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375B1 - 지붕작업장치 - Google Patents

지붕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375B1
KR101589375B1 KR1020140065209A KR20140065209A KR101589375B1 KR 101589375 B1 KR101589375 B1 KR 101589375B1 KR 1020140065209 A KR1020140065209 A KR 1020140065209A KR 20140065209 A KR20140065209 A KR 20140065209A KR 101589375 B1 KR101589375 B1 KR 101589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angle
connection
roof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401A (ko
Inventor
최재형
Original Assignee
최재형
최윤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형, 최윤상 filed Critical 최재형
Priority to KR1020140065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375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2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roof coverings comprising tiles, shingles, or like roof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03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removing ro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4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roof coverings comprising slabs, sheets or flexibl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에서 지붕재의 설치, 해체 및 보수 작업에 필요한 작업베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크레인이나 고소작업차량에 매달린 형태로 지붕에 접근하며, 지붕의 경사에 대응하여 작업프레임과 적재대를 작업에 적합한 자세로 변형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베이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적절한 위치에 적재대를 제공하는 지붕 작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붕작업장치{Roof Working Device}
본 발명은 지붕에서 지붕재의 설치, 해체 및 보수 작업에 필요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베이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기와나 슬레이트 등의 지붕재를 적재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적재 대를 제공하는 지붕 작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붕작업은 안전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위험작업으로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1960년대부터 지붕재로 많이 사용되어온 슬레이트는 1급 발암물질인 석면이 다량 함유되어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위험물질로서 시급히 해체하여 격리 처리되어야하며, 이를 해체하고자 할 때에는 석면안전관리법에 의거하여 적법하게 처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슬레이트 해체에 필요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장치의 개발이 사회적으로 더욱 요구되고 있다.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등록번호: 10-1331184 (2013년 11월 13일 등록)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등록번호: 10-1160459 (2012년 06월 21일 등록)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등록번호: 10-1160458 (2012년 06월 21일 등록) 건축물의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등록번호: 10-1160457(2012년 06월 21일 등록) 건축물의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등록번호: 10-0957025 (2010년 05월 03일 등록)
없음
본 발명의 목적은 지붕작업에 필요한 작업베이스를 제공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붕의 경사에 대응하여 작업프레임을 적절한 형태로 변형하여 작업자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작업베이스와 지붕재를 적재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적재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작업프로세스를 최적화할 수 있는 구조와 형태를 제공하여 작업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붕경사에 대응하는 지붕 작업 장치에 있어서,
크레인 또는 고소작업차량의 붐 말단의 아답타에 부착되어 승강되는 수직연결 빔과,
상기 수직연결 빔에 연결된 허브 브라켓과,
상기 허브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시트프레임 두 개와,
상기 시트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시트 및 안전 바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 측면에 부착된 브라켓에 연결되어 메인프레임 중심축과 평행한 축에 대해 회동가능한 회전어깨뭉치 두 개와,
상기 회전어깨뭉치에 구비된 회전어깨뭉치의 회동축과 직각을 이루는 두 개의 대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각각 연결된 두 개의 연결로드 두 세트와,
상기 두 연결로드의 타단에 두 곳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재대 두개와,
상기 허브 브라켓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 한 세트와,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 두 세트와,
상기 메인프레임과 평행한 축에 대한 상기 회전어깨뭉치의 회동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 두 세트와,
상기 연결로드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 두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구성의 기본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술구성의 기본 특징에 일부 구성품을 더하거나 빼거나 변형을 주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지붕작업장치는 크레인이나 고소작업차량의 붐 말단에 매달린 형태로 지붕에 접근하는데, 상기 붐 말단에 구비된 턴테이블을 이용하여 지붕의 경사각에 대응하도록 수직축에 대한 메인프레임의 각도를 변형시킨다.
크레인이나 고소작업차량의 붐 말단에 턴테이블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직연결 빔 하부에 턴테이블을 구비하여 수직축에 대한 지붕 작업 장치의 각도를 변형시킨다.
그리고 메인프레임과 시트프레임 그리고 적재대가 지붕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작업각도가 되도록 허브 브라켓과 메인프레임 사이, 메인프레임과 시트프레임 사이, 메인프레임과 회전어깨뭉치 사이 그리고 적재대 연결로드와 회동연결부에 구비된 각각의 각도제어수단을 이용하여 각도를 변화시키고 고정시킨다.
그러면 두 명의 지붕 작업자는 지붕 작업 장치에 구비된 의자에 몸을 의지하고 적재대를 활용하여 가장 편리한 위치에서 지붕재의 설치나 해체 또는 보수작업 같은 지붕작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재대는 메인프레임과 같은 기울기를 가지면서 위치도 변환시킬 수 있도록 평행이동하는 특징이 있으므로 지붕작업장치 전체의 자세를 변환하지 않고도 지붕재의 해체나 설치 및 적재작업 등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최적 능률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지붕작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지붕작업장치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작업장치의 제 1실시 예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지붕작업장치는 크레인이나 고소작업차의 붐 말단의 아답터에 조립되어 높이 조절이 되는 수직연결 빔(10)과 이에 연결된 균형장치(20), 이와 연결된 수직축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턴테이블(30), 이와 연결된 회전 완충기(40), 이와 연결된 허브 브라켓(50) 그리고 이와 연결된 메인프레임(100)과 부가조립체로 구성되며, 메인프레임 각도제어수단(51)에 의해 메인프레임의 기울기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은 다양한 작업조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구조로 할 수 있다.
그런데 크레인이나 고소작업장치 붐 말단에 회전이 가능한 턴테이블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연히 턴테이블(30)이 없어도 된다.
균형장치(20)는 적재물의 적재 등으로 지붕작업장치의 무게중심이 변할 때 균형을 보정하는데 유용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회전 완충기(40)도 있으면 회전동작에서 발생하는 충격적인 가 감속을 완화시켜서 탑승 작업자가 좀 더 편안하겠지만 필수품은 아니다.
균형장치(20)는 수직으로 위치한 유니버살 조인트의 상부와 하부에 대응하는 각각 서로 직각방향으로 돌출한 2개의 브라켓과 이 상하의 브라켓에 조립되는 2개의 액추에이터로 구성된다.
유니버살 조인트는 볼과 이를 감싸는 소켓으로 구성되거나 서로 직각으로 엇갈려 교차하는 두 개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조인트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턴테이블(30)은 선회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무한회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유압라인이나 전기라인을 연결하는 로터리 조인트가 필요하지만, 제한된 각도의 회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유압호스나 전선의 유연성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도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완충장치(40)는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탑승하는 작업자의 회전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기 턴테이블(30)과 허브브라켓(50) 사이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메인프레임(100)에는 중앙 브라켓(110)과 2개의 회전어깨 브라켓(120)이 부착되어 있고, 전후 양단에는 2개의 시트프레임(140)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있다.
중앙 브라켓(110)은 메인힌지(111)와 두 개의 각도제어수단용 힌지(112)가 구비되어 있으며, 메인힌지(111)는 허브 브라켓(50)과 메인프레임(100)의 힌지연결을 구조적으로 보완하는 역할을 하고, 두 개의 각도제어수단용 힌지(112)는 두 개의 회전어깨뭉치 각도제어수단(113)과 각각 연결된다.
2개의 어깨 브라켓(120)에는 각각 2개의 힌지가 구비되고, 좌측 힌지 2개는 좌측 회전어깨뭉치(121)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어깨뭉치(121)는 어깨 브라켓(120) 힌지에 연결된 대회동축(125)이 구비된 두 개의 바와 그 사이에 부착되어 전체를 일체화하는 연결바(129)로 구성되는데, 연결바 중앙에는 중간 회동축(122)이 구비되어 있어서 전술한 회전어깨뭉치 각도제어수단(113)과 연결된다.
도면에는 연결바(129)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지만 두 개 이상의 연결바(129)로 대회동축(123)이 구비된 두 개의 바가 견고하게 부착되거나, 어떤 형태든 전체가 견고한 블록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어깨뭉치(121)의 뒤쪽에는 대 회동축(123)과 동축의 소 회동축(124)이 이중으로 구비되어있고, 앞쪽에는 대 회동축(123)만 구비되어있는데 이 축들은 회전어깨뭉치(121)와 어깨 브라켓(120) 사이의 회동축과 대략 직교하는 평면상에 각각 위치한다.
앞쪽 대 회동축(123)은 앞쪽 연결로드(126)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뒤쪽 대 회동축(123)은 뒤쪽 연결로드(127)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상기 앞쪽 연결로드(126)중간에는 로드위 회동축(125)이 돌출되어 있어서 소 회동축(124)과 함께 연결로드 각도제어수단(128)이 조립된다.
길이가 같은 상기 두 연결로드(126, 127)의 다른 일단은 적재대(130)에 구비된 두 개의 적재대 회동축(131)과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상기 두 개의 적재대 회동축(131)사이의 거리는 상기 회전어깨뭉치(121)의 두개의 대 회동축(125)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따라서 서로 연계된 메인프레임(100)과 적재대(130)는 내각이 변하는 평행사변형의 마주보는 두 변처럼 평행하게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연결로드 각도제어수단(128)을 사용하면 연결로드(126, 127)의 각도를 제어하여 적재대(13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적재대(130)는 판재 형태의 지붕재를 적재하기 적합한 구조로 되어있는데, 다양한 크기의 지붕재를 적재할 수 있도록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길이를 신축 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재 이외의 지붕재를 적재할 경우에는 지붕재에 적합하도록 적재대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연결로드 각도제어수단(128)과 시트프레임 각도제어수단(101)으로는 액츄에이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회동축이 자유상태일 경우 중력에 의해 시트(141)와 적재대(130)는 바람직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으므로 회동축의 고정-풀림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도 적용이 가능하다.
메인프레임(100) 우측에도 좌측과 대칭적으로 동일한 구조의 회전어깨뭉치(121), 연결로드(126, 127) 그리고 적재대(130)가 구비되어있다.
따라서 두 개의 적재대(130)는 메인프레임(100)의 경사와 같은 경사를 가지면서 동시에 이와 직각방향으로도 적당한 눕는 각도를 갖으며 두 시트 사이를 이동할 수 있고 두 적재대 사이의 간격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지붕작업 중 적재물을 장치 전체의 자세 변동 없이 안정적으로 적재하거나 내릴 수 있어서 효율적이다.
한편 수거한 적재물을 적재대에서 내릴 경우에는 지상 위로 이동 후 메인프레임(100)을 수평으로 하고 회전어깨뭉치 각도제어수단(113)을 사용하여 적재대(130)를 메인 프레임(100) 중앙 밑으로 회전 이동 시키고 적재물을 포장하고 묶은 후 중앙 브라켓(110) 하단에 구비된 윈치(150)를 이용하여 하역하면 편리하다.
두 개의 시트프레임(140)에는 등받이를 포함하고 회전이 가능한 시트(141), 안전바(142)와 시트프레임 각도제어수단(101)이 구비되어서 안정된 자세로 두 명의 작업자가 한 팀이 되어 지붕의 용마루와 처마 쪽에서 지붕작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여준다.
따라서 제 1실시 예의 장치를 이용하면 지붕작업에 최적의 자세에서 최적의 업무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보이고 있다.
제 1실시 예와 다른 점은 적재대(130)를 메인프레임(100) 밑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기능을 생략한 것으로서 대회동축(123)과 소회동축(124)이 어깨 브라켓(120)에 직접 부착되어있고, 중앙브라켓(110), 적재대 상완(121, 122), 적재대 상완 연결바(124), 상완 각도제어수단(113) 그리고 윈치(150) 등은 생략되었다.
또 균형장치(20), 턴테이블(30) 그리고 회전완충장치(40) 등도 선택적으로 생략함으로써 단순 경량화를 할 수 있는 모델이다.
이 실시 예는 소형 고소작업차량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적합하다.
10: 수직연결 빔 20: 균형장치
30: 턴테이블 40: 회전완충장치
41: 회전 입력축 42: 입력축 원통
43: 입력축 격벽 44: 회전출력축
45: 출력축 원통 46: 출력축 격벽
47: 베어링 48: 격실
50: 허브 브라켓 51: 메인프레임 각도제어수단
100: 메인프레임 101: 시트프레임 각도제어수단
110: 중앙 브라켓 111: 메인 힌지
112: 각도제어수단용 힌지 113: 회전어깨뭉치 각도제어수단
120: 어깨 브라켓 121: 회전어깨뭉치
122: 중간 회동축 123: 대 회동축
124: 소 회동축 125: 로드위 회동축
126: 앞쪽 연결로드 127: 뒤쪽 연결로드
128: 연결로드 각도제어수단 130: 적재대
131: 적재대 회동축 140: 시트 프레임
141: 시트 142: 안전바
150: 윈치

Claims (7)

  1. 건물지붕의 설치, 해체 및 보수작업에 사용되는 지붕 작업 장치에 있어서,
    크레인 또는 고소작업차량의 붐 말단의 아답타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수직연결 빔(10)과,
    상기 수직연결 빔(10)에 연결된 허브 브라켓(50)과,
    상기 허브 브라켓(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 양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시트프레임(140) 두 개와,
    상기 두 개의 시트프레임(140)에 각각 설치된 시트(141) 및 안전 바(142)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양 측면에 부착된 브라켓을 통해 연결되어 메인프레임 중심축과 평행한 축에 대해 회동가능한 회전어깨뭉치(121) 두 개와,
    상기 회전어깨뭉치(121)에 구비된 회전어깨뭉치의 회동축과 각각 직교하는 평면상의 두 개의 축에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각각 연결된 두 개의 연결로드(126, 127) 두 세트와,
    상기 두 연결로드의 타단에 두 곳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재대(130) 두개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 브라켓 하단에 구비된 윈치(150)와,
    상기 허브 브라켓(5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51) 한 세트와,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시트프레임(140)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101) 두 세트와,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평행한 축에 대한 상기 회전어깨뭉치(121)의 회동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113) 두 세트와,
    상기 연결로드(126, 127)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128) 두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각도를 지붕의 경사각에 일치시키면 상기 두 개의 연결로드(126, 127)로 병열 연결된 상기 적재대(130)가 평행 이동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평행한 자세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작업 장치.
  2. 건물지붕의 설치, 해체 및 보수작업에 사용되는 지붕 작업 장치에 있어서,
    크레인 또는 고소작업차량의 붐 말단의 아답타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수직연결 빔(10)과,
    상기 수직연결 빔(10)에 연결된 허브 브라켓(50)과,
    상기 허브 브라켓(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 양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시트프레임(140) 두 개와,
    상기 두 개의 시트프레임(140)에 각각 설치된 시트(141) 및 안전 바(142)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양 측면에 부착된 브라켓에 구비되고 메인프레임 중심축과 각각 직교하는 평면상에 있는 두 개의 축에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각각 연결된 두 개의 연결로드(126, 127) 두 세트와,
    상기 두 개의 연결로드의 타단에 두 곳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재대(130) 두개와,
    상기 허브 브라켓(5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51) 한 세트와,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시트프레임(140)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101) 두 세트와,
    상기 연결로드(126, 127)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128) 두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각도를 지붕의 경사각에 일치시키면 상기 두 개의 연결로드(126, 127)로 병열 연결된 상기 적재대(130)가 평행 이동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평행한 자세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작업 장치.
  3.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작업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결 빔(10)과 상기 허브 브라켓(50) 사이에 균형장치(20)가 더욱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작업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브라켓(50) 위에 턴테이블(30)이 더욱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작업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브라켓(50) 위에 회전완충장치(40)가 더욱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작업 장치.

  7. 삭제
KR1020140065209A 2014-05-29 2014-05-29 지붕작업장치 KR101589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209A KR101589375B1 (ko) 2014-05-29 2014-05-29 지붕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209A KR101589375B1 (ko) 2014-05-29 2014-05-29 지붕작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401A KR20150137401A (ko) 2015-12-09
KR101589375B1 true KR101589375B1 (ko) 2016-01-27

Family

ID=5487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209A KR101589375B1 (ko) 2014-05-29 2014-05-29 지붕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3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937B1 (ko) 2018-01-30 2019-06-07 최윤상 적응 로프 지지체계와 지붕 작업 장치
KR20190116602A (ko) 2018-04-04 2019-10-15 최윤상 트러스 프레임을 가진 지붕 작업 장치
KR20230057056A (ko) *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코아스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6719B (zh) * 2018-05-29 2021-11-09 江苏长欣车辆装备有限公司 一种骑行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584884B1 (ko) * 2022-10-31 2023-10-05 주식회사 제이비솔루션 차량용 버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927B1 (ko) * 2012-12-05 2013-07-05 이종관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KR101331184B1 (ko) * 2012-07-12 2013-11-20 주식회사 엔이티하나로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315A (ja) * 1998-05-27 1999-12-07 Fuji Seiki Co Ltd 作業用踏み台
KR20090084190A (ko) * 2008-01-31 2009-08-05 두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동식 작업장
KR100957025B1 (ko) 2010-01-11 2010-05-13 정원훈 건축물의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KR101160457B1 (ko) 2010-01-11 2012-06-27 정원훈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KR101160458B1 (ko) 2010-11-02 2012-06-27 주식회사 엔이티하나로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KR101160459B1 (ko) 2010-11-02 2012-06-28 주식회사 엔이티하나로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84B1 (ko) * 2012-07-12 2013-11-20 주식회사 엔이티하나로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KR101280927B1 (ko) * 2012-12-05 2013-07-05 이종관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해체 및 유해물질 처리용 장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937B1 (ko) 2018-01-30 2019-06-07 최윤상 적응 로프 지지체계와 지붕 작업 장치
KR20190116602A (ko) 2018-04-04 2019-10-15 최윤상 트러스 프레임을 가진 지붕 작업 장치
KR20230057056A (ko) *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코아스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
KR102608197B1 (ko) * 2021-10-21 2023-11-30 주식회사 코아스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401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375B1 (ko) 지붕작업장치
KR101827625B1 (ko) 발판이 있는 지붕작업 장치
CA2838247C (en) Chimney demolition vehicle
JP6883343B2 (ja) 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飛散防止養生工法
CN210857930U (zh) 一种工程建筑施工架
KR101329119B1 (ko) 고소작업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고소작업차
KR20170138312A (ko) 지붕작업장치
EP3110678B1 (en) Mobile assembly trolley
KR101473434B1 (ko)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CN206858013U (zh) 移动式可拆卸手自一体化支架提升装置
KR102119423B1 (ko) 트러스 프레임을 가진 지붕 작업 장치
KR101776833B1 (ko)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선회장치
CN204661180U (zh) 一种塔式起重机
CN107399685A (zh) 一种折叠式小型起重机
ITTO20100134U1 (it) Piattaforma di elevazione per la revisione di aerogeneratori
KR101700852B1 (ko) 고소구간 안전진단을 위한 핸드 크레인
CN111559711B (zh) 一种建筑板材的提升装置及其使用方法
CN105178837B (zh) 电力系统快速组合登高工具
CN211397417U (zh) 一种机电工程用作业梯
CN208218274U (zh) 半电动平衡式折叠吊机
CN207330280U (zh) 一种厂房高空作业用翻转升降平台车
CN112628213A (zh) 工业吊扇高空单人组装设备
CN205031818U (zh) 消防车车载云梯小车
KR101986937B1 (ko) 적응 로프 지지체계와 지붕 작업 장치
CN211037756U (zh) 一种定型化立焊缝操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