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927B1 -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 - Google Patents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927B1
KR102542927B1 KR1020210017029A KR20210017029A KR102542927B1 KR 102542927 B1 KR102542927 B1 KR 102542927B1 KR 1020210017029 A KR1020210017029 A KR 1020210017029A KR 20210017029 A KR20210017029 A KR 20210017029A KR 102542927 B1 KR102542927 B1 KR 102542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en
wood
soundproofing
louvers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3168A (ko
Inventor
홍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우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우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우드테크
Priority to KR1020210017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927B1/ko
Publication of KR20220113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1Plank-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14Architectures, e.g. special construction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로서, 목재방음벽을 세우기 위한 기초부에 앙카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리브 플레이트와 H형태의 체결부를 구비하는 목재방음벽 기초부; 상기 목재방음벽 기초부의 H형태의 체결부들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체결 고정되는 목재 장선 체결부; 및 상기 목재 장선 체결부의 사이에 일체로 체결 형성되며, 후면 목재 사이딩의 전면으로 흡음재가 형성되고, 상기 흡음재의 전면으로 높낮이가 다른 다수의 목재루버가 배치되고, 상기 목재루버들 간의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픽스 클립을 구비하는 목재방음판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에 따르면, 목재방음벽을 세우기 위한 기초부에 앙카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리브 플레이트와 H형태의 체결부를 구비하는 목재방음벽 기초부와, 목재방음벽 기초부의 H형태의 체결부들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체결 고정되는 목재 장선 체결부와, 목재 장선 체결부의 사이에 일체로 체결 형성되며, 후면 목재 사이딩의 전면으로 흡음재가 형성되고, 흡음재의 전면으로 높낮이가 다른 다수의 목재루버가 배치되고, 목재루버들 간의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픽스 클립을 구비하는 목재방음판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높낮이가 상이한 목재 루버를 이용한 목재방음벽을 구성함에 따른 하울링을 저감시켜 방음 및 흡음 기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에 따르면, 목재방음벽을 형성하는 다수의 목재루버가 직접 나사를 박지 않고, 픽스 클립 및 탄성접착제를 통해 설치 고정되고, 폴리에스터 펠트의 흡음재와 전면 흡음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목재방음벽을 형성하는 목재루버가 휘거나 뒤틀림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안전하고 견고한 형태의 목재방음벽이 유지되며, 목재에 직결하는 스크루나 못 작업으로 인한 목재방음벽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A WOODEN SOUNDPROOFING BOARD DEVICE INCLUDING A WOODEN SOUNDPROOFING WALL STRUCTURE THAT CAN REDUCE HOWLING BY HEIGHT DIFFERENCE BETWEEN WOODEN PARTS}
본 발명은 목재방음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 발달에 따른 교통수단의 다양화 및 교통량의 증가와 함께 사회 기반 시설, 즉 도로, 철도, 공항의 확충에 따라 도로주변, 공항주변, 철도주변, 학교주변, 아파트 주변, 및 주택가 주변 등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각종 차량들에 의한 소음으로 큰 고통을 받고 있다. 이러한 소음 공해는 현대생활을 살아가는 도시민에 있어 큰 고충거리이며, 각종 민원의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도로 등 사회 기반 시설을 설계할 때에는 거주 지역이나 특정 지역에서 일정 한도 이하의 소음 기준이 제시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환경부에서 그 기준을 마련하고 있으며, 소음 차단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방음벽이 설치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이란, 소음의 전달과정에서 소음을 감쇠시켜 주변지역의 전반적인 소음분포를 일정기준 이하로 낮추어 주는 소음 저감대책용 구조물을 말한다. 즉, 방음벽은 말 그대로 도로와 같은 소음발생 지역과 그 주변지역의 경계부분을 벽체로 가로막도록 하는 구성이다.
종래의 방음벽 시스템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대 사이에 방음유닛이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주로 도로와 같은 소음발생구역의 양측에 설치되어 아파트나 기타 주거지역과 같은 보호구역 측으로 소음이 전달되지 않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진 방음벽에 의해 소음이 반사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종래의 방음벽으로는 알루미늄 패널을 이용한 방음벽이 가장 일반적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차음 효과는 있으나 흡음 효과가 미비하고, 재료의 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최근 경량 발포 콘크리트, 화산재와 같은 다공성 재질은 우수한 차음 및 흡음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재료의 단가도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나, 그 강도가 취약하다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되는 방음벽은, 차음 및 흡음 효과도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그 자중이 너무 커서 구조적 안정성이 취약하므로 도로주변의 방음벽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음벽들은 도로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증가 및 아파트 등의 건물의 밀집화 및 고층화에 따라서 벽체만으로는 도로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단순한 벽체 형상의 구조물로서 구조적인 강도의 취약성과 함께 미관상으로도 수려하지 못한 한계가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목재를 소재로 한 방음벽도 종종 설치되어 왔으나 목재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 환경에 해로운 방부 약제의 사용 문제와, 설치 후 대기 중의 습도 변화에 따른 목재의 변형과 뒤틀림 때문에 몇 년 지나지 않아 쉽게 파손되는 사례가 빈발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외면을 받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체에 전혀 무해한 개질목재들이 개발되어 방부제 없이도 수십 년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기술적 진보를 이룩하여 실제로 유럽의 고속도로 등에는 목재 방음벽의 설치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목재 방음벽의 설치는 지구온난화를 방지하는데 크게 이바지하고 있어서 각국 정부가 적극 장려하고 있으며, 건조된 목재 1㎥을 사용하여 방음벽을 만들 경우, 이산화탄소로 환산 시 약 917㎏을 장기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목재방음벽을 세우기 위한 기초부에 앙카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리브 플레이트와 H형태의 체결부를 구비하는 목재방음벽 기초부와, 목재방음벽 기초부의 H형태의 체결부들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체결 고정되는 목재 장선 체결부와, 목재 장선 체결부의 사이에 일체로 체결 형성되며, 후면 목재 사이딩의 전면으로 흡음재가 형성되고, 흡음재의 전면으로 높낮이가 다른 다수의 목재루버가 배치되고, 목재루버들 간의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픽스 클립을 구비하는 목재방음판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높낮이가 상이한 목재 루버를 이용한 목재방음벽을 구성함에 따른 하울링을 저감시켜 방음 및 흡음 기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재방음벽을 형성하는 다수의 목재루버가 직접 나사를 박지 않고, 픽스 클립 및 탄성접착제를 통해 설치 고정되고, 폴리에스터 펠트의 흡음재와 전면 흡음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목재방음벽을 형성하는 목재루버가 휘거나 뒤틀림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안전하고 견고한 형태의 목재방음벽이 유지되며, 목재에 직결하는 스크루나 못 작업으로 인한 목재방음벽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는,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로서,
목재방음벽을 세우기 위한 기초부에 앙카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리브 플레이트와 H형태의 체결부를 구비하는 목재방음벽 기초부;
상기 목재방음벽 기초부의 H형태의 체결부들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체결 고정되는 목재 장선 체결부; 및
상기 목재 장선 체결부의 사이에 일체로 체결 형성되며, 후면 목재 사이딩의 전면으로 흡음재가 형성되고, 상기 흡음재의 전면으로 높낮이가 다른 다수의 목재루버가 배치되고, 상기 목재루버들 간의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픽스 클립을 구비하는 목재방음판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재방음벽 기초부는,
목재방음벽을 세우기 위한 기초부에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4개의 앙카 볼트가 체결되는 4개의 볼트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앙카 볼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4개의 볼트 구멍을 통해 상기 기초부에 체결 고정되는 L형 앙카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재 장선 체결부는,
상기 목재방음벽 기초부의 H형태의 체결부들 사이에 연결되어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목재방음판의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면 목재 사이딩은,
상기 목재방음판의 후면을 형성하는 외장 마감재로 기능하되, 양 측면에 체결 홈과 체결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후면 목재 사이딩들 간의 체결 조립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음재는,
상기 후면 목재 사이딩의 전면에 탄성접착제를 매개로 연결되어 접착되는 판재로서, 폴리에스터 펠트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목재루버는,
상기 목재방음판의 전면으로 높낮이가 상이한 배치 구조로 하울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기능하되, 상기 흡음재의 전면으로 탄성접착제와 픽스 클립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직접 나사를 박지 않는 체결 구조로 뒤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픽스 클립은,
상기 다수의 목재루버들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로서, 상기 목재루버들 간의 탄성 결합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벌어진 개방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픽스 클립은,
상기 다수의 목재루버들 사이를 연결한 내부 공간으로 전면 흡음재가 더 삽입되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에 따르면, 목재방음벽을 세우기 위한 기초부에 앙카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리브 플레이트와 H형태의 체결부를 구비하는 목재방음벽 기초부와, 목재방음벽 기초부의 H형태의 체결부들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체결 고정되는 목재 장선 체결부와, 목재 장선 체결부의 사이에 일체로 체결 형성되며, 후면 목재 사이딩의 전면으로 흡음재가 형성되고, 흡음재의 전면으로 높낮이가 다른 다수의 목재루버가 배치되고, 목재루버들 간의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픽스 클립을 구비하는 목재방음판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높낮이가 상이한 목재 루버를 이용한 목재방음벽을 구성함에 따른 하울링을 저감시켜 방음 및 흡음 기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에 따르면, 목재방음벽을 형성하는 다수의 목재루버가 직접 나사를 박지 않고, 픽스 클립 및 탄성접착제를 통해 설치 고정되고, 폴리에스터 펠트의 흡음재와 전면 흡음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목재방음벽을 형성하는 목재루버가 휘거나 뒤틀림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안전하고 견고한 형태의 목재방음벽이 유지되며, 목재에 직결하는 스크루나 못 작업으로 인한 목재방음벽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의 목재방음벽 기초부의 요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의 목재방음판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의 목재방음판의 평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의 목재방음판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의 목재방음판에 사용되는 픽스 클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의 목재방음벽 기초부의 요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의 목재방음판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100)는, 목재방음벽 기초부(110), 목재 장선 체결부(120), 및 목재방음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목재방음벽 기초부(110)는, 목재방음벽을 세우기 위한 기초부(111)에 앙카 볼트(112)로 체결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3)와, 베이스 플레이트(113)에 일체로 형성되는 리브 플레이트(114)와 H형태의 체결부(115)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목재방음벽 기초부(110)는 도로와 같은 경계지역에서의 소음발생 구역과 보호구역 사이의 경계구역에 설치되는 기초 구조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목재방음벽 기초부(110)는 목재방음벽을 세우기 위한 기초부(111)에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3)에는 4개의 앙카 볼트(112)가 체결되는 4개의 볼트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앙카 볼트(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3)에 형성되는 4개의 볼트 구멍을 통해 상기 기초부(111)에 체결 고정되는 L형 앙카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목재방음벽 기초부(110)는 소음발생 구역과 보호구역 사이의 경계구역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지반에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설치되고, 그 상부 면에 목재방음판(130)과 목재 장선 체결부(120)가 설치될 수 있는 H형태의 체결부(115)가 서로 이격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러한 목재방음벽 기초부(110)는 설치될 방음벽의 길이에 대응하여 소정 간격마다 설치 구성될 수 있다.
목재 장선 체결부(120)는, 목재방음벽 기초부(110)의 H형태의 체결부(115)들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체결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목재 장선 체결부(120)는 목재방음벽 기초부(110)의 H형태의 체결부(115)들 사이에 연결되어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목재방음판(130)의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목재 장선 체결부(120)는 목재방음판(130)의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목재방음벽 기초부(110)의 H형태의 체결부(115)들 사이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목재로 구성될 수 있다.
목재방음판(130)은, 목재 장선 체결부(120)의 사이에 일체로 체결 형성되며, 후면 목재 사이딩(131)의 전면으로 흡음재(132)가 형성되고, 흡음재(132)의 전면으로 높낮이가 다른 다수의 목재루버(133)가 배치되고, 목재루버(133)들 간의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픽스 클립(134)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목재방음판(130)은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목재방음판(130)의 후면 목재 사이딩(131)은 목재방음판(130)의 후면을 형성하는 외장 마감재로 기능하되, 양 측면에 체결 홈과 체결 돌기가 형성되어 후면 목재 사이딩(131)들 간의 체결 조립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목재 사이딩(131)은 규화처리된 목재를 사용함으로써, 방부목을 사용함에 따라 주변 토양을 중금속으로 심각하게 오염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장수명을 보장하는 규화처리 목재로 내구성을 개선하고 관리비 절감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목재방음판(130)의 흡음재(132)는 후면 목재 사이딩(131)의 전면에 탄성접착제를 매개로 연결되어 접착되는 판재로서, 폴리에스터 펠트(felt)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음재(132)는 목재 루버나 사이딩으로 완전히 감싸서 노출되지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에도 흡음재에 쌓이는 비산먼지 등으로 인한 흡음 효과 감소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목재방음판(130)의 다수의 목재루버(133)는 목재방음판(130)의 전면으로 높낮이가 상이한 배치 구조로 하울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기능하되, 흡음재(132)의 전면으로 탄성접착제와 픽스 클립(134)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직접 나사를 박지 않는 체결 구조로 뒤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목재루버(133)는 규화처리된 목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목재방음판(130)의 픽스 클립(134)은 다수의 목재루버(133)들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로서, 목재루버(133)들 간의 탄성 결합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벌어진 개방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픽스 클립(134)은 다수의 목재루버(133)들 사이를 연결한 내부 공간으로 전면 흡음재(135)가 더 삽입되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픽스 클립(134)은 다수의 목재루버(133)들 간을 서로 연결하되, 다수의 목재루버(133)가 휘거나 뒤틀림 없이 안정되게 잡아주는 연결 브래킷 구조로서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픽스 클립(134)은 다수의 목재루버(133)들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돌출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다수의 목재루버(133)에는 픽스 클립(134)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체결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의 목재방음판의 평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의 목재방음판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의 목재방음판에 사용되는 픽스 클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방음판 장치(100)는 목재방음벽의 길이에 대응하여 소정 길이를 갖는 목재 방음벽 기초부(110)가 복수로 설치되고, 목재방음벽 기초부(110)에 목재 장선 연결부(120)를 매개로 목재방음판(1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는, 목재방음벽을 세우기 위한 기초부에 앙카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리브 플레이트와 H형태의 체결부를 구비하는 목재방음벽 기초부와, 목재방음벽 기초부의 H형태의 체결부들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체결 고정되는 목재 장선 체결부와, 목재 장선 체결부의 사이에 일체로 체결 형성되며, 후면 목재 사이딩의 전면으로 흡음재가 형성되고, 흡음재의 전면으로 높낮이가 다른 다수의 목재루버가 배치되고, 목재루버들 간의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픽스 클립을 구비하는 목재방음판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높낮이가 상이한 목재 루버를 이용한 목재방음벽을 구성함에 따른 하울링을 저감시켜 방음 및 흡음 기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목재방음벽을 형성하는 다수의 목재루버가 직접 나사를 박지 않고, 픽스 클립 및 탄성접착제를 통해 설치 고정되고, 폴리에스터 펠트의 흡음재와 전면 흡음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목재방음벽을 형성하는 목재루버가 휘거나 뒤틀림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안전하고 견고한 형태의 목재방음벽이 유지되며, 목재에 직결하는 스크루나 못 작업으로 인한 목재방음벽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방음판 장치
110: 목재방음벽 기초부
111: 기초부
112: 앙카 볼트
113: 베이스 플레이트
114: 리브 플레이트
115: H형태의 체결부
120: 목재 장선 체결부
130: 목재방음판
131: 후면 목재 사이딩
132: 흡음재
133: 다수의 목재루버
134: 픽스 클립
135: 전면 흡음재

Claims (8)

  1.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100)로서,
    목재방음벽을 세우기 위한 기초부(111)에 앙카 볼트(112)로 체결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3)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3)에 일체로 형성되는 리브 플레이트(114)와 H형태의 체결부(115)를 구비하는 목재방음벽 기초부(110);
    상기 목재방음벽 기초부(110)의 H형태의 체결부(115)들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체결 고정되는 목재 장선 체결부(120); 및
    상기 목재 장선 체결부(120)의 사이에 일체로 체결 형성되며, 후면 목재 사이딩(131)의 전면으로 흡음재(132)가 형성되고, 상기 흡음재(132)의 전면으로 높낮이가 다른 다수의 목재루버(133)가 배치되고, 상기 목재루버(133)들 간의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픽스 클립(134)을 구비하는 목재방음판(130)을 포함하되,
    상기 목재방음벽 기초부(110)는,
    목재방음벽을 세우기 위한 기초부(111)에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3)에는 4개의 앙카 볼트(112)가 체결되는 4개의 볼트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앙카 볼트(112)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3)에 형성되는 4개의 볼트 구멍을 통해 상기 기초부(111)에 체결 고정되는 L형 앙카 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목재루버(133)는,
    상기 목재방음판(130)의 전면으로 높낮이가 상이한 배치 구조로 하울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기능하되, 상기 흡음재(132)의 전면으로 탄성접착제와 픽스 클립(134)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직접 나사를 박지 않는 체결 구조로 뒤틀림이 방지되며,
    상기 픽스 클립(134)은,
    상기 다수의 목재루버(133)들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로서, 상기 목재루버(133)들 간의 탄성 결합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벌어진 개방된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픽스 클립(134)은,
    상기 다수의 목재루버(133)들 사이를 연결한 내부 공간으로 전면 흡음재(135)가 더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부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장선 체결부(120)는,
    상기 목재방음벽 기초부(110)의 H형태의 체결부(115)들 사이에 연결되어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목재방음판(130)의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목재 사이딩(131)은,
    상기 목재방음판(130)의 후면을 형성하는 외장 마감재로 기능하되, 양 측면에 체결 홈과 체결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후면 목재 사이딩(131)들 간의 체결 조립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132)는,
    상기 후면 목재 사이딩(131)의 전면에 탄성접착제를 매개로 연결되어 접착되는 판재로서, 폴리에스터 펠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017029A 2021-02-05 2021-02-05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 KR102542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029A KR102542927B1 (ko) 2021-02-05 2021-02-05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029A KR102542927B1 (ko) 2021-02-05 2021-02-05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168A KR20220113168A (ko) 2022-08-12
KR102542927B1 true KR102542927B1 (ko) 2023-06-16

Family

ID=8280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029A KR102542927B1 (ko) 2021-02-05 2021-02-05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9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773B1 (ko) * 2000-01-11 2003-11-14 주식회사 동원테크 폴리에스터재를 소재로 한 흡음재 제조방법
WO2004055284A1 (fr) * 2002-12-10 2004-07-01 Jean-Luc Sandoz Structure antibruit
KR101220584B1 (ko) * 2010-12-23 2013-01-10 송미자 조립식 흡음블록을 갖는 방음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686A (ko) * 2008-09-01 2010-03-10 금호산업 주식회사 방음벽 구조
KR102018701B1 (ko) * 2017-08-23 2019-09-06 (주)다정하이테크 데크 고정용 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773B1 (ko) * 2000-01-11 2003-11-14 주식회사 동원테크 폴리에스터재를 소재로 한 흡음재 제조방법
WO2004055284A1 (fr) * 2002-12-10 2004-07-01 Jean-Luc Sandoz Structure antibruit
KR101220584B1 (ko) * 2010-12-23 2013-01-10 송미자 조립식 흡음블록을 갖는 방음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168A (ko)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2927B1 (ko)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
KR100822065B1 (ko) 지주와 방음패널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방음벽
KR102397998B1 (ko) 목재부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방음벽 시스템
KR20070093819A (ko) 도로용 방음벽
KR20220155167A (ko) 벽체 각재용 픽스 클립
KR100436156B1 (ko) 방음벽 구조
KR101671480B1 (ko) 방음 터널 지붕 패널 설치를 위한 방진 구조재
KR101465960B1 (ko) 흡음형 방음벽
KR101822972B1 (ko) 분리식 흡음패널
KR20170028661A (ko) 반사 소음 억제형 조립식 방음벽
KR102575383B1 (ko)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하부 레일을 구비하는 어쿠스틱 클릭루버 보드 장치
KR200359829Y1 (ko) 방음 패널
KR200359827Y1 (ko) 방음벽용 패널
KR200260058Y1 (ko) 흡음형 콘크리트 방음벽
KR960009726B1 (ko) 도로변의 차량 방음벽
KR100596035B1 (ko) 친환경적인 도로방음벽 설치구조
KR20150088509A (ko) 경량 방음 터널
KR200194971Y1 (ko) 방음벽 구조
KR100378634B1 (ko) 흡음벽
KR20210154649A (ko) 방음벽
KR100281242B1 (ko) 공명구조가 구비된 소음방지용 발포 알루미늄 패널
KR200234619Y1 (ko) 방음 판
KR100505844B1 (ko) 방음패널
KR20050110769A (ko) 방음벽용 패널
JPH10280702A (ja) 仮設用防音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