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679B1 - 수직구 내부 격벽 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직구 내부 격벽 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679B1
KR102228679B1 KR1020200154692A KR20200154692A KR102228679B1 KR 102228679 B1 KR102228679 B1 KR 102228679B1 KR 1020200154692 A KR1020200154692 A KR 1020200154692A KR 20200154692 A KR20200154692 A KR 20200154692A KR 102228679 B1 KR102228679 B1 KR 102228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vertical
panel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오순
안정환
Original Assignee
노오순
안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오순, 안정환 filed Critical 노오순
Priority to KR1020200154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구 내부 격벽 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고정되어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따라 수직구로 승하강하도록 형성되는 곤돌라장치; 및 수직구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하부로 외벽을 형성하는 트러스와 중간벽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슬립폼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직구 내부 격벽 시공시스템{Vertical hole construction system}
본 발명은 슬립폼을 이용한 수직고 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구 벽체인 수직구 내부 격벽을 시공하기 위해 하부로 외벽을 형성하는 트러스와 중간벽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슬립폼장치를 포함하는 수직구 내부 격벽 시공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직구는 지하철 선로 공사시 열차의 운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포함된 각종 유해가스 및 미세먼지로 인해 지하터널 및 승강장의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전철역을 비롯하여 지하선로를 따라 일정구간마다 지하터널 및 승강장 내의 공기를 지상으로 배출시키거나 지상의 공기를 지하터널 및 승강장 내로 공급할 수 있는 통로역할을 하는 수직터널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수직구는 슬립폼을 이용하여 원형의 수직벽체를 시공한 후, 바닥면을 구성하는 중간 슬라브가 각 층마다 시공된다.
상기 슬립폼은 활동식 거푸집의 일종으로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가 자립할 수 있는 강도 이상이 되면 거푸집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철근조립, 콘크리트 타설 등을 실시하여 구조물을 완성시키는 공법이다.
상기와 같은 슬립폼 공법은 단일형상의 구조물에 적용되어 시공하였으나, 중간에 슬라브 등이 있을 경우 단일형상의 구조물을 선 시공하고, 중간슬라브를 후 시공하여 구조물을 완성시키게 된다.
그러나, 수직구조물과 중간슬라브의 철근 조립시 헌치부 등 수평, 수직이 아닌 경우 조립하는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987122호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34524호
본 발명은 수직구 시공시 수직구의 벽체를 시공하는 것으로, 수직구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트러스구성과 수직구의 중간벽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직구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하부로 외벽을 형성하는 트러스와 중간벽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슬립폼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립폼장치는, 슬립폼장치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슬립폼수단; 및 슬립폼장치의 중앙측으로 형성되는 제2슬립폼수단; 및 슬립폼장치의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3슬립폼수단; 및 외면 콘트리트 타설시 지지하도록 내면트러스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하부외면트러스; 및 수직구의 중간층을 형성시키기 위해 수직구 상에 고정 형성되는 중간층지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슬립폼수단은, 제1하부플레이트 상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상부플레이트; 제1상부플레이트 하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하부플레이트; 하부외면트러스와 일정간격을 두고 제1하부플레이트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1하부내면트러스; 제1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제1하부플레이트에 제1상부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일측이 제1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1하부플레이트에 고정 형성되는 제1수직고정대; 상승되는 제1슬립폼수단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외벽과 접촉되도록 제1수직고정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슬립폼수단은, 제2하부플레이트 상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2상부플레이트; 제2상부플레이트 하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2하부플레이트; 하부외면트러스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제2하부플레이트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2하부내면트러스; 제2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제2하부플레이트에 제2상부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일측이 제2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하부플레이트에 고정 형성되는 제2수직고정대; 상승되는 제2슬립폼수단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외벽과 접촉되도록 제2수직고정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3슬립폼수단은, 제3하부플레이트 상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3상부플레이트; 제3상부플레이트 하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3하부플레이트; 하부외면트러스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제3하부플레이트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3하부내면트러스; 제3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제3하부플레이트에 제3상부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일측이 제3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3하부플레이트에 고정 형성되는 제3수직고정대; 상승되는 제3슬립포무단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외벽과 접촉되도록 제3수직고정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3플레이트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지지수단은, 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해 수직구 상에 형성되는 프레임고정부재에 고정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을 수직구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수직구 벽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프레임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립폼장치는, 제1슬립폼수단과 제2슬립폼수단이 맞닿는 위치로 중간벽을 형성하기 위해 레일을 따라 거푸집을 이동시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중간벽을 형성시키며, 콘크리트 양생후 중간벽에서 거푸집이 자동 이탈되도록 형성되는 중간벽거푸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벽거푸집부는, 제1상부플레이트와 제2상부플레이트 하면과 제1하부플레이트와 제2하부플레이트 상면에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이동레일; 이동롤러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이동레일 상에 형성되는 롤러홈;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거푸집패널; 분리바가 삽입되도록 거푸집패널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분리홈; 거푸집패널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어 롤러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패널고정대; 롤러홈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패널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이동롤러; 거푸집패널과 분리패널을 고정하도록 거푸집패널과 분리패널 사이에서 모서리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패널고정바; 거푸집패널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일측으로 형성되는 분리패널; 분리홈을 관통하여 슬라이드되도록 일측이 분리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고, 타측은 중간벽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분리바; 분리바를 일측방향으로 밀어주도록 일측이 분리패널에 고정 형성되는 분리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슬립폼장치는, 제1슬립폼수단과 제2슬립폼수단 내의 작업공간을 증축으로 확보해주며, 작업 자재가 자동 하강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작업편의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편의제공부는, 제1상부플레이트와 제2상부플레이트가 승하강되어 작업공간이 증축되도록 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해주도록 수직고정대 상에 형성되는 높이증축수단; 및 제1상부플레이트와 제2상부플레이트 측으로 하강되어 안착된 자재를 작업공간 측으로 하강시키도록 제1상부플레이트와 제2상부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플레이트하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증축수단은, 증축고정부재를 밀어 주기 위해 제1수직고정대와 제2수직고정대와 제3수직고정대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형성되는 높이증축실린더; 높이증축실린더에 의해 상승되도록 제1수직고정대와 제2수직고정대와 제3수직고정대 중앙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형성되는 증축고정부재; 높이증축실린더의 실린더 축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제1수직고정대와 제2수직고정대와 제3수직고정대 일측 둘레로 형성되는 증축관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하강수단은, 하강플레이트를 하강시키기 위해 제1하부플레이트와 제2하부플레이트 하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하강실린더; 하강실린더에 의해 하강되도록 제1상부플레이트와 제2상부플레이트 상에 각각 형성되는 하강플레이트;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도록 하강플레이트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하강플레이트가 흔들림없이 하강되도록 하강플레이트 양측으로 일측이 제1상부플레이트와 제2상부플레이트에 고정 형성되는 플레이트가이드; 가이드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가이드 상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 하강플레이트 상면에 안착되는 자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강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단; 하강플레이트의 하강시 하강플레이트 주변의 작업자를 감지하도록 하강플레이트 하면으로 형성되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슬립폼장치는, 작업공간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 정화하여 정화된 공기를 작업공간 측으로 재배출 시켜주도록 제1하부플레이트와 제2하부플레이트 상부로 각각 형성되는 공기순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순환부는, 흡입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여 정화시키기 위해 제1하부플레이트와 제2하부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공기정화함체; 공기정화함체 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공기정화함체 일측으로 형성되는 공기흡입펌프; 분진을 흡입하기 위해 공기정화함체 일측으로 공기이동관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공기흡입덕트; 공기흡입덕트와 공기정화함체 사이의 연결 형성되는 공기이동관; 흡입되는 분진이 흡착패널에 흡착되도록 흡착패널 측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공기정화함체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물분사노즐; 흡입되는 분진이 물과함께 흡착되도록 공기정화함체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흡착패널; 흡착패널에 흡착되어 물과함께 낙하되는 분진물이 고이도록 공기정화함체 하부로 형성되는 분진물고임홈; 분진물고임홈에 고여진 분진물에서 이물질과 물을 분리하기 위해 분진물고임홈 일측으로 형성되는 이물질걸름망; 이물질걸름망을 통해 걸러진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공기정화함체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물배출관; 분진물고임홈에 물과 걸러진 이물질을 이물질배출함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분진물고임홈 상에 형성되는 이물질배출스크류; 이물질배출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해 이물질배출스크류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배출스크류모터; 이물질배출스크류를 통해 이동되는 이물질을 보관하기 위해 공기정화함체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이물질배출함; 흡입되어 정화된 공기를 작업공간 측으로 배출하기 위해 공기흡입펌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정화공기배출관을 포함하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구의 외벽 시공시 수직구 중간의 벽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어 작업의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의 능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한번의 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인건비 절감의 효과를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 수직구시스템의 슬립폼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도 9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슬립폼장치에 또다른 실시예인 중간벽거푸집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슬립폼장치에 또다른 실시예인 작업폄의제공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 슬립폼장치에 또다른 실시예인 공기순환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9는 본 발명 수직구시스템의 슬립폼장치(6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a와 도 10b는 도 은 도 9에 대해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는 시공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외벽과 중간벽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립폼장치(600)는 지면에 형성되는 수직구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립폼장치(600)는 하부로 외벽을 형성하는 트러스와 중간벽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립폼장치(600)는 제1슬립폼수단(610)과 제2슬립폼수단(620)과 제3슬립폼수단(630)과 하부외면트러스(640)와 중간층지지수단(68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슬립폼수단(610)은 슬립폼장치(600)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슬립폼수단(610)은 제1상부플레이트(611), 제1하부플레이트(612), 제1하부내면트러스(613), 제1수직고정대(614), 제2플레이트지지바(6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상부플레이트(611)는 제1하부플레이트(612) 상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상부플레이트(611)는 제1하부플레이트(612) 상측으로 복수개의 제1수직고정대(614)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612)는 제1상부플레이트(611) 하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612)는 제1상부플레이트(611) 하측으로 복수개의 제1수직고정대(614)에 의해 고정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612)는 제1하부내면트러스(613)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하부내면트러스(613)는 하부외면트러스(640)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하부내면트러스(613)는 제1하부플레이트(612) 하측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직고정대(614)는 제1상부플레이트(611)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제1하부플레이트(612)에 제1상부플레이트(611)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직고정대(614)는 일측이 제1상부플레이트(611) 하부로 고정되고, 타측은 제1하부플레이트(612) 상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지지바(615)는 상승되는 제1슬립폼수단(61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외벽과의 접촉 더욱상세하게는 외벽측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에 접촉되어 상승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지지바(615)는 제1수직고정대(614)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슬립폼수단(620)은 슬립폼장치(600)의 중앙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슬립폼수단(620)은 제2상부플레이트(621), 제2하부플레이트(622), 제2하부내면트러스(623), 제2수직고정대(624), 제2플레이트지지바(625)를 포함한다.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621)는 제2하부플레이트(622) 상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621)는 제2하부플레이트(622) 상측으로 복수개의 제2수직고정대(624)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622)는 제2상부플레이트(621) 하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622)는 제2상부플레이트(621) 하측으로 복수개의 제2수직고정대(624)에 의해 고정 형성되며,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622)는 제2하부내면트러스(623)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하부내면트러스(623)는 하부외면트러스(640)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하부내면트러스(623)는 제2하부플레이트(622) 하측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수직고정대(624)는 제2상부플레이트(621)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제2하부플레이트(622)에 제2상부플레이트(621)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수직고정대(624)는 일측이 제2상부플레이트(621) 하부로 고정되고, 타측은 제2하부플레이트(622) 상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플레이트지지바(625)는 상승되는 제2슬립폼수단(62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외벽과의 접촉 더욱상세하게는 외벽측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에 접촉되어 상승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플레이트지지바(625)는 제2수직고정대(624)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슬립폼수단(630)은 슬립폼장치(600)의 중앙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슬립폼수단(630)은 제3상부플레이트(631), 제3하부플레이트(632), 제3하부내면트러스(633), 제3수직고정대(634), 제3플레이트지지바(635)를 포함한다.
상기 제3상부플레이트(631)는 제3하부플레이트(632) 상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상부플레이트(631)는 제3하부플레이트(632) 상측으로 복수개의 제3수직고정대(634)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하부플레이트(632)는 제3상부플레이트(631) 하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하부플레이트(632)는 제3상부플레이트(631) 하측으로 복수개의 제3수직고정대(634)에 의해 고정 형성되며, 상기 제3하부플레이트(632)는 제3하부내면트러스(633)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하부내면트러스(633)는 하부외면트러스(640)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3하부내면트러스(633)는 제3하부플레이트(632) 하측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수직고정대(634)는 제3상부플레이트(631)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제3하부플레이트(632)에 제3상부플레이트(631)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수직고정대(634)는 일측이 제3상부플레이트(631) 하부로 고정되고, 타측은 제3하부플레이트(632) 상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플레이트지지바(635)는 상승되는 제3슬립폼수단(63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외벽과의 접촉 더욱상세하게는 외벽측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에 접촉되어 상승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플레이트지지바(635)는 제3수직고정대(634)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외면트러스(640)는 외벽 콘트리트 타설을 위해 제1하부외면트러스(640)와 제2하부외면트러스(640)와 제3하부외면트러수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외면트러스(640)는 외벽의 두께에 따라 간격을 조정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외면트러스(640)는 외부로 형성되는 거푸집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층지지수단(680)은 수직구의 중간 층을 형성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중간층지지수단(680)은 수직구 상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층지지수단(680)은 벽체지지프레임(681), 프레임고정부재(682)를 포함한다.
상기 벽체지지프레임(681)은 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지지프레임(681)은 수직구 상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프레임이 격자 형성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체지지프레임(681)은 프레임고정부재(682)에 의해 고정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고정부재(682)는 벽체지지프레임(681)을 수직구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고정부재(682)는 수직구 벽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형성되며, 벽체지지프레임(681)의 수에 맞게 벽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슬립폼장치(600)를 상승시키는 방법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방식인 유압잭방식 또는 크레인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슬립폼장치(600)를 지하에서 지상 측으로 이동시키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 슬립폼장치(600)에 또다른 실시예인 중간벽거푸집부(700)를 적용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대해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벽거푸집부(700)는 슬립폼장치(600)에 더 포함되어 적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벽거푸집부(700)는 제1슬립폼수단(610)과 제2슬립폼수단(620)이 맞닿는 위치로 중간벽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간벽거푸집부(700)는 레일을 따라 거푸집을 이동시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 중간벽을 형성시키고, 콘크리트 양생후 중간벽에서 거푸집이 자동 이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벽거푸집부(700)는 이동레일(710), 롤러홈(711), 거푸집패널(712), 분리홈(713), 패널고정대(714), 이동롤러(715), 패널고정바(716), 분리패널(717), 분리바(718), 분리실린더(719)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레일(710)은 제1상부플레이트(611)와 제2상부플레이트(621)의 하면, 제1하부플레이트(612)와 제2하부플레이트(622)의 상면에 각각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레일(710)은 중간벽을 생성하기 위한 거푸집패널(712)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홈(711)은 이동롤러(715)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홈(711)은 이동레일(71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푸집패널(712)은 이동레일(710)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거푸집패널(712)은 중간벽을 타설하기 위해 형성되는 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홈(713)은 분리바(718)가 삽입되어 관통함으로 중간벽 측으로 분리바(718)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리홈(713)은 거푸집패널(712)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고정대(714)는 거푸집패널(712)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동롤러(715)가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롤러홈(711)에 삽입되어 롤러홈(711)을 따라 이동시 이동롤러(715)가 슬라이드 이동되며, 패널고정대(714)가 롤러홈(711)에 밀착되어 흔들림없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롤러(715)는 롤러홈(711)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롤러(715)는 패널고정대(71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롤러(715)의 회전은 작업자가 직접 거푸집패널(712)을 밀어 이동시킴에 따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고정바(716)는 거푸집패널(712)에 분리패널(717)을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고정바(716)는 거푸집패널(712)과 분리패널(717) 사이에서 모서리위치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패널고정바(716)는 일측이 거푸집패널(712)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이 분리패널(717)에 삽입고정되어 거푸집패널(712)과 분리패널(717)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패널(717)은 거푸집패널(712)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리패널(717)은 패널고정바(716)에 의해 거푸집패널(712) 상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바(718)는 분리홈(713)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이 분리실린더(719)의 실린더 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중간벽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리바(718)는 일측이 거푸집패널(712)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가 분리실린더(719)의 작동시 중간벽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분리실린더(719)는 분리바(718)를 일측방향으로 밀어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리실린더(719)는 일측이 분리패널(717)에 고정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거푸집패널(712)이 제1슬립폼수단(610)과 제2슬립폼수단(620)이 맞닿는 위치로 이동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후 분리실린더(719)의 작동으로 분리바(718)가 중간벽을 밀어줌과 동시에 거푸집패널(712)이 이동레일(710)을 따라 중간벽의 반대방향 측으로 일정 거리 이동됨으로 거푸집패널(712)이 중간벽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 슬립폼장치(600)에 또다른 실시예인 작업편의제공부(800)를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업편의제공부(800)는 슬립폼장치(600)에 더 포함되어 적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편의제공부(800)는 제1슬립폼수단(610)과 제2슬립폼수단(620)과 제3슬립폼수단(630) 내의 작업공간을 증축으로 확보해 줌으로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작업재자가 자동 하강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무거운 자재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편의제공부(800)는 높이증축수단(810)과 플레이트하강수단(820)을 포함한다.
상기 높이증축수단(810)은 제1상부플레이트(611)와 제2상부플레이트(621)와 제3상부플레이트(631)가 승하강되어 작업공간이 증축됨으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안전을 예방하며 작업의 편의를 제공하도록 수직고정대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고정대는 제1수직고정대(614)와 제2수직고정대(62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증축수단(810)은 높이증축실린더(811), 증축고정부재(812), 증축관(813)을 포함한다.
상기 높이증축실린더(811)는 증축고정부재(812)를 밀어 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높이증축실린더(811)는 제1수직고정대(614)와 제2수직고정대(624)와 제3수직고정대(634) 각각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축고정부재(812)는 높이증축실린더(811)에 의해 상승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1수직고정대(614)와 제2수직고정대(624)와 제3수직고정대(634) 중앙을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축관(813)은 높이증축실린더(811)의 실린더 축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수직고정대(614)와 제2수직고정대(624)와 제3수직고정대(634) 일측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하강수단(820)은. 제1상부플레이트(611)와 제2상부플레이트(621) 측으로 하강되어 안착된 자재를 작업공간 즉, 제1상부플레이트(611)와 제1하부플레이트(612) 사이, 제2상부플레이트(621)와 제2하부플레이트(622) 사이의 공간으로 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상부플레이트(611)와 제2상부플레이트(621)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하강수단(820)은 하강실린더(821), 하강플레이트(822), 가이드부재(823), 플레이트가이드(824), 가이드홈(825), 이탈방지단(826), 인체감지센서(827)를 포함한다.
상기 하강실린더(821)는 하강플레이를 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강실린더(821)는 제1하부플레이트(612)와 제2하부플레이트(622) 하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강플레이트(822)는 하강실린더(821)에 의해 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강플레이트(822)는 제1상부플레이트(611)와 제2상부플레이트(621) 상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823)는 가이드홈(825)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하강플레이트(822)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823)는 가이드홈(825)을 관통하여 하강실린더(821)의 실린더 축과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가이드(824)는 하강플레이트(822)가 흔들림없이 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가이드(824)는 하강플레이트(822)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이 제1상부플레이트(611)와 제2상부플레이트(621)에 각각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홈(825)은 가이드부재(8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홈(825)은 플레이트가이드(824) 상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단(826)은 하강플레이트(822) 상면에 안착되는 자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방지단(826)을 하강플레이트(822) 상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체감지센서(827)는 하강플레이트(822)의 하강시 하강플레이트(822) 주변의 작업자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인체감지센서(827)는 하강플레이트(822) 하면 일측에 형성되며, 소리를 통해 작업자에게 하강한다는 것을 알려주도록 형성된다.
또한, 인체감지센서(827)로부터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하강실린더(821)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 슬립폼장치(600)에 또다른 실시예인 공기순환부(900)를 적용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 대해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순환부(900)는 슬립폼장치(600)에 더 포함되어 적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순환부(900)는 작업공간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고, 정화하여 정화된 공기를 작업공간 측으로 재배출하도록 하여 지하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질식사를 예방하며 청정공기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순환부(900)는 제1하부플레이트(612)와 제2하부플레이트(622) 상부로 각각 형성되거나, 제1하부플레이트(612)와 제2하부플레이트(622) 중 어느 하나의 하부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순환부(900)는 공기정화함체(910), 공기흡입펌프(911), 공기흡입덕트(912), 공기이동관(913), 물분사노즐(920), 흡착패널(921), 분진물고임홈(930), 이물질걸름망(931), 물배출관(940), 이물질배출스크류(950), 배출스크류모터(951), 이물질배출함(952), 정화공기배출관(96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정화함체(910)는 흡입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여 정화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정화함체(910)는 제1하부플레이트(612)와 제2하부플레이트(622)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흡입펌프(911)는 분진을 공기정화함체(910) 측으로 흡입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흡입펌프(911)는 공기정화함체(910) 일측으로 형성되어 공기정화함체(910) 측으로 분진이 섞인 공기가 이동되도록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흡입덕트(912)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흡입덕트(912)는 공기정화함체(910) 일측으로 공기이동관(913)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이동관(913)은 공기흡입덕트(912)를 통해 흡입되는 분진을 공기정화함체(91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이동관(913)은 일측이 공기흡입덕트(912)에 연결되고, 타측은 공기정화함체(910)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분사노즐(920)은 흡입되는 분진이 흡착패널(921)에 흡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물분사노즐(920)은 흡착패널(921) 측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분사노즐(920)은 공기정화함체(910)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흡착패널(921)을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패널(921)은 흡입되는 분진이 물과 함께 흡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착패널(921)은 공기정화함체(91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진물고임홈(930)은 흡착패널(921)에 흡착되어 물과 함께 낙하되는 분진물이 고이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진물고임홈(930)은 공기정화함체(910)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걸름망(931)은 분진물고임홈(930)에 고여진 분진물에서 이물질과 물을 분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물질걸름망(931)은 분진물고임홈(930) 일측으로 물배출관(940) 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배출관(940)은 이물질걸름망(931)을 통해 걸러진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물배출관(940)은 공기정화함체(910)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배출스크류(950)는 분진물고임홈(930)에 물과 걸러진 이물질을 이물질배출함(952)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물질배출스크류(950)는 분진물고임홈(930) 상에서 일측이 배출스크류모터(951)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스크류모터(951)는 이물질배출스크류(950)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스크류모터(951)는 이물질배출스크류(950)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며, 공기정화함체(910)를 관통하여 공기정화함체(910) 외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배출함(952)은 이물질배출스크류(950)를 통해 이동되는 이물질을 보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물질배출함(952)은 공기정화함체(910)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화공기배출관(960)은 흡입되어 정화된 공기를 다시 작업공간 측으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정화공기배출관(960)은 공기흡입펌프(9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직구시스템
100 : 곤돌라장치 110 : 지지수단
111 : 수직고정대 112 : 수평지지대
113 : 무게추 114 : 고정와이어
120 : 탑승수단 121 : 상부틀
122 : 하부틀 123 : 수직틀
124 : 개폐문 130 : 승하강수단
131 : 승하강구동모터 132 : 제1와이어롤러
133 : 제2와이어롤러 134 : 구동와이어
135 : 제1낙하방지롤러 136 : 제2낙하방지롤러
137 : 낙하방지수단 138 : 낙하방지와이어
200 : 자동수평및텐션부 210 : 상부플레이트
220 : 하부플레이트 230 : 바닥접촉패드
240 : 플레이트고정바 250 : 고정바삽입관
260 : 압착스프링 270 : 제1무게액이동함
271 : 제2무게액이동함 272 : 제3무게액이동함
273 : 제4무게액이동함 274 : 무게액이동관
300 : 공간증축부 310 : 상부증축바
311 : 상부증축관 312 : 상부증축스크류
313 : 상부스크류모터 320 : 하부증축바
321 : 하부증축관 322 : 하부증축스크류
323 : 하부스크류모터
340 : 수직증축바 341 : 수직증축관
342 : 수직증축스크류 343 : 수직스크류모터
400 : 케이지고정부 410 : 하부고정수단
411 : 바닥면접촉부재 412 : 승하강부재
413 : 충격완화패드 414 : 제1작동바
415 : 제2작동바 416 : 바회전힌지
417 : 바중앙힌지 418 : 제1바실린더
419 : 제2바실린더 420 : 상부고정수단
421 : 측면회전힌지 422 : 측면고정실린더
423 : 측면고정부재 424 : 고정밀착패드
600 : 슬립폼장치 610 : 제1슬립폼수단
611 : 제1상부플레이트 612 : 제1하부플레이트
613 : 제1하부내면트러스 614 : 제1수직고정대
615 : 제1플레이트지지바 620 : 제2슬립폼수단
621 : 제2상부플레이트 622 : 제2하부플레이트
623 : 제2하부내면트러스 624 : 제2수직고정대
625 : 제2플레이트지지바 630 : 제3슬립폼수단
631 : 제3상부플레이트 632 : 제3하부플레이트
633 : 제3하부내면트러스 634 : 제3수직고정대
635 : 제3플레이트지지바 640 : 하부외면트러스
680 : 중간층지지프레임 681 : 벽체지지프레임
682 : 프레임고정부재
700 : 중간벽거푸집부
710 : 이동레일 711 : 롤러홈
712 : 거푸집패널 713 : 분리홈
714 : 패널고정대 715 : 이동롤러
716 : 패널고정바 717 : 분리패널
718 : 분리바 719 : 분리실린더
800 : 작업편의제공부 810 : 높이증축수단
811 : 높이증축실린더 812 : 증축고정부재
813 : 증축관 820 : 플레이트하강수단
821 : 하강실린더 822 : 하강플레이트
823 : 가이드부재 824 : 플레이트가이드
825 : 가이드홈 826 : 이탈방지단
827 : 인체감지센서
900 : 공기순환부 910 : 공기정화함체
911 : 공기흡입펌프 912 : 공기흡입덕트
913 : 공기이동관 920 : 물분사노즐
921 : 흡착패널 930 : 분진물고임홈
931 : 이물질걸름망 940 : 물배출관
950 : 이물질배출스크류 951 : 배출스크류모터
952 : 이물질배출함 960 : 정화공기배출관

Claims (2)

  1. 수직구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하부로 외벽을 형성하는 트러스와 중간벽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슬립폼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슬립폼장치는,
    슬립폼장치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슬립폼수단; 및
    슬립폼장치의 중앙측으로 형성되는 제2슬립폼수단; 및
    슬립폼장치의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3슬립폼수단; 및
    외면 콘트리트 타설시 지지하도록 내면트러스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하부외면트러스; 및
    수직구의 중간층을 형성시키기 위해 수직구 상에 고정 형성되는 중간층지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슬립폼수단은,
    제1하부플레이트 상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상부플레이트;
    제1상부플레이트 하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하부플레이트;
    하부외면트러스와 일정간격을 두고 제1하부플레이트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1하부내면트러스;
    제1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제1하부플레이트에 제1상부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일측이 제1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1하부플레이트에 고정 형성되는 제1수직고정대;
    상승되는 제1슬립폼수단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외벽과 접촉되도록 제1수직고정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슬립폼수단은,
    제2하부플레이트 상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2상부플레이트;
    제2상부플레이트 하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2하부플레이트;
    하부외면트러스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제2하부플레이트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2하부내면트러스;
    제2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제2하부플레이트에 제2상부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일측이 제2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하부플레이트에 고정 형성되는 제2수직고정대;
    상승되는 제2슬립폼수단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외벽과 접촉되도록 제2수직고정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3슬립폼수단은,
    제3하부플레이트 상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3상부플레이트;
    제3상부플레이트 하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3하부플레이트;
    하부외면트러스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제3하부플레이트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3하부내면트러스;
    제3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제3하부플레이트에 제3상부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일측이 제3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3하부플레이트에 고정 형성되는 제3수직고정대;
    상승되는 제3슬립포무단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외벽과 접촉되도록 제3수직고정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3플레이트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지지수단은,
    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해 수직구 상에 형성되는 프레임고정부재에 고정형성되는 벽체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을 수직구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수직구 벽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프레임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립폼장치는,
    제1슬립폼수단과 제2슬립폼수단이 맞닿는 위치로 중간벽을 형성하기 위해 레일을 따라 거푸집을 이동시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중간벽을 형성시키며, 콘크리트 양생후 중간벽에서 거푸집이 자동 이탈되도록 형성되는 중간벽거푸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벽거푸집부는,
    제1상부플레이트와 제2상부플레이트 하면과 제1하부플레이트와 제2하부플레이트 상면에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이동레일;
    이동롤러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이동레일 상에 형성되는 롤러홈;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거푸집패널;
    분리바가 삽입되도록 거푸집패널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분리홈;
    거푸집패널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어 롤러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패널고정대;
    롤러홈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패널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이동롤러;
    거푸집패널과 분리패널을 고정하도록 거푸집패널과 분리패널 사이에서 모서리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패널고정바;
    거푸집패널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일측으로 형성되는 분리패널;
    분리홈을 관통하여 슬라이드되도록 일측이 분리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고, 타측은 중간벽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분리바;
    분리바를 일측방향으로 밀어주도록 일측이 분리패널에 고정 형성되는 분리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슬립폼장치는,
    제1슬립폼수단과 제2슬립폼수단과 제3슬립폼수단 내의 작업공간을 증축으로 확보해주며, 작업 자재가 자동 하강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작업편의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편의제공부는,
    제1상부플레이트와 제2상부플레이트와 제3상부플레이트가 승하강되어 작업공간이 증축되도록 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해주도록 수직고정대 상에 형성되는 높이증축수단; 및
    제1상부플레이트와 제2상부플레이트 측으로 하강되어 안착된 자재를 작업공간 측으로 하강시키도록 제1상부플레이트와 제2상부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플레이트하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증축수단은,
    증축고정부재를 밀어 주기 위해 제1수직고정대와 제2수직고정대와 제3수직고정대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형성되는 높이증축실린더;
    높이증축실린더에 의해 상승되도록 제1수직고정대와 제2수직고정대와 제3수직고정대 중앙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형성되는 증축고정부재;
    높이증축실린더의 실린더 축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제1수직고정대와 제2수직고정대와 제3수직고정대 일측 둘레로 형성되는 증축관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하강수단은,
    하강플레이트를 하강시키기 위해 제1하부플레이트와 제2하부플레이트 상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하강실린더;
    하강실린더에 의해 하강되도록 제1상부플레이트와 제2상부플레이트 상에 각각 형성되는 하강플레이트;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도록 하강플레이트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하강플레이트가 흔들림없이 하강되도록 하강플레이트 양측으로 일측이 제1상부플레이트와 제2상부플레이트에 고정 형성되는 플레이트가이드;
    가이드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가이드 상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
    하강플레이트 상면에 안착되는 자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강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단;
    하강플레이트의 하강시 하강플레이트 주변의 작업자를 감지하도록 하강플레이트 하면으로 형성되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슬립폼장치는,
    작업공간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 정화하여 정화된 공기를 작업공간 측으로 재배출 시켜주도록 제1하부플레이트와 제2하부플레이트 상부로 각각 형성되는 공기순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순환부는,
    흡입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여 정화시키기 위해 제1하부플레이트와 제2하부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공기정화함체;
    공기정화함체 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공기정화함체 일측으로 형성되는 공기흡입펌프;
    분진을 흡입하기 위해 공기정화함체 일측으로 공기이동관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공기흡입덕트;
    공기흡입덕트와 공기정화함체 사이의 연결 형성되는 공기이동관;
    흡입되는 분진이 흡착패널에 흡착되도록 흡착패널 측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공기정화함체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물분사노즐;
    흡입되는 분진이 물과함께 흡착되도록 공기정화함체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흡착패널;
    흡착패널에 흡착되어 물과함께 낙하되는 분진물이 고이도록 공기정화함체 하부로 형성되는 분진물고임홈;
    분진물고임홈에 고여진 분진물에서 이물질과 물을 분리하기 위해 분진물고임홈 일측으로 형성되는 이물질걸름망;
    이물질걸름망을 통해 걸러진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공기정화함체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물배출관;
    분진물고임홈에 물과 걸러진 이물질을 이물질배출함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분진물고임홈 상에 형성되는 이물질배출스크류;
    이물질배출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해 이물질배출스크류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배출스크류모터;
    이물질배출스크류를 통해 이동되는 이물질을 보관하기 위해 공기정화함체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이물질배출함;
    흡입되어 정화된 공기를 작업공간 측으로 배출하기 위해 공기흡입펌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정화공기배출관을 포함하는 수직구 내부 격벽 시공시스템.
  2. 삭제
KR1020200154692A 2020-11-18 2020-11-18 수직구 내부 격벽 시공시스템 KR102228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692A KR102228679B1 (ko) 2020-11-18 2020-11-18 수직구 내부 격벽 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692A KR102228679B1 (ko) 2020-11-18 2020-11-18 수직구 내부 격벽 시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679B1 true KR102228679B1 (ko) 2021-03-15

Family

ID=75134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692A KR102228679B1 (ko) 2020-11-18 2020-11-18 수직구 내부 격벽 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67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777A (ko) * 2006-10-02 2008-04-07 주식회사 형주엔지니어링 친환경 지하 수직터널 슬립 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수직터널 시공법
KR20090047575A (ko) * 2007-11-08 2009-05-13 주식회사 형주엔지니어링 지중 수직터널 구조물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지중수직터널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987122B1 (ko) 2008-02-05 2010-10-11 은산토건(주)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
KR101234524B1 (ko) 2011-03-22 2013-02-19 전자부품연구원 회전 디스크를 갖는 곤돌라 로봇 및 그의 자세 제어 방법
KR20160083659A (ko) * 2015-01-02 2016-07-12 고엄식 수직터널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79180B1 (ko) * 2016-04-28 2016-11-24 주식회사 네오시티 수직환기구의 시공방법
KR102146073B1 (ko) * 2020-04-20 2020-08-19 주식회사 네오시티 변단면 수직구 시공을 위한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변단면 수직구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777A (ko) * 2006-10-02 2008-04-07 주식회사 형주엔지니어링 친환경 지하 수직터널 슬립 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수직터널 시공법
KR20090047575A (ko) * 2007-11-08 2009-05-13 주식회사 형주엔지니어링 지중 수직터널 구조물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지중수직터널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987122B1 (ko) 2008-02-05 2010-10-11 은산토건(주) 장원형 교각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수평근 배근방법
KR101234524B1 (ko) 2011-03-22 2013-02-19 전자부품연구원 회전 디스크를 갖는 곤돌라 로봇 및 그의 자세 제어 방법
KR20160083659A (ko) * 2015-01-02 2016-07-12 고엄식 수직터널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79180B1 (ko) * 2016-04-28 2016-11-24 주식회사 네오시티 수직환기구의 시공방법
KR102146073B1 (ko) * 2020-04-20 2020-08-19 주식회사 네오시티 변단면 수직구 시공을 위한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변단면 수직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678B1 (ko) 가설식 곤돌라 장치
JP4651857B2 (ja) 建物の解体工法
CN112112409A (zh) 一种可稳定调节高度以及可移动的建筑施工架
KR20090049100A (ko) 건물외장 청소로봇
KR102228679B1 (ko) 수직구 내부 격벽 시공시스템
CN104929353A (zh) 可拆卸楼梯式电梯井自动爬升操作平台
CN110916571B (zh) 一种幕墙清洁设备
CN212802424U (zh) 铝合金移动式外悬挑脚手架
CN112144864B (zh) 液压自爬模装置
CN211997832U (zh) 一种建筑工地的废弃铁钉收集装置
JP3448655B2 (ja) 舞台構造
CN206987341U (zh) 一种建筑施工架
JP3757509B2 (ja) 有水式ガスホルダーの工法
JPH0280741A (ja) ユニツトフロアの製造、ストツク方法及び装置
CN106310800A (zh) 一种除尘器的维修平台
CN210559075U (zh) 一种无尘室通风管吊装装置
CN220678562U (zh) 一种房屋建设用筛沙装置
KR100965607B1 (ko) 석면가루의 외부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워터젯을 이용한지하철 천장의 석면 제거장비
JP2001303774A (ja) 建物の解体工法
JP7321507B2 (ja) テント
CN216283072U (zh) 一种民用机场场道施工用爆破防护装置
CN216690304U (zh) 智能化施工平台
CN216986916U (zh) 一种建筑工程扬尘洒水降尘装置
JP5365844B2 (ja) 建物改修/解体用装置及び建物の改修/解体方法
JP4986029B2 (ja) ストック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