕트(80)에는 제1 덕트(70)와의 사이에 제2 실린더(81)가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2 실린더(81)는 일단이 제1 덕트(7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 덕트(8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2 덕트(80)는 제1 덕트(70)에 연결되는 일단과는 반대측 단부인 타단이 작업장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오염물이 흡입하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오염물을 흡입하는 제2 덕트(80)의 선단측 직경은 오염물 흡입이 더욱 용이하도록 단부측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에서 무빙 덕트(30)의 바퀴(34)는 모터(35)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고, 이 모터(45)와 함께 석션 덕트(60)와 제1 덕트(70) 및 제2 덕트(80)의 회전은 원격제어용 콘트롤러(미도시)에 의해서 원격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일실시예의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는 작업장(100)의 바닥 또는 측벽의 일측 또는 양측 코너에 고정 덕트(10)와 러버 벨트(11) 및 이동 레일(20)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이들을 따라 무빙 덕트(30)가 이동하면서 무빙 덕트(30)에 연결된 작업장(100) 내 오염물이 강제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무빙 덕트(30)의 바퀴(34)는 이동 레일(20)에 연결된 이탈방지구(340)에 의해 상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도 5에서와 같이 작업장(90)의 측벽면(110)으로도 이동 레일(20)과 이탈방지구(340)가 구비되도록 하여 무빙 덕트(30)가 설치되게 할 수가 있다.
다만, 측벽면(90)에서 고정 덕트(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상부면의 러버 벨트(11)가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해야 하므로 측벽면(91)에서의 고정 덕트(10)와 무빙 덕트(30)는 일정 각도로 완만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무빙 덕트(30)는 작업장(90)의 측단부 코너를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장(90) 내 다양한 작업장치나 구조물들과의 간섭을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으며, 특히 작업공간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도 최소화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구성을 통해 작업장(90)에서 제1 덕트(70)와 제2 덕트(80)를 제1 실린더(71)와 제2 실린더(81)의 구동에 의해서 적당한 각도로 절곡시키게 되면 제2 덕트(80)를 작업장(90) 내의 분진 및 오염물 위치에 근접시킬 수가 있으므로 이들 오염물의 집중적인 포집이 가능해진다.
만일, 작업장(90) 내부의 폭이 본 발명에 의한 포집 범위를 벗어날 정도로 큰 경우에는 본 실시예 발명을 양측으로 구비되게 함으로써 오염물 포집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업장(90)의 길이가 지나치게 긴 경우에도 한 고정 덕트(10)에 무빙 덕트(20)를 추가 설치하게 되면 이동 시간이 더욱 단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염물 포집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덕트(80)는 선단이 천정측으로 형성했던 덕트에 비해서 한층 높이를 낮게 유지시켜 오염물에 근접할 수가 있으므로 작업장(90) 내에서의 오염물 제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오염물에 근접하여 석션에 의해 포집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장을 더욱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집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정 덕트(100)가 천정의 측단부로 구비되는 구성에서의 집진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집진장치는 다시 크게 고정 덕트(100)와 무빙 덕트(200)와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300)과 수평 이동 덕트(400)와 수직 이동 덕트(50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 덕트(100)와 무빙 덕트(200) 및 벨트 리프링룸(300)의 구성은 전술한 일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고정 덕트(100)와 무빙 덕트(200)는 작업장내 천정측으로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구비되도록 하되 크레인(600)의 레일(610) 하부에서 레일(610)과 평행하게 구비되도록 한다.
즉 크레인(600)의 레일(610) 하단부를 지지하는 수직의 빔(900)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 폭이 돌출되게 구비한 선반(910)에 고정 덕트(100)와 무빙 덕트(200)가 고정 연결되도록 한다.
복수의 선반(910)을 따라 고정 덕트(100)는 고정되도록 하고, 이 고정 덕트(100)에는 러버 벨트(110)가 개방된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고정 덕트(100)에는 상부에 무빙 덕트(200)가 구비되도록 하는데 무빙 덕트(200)는 상측의 제1 석션룸(210)과 그 양측에서 상호 연통되도록 제2 석션룸(220)을 형성하며, 제2 석션룸(220)의 상호 마주보는 면간을 상호 연통되도록 바닥면의 일정 폭은 일정 높이가 하향 연장되도록 하여 고정 덕트(100)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제3 석션룸(230)을 일체로 형성한다.
다만, 본 발명의 무빙 덕트(200)는 도 8에서와 같이 그 상부의 크레인(600)과 연결바(620)로 연결되어 무빙 덕트(200)는 크레인(600)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무빙 덕트(200)는 크레인(600)이 레일(610)을 타고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본 실시예의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30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무빙 덕트(200)의 제2 석션룸(220)의 사이에서 제3 석션룸(230)의 상부와 양측을 일부 감싸도록 하면서 하향 개방되도록 하여 제2 석션룸(220)과 일체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고정 덕트(10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러버 벨트(110)가 일부 일정 높이로 리프팅되면서 고정 덕트(100)의 상부면 일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300)은 고정 덕트(100)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러버 벨트(110)의 일부를 일정 높이로 상승되도록 하여 상승된 높이만큼 양측으로 고정 덕트(100)와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구성인 바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300)이 이동 시 고정 덕트(100)의 개방 부위가 일정하게 변경되면서 가장 가까운 위치로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런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300)의 내부에서 양측면에는 안쪽의 전후방으로 각각 롤러(310)가 구비되도록 하되 제2 석션룸(220)간 마주보는 면간으로 연결되도록 형성한 제3 석션룸(230)의 상부와 하부에는 롤러(310)가 각각 축지지되도록 하여 이들 롤러(310)를 러버 벨트(110)가 권회하면서 러버 벨트(110)의 일부를 일정 높이로 상승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300)은 무빙 덕트(200)에 연결되면서 제2 석션룸(220)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이며, 길이 방향으로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300)에서 하단부 전후방으로 구비되는 롤러(310)들간 거리보다는 상부의 전후방으로 구비되는 롤러(310)들간의 거리가 가깝도록 롤러(310)들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렇게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300)에 의해 일부의 러버 벨트(110)가 일정 높이 상승하게 되면 상승된 러버 벨트(110)의 사이에 형성된 양측의 제2 석션룸(220)간을 연결한 제3 석션룸(230)을 통해 고정 덕트(100)로 오염물 배출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무빙 덕트(200)의 제1 석션룸(210)에는 크레인(600)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는 수평 이동 덕트(400)가 연결되도록 한다.
즉 무빙 덕트(200)의 제1 석션룸(210)은 크레인(600)의 길이 방향으로 크레인(600)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수평 이동 덕트(400)와 연결되도록 한다.
수평 이동 덕트(400)는 무빙 덕트(200)의 제1 석션룸(210)과는 제1 엘보 덕트(410)에 의해 연결되고, 그와 대응되는 타단은 크레인(6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호이스트 주행기(700)에 일체로 구비되는 평판의 상부 브라켓(730)을 일측으로 연장한 연장단부와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제1 엘보 덕트(410)는 브라켓에 의해 크레인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연결되는 구성으로 구비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수평 이동 덕트(400)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덕트들을 다단으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덕트들이 전개 또는 삽입되면서 길이가 확장 또는 축소되는 구성이다.
이때의 수평 이동 덕트(400)는 크레인(600)과 평행하게 구비되도록 하면서 일단은 크레인(600)에 고정된 상태이나 타단은 크레인(60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호이스트 주행기(700)에 일체로 구비된 상부 브라켓(730)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호이스트 주행기(700)의 주행 상태에 따라 길이가 신축되도록 한다.
이런 수평 이동 덕트(400)의 상부 브라켓(730)에 고정되는 단부에는 다시 제2 엘보 덕트(510)가 연결되도록 하고, 제2 엘보 덕트(510)의 하단부에는 일정 높이의 수직 이동 덕트(500)가 구비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수직 이동 덕트(400)는 호이스트 주행기(700)로부터 인출입되는 호이스트 와이어(710)와 평행하게 일측으로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다만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덕트들을 다단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수직의 방향으로 높이가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의 수직 이동 덕트(500)는 도 9에서와 같이 상단부가 제2 엘보 덕트(510)에 연결되도록 하면서 하단부는 호이스트 와이어(710)의 하단에서 래들 지지용 와이어가 견인될 수 있도록 구비한 후크(720)의 상부에서 호이스트 와이어(710)와 고정되도록 구비한 평판의 하부 브라켓(740)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단부와 고정 연결되도록 한다.
하부 브라켓(740)에서 수직 이동 덕트(500)는 수직 관통하면서 고정 결합되도록 하되 하단부의 흡입구(520)는 래들(L) 상부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래들(L)로부터 발생되는 유독성 가스가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수직 이동 덕트(500)의 흡입구(520)는 직경이 하단부로 점차 확장되도록 함으로서 흡입하는 면적을 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호이스트 주행기(700)에 일체로 구비되는 상부 브라켓(730)과 후크(720) 상부의 호이스트 와이어(710)와 고정 결합되도록 한 하부 브라켓(740)의 외주연부로는 복수의 승강 가이드(80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들 승강 가이드(800)들의 상단부는 상부 브라켓(730)에 고정 연결되도록 하고, 하부 브라켓(740)에는 승강 가이드(800)들이 관통할 수 있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도록 하여 승강 가이드(800)들의 외주면을 따라 하부 브라켓(740)이 승강되게 할 수가 있다.
이와는 달리 승강 가이드(800)들을 수직 이동 덕트(500)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파이프들을 다단으로 연결한 구성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이 승강 가이드(800)들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상부 브라켓(730)과 하부 브라켓(740)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호이스트 와이어(710)의 승강작용에 의해 수직 이동 덕트(500)와 동일하게 높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구성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복수의 승강 가이드(800)가 와이어(710)의 외측으로 구비되도록 하면 하부 브라켓(740)과 함께 이 하부 브라켓(740)에 연결된 호이스트 와이어(710)와 그 하단의 후크(720)에 견인되는 래들(L)의 측방으로의 유동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래들(L)의 승강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래들(L)의 안정된 높이 조정과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집진장치는 종전과 같은 많은 수의 덕트 흡입구를 형성시킬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장(90)에서 오염 위치에 근접하여 오염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석션 압력 형성을 위한 동력을 종전에 비해 대폭적으로 낮출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좀더 낮은 파워의 동력 사양에 의해서도 충분한 흡입력을 발생할 수가 있어 유지 관리를 보다 경제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10, 100 : 고정 덕트 11, 110 : 러버 벨트
20 : 이동 레일 30, : 무빙 덕트
31 : 제1 석션룸 32 : 제2 석션룸
33 : 제3 석션룸 34 : 바퀴
40 : 이탈방지구 41 : 고정 브라켓
42 : 가이드 롤러 43 : 스토퍼 레일
50, 300 :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 51 : 롤러
60 : 석션 덕트 70 : 제1 덕트
71 : 제1 실린더 80 : 제2 덕트
81 : 제2 실린더 90 : 작업장
91 : 측벽면 400 : 수평 이동 덕트
500 : 수직 이동 덕트 600 : 크레인
700 : 호이스트 주행기 800 : 승강 가이드
L : 래들

Claims (17)

  1. 작업장내 바닥면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를 따라 구비되면서 일정 폭이 상향 개방되도록 한 상부면을 러버 벨트에 의해 커버되도록 하는 고정 덕트;
    상기 고정 덕트의 양측에서 작업장 바닥면으로 구비되는 이동 레일;
    상측의 제1 석션룸과 상호 연통되는 양측의 제2 석션룸간 마주보는 면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면서 바닥면의 일정 폭은 일정 높이 하향 연장되어 상기 고정 덕트와 연통되도록 제3 석션룸이 형성되도록 하며, 하부에는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를 형성한 무빙 덕트;
    상기 제2 석션룸의 하부에서 상기 바퀴를 축지지하는 고정축의 일단에 고정 브라켓의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단에는 가이드 롤러가 축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이동 레일의 일측에서 하단부가 고정된 스토퍼 레일에 의해 상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구름이동하도록 하는 이탈방지구;
    하향 개방되도록 하면서 양측면으로는 제3 석션룸이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고, 양측 하단부의 안쪽과 제3 석션룸 상부의 양측면간으로 축지지되면서 러버 벨트가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
    상기 무빙 덕트의 상측 제1 석션룸 상단부에서 수평 회전이 가능하게 하단부가 연결되는 석션 덕트; 상기 석션 덕트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제1 실린더에 의해 수직으로 일정 각도를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면서 상부는 일정 길이가 수평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 덕트;
    상기 제1 덕트의 선단에서 상기 제1 덕트와 제2 실린더에 의해 수직으로 일정 각도를 회전 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제2 덕트;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덕트는 작업장내 일측 또는 양측의 측벽면에서 상기 러버 벨트가 하향 쳐지지 않는 정도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빙 덕트의 바퀴는 상기 이동 레일로부터 상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는 상기 석션 덕트와 제1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수직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빙 덕트의 바퀴는 모터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제1 덕트와 제2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수직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모터와 상기 제1 실린더 및 제2 실린더는 원격제어 콘트롤러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
  8. 작업장내 천정측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를 따라 구비되면서 일정 폭이 상향 개방되도록 한 상부면을 러버 벨트에 의해 커버되도록 하는 고정 덕트;
    상측의 제1 석션룸과 상호 연통되는 양측의 제2 석션룸간 마주보는 면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면서 바닥면의 일정 폭은 일정 높이 하향 연장되어 상기 고정 덕트와 연통되도록 제3 석션룸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부에서 상기 고정 덕트와 평행하게 구비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에 연결되어 크레인에 의해 상기 고정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무빙 덕트;
    하향 개방되도록 하면서 양측면으로는 제3 석션룸이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고, 양측 하단부의 안쪽과 제3 석션룸 상부의 양측면간으로 축지지되면서 러버 벨트가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벨트 리프팅 가이드룸;
    상기 제1 석션룸에 연통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엘보 덕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크레인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 주행기에 고정되는 상부 브라켓의 연장단부와 고정되어 상기 호이스트 주행기를 따라 상기 크레인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덕트들을 다단으로 연결되도록 한 수평 이동 덕트;
    상기 수평 이동 덕트의 상부 브라켓에 고정되는 단부에 결합된 제2 엘보 덕트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호이스트 와이어를 따라 일정 높이를 수직의 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덕트들을 다단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하단부는 호이스트 와이어의 후크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 브라켓의 일측으로 연장된 부위를 수직 관통하면서 고정되도록 하고, 하단부의 흡입구는 호이스트 와이어에 견인되는 래들 상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수직 이동 덕트;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 덕트는 크레인의 레일 하부에서 상기 레일 하단부를 지지하는 수직의 빔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 폭이 돌출되게 구비한 선반을 따라 상기 레일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무빙 덕트는 상부의 크레인과 연결바에 의해 고정 연결되는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보 덕트는 브라켓에 의해 크레인과 고정되도록 연결되는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의 외주연부로는 복수의 승강 가이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 브라켓의 측방 유동이 방지되게 하면서 수직의 방향으로만 승강하도록 하는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는 상단부가 상부 브라켓에 고정 연결되도록 하고, 하부 브라켓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가 수직 관통되도록 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승강 가이드들의 외주면을 따라 하부 브라켓이 승강하도록 하는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파이프들을 다단으로 연결하여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상기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에 고정 연결되게 하여 호이스트 와이어의 승강작용에 의해 높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상기 하부 브라켓을 승강되도록 하는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러버 벨트는 상기 고정 덕트의 개방된 상부면 폭보다는 큰 폭으로 형성되는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
  1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무빙 덕트의 제3 석션룸은 바닥면이 상기 고정 덕트의 개방된 상부면의 높이와 같거나 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하는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
  1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무빙 덕트의 제3 석션룸은 상기 고정 덕트와 연통되도록 바닥면에 형성시킨 홀이 상기 고정 덕트의 개방된 홀의 폭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도록 하는 이동식 집진 후드장치.
KR1020140061835A 2014-05-22 2014-05-22 이동식 집진장치 KR101556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835A KR101556401B1 (ko) 2014-05-22 2014-05-22 이동식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835A KR101556401B1 (ko) 2014-05-22 2014-05-22 이동식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401B1 true KR101556401B1 (ko) 2015-10-01

Family

ID=5433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835A KR101556401B1 (ko) 2014-05-22 2014-05-22 이동식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4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8438A (zh) * 2018-01-15 2018-08-17 南昌大学 一种用于受限空间中的水泥装车除尘装置
KR20190001763A (ko) 2017-06-28 2019-01-07 그린컨기술주식회사 국소 배기장치
CN114110870A (zh) * 2021-11-25 2022-03-01 宋新苗 一种具备双净化系统的智能环保空气净化装置
CN115338218A (zh) * 2022-07-22 2022-11-15 西安建筑科技大学 具有收集空气污染排放物功能的桥式起重机及其收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731B1 (ko) 2013-11-22 2014-01-23 류창현 전기용해로 출탕흄 흡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731B1 (ko) 2013-11-22 2014-01-23 류창현 전기용해로 출탕흄 흡입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763A (ko) 2017-06-28 2019-01-07 그린컨기술주식회사 국소 배기장치
KR101985383B1 (ko) * 2017-06-28 2019-06-03 그린컨기술주식회사 국소 배기장치
CN108408438A (zh) * 2018-01-15 2018-08-17 南昌大学 一种用于受限空间中的水泥装车除尘装置
CN108408438B (zh) * 2018-01-15 2023-10-31 南昌大学 一种用于受限空间中的水泥装车除尘装置
CN114110870A (zh) * 2021-11-25 2022-03-01 宋新苗 一种具备双净化系统的智能环保空气净化装置
CN115338218A (zh) * 2022-07-22 2022-11-15 西安建筑科技大学 具有收集空气污染排放物功能的桥式起重机及其收集方法
CN115338218B (zh) * 2022-07-22 2024-04-05 西安建筑科技大学 具有收集空气污染排放物功能的桥式起重机及其收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401B1 (ko) 이동식 집진장치
JP5283595B2 (ja) 移動式集塵フード装置
KR101673941B1 (ko)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KR102496000B1 (ko) 벽체 또는 슬래브 건식 절단장치 및 절단공법
CN203184317U (zh) 一种移动升降烟尘捕捉装置
CN107378704A (zh) 一种拉丝覆膜机
WO2021042412A1 (zh) 双层烟尘捕集罩及其使用方法
JP4486148B2 (ja) 圧延設備
CN107355066A (zh) 承压地板铺设机器
JP4245027B2 (ja) 昇降装置
CN104313526B (zh) 一种热浸镀锌车间锌烟收集装置
KR102162011B1 (ko) 내화 벽돌 절단 시스템
KR200439342Y1 (ko) 높이조절과 이동이 가능한 호이스트 크레인
KR20120132814A (ko) 천장 앙카 지지체 시공 장치
US7682555B2 (en) Suction cart for suctioning off the gases and dust produced during flame cutting processes
KR20110098278A (ko)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KR101258480B1 (ko) 플라즈마 파이프절단기 배연장치
JP7142041B2 (ja) ヒューム吸引移動式溶接装置
KR101477835B1 (ko) 랙-피니언 구동형 로봇용 승강 조립체의 오염 정화 유닛
KR101985383B1 (ko) 국소 배기장치
KR101950607B1 (ko) 코크스 오븐용 승강장치
JP201310775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内強制換気装置
JPH04258742A (ja) 移動式壁面診断作業装置
KR100496599B1 (ko) 도장작업용 집진기의 후드 이동 유지장치
JP2007130697A (ja) 壁面移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