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619Y1 - 방음 판 - Google Patents

방음 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619Y1
KR200234619Y1 KR2020010006333U KR20010006333U KR200234619Y1 KR 200234619 Y1 KR200234619 Y1 KR 200234619Y1 KR 2020010006333 U KR2020010006333 U KR 2020010006333U KR 20010006333 U KR20010006333 U KR 20010006333U KR 200234619 Y1 KR200234619 Y1 KR 200234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ound
sound absorbing
porous plat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근
Original Assignee
박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춘근 filed Critical 박춘근
Priority to KR2020010006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6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61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변, 철로 변, 지하철 등의 도로 주변이나 학교주변 및 공장주변, 아파트단지 등의 주거지와 도로의 경계에 설치하여 차량의 소음을 흡수 또는 차단하기 위한 방음판넬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방음판넬의 전 , 후면판의 사이에 상호 이격된 이중의 흡음부와 다공판 및 공간부를 구비토록 하여 획기적인 방음효과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방음판넬의 후면 양측부에 지주인 H빔의 날개부가 끼워져 은폐될 수 있는 결합홈과 커버부를 구성하여 방음판넬의 설치 후 지주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음 판{SOUND BARRIER}
본 고안은 도로변, 철로 변, 지하철 등의 도로 주변이나 학교주변 및 공장주변, 아파트단지 등의 주거지와 도로의 경계에 설치하여 차량의 소음을 흡수 또는 차단하기 위한 방음판넬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방음판넬의 전 , 후면판의 사이에 상호 이격된 이중의 흡음부와 다공판 및 공간부를 구비토록 하여 획기적인 방음효과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방음판넬의 후면 양측부에 지주인 H빔의 날개부가 끼워져 은폐될 수 있는 결합홈과 커버부를 구성하여 방음판넬의 설치 후 지주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차량의 증가에 따라 도로의 면적이 증가하면서 일반주거지와 도로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짐에 따라 차량의 소음에 의한 소음공해가 날로 심해지면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등의 소음으로부터 아파트 등의 주거지를 보호하고자 일반도로나 고속도로의 도로주변 또는 아파트단지 등의 주거지와 도로의 경계에 차량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의 시멘트나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에 금속재 H-빔을 일정한 간격으로 축설하고 내부에 흡음재를 내장한 다수개의 방음판넬을 전기한 H-빔의 양측 요(凹)부에 삽입 적층하여 설치하고 있다.
기존에 알려지고 있는 방음판넬의 구성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다수의 흡음공이 타공되는 전면판(101)과, 상기 전면판(100)과 일정된 이격 간격을 가지고 결합되며 횡방향으로의 요입부(102')가 형성되는 후면판(102), 상기 후면판(102)의 상, 하측단에 일체로 구성되어 전면판(101)과 결합되는 상면판(103) 및 저면판(104), 상기 전, 후면판(101)(102)의 사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판(105)(106)과, 그리고 상기 전면판(101)과 후면판(102)이 이루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흡음재(107)와 상기 흡음재(107)와 후면판(10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08)로 구성된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존 구조의 방음판넬은 소음이 전면판(101)의 흡음공을 통해 흡음재(107)로 유입되어 어느 정도 소명 소멸되고 흡음재(107)를 통과한 소음은 다시 공간부(108)에서 공명되면서 감소되는 것이나 이와 같은 단일의 흡음재(107)와 공간부(108)만을 통해서는 소음의 흡수 소멸 효과가 미약하여 방음판넬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또한 흡음재(107)가 단순히 전, 후면판(101)(102)의 사이에 끼여 있는 구조이므로 조립 시 흡음재(107)의 밀림에 의해 전면판(101)이 전방으로 융출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미관을 해치게 된다.
한편 방음판넬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주(S)는 부식에 의해 녹발생이 손쉬운 철제로 구성되는 것이며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방음판넬의 양단 전체가 지주(S)의 날개 안쪽으로 결합되는 것이므로 지주에 녹이 발생된 경우 녹이 발생된 후면부가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크게 저해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중의 소음감소구조를 통해 획기적인 방음효과를 추구할 수 있음은 물론 지주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음판넬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방음판넬의 전, 후면판의 사이에 상호 이격된 이중의 흡음부와 다공판 및 공간부를 구비토록 함과 아울러 방음판넬의 후면 양측부에 지주인 H빔의 날개부가 끼워져 은폐될 수 있는 결합홈과 커버부를 구성하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방음벽의 일 구성예를 보이는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평 단면 예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상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방음판넬을 보이는 평단면 예시도.
도 6은 도 5의 측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전면판 2:후면판 2':요입부
3:상면판 4:저면판 5,6:측면판
10:제 1다공판 11:흡음공 20:제 2다공판
21:흡음공 30:제 1흡음재 40:제 2흡음재
50:제 1공간부 60:제 2공간부 70:결합홈
80:커버부
다수의 흡음공이 타공되는 전면판(1)과, 상기 전면판(1)과 일정된 이격간격을 가지고 결합되며 횡방향으로의 요입부(2')가 형성되는 후면판(2), 상기 후면판(2)의 상, 하측단에 일체로 구성되어 전면판(1)과 결합되는 상면판(3) 및 저면판(4), 상기 전, 후면판(1)(2)의 사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판(5)(6)을 포함하는 공지의 흡음형 방음판넬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상태로 양단이 측면판(5)(6)에고정 설치되며 다수의 흡음공(11)을 구비하는 제 1 다공판(10)과;
상기 제 1다공판(10)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상태로 양단이 측면판(5)(6)에 고정 설치되며 다수의 흡음공(21)을 구비하는 제 2 다공판(20)과;
상기 전면판(1)과 제 1다공판(1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 1흡음재(30)와;
상기 제 2다공판(20)과 후면판(2)의 요입부(2')사이에 설치되는 제 2흡음재(40)와;
상기 제 1다공판(10)과 제 2다공판(20)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 1공간부(50)와;
상기 제 2흡음재(40)와 후면판(2) 사이에 마련되는 제 2공간부(60)와;
상기 측면판(5)(6)의 후측부에 종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며 H빔으로 구성되는 지주(S)의 날개부(S')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70)과;
상기 후면판(2)의 양측단에 마련되며 결합홈(70)에 끼워진 날개부(S')를 커버하여 외부로부터 은폐시켜 주기 위한 커버부(80)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0)는 탄성 지지부재이고, (91)는 결속용 와이어 연결부재로서 아이볼트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2에서와 같이 지주(S)에 결합 지지되어 방음벽을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1 및 제 2 다공판(10)(20)은 특정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철판류를 이용하며 양단을 절곡하여 부착면을 구성한 다음 이를 양 측면판(5)(6)에 나사 등을 이용하여 부착 고정시킨다.
한편 전면판(1)의 흡음공을 통해 소음이 유입되면 일차적으로 제 1흡음재(30)에 의해 어느 정도 흡수 소멸되며 제 1흡음재(30)와 밀접된 제 1다공판(10)의 흡음공(11)을 빠져나가면서 추가적으로 소음이 소멸된다.
제 1다공판(10)을 빠져나간 소음의 일부는 제 1공간부(50)를 거치면서 여기에서 내부마찰을 일으키면서 열에너지로 전환되며 여기에서 소음의 대부분이 소멸된다.
제 1공간부(50)에 의해서도 미처 소거되지 못한 잔음은 제 2다공판(20)의 흡음공(21)을 거치면서 일부가 소거되고 추가적으로 제 2다공판(20)과 밀접된 제 2흡음재(40)에 의해 소거되며 그래도 완전히 소멸되지 아니한 소리에너지는 최종적으로 제 2 공간부(60)로 유입되어 열 에너지화 함으로서 소리에너지가 완전하게 소멸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지주(S)의 날개부(S')가 결합홈(70)에 끼워짐으로써 결합홈(70)의 후방에 위치하는 커버부(80)가 지주(S) 후면의 노출면을 커버하게되어 외부로부터 은폐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구조물의 일체감에서 변형되는 것을 커버할 수 있어 미관의 저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다중의 소음감소구조를 통해 획기적인 방음효과를 추구할 수 있어 품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어 제품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으며, 지주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방음벽의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의 흡음공이 타공되는 전면판(1)과, 상기 전면판(1)과 일정된 이격간격을 가지고 결합되며 횡방향으로의 요입부(2')가 형성되는 후면판(2), 상기 후면판(2)의 상, 하측단에 일체로 구성되어 전면판(1)과 결합되는 상면판(3) 및 저면판(4), 상기 전, 후면판(1)(2)의 사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판(5)(6)을 포함하는 공지의 구조의 흡음형 방음판넬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상태로 양단이 측면판(5)(6)에 고정 설치되며 다수의 흡음공(11)을 구비하는 제 1 다공판(10)과;
    상기 제 1다공판(10)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상태로 양단이 측면판(5)(6)에 고정 설치되며 다수의 흡음공(21)을 구비하는 제 2 다공판(20)과;
    상기 전면판(1)과 제 1다공판(1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 1흡음재(30)와;
    상기 제 2다공판(20)과 후면판(2)의 요입부(2')사이에 설치되는 제 2흡음재(40)와;
    상기 제 1다공판(10)과 제 2다공판(20)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 1공간부(50)와;
    상기 제 2흡음재(40)와 후면판(2) 사이에 마련되는 제 2공간부(60)와;
    상기 측면판(5)(6)의 후측부에 종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며 H빔으로 구성되는 지주(S)의 날개부(S')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70)과;
    상기 후면판(2)의 양측단에 마련되며 결합홈(70)에 끼워진 날개부(S')를 커버하여 외부로부터 은폐시켜 주기 위한 커버부(80)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판넬.
KR2020010006333U 2001-03-09 2001-03-09 방음 판 KR200234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333U KR200234619Y1 (ko) 2001-03-09 2001-03-09 방음 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333U KR200234619Y1 (ko) 2001-03-09 2001-03-09 방음 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619Y1 true KR200234619Y1 (ko) 2001-10-06

Family

ID=7305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333U KR200234619Y1 (ko) 2001-03-09 2001-03-09 방음 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6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4619Y1 (ko) 방음 판
KR20150045237A (ko) 방음벽의 리모델링용 흡음장치
KR101822972B1 (ko) 분리식 흡음패널
KR101185783B1 (ko) 흡음형 방음벽
KR101238328B1 (ko) 방음벽 결합구조
KR102542927B1 (ko) 목재부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목재방음벽 구조를 포함하는 목재방음판 장치
KR100928568B1 (ko) 목재 프레임형 투명 방음판
KR100505844B1 (ko) 방음패널
KR200261486Y1 (ko) 양면방음패널
KR100378634B1 (ko) 흡음벽
KR20200118673A (ko) 방음벽 리모델링 흡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291869Y1 (ko) 도로용 방음벽
KR100596035B1 (ko) 친환경적인 도로방음벽 설치구조
KR100417452B1 (ko) 목재 방음판넬
KR102193992B1 (ko) Fab 옥상 배기시설 방음벽
KR200230651Y1 (ko) 흡음벽
KR20040021360A (ko) 발포 알루미늄 방음벽
KR100472529B1 (ko) 방음블록 및 그것을 사용한 방음벽
JPH10280702A (ja) 仮設用防音パネル
KR102397998B1 (ko) 목재부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하울링을 줄일 수 있는 방음벽 시스템
KR200321307Y1 (ko) 방음패널
KR20020005257A (ko) 방음벽
KR200414179Y1 (ko) 방음벽용 회절음 감쇄구조
KR200331602Y1 (ko) 공기층을 구비한 방음천장이 설치된 터널형 방음시설
KR101083760B1 (ko) 흡음패널이 결합된 벽체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