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457B1 -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457B1
KR101160457B1 KR1020100002413A KR20100002413A KR101160457B1 KR 101160457 B1 KR101160457 B1 KR 101160457B1 KR 1020100002413 A KR1020100002413 A KR 1020100002413A KR 20100002413 A KR20100002413 A KR 20100002413A KR 101160457 B1 KR101160457 B1 KR 101160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mantling
building
roofing material
roof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2439A (ko
Inventor
정원훈
정현섭
Original Assignee
정원훈
정현섭
주식회사 엔이티하나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훈, 정현섭, 주식회사 엔이티하나로 filed Critical 정원훈
Priority to KR1020100002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457B1/ko
Priority to PCT/KR2011/000033 priority patent/WO2011083952A2/ko
Publication of KR2011008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4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characterised by supporting structures provided on the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81Repairing or restoring roofing or roof co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을 활용하여 작업대를 지붕과 수평방향으로 배치시켜 작업대 위에서 작업자가 걸어다니면서 석면이 함유된 지붕재를 해체 및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기동성에 의한 신속함으로 작업을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실현토록 할 수 있는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OPERATING APPARATUS FOR DISMANTLING BUILDING SLATE ROOF}
본 발명은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을 활용하여 작업대를 지붕과 수평방향으로 배치시켜 작업대 위에서 작업자가 걸어다니면서 지붕재를 해체 및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기동성에 의한 신속함으로 작업을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실현토록 한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어촌의 주거용 건물 및 창고 등에 적용되고 있는 건축물 지붕재는 대부분 석면이 함유된 판넬이나 슬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판넬이나 슬레이트 등에 함유된 석면은 Chrysotile(백석면), Amosite(갈석면), Crocidolite(청석면) 등으로 분류되며, 인체에 흡수될 경우 폐암, 중피종, 석명폐, 피부질환 및 호흡기 질환 등을 야기시키고 있다.
최근 들어, 노후화된 판넬이나 슬레이트 등과 같은 건축물 지붕재의 개량, 재건축 및 재개발에 따라 그 해체 작업이 빈번해지고 있고, 이에 따라 석면관련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는 석면의 비산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보다 강화된 법규들을 개정 시행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령의강화된법규및시대의흐름에맞추어"석면함유슬레이트지붕해체방법및이에사용되는석면함유슬레이트지붕해체용답판구조물"이2007년11월22일자로선출원(10-2007-0119637;이하,선출원이라함)된바있다. 선출원에따른"석면함유슬레이트지붕해체용답판구조물"은지붕의경사도에맞추어비계파이프를세우고답판구조물을조립시켜슬레이트를해체할수있도록제안된것이다. 그런데,선출원은건축분야에서통상적으로활용되는비계파이프나답판구조물의조립을통하여슬레이트의해체를가능케하는구조로이루어져그특이성이나진보된기술을전혀기대할수없고,나아가각각의건축물마다비계파이프의조립과분해를반복하면서슬레이트의해체작업을실현하여야만하여작업성및신속성이크게떨어지고,나아가석면의비산을막기위한방진막의설치및분해역시복잡하여효율이좋지않은단점을지니고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을 활용하여 작업대를 지붕과 수평방향으로 배치시켜 작업대 위에서 작업자가 걸어다니면서 지붕재를 해체 및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기동성에 의한 신속함으로 작업을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실현토록 할 수 있는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힌지를 중심으로 지붕의 경사도에 맞추어 작업판이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고 능동적으로 지붕재를 해체 및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보도 프레임의 미끄럼 방지턱을 걸어다니면서 개구부를 통해 지붕재를 보다 안전하게 해체 및 수거토록 할 수 있는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판이 제 2 수평바 및 가로바에 고정된 제 1 유압실린더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승강되면서 기울어져 더욱 안전하고 신속하게 지붕재를 해체토록 할 수 있는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대의 크기를 가감시켜 작업시 또는 차량 탑재시에 작업대의 넓이를 적합하게 유지케 할 수 있는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에 씌워진 지붕재를 해체하기 위한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붕 위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지붕재를 해체하여 적재시키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를 승강 및 이동시키는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는
장방형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에 직립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가로바와,
상기 포스트로부터 상부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크레인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크레인을 활용하여 작업대를 지붕과 수평방향으로 배치시켜 작업대 위에서 작업자가 걸어다니면서 지붕재를 해체 및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기동성에 의한 신속함으로 작업을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크로스바를 통해 크레인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어 작업대의 상하좌우 이동을 보다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를 기준으로 포스트가 가로바에 의해 횡방향으로 고정됨으로서 크로스바를 크레인으로 빈번하게 승강시키더라도 그 견고함을 유지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힌지를 중심으로 지붕의 경사도에 맞추어 작업판이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고 능동적으로 지붕재를 해체 및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붕재를 적재판에 곧바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신속한 해체를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보도 프레임의 미끄럼 방지턱을 걸어다니면서 개구부를 통해 지붕재를 해체 및 수거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작업판이 제 2 수평바 및 가로바에 고정된 제 1 유압실린더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승강되면서 기울어져 더욱 안전하고 신속하게 지붕재를 해체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작업대의 크기를 가감시켜 작업시 또는 차량 탑재시에 적합한 넓이를 유지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슬레이트나 판넬과 같은 지붕재를 수거하기 위하여 수거비닐로 포장하면서 밴드로 묶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기처분시의 용이함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포스트에 고정되어 작업대의 균형을 맞춰주는 제 3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보다 안전하게 작업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 1 방진막 및 제 2 방진막을 통해 지붕재의 해체 및 수거시 발생할 수 있는 비산 먼지 또는 비산 석면의 외부 유출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에 적용된 작업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에 적용된 작업대의 크기 조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에 적용된 작업판을 기울게 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에 적용된 방진막을 펼친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지붕(H)에 씌워진 지붕재(H2)를 해체하기 위한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로서, 지붕(H) 위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지붕재(H2)를 해체하여 적재시키는 작업대(100)와, 이 작업대(100)를 승강 및 이동시키는 크레인(200)을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크레인(200)을 활용하여 작업대(100)를 지붕(H)과 수평방향으로 배치시켜 작업대(100) 위에서 작업자가 걸어다니면서 지붕재(H2)를 해체 및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기동성에 의한 신속함으로 작업을 보다 빠르고 쉽고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에 적용된 작업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다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에 적용된 작업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의 모서리에 직립된 포스트(20)와, 포스트(20)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가로바(Bar; 30), 그리고 포스트(20)로부터 상부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어 크레인(20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크로스바[Cross Bar(로프일 수도 있음); 40]를 포함한다.
크로스바(40)를 통해 크레인(20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어 작업대(100)의 상하좌우 이동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게 되고, 베이스(10)를 기준으로 포스트(20)가 가로바(30)에 의해 횡방향으로 고정됨으로서 크로스바(40)를 크레인(200)으로 빈번하게 승강시키더라도 그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베이스(10)는 지붕(H)의 용마루(H1)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제 1 수평바(11) 및 제 2 수평바(12)와, 제 1 수평바(11) 및 제 2 수평바(12)의 양단에 고정된 제 1 수직바(13) 및 제 2 수직바(14)와, 제 1 수직바(13) 및 제 2 수직바(14) 사이를 3등분시키되 그 중앙에는 제 1 수평바(11)에 힌지(15) 결합되면서 지붕(H)의 경사도에 맞추어 기울어지는 작업판(16)을 구비시키고 그 양측에는 지붕(H)으로부터 해체한 지붕재(H2)를 적재시키는 적재판(17)을 구비시킨다.
힌지(15)를 중심으로 지붕(H)의 경사도에 맞추어 작업판(16)이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고 능동적으로 지붕재(H2)를 해체 및 수거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수거된 지붕재(H2)를 적재판(17)에 곧바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신속한 해체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이때, 작업판(16)은 지붕(H)으로부터 지붕재(H2)를 해체 및 수거할 수 있도록 중앙에 개구부(16a)를 구비하고, 이 개구부(16a)의 외각으로 보도 프레임(16b)을 포함하며, 보도 프레임(16b)은 미끄럼 방지턱(16c; 예를 들면 계단)을 구비토록 한다.
작업자가 보도 프레임(16b)의 미끄럼 방지턱(16c)을 걸어다니면서 개구부(16a)를 통해 지붕재(H2)를 해체 및 수거토록 하고,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턱(16c)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 계단은 미 도시되어 있지만 작업판(16)의 기울기에 따라 체인 등에 연동되면서 지면과 수평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작업판(16)은 제 2 수평바(12) 및 가로바(30)에 고정된 제 1 유압실린더(51)에 의해 힌지(15)를 중심으로 승강되면서 기울어지도록 하여 더욱 안전하고 신속하게 지붕재(H2)를 해체토록 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에 적용된 작업대의 크기 조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에 적용된 작업대(1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크기를 가감시켜 작업시 또는 차량 탑재시에 적합한 넓이를 유지케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 1 수직바(13) 및 제 2 수직바(14) 그리고 작업판(16) 및 적재판(17)은 길이방향으로 이등분되어 서로 암수형상으로 조립되고, 제 1 수직바(13)에 결합된 제 2 유압실린더(52)에 의해 그 길이가 가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에 적용된 작업대(100)는 제 1 수평바(11) 또는 제 2 수평바(12)에 고정되어 적재판(17)에 펼쳐지는 수거비닐(60)을 포함할 수 있고, 적재판(17)에 펼쳐져 수거비닐(60)과 함께 지붕재(H2)를 묶어주는 밴드(70)를 또한 구비할 수 있다.
슬레이트나 판넬과 같은 지붕재(H2)를 쉽게 수거하기 위하여 수거비닐(60)로 포장하면서 밴드(70)로 묶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기처분시의 용이함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포스트(20)에 고정되어 작업대(100)의 균형을 맞춰주는 제 3 유압실린더(53)를 포함하여 보다 안전하게 작업토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에 적용된 작업판을 기울게 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에 적용된 방진막을 펼친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바(30)에 고정되어 작업대(100)의 하측방향으로 펼쳐지는 제 1 방진막(81)을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크로스바(40)를 에워싸는 제 2 방진막(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방진막(81) 및 제 2 방진막(82)을 통해 지붕재(H2)의 해체 및 수거시 발생할 수 있는 비산 먼지 또는 비산 석면의 외부 유출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의 사용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체하고자 하는 건축물 지붕재(H2)가 석면을 함유한 슬레이트일 경우, 크레인(200)으로 지붕(H)의 용마루(H1)에 수평이 되도록 작업대(100)를 위치시키고, 제 1 방진막(81)을 펼쳐 분진이나 석면 가루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제 2 방진막(82)은 크로스바(40)를 이미 에워싸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 3 유압실린더(53)를 신장시켜 작업대(100)의 균형을 맞추고, 제 1 유압실린더(51)를 신장시켜 힌지(15)를 중심으로 지붕(H)의 경사도에 맞추어 작업판(16)을 기울게 한다.
이때, 작업자는 가로바(30)에 안전띠를 연결한 상태에서 보도 프레임(16b)의 미끄럼 방지턱(16c)을 따라 걸어다니면서 개구부(16a)를 통해 지붕(H)으로부터 지붕재(H2)를 해체한 후 수거하여 적재판(17)에 적재시킨다.
적재판(17)에는 밴드(70) 및 수거비닐(60)이 펼쳐져 있고, 지붕재(H2)가 충분히 수거되어 적재되면 수거비닐(60)을 포개어 밴드(70)로 묶음 처리한다.
이어서, 제 1 유압실린더(51)를 축소시켜 작업판(16)을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크레인(200)을 이용하여 작업대(100)를 들어올린 후 제 3 유압실린더(53)를 축소시켜 지면으로 내려놓는다.
이 후, 지게차 등과 같은 기계로 지붕재(H2)를 폐기장소로 운송함으로써 그 수거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작업대(100)의 활용이 완료되면 제 2 유압실린더(52)를 축소시켜 제 1 수직바(13), 제 2 수직바(14), 작업판(16) 및 적재판(17)이 암수형상으로 조립되면서 축소되도록 하여 트럭과 같은 운송수단에 탑재시켜 다른 곳의 건축물 지붕재(H2)를 해체 및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는 크레인(200)과 작업대(100)의 활용으로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또는 판넬과 같은 지붕재(H2)를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며 용이하게 해체 및 수거할 수 있게 되어 산업적 이용가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 지붕재를 해체 및 수거하고자 하는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H : 지붕 H1 : 용마루
H2 : 지붕재 100 : 작업대
10 : 베이스 11 : 제 1 수평바
12 : 제 2 수평바 13 : 제 1 수직바
14 : 제 2 수직바 15 : 힌지
16 : 작업판 16a : 개구부
16b : 보도 프레임 16c : 미끄럼 방지턱
17 : 적재판 20 : 포스트
30 : 가로바 40 : 크로스바
51 : 제 1 유압실린더 52 : 제 2 유압실린더
53 : 제 3 유압실린더 60 : 수거비닐
70 : 밴드 81 : 제 1 방진막
82 : 제 2 방진막 200 : 크레인

Claims (10)

  1. 건축물의 지붕(H)에 씌워진 지붕재(H2)를 해체하기 위한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붕(H) 위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지붕재(H2)를 해체하여 적재시키는 작업대(100)와, 상기 작업대(100)를 승강 및 이동시키는 크레인(200)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100)는
    장방형의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모서리에 직립된 포스트(20)와,
    상기 포스트(20)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가로바(Bar; 30)와,
    상기 포스트(20)로부터 상부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크레인(20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크로스바(Bar; 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지붕(H)의 용마루(H1)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제 1 수평바(11) 및 제 2 수평바(12)와,
    상기 제 1 수평바(11) 및 제 2 수평바(12)의 양단에 고정된 제 1 수직바(13) 및 제 2 수직바(14)와,
    상기 제 1 수직바(13) 및 제 2 수직바(14) 사이를 3등분시키되, 그 중앙에는 상기 제 1 수평바(11)에 힌지(15) 결합되면서 상기 지붕(H)의 경사도에 맞추어 기울어지는 작업판(16)을 구비시키고, 그 양측에는 상기 지붕(H)으로부터 해체한 상기 지붕재(H2)를 적재시키는 적재판(17)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판(16)은 상기 힌지(15)를 중심으로 승강되면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16)은 상기 지붕(H)으로부터 상기 지붕재(H2)를 해체 및 수거할 수 있도록 중앙에 개구부(16a)를 구비하고, 이 개구부(16a)의 외각으로 보도 프레임(16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도 프레임(16b)은 미끄럼 방지턱(16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직바(13) 및 제 2 수직바(14) 그리고 상기 작업판(16) 및 적재판(17)은 길이방향으로 이등분되어 서로 암수형상으로 조립되고,
    상기 제 1 수직바(13)에 결합된 제 2 유압실린더(52)에 의해 그 길이가 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평바(11) 또는 제 2 수평바(12)에 고정되어 상기 적재판(17)에 펼쳐지는 수거비닐(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17)에 펼쳐져 상기 수거비닐(60)과 함께 상기 지붕재(H2)를 묶어주는 밴드(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20)에 고정되어 상기 작업대(100)의 균형을 맞춰주는 제 3 유압실린더(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30)에 고정되어 상기 작업대(100)의 하측방향으로 펼쳐지는 제 1 방진막(8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40)를 에워싸는 제 2 방진막(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KR1020100002413A 2010-01-11 2010-01-11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KR101160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413A KR101160457B1 (ko) 2010-01-11 2010-01-11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PCT/KR2011/000033 WO2011083952A2 (ko) 2010-01-11 2011-01-05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413A KR101160457B1 (ko) 2010-01-11 2010-01-11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439A KR20110082439A (ko) 2011-07-19
KR101160457B1 true KR101160457B1 (ko) 2012-06-27

Family

ID=44920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413A KR101160457B1 (ko) 2010-01-11 2010-01-11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4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401A (ko) 2014-05-29 2015-12-09 최재형 지붕작업장치
KR101986937B1 (ko) 2018-01-30 2019-06-07 최윤상 적응 로프 지지체계와 지붕 작업 장치
KR20190116602A (ko) 2018-04-04 2019-10-15 최윤상 트러스 프레임을 가진 지붕 작업 장치
KR102322464B1 (ko) 2021-02-05 2021-11-04 안광태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및 작업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1184A (en) 1982-03-22 1983-08-30 Sherry Howard W Roof skid
EP0950779A1 (en) 1998-04-16 1999-10-20 Hoondert Beheer BV Liftable work platform
JP2002089033A (ja) 2000-09-12 2002-03-27 Delta Engineering Kk 屋根工事用作業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KR100586843B1 (ko) 2003-07-09 2006-06-07 (주)케이돔엔지니어링 지붕막 구조물 및 지붕막 구조물의 리프트 업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1184A (en) 1982-03-22 1983-08-30 Sherry Howard W Roof skid
EP0950779A1 (en) 1998-04-16 1999-10-20 Hoondert Beheer BV Liftable work platform
JP2002089033A (ja) 2000-09-12 2002-03-27 Delta Engineering Kk 屋根工事用作業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KR100586843B1 (ko) 2003-07-09 2006-06-07 (주)케이돔엔지니어링 지붕막 구조물 및 지붕막 구조물의 리프트 업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401A (ko) 2014-05-29 2015-12-09 최재형 지붕작업장치
KR101986937B1 (ko) 2018-01-30 2019-06-07 최윤상 적응 로프 지지체계와 지붕 작업 장치
KR20190116602A (ko) 2018-04-04 2019-10-15 최윤상 트러스 프레임을 가진 지붕 작업 장치
KR102322464B1 (ko) 2021-02-05 2021-11-04 안광태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및 작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439A (ko)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025B1 (ko) 건축물의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KR101160457B1 (ko)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KR101160458B1 (ko)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KR101331184B1 (ko)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JP2000053387A (ja) 建築工事用安全フェンス
CN206233546U (zh) 一种电梯井道工作平台
KR101160459B1 (ko)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KR100904186B1 (ko) 작업발판을 갖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CN106223630B (zh) 超高层建筑核心筒的门窗洞口防护系统及施工方法
CN205822747U (zh) 建筑工程用脚手架
CN211198533U (zh) 一种用于建筑装饰材料打包的升降平台
KR101033312B1 (ko)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 방법
CN216196428U (zh) 一种新型马头门作业施工平台
WO2011083952A2 (ko) 건축물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CN211369454U (zh) 一种建筑工程用脚手架
CN211499700U (zh) 一种施工防护操作架
KR20120108275A (ko) 석면 함유 건축자재 수거전용 함체 및 그 매립 방법
CN105971295A (zh) 一种高层建筑楼层卸料装置
GB2484075A (en) Panel carrier for an aerial lift
CN109356039A (zh) 一种安全施工装配式盖梁作业平台
CN204781872U (zh) 一种定型化柱钢筋绑扎操作平台
JP4650762B2 (ja) 塔状建造物の構築解体用足場装置及び該装置を使用した塔状建造物の解体方法
JP2668217B2 (ja) アーチ状大空間屋根の構築方法
CN212689493U (zh) 一种建筑施工用可移动平台
CN209685747U (zh) 应用于食品加工的大型发酵罐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