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312A - 지붕작업장치 - Google Patents
지붕작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38312A KR20170138312A KR1020160070572A KR20160070572A KR20170138312A KR 20170138312 A KR20170138312 A KR 20170138312A KR 1020160070572 A KR1020160070572 A KR 1020160070572A KR 20160070572 A KR20160070572 A KR 20160070572A KR 20170138312 A KR20170138312 A KR 201701383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en
- driving
- main frame
- angle
- flan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2—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roof coverings comprising tiles, shingles, or like roof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03—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removing roof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04G3/26—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on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에서 지붕재의 설치, 해체 및 보수 작업에 필요한 작업베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크레인이나 고소작업차량에 매달린 형태로 지붕에 접근하며, 지붕의 경사에 대응하여 작업프레임과 적재대를 작업에 적합한 자세로 변형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베이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적절한 위치에 적재대를 제공하는 지붕 작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붕에서 지붕재의 설치, 해체 및 보수 작업에 필요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베이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기와나 슬레이트 등의 지붕재를 적재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적재 대를 제공하는 지붕 작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위험작업으로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장치의 개발이 필요지붕작업은 하다.
특히 1960년대부터 지붕재로 많이 사용되어온 슬레이트는 1급 발암물질인 석면이 다량 함유되어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위험물질로서 시급히 해체하여 격리 처리되어야하며, 이를 해체하고자 할 때에는 ‘석면안전관리법’에 의거하여 적법하게 처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슬레이트 해체에 필요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장치의 개발이 사회적으로 더욱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붕작업에 필요한 작업베이스를 제공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붕의 경사에 대응하여 작업프레임을 적절한 형태로 변형하여 작업자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작업베이스와 지붕재를 적재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적재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작업프로세스를 최적화할 수 있는 구조와 형태를 제공하여 작업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붕경사에 대응하는 지붕 작업 장치에 있어서,
크레인 또는 고소작업차량의 붐 말단의 아답타에 부착되어 승강되는 수직연결 빔과,
상기 수직연결 빔에 연결된 허브 브라켓과,
상기 허브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시트프레임 두 개와,
상기 시트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시트 및 안전 바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부착된 두 개의 브라켓에 연결되어 메인프레임과 평행한 축에 대해 회동가능한 회전어깨뭉치 두 개와,
상기 회전어깨뭉치에 구비된 회전어깨뭉치의 회동축과 직각을 이루는 두 개의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각각 연결된 두 개의 이중 축 홀과
상기 두 이중 축 홀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된 연결로드 두개와,
상기 두 연결로드의 타단에 두 곳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재대 두개와,
상기 허브 브라켓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 한 세트와,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 두 세트와,
상기 메인프레임과 평행한 축에 대한 상기 회전어깨뭉치의 회동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 두 세트와,
상기 이중 축 홀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 두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구성의 기본으로 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의 기울기 각을 지붕의 경사각에 일치시키면 상기 두 개의 연결로드로 병렬 연결된 상기 적재대가 메인프레임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기술구성의 기본 특징에 일부 구성품을 더하거나 빼거나 변형을 주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지붕작업장치는 크레인이나 고소작업차량의 붐 말단에 매달린 형태로 지붕에 접근하는데, 상기 붐 말단에 구비된 턴테이블을 이용하여 지붕의 경사각에 대응하도록 수직축에 대한 메인프레임의 각도를 변형시킨다.
크레인이나 고소작업차량의 붐 말단에 턴테이블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직연결 빔 하부에 턴테이블을 구비하여 수직축에 대한 지붕 작업 장치의 각도를 변형시킨다.
그리고 메인프레임과 시트프레임 그리고 적재대가 지붕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작업각도가 되도록 허브 브라켓과 메인프레임 사이, 메인프레임과 시트프레임 사이, 메인프레임과 회전어깨뭉치 사이 그리고 이중 축 홀에 구비된 각각의 각도제어수단을 이용하여 각도를 변화시키고 고정시킨다.
그러면 두 명의 지붕 작업자는 지붕 작업 장치에 구비된 의자에 몸을 의지하고 적재대를 활용하여 가장 편리한 위치에서 지붕재의 설치나 해체 또는 보수작업 같은 지붕작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재대는 평행이동하여 메인프레임과 같은 기울기를 가지면서 위치도 변환시킬 수 있으므로 지붕작업장치 전체의 자세를 변환하지 않고도 지붕재의 해체나 설치 및 적재작업 등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최적 능률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지붕작업장치의 제1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지붕작업장치의 제2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완충장치의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보성유압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지붕작업장치의 제2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완충장치의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보성유압회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작업장치의 제 1실시 예를 보이는 제1사시도와 제2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지붕작업장치는 크레인이나 고소작업차의 붐 말단의 아답터에 조립되어 높이 조절이 되는 수직연결 빔(10)과 이에 연결된 균형장치(20), 이와 연결된 수직축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턴테이블(30), 이와 연결된 회전 완충기(40), 이와 연결된 허브 브라켓(50) 그리고 이와 연결된 메인프레임(100)과 부가조립체로 구성되며, 메인프레임 각도제어수단(51)에 의해 메인프레임의 기울기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은 다양한 작업조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구조로 할 수 있다.
그런데 크레인이나 고소작업장치 붐 말단에 회전이 가능한 턴테이블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연히 턴테이블(30)이 없어도 된다.
균형장치(20)는 적재물의 적재 등으로 지붕작업장치의 무게중심이 변할 때 균형을 보정하는데 유용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회전 완충기(40)도 있으면 회전동작에서 발생하는 충격적인 가 감속을 완화시켜서 탑승 작업자가 좀 더 편안하겠지만 필수품은 아니다.
균형장치(20)는 수직으로 위치한 유니버살 조인트의 상부와 하부에 대응하는 각각 서로 직각방향으로 돌출한 2개의 브라켓과 이 상하의 브라켓에 조립되는 2개의 실린더형 완충기로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으나, 이 실린더형 완충기와 브라켓의 형상은 다른 형태의 부품으로 대체될 수 있다.
유니버살 조인트는 볼과 이를 감싸는 소켓으로 구성되거나 서로 직각으로 엇갈려 교차하는 두 개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조인트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턴테이블(30)은 선회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무한회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유압라인이나 전기라인을 연결하는 로터리 조인트가 필요하며,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완충장치(40)는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탑승하는 작업자의 회전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고안되었으며, 그 개념도는 단면 사시도로 표현된 도 3과 같다.
회전완충장치(40)는 구동몸체(41), 피동몸체(42), 상기 구동몸체(41)와 피동몸체(42)와 사이에서 체결되어 서로 회동 가능하고 부하를 지탱할 수 있는 턴테이블 베어링(43), 투명하게 처리된 두 개의 덮개(44, 45) 그리고 6개 이상의 완충재(미도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몸체(41)는 외측원통(41-1), 내측원통(41-2), 상기 외측원통(41-1)과 내측원통(41-2)을 연결하고 피동몸체부까지 연장된 구동격벽(41-3), 상기 외측원통(41-1) 외상부에 형성된 구동플랜지(41-4) 그리고 상기 외측원통(41-1) 외중하부에 형성된 턴테이블플랜지(41-5)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피동몸체(42)는 외측원통(42-1), 내측원통(42-2), 상기 외측원통(42-1)과 내측원통(42-2)을 연결하고 구동몸체부까지 연장된 피동격벽(42-3), 상기 외측원통(42-1) 외하부에 형성된 피동플랜지(42-4) 그리고 상기 외측원통(42-1) 외중간부에 형성된 턴테이블플랜지(42-5)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피동몸체부까지 연장된 구동격벽(41-3)의 연장부와 구동몸체부까지 연장된 피동격벽(42-3)의 연장부는 외측원통(42-1, 41-1), 내측원통(42-2, 41-2) 및 덮개(44, 45)에 접촉하지 않고 미세한 유격을 유지하도록 형상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턴테이블 베어링(43)은 외측몸체(43-1), 내측몸체(43-2) 그리고 그 중간 접촉부에 형성된 원형단면의 원주형 홈에 구비된 볼(43-3)로 구성되는데, 그 일 측 플랜지는 구동몸체(41)의 턴테이블플랜지(41-5)와 체결되고, 타 측 플랜지는 피동몸체(42)의 턴테이블플랜지(42-5)와 체결된다. 여기서 체결볼트는 도시하지 않았다.
이렇게 조립된 조립체는 서로 외측원통(41-1, 42-1)과 내측원통(41-2, 42-2)의 단면이 미세한 유격을 두고 각각 마주보는 상태에서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되며, 두 외측원통(41-1, 42-1)과 두 내측원통(41-2, 42-2) 사이의 공간은 3개의 구동격벽(41-3)과 3개의 피동격벽(42-3)에 의해 6개의 공간으로 분리된다.
참고적으로 내측원통(41-2, 42-2) 안쪽에 형성된 원기둥형 공간은 회전 조인트에서 유압라인과 전선을 꼬이지 않게 연결하는 멀티유니온을 위한 공간이다.
그리고 자주 작동을 하는 경우에는 완충재에 가해지는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뀌어 과열될 수 있으므로 냉각을 위하여 외측원통(42-1, 41-1), 내측원통(42-2, 41-2) 그리고 덮개(44, 45)에 천공하여 적절한 크기와 수량의 통풍구를 만들 수 있다.
이 6개의 공간에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의 재료로 만들어진 완충재(미도시)를 충전하고 가운데 구멍이 형성된 덮개(44, 45)를 각각 구동플랜지(41-4)와 피동플랜지(42-4)에 조립하면 회전완충장치(40)가 완성된다.
완충재(미도시)는 원기둥 모양이 편리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와 수량이 모두 적용 가능하되 6개의 공간을 균등하게 채워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조립된 회전완충장치(40)에 구동플랜지(41-4)와 연결된 구동수단으로부터 구동토크가 전달되면 구동격벽(41-3)과 피동격벽(42-3) 사이에 채워진 완충재를 통해 구동토크가 전달되게 되고, 이 때 구동토크의 변화로 인한 회전충격은 완충재의 스프링 및 감쇠작용에 의해 완충되어 피동플랜지(42-4)와 연결된 피동체를 동작시키므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동격벽(41-3)과 피동격벽(42-3)의 수량은 각각 3개지만 설계의도에 따라 같은 수로 임의의 수량을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격벽(41-3)과 피동격벽(42-3)을 판스프링으로 구성하면 완충효과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구동몸체(41)와 피동몸체(42)의 외측원통(41-1, 42-1)과 내측원통(41-2, 42-2)을 연결하는 구동격벽(41-3, 42-3)의 부착부위는 대략 연장부위의 길이와 대등하게 되었지만 판스프링으로 할 경우에는 스프링의 유효부분을 더 크게 하는 것이 완충효과에 유리하므로 부착부분을 줄이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연장부를 더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스프링의 부착방법은 용접할 수도 있으나 스프링의 열 변성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용 접착제(Structural Adhesives)를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접착면적을 넓혀서 부착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해 앵글형태의 단면을 갖는 보조구를 내 외측 원통과 판스프링의 접합부 주변에 접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런 방법으로 구동격벽(41-3)과 피동격벽(42-3)을 판스프링으로 대체구성하면 판스프링의 완충작용을 더하여 완충효과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회전완충장치는 턴테이블베어링(43)이 외측원통(41-1, 42-1) 외곽에 결합되어 있지만, 턴테이블베어링(43)을 내측원통(41-2, 42-2) 내측에서 결합하는 구조로도 설계할 수 있는데, 이는 같은 크기의 턴테이블베어링(43)을 사용하면서 더 큰 내 외측 원통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 큰 용량의 회전완충장치가 필요할 때에는 이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외측원통(41-1, 42-1) 외측에 형성되어 있던 턴테이블플랜지(41-5, 42-5), 구동플랜지(41-4) 그리고 피동플랜지(42-4)를 없애고 대신 이들을 내측원통(41-2, 42-2) 내측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시켜야한다. 이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다시 도 1과 도 2에서 메인프레임(100)에는 중앙 브라켓(110)과 2개의 어깨 브라켓(120)이 부착되어 있고, 전후 양단에는 2개의 시트프레임(140)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있다.
중앙 브라켓(110)은 메인프레임(100)의 중앙에 부착되어있고, 메인힌지(102) 축이 통과할 수 있는 홀이 있으며, 아래쪽에 두 개의 각도제어수단용 힌지(112)가 구비되어 있고, 중앙 하단에 윈치(150)가 있다.
메인힌지(102)는 허브 브라켓(50)과 메인프레임(100)의 상대적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두 개의 각도제어수단용 힌지(112)는 두 개의 회전어깨뭉치 각도제어수단(113)과 각각 연결된다.
2개의 어깨 브라켓(120)에는 좌우에 각각 힌지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어깨뭉치(121)는 “ㄷ”자 형태의 프레임의 “ㄷ”자 가지에 각각 회동 축 홀이 구비되어 어깨 브라켓(120)의 힌지와 연결되고, 그 반대쪽으로는 두 개의 어깨 앞 회동축(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프레임 전면에 연결로드 각도제어수단(127)이 조립되는 어깨 마운트 포스트(126)가 형성되어있고, 중간프레임 하면에는 회전어깨뭉치 각도제어수단(113)과 연결되는 마운트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어깨뭉치(121)의 전면의 두 개의 어깨 앞 회동축(122)은 각각 2중 축홀(124)과 포스트가 있는 2중 축홀(123)의 한 축 홀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들(123, 124)의 타 축 홀은 연결로드(128)에 구비된 축과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된다.
이중 축 홀(123, 124)은 두 개의 축 홀을 원호형태의 연결구조물로 연결하고 있는 형태를 보이고 있는데, 필요한 각도를 이루는 두 축 홀을 연결하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라도 적용할 수 있다.
두 개의 연결로드(128)의 타단에 구비된 축 홀은 적재대(130)에 구비된 두 개의 축(131)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 두 개의 축(131) 사이 거리는 회전어깨뭉치(121)의 전면의 두 개의 회동축(12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따라서 서로 연계된 메인프레임(100)과 적재대(130)는 내각이 변하는 평행사변형의 마주보는 두 변처럼 평행하게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연결로드 각도제어수단(127)을 사용하면 연결로드(128)의 각도를 제어하여 적재대(13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회전어깨뭉치(121)의 전면의 두 개의 어깨 앞 회동축(122)과 두 개의 연결로드(128)의 축 연결에 2중 축홀(124)이 사용되는 이유는 어깨 앞 회동축(122)과 연결로드(128)가 형성하는 각도가 도 1처럼 둔각일 때 어깨 앞 회동축(122)에 대한 회전이 있을 경우 연결로드(128) 자체가 회전각만큼 비틀리게 되므로 연결로드(128)의 이중 축홀(123, 124) 의 타단 홀 축에 대한 상대회전을 허용함으로써 이를 방지하고, 동시에 적재대(130)와의 연결부에 불필요한 응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연결로드 단면이 주응력방향에 가장 유리한 형태를 항시 유지할 수 있으므로 경량화 설계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2중 축홀(123)에 형성된 축홀 마운트 포스트(125)와 회전어깨뭉치(121) 중간프레임 전면에 형성된 어깨 마운트 포스트(126) 사이에는 연결로드 각도제어수단(127)이 조립되어 이중 축 홀(123, 124)에 연결된 연결로드(128)와 적재대(130)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적재대(130)는 판재 형태의 지붕재를 적재하기 적합한 구조로 되어있는데, 다양한 크기의 지붕재를 적재할 수 있도록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길이를 신축 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재 이외의 지붕재를 적재할 경우에는 지붕재에 적합하도록 적재대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연결로드 각도제어수단(127)과 시트프레임 각도제어수단(101)으로는 액츄에이터의 힘을 이용하여 각도를 변경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메인프레임(100)을 지붕의 경사에 맞추어 기울였을 때 자중에 의해 수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구성품에 응력이 가장 적게 걸리게 될 뿐 아니라 작업에 최적위치상태가 되므로 이 방법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하학적으로 서로 대칭적 관계에 있는 두 개의 시트프레임 각도제어수단(101) 사이에, 또 두 개의 연결로드 각도제어수단(128) 사이에 도 4와 같은 상보성 유압회로를 적용하면 평시에는 밸브를 차단하여 각도를 유지하고, 각도를 변경할 때에는 밸브를 열어 두 시트프레임(140)이나 두 세트의 연결로드를 포함한 적재대(130)가 수직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움직일 때 하나의 유압실린더가 신장한 만큼 다른 유압실린더는 수축하게 되는 상보성 관계를 가지므로 편리하며, 원하는 각도에 이르면 밸브를 닫아서 각도를 유지하면 된다.
도 4에서는 스프링붙이 솔레노이드 밸브를 보이고 있으나 유로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밸브라면 다른 종류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메인프레임(100) 우측에도 중심수직선에 대칭적으로 좌측과 동일한 구조의 회전어깨뭉치(121), 연결로드(128) 그리고 적재대(130)가 구비되어있다.
따라서 두 개의 적재대(130)는 메인프레임(100)의 경사와 같은 경사를 가지면서 동시에 이와 직각방향으로도 적당한 눕는 각도를 갖으며 회전어깨뭉치(121)의 각도를 제어하여 두 적재대 사이의 간격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지붕작업 중 적재물을 장치 전체의 자세 변동 없이 안정적으로 적재하거나 내릴 수 있어서 효율적이다.
한편 수거한 적재물을 적재대에서 내릴 경우에는 지상 위로 이동 후 메인프레임(100)을 수평으로 하고 회전어깨뭉치 각도제어수단(113)을 사용하여 적재대(130)를 메인 프레임(100) 중앙 밑으로 회전 이동 시키고 적재물을 포장하고 묶은 후 중앙 브라켓(110) 하단에 구비된 윈치(150)를 이용하여 하역하면 편리하다.
두 개의 시트프레임(140)에는 등받이를 포함하고 회전이 가능한 시트(141), 안전바(142)와 시트프레임 각도제어수단(101)이 구비되어서 안정된 자세로 두 명의 작업자가 한 팀이 되어 지붕의 용마루와 처마 쪽에서 지붕작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여준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시트 아래에 작은 발판을 마련하여 작업자가 다리를 이용해서 시트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실시 예의 지붕작업장치를 이용하면 지붕작업에 최적의 자세에서 최적의 업무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는 제 1실시 예와 대부분 같으나 적재대(130)를 메인프레임(100) 밑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기능을 생략한 것으로서 회전어깨뭉치(121)가 어깨 브라켓(120)에 고정되어 있고, 회전어깨뭉치 각도제어수단(113), 윈치(150) 그리고 중앙 브라켓(110) 등은 생략되었다.
제 2실시 예에서 회전어깨뭉치(121)는 고정어깨뭉치(121)가 된다.
제 2실시 예는 경량화하여 소형 고소작업차량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적합하다.
본 발명은 구성품의 형태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부착물을 부착하는 등 본질을 유지한 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지만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건축물의 지붕의 설치, 해체 및 보수하고자 하는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10: 수직연결 빔 20: 균형장치
30: 턴테이블 40: 회전완충장치
41: 구동몸체 41-1: 구동외측원통
41-2: 구동내측원통 41-3: 구동격벽
41-4: 구동플랜지 41-5: 구동턴테이블플랜지
42: 피동몸체 42-1: 피동외측원통
42-2: 피동내측원통 42-3: 피동격벽
42-4: 피동플랜지 42-5: 피동턴테이블플랜지
43: 턴테이블 베어링 44, 45: 덮개
50: 허브 브라켓 51: 메인프레임 각도제어수단
100: 메인프레임 101: 시트프레임 각도제어수단
110: 중앙 브라켓 111: 메인 힌지
112: 각도제어수단용 힌지 113: 회전어깨뭉치 각도제어수단
120: 어깨 브라켓 121: 회전어깨뭉치(고정어깨뭉치)
122: 어깨 앞 회동축 123: 포스트가 있는 이중 축 홀
124: 이중 축 홀 125: 축홀 마운트 포스트
126: 어깨 마운트 포스트 127: 연결로드 각도제어수단
128: 연결로드 130: 적재대
131: 적재대 회동축 140: 시트 프레임
141: 시트 142: 안전바
150: 윈치
30: 턴테이블 40: 회전완충장치
41: 구동몸체 41-1: 구동외측원통
41-2: 구동내측원통 41-3: 구동격벽
41-4: 구동플랜지 41-5: 구동턴테이블플랜지
42: 피동몸체 42-1: 피동외측원통
42-2: 피동내측원통 42-3: 피동격벽
42-4: 피동플랜지 42-5: 피동턴테이블플랜지
43: 턴테이블 베어링 44, 45: 덮개
50: 허브 브라켓 51: 메인프레임 각도제어수단
100: 메인프레임 101: 시트프레임 각도제어수단
110: 중앙 브라켓 111: 메인 힌지
112: 각도제어수단용 힌지 113: 회전어깨뭉치 각도제어수단
120: 어깨 브라켓 121: 회전어깨뭉치(고정어깨뭉치)
122: 어깨 앞 회동축 123: 포스트가 있는 이중 축 홀
124: 이중 축 홀 125: 축홀 마운트 포스트
126: 어깨 마운트 포스트 127: 연결로드 각도제어수단
128: 연결로드 130: 적재대
131: 적재대 회동축 140: 시트 프레임
141: 시트 142: 안전바
150: 윈치
Claims (10)
- 건물지붕의 설치, 해체 및 보수작업에 사용되는 지붕 작업 장치에 있어서,
크레인 또는 고소작업차량의 붐 말단의 아답타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수직연결 빔(10)과,
상기 수직연결 빔(10)에 연결된 허브 브라켓(50)과,
상기 허브 브라켓(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 양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시트프레임(140) 두 개와,
상기 두 개의 시트프레임(140)에 각각 설치된 시트(141) 및 안전 바(142)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부착된 두 개의 어깨 브라켓(120)을 통해 연결되어 양 측면에서 메인프레임과 평행한 축에 대해 회동 가능한 회전어깨뭉치(121) 두 개와,
상기 각 회전어깨뭉치(121)에 구비된 두 어깨 앞 회동축(122)과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된 포스트가 있는 이중 축 홀(123) 및 이중 축 홀(124)과,
상기 포스트가 있는 이중 축 홀(123) 및 이중 축 홀(123, 124)의 타단에 각각 자체중심축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연결로드(128) 두 세트와,
상기 두 세트의 두 개의 연결로드(128)의 타단에 두 곳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재대(130) 두 세트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부착된 중앙 브라켓(110)의 하단에 구비된 윈치(150)와,
상기 허브 브라켓(5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51) 한 세트와,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두 시트프레임(140)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101) 두 세트와,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평행한 축에 대한 상기 두 회전어깨뭉치(121)의 회동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113) 두 세트와,
상기 포스트가 있는 이중 축 홀(123)의 어깨 앞 회동축(122)에 대한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127) 두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각도를 지붕의 경사각에 일치시키면 상기 두 개의 연결로드(128)로 병열 연결된 상기 적재대(130)가 평행 이동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평행한 자세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작업 장치. - 건물지붕의 설치, 해체 및 보수작업에 사용되는 지붕 작업 장치에 있어서,
크레인 또는 고소작업차량의 붐 말단의 아답타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수직연결 빔(10)과,
상기 수직연결 빔(10)에 연결된 허브 브라켓(50)과,
상기 허브 브라켓(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 양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시트프레임(140) 두 개와,
상기 두 개의 시트프레임(140)에 각각 설치된 시트(141) 및 안전 바(142)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부착된 두 개의 브라켓에 부착된 고정어깨뭉치(121) 두 개와,
상기 각 고정어깨뭉치(121)에 구비된 두 어깨 앞 회동축(122)과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된 포스트가 있는 이중 축 홀(123) 및 이중 축 홀(124)과,
상기 두 세트의 포스트가 있는 이중 축 홀(123) 및 이중 축 홀(123, 124)의 타단에 각각 자체중심축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연결로드(128) 두 세트와,
상기 두 세트의 두 개의 연결로드(128)의 타단에 두 곳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재대(130) 두 세트와,
상기 허브 브라켓(5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51) 한 세트와,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시트프레임(140)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101) 두 세트와,
상기 포스트가 있는 이중 축 홀(123)의 어깨 앞 회동축(122)에 대한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각도제어수단(127) 두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각도를 지붕의 경사각에 일치시키면 상기 두 개의 연결로드(128)로 병열 연결된 상기 적재대(130)가 평행 이동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평행한 자세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작업 장치. -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작업 장치. -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결 빔(10)과 상기 허브 브라켓(50) 사이에 균형장치(20)가 더욱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작업 장치. -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브라켓(50) 위에 턴테이블(30)이 더욱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작업 장치. -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브라켓(50) 위에 회전완충장치(40)가 더욱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작업 장치. -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대의 시트프레임 각도제어수단(101) 사이나,
두 대의 연결로드 각도제어수단(127) 사이에,
상보성 유압회로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작업 장치. - 구동토크를 완충하여 피동토크로 변환하는 회전완충장치에 있어서,
구동몸체(41)는 구동외측원통(41-1), 구동내측원통(41-2), 상기 구동외측원통(41-1)과 구동내측원통(41-2)을 연결하고 피동몸체부까지 연장된 하나 이상의 구동격벽(41-3), 상기 구동외측원통(41-1) 외상부에 형성된 구동플랜지(41-4) 그리고 상기 구동외측원통(41-1) 외중하부에 형성된 구동턴테이블플랜지(41-5)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피동몸체(42)는 피동외측원통(42-1), 피동내측원통(42-2), 상기 피동외측원통(42-1)과 피동내측원통(42-2)을 연결하고 구동몸체부까지 연장된 하나 이상의 피동격벽(42-3), 상기 피동외측원통(42-1) 외하부에 형성된 피동플랜지(42-4) 그리고 상기 피동외측원통(42-1) 외중상부에 형성된 피동턴테이블플랜지(42-5)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턴테이블베어링(43)은 상기 구동턴테이블플랜지(41-5) 및 상기 피동턴테이블플랜지(42-5)와 조립되어 상기 구동몸체(41)와 상기 피동몸체(42)가 마주보며 상호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구동외측원통(41-1), 피동외측원통(42-1), 구동내측원통(41-2), 피동내측원통(42-2) 그리고 두 개의 덮개(44, 45) 사이에 구동격벽(41-3)과 피동격벽(42-3)으로 형성된 둘 이상의 공간에 임의의 형상과 수량의 완충재가 채워져서,
구동체로부터 구동플랜지(41-4)로 전달된 구동토크를 상기 완충재의 스프링 및 감쇠작용에 의해 완충된 피동토크로 변환하여 피동플랜지(42-4)를 통해 피동체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완충장치. - 구동토크를 완충하여 피동토크로 변환하는 회전완충장치에 있어서,
구동몸체(41)는 구동외측원통(41-1), 구동내측원통(41-2), 상기 구동외측원통(41-1)과 구동내측원통(41-2)을 연결하고 피동몸체부까지 연장된 하나 이상의 구동격벽(41-3), 상기 구동내측원통(41-2) 내상부에 형성된 구동플랜지(41-4) 그리고 상기 구동내측원통(41-1) 내중하부에 형성된 구동턴테이블플랜지(41-5)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피동몸체(42)는 피동외측원통(42-1), 피동내측원통(42-2), 상기 피동외측원통(42-1)과 피동내측원통(42-2)을 연결하고 구동몸체부까지 연장된 하나 이상의 피동격벽(42-3), 상기 피동내측원통(42-2) 내하부에 형성된 피동플랜지(42-4) 그리고 상기 피동내측원통(42-1) 내중상부에 형성된 피동턴테이블플랜지(42-5)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턴테이블베어링(43)은 상기 구동턴테이블플랜지(41-5)와 상기 피동턴테이블플랜지(42-5)와 조립되어 상기 구동몸체(41)와 상기 피동몸체(42)가 마주보며 상호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구동외측원통(41-1), 피동외측원통(42-1), 구동내측원통(41-2), 피동내측원통(42-2) 그리고 두 개의 덮개(44, 45) 사이에 구동격벽(41-3)과 피동격벽(42-3)으로 형성된 둘 이상의 공간에 임의의 형상과 수량의 완충재가 채워져서,
구동체로부터 구동플랜지(41-4)로 전달된 구동토크를 상기 완충재의 스프링 및 감쇠작용에 의해 완충된 피동토크로 변환하여 피동플랜지(42-4)를 통해 피동체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완충장치. -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격벽(41-3)과 상기 피동격벽(42-3)이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완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0572A KR20170138312A (ko) | 2016-06-07 | 2016-06-07 | 지붕작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0572A KR20170138312A (ko) | 2016-06-07 | 2016-06-07 | 지붕작업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8312A true KR20170138312A (ko) | 2017-12-15 |
Family
ID=6095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0572A KR20170138312A (ko) | 2016-06-07 | 2016-06-07 | 지붕작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38312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6937B1 (ko) | 2018-01-30 | 2019-06-07 | 최윤상 | 적응 로프 지지체계와 지붕 작업 장치 |
KR20190116602A (ko) | 2018-04-04 | 2019-10-15 | 최윤상 | 트러스 프레임을 가진 지붕 작업 장치 |
KR20210095463A (ko) * | 2020-01-23 | 2021-08-02 | (주)하이드로훼스트 | 사다리 구조체 및 소방용 사다리 구조체 |
KR102584884B1 (ko) * | 2022-10-31 | 2023-10-05 | 주식회사 제이비솔루션 | 차량용 버켓 |
-
2016
- 2016-06-07 KR KR1020160070572A patent/KR2017013831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6937B1 (ko) | 2018-01-30 | 2019-06-07 | 최윤상 | 적응 로프 지지체계와 지붕 작업 장치 |
KR20190116602A (ko) | 2018-04-04 | 2019-10-15 | 최윤상 | 트러스 프레임을 가진 지붕 작업 장치 |
KR20210095463A (ko) * | 2020-01-23 | 2021-08-02 | (주)하이드로훼스트 | 사다리 구조체 및 소방용 사다리 구조체 |
KR102584884B1 (ko) * | 2022-10-31 | 2023-10-05 | 주식회사 제이비솔루션 | 차량용 버켓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138312A (ko) | 지붕작업장치 | |
KR101827625B1 (ko) | 발판이 있는 지붕작업 장치 | |
DK1974109T3 (en) | DEVICE TO GIVE ACCESS TO A STRUCTURE ABOVE EARTH | |
DK2508308T3 (en) | Method and handling system for automated movement of a gravity compensated load | |
EP3320188A1 (en) | Apparatus for handling a turbomachine part | |
JP5086147B2 (ja) | 養生装置付きゴンドラ | |
US10450170B2 (en) | Mobile crane having adjustable ballast mounting apparatus | |
KR101589375B1 (ko) | 지붕작업장치 | |
WO2020020980A1 (de) | Montageverfahren und montagesystem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eines windenergieanlagenturms | |
WO2018176062A1 (en) | Modular mobile platform with robotic arms | |
KR102149686B1 (ko) | 충격방지 및 길이조절용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 |
CN103363380B (zh) | 移动式灯塔 | |
CN112591690A (zh) | 一种用于大体积混凝土构件的翻转装置 | |
KR102119423B1 (ko) | 트러스 프레임을 가진 지붕 작업 장치 | |
CN106271283B (zh) | 一种高危环境焊接机器人 | |
KR101986937B1 (ko) | 적응 로프 지지체계와 지붕 작업 장치 | |
CN112878718B (zh) | 一种建筑施工用建筑物构件的防坠落装置 | |
CN111559711B (zh) | 一种建筑板材的提升装置及其使用方法 | |
CN109252805A (zh) | 竖向旋转的栅栏门 | |
CN208236190U (zh) | 一种真空炉炉门铰链装置 | |
CN208196681U (zh) | 一种工具托举装置 | |
CN214327070U (zh) | 一种用于大体积混凝土构件的翻转装置 | |
CN218324601U (zh) | 吊装口盖板的辅助支撑结构及其吊装口 | |
CN109780379B (zh) | 捕鱼游乐设备及其吊装装置支撑架、承重组合吊板 | |
CN220283559U (zh) | 配重调节装置及高空作业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