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910B1 - 토석류 방호시설 - Google Patents

토석류 방호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910B1
KR101820910B1 KR1020160138607A KR20160138607A KR101820910B1 KR 101820910 B1 KR101820910 B1 KR 101820910B1 KR 1020160138607 A KR1020160138607 A KR 1020160138607A KR 20160138607 A KR20160138607 A KR 20160138607A KR 101820910 B1 KR101820910 B1 KR 101820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washer
fixing
anchor
fit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익
Original Assignee
(주)창광이앤씨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광이앤씨,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창광이앤씨
Priority to KR1020160138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석류 방호시설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앵커에 네트부를 설치하되, 앵커에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오픈소켓을 통해 네트부를 설치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네트부의 제거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유지보수 및 사용성이 우수하도록 하고, 네트부에 설치되는 완충수단을 통해 토석류에 의한 충격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지주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경우 지주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추가적인 충격완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토석류 방호시설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낙석구간의 경사면 및 바닥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앵커; 상기 앵커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 중공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형 앵커결합부와, 상기 너트형 앵커결합부의 일측 양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오픈소켓; 상기 오픈소켓에 가장자리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완충수단이 구비되어 낙석구간에서 발생되는 토석류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토석류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네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토석류 방호시설{Protection facility of debris flow}
본 발명은 토석류 방호시설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앵커에 네트부를 설치하되, 오픈소켓을 통해 앵커에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제거하거나 설치하는 등의 사용성이 우수하고, 네트부에 설치되는 완충수단을 통해 토석류에 의한 충격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토석류 방호시설에 관한 것이다.
토석류(土石流)란 오랫동안 풍화작용(風化作用)을 받아 토사와 암석편이 많이 생긴 산사면이 폭우나 장마로 인해 물로 포화되어 그 무게가 마찰력을 지탱하지 못하여 흘러내리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토석류는 산지 하측에 위치한 거주지 및 토목구조물(도로 등)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한번 토석류가 발생한 곳에서는 바닥의 암반이 나타나서 새로운 토양이 되어 식물이 무성해질 때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토사 유출 재해에는 사면 붕괴, 산사태 및 토석류 등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데, 이중 산사태 및 토석류는 절개지나 산지의 계곡부에서 호우로 인해 유목, 토사, 낙석 등이 물과 함께 흘러내리는 것으로 최근 기후 변화에 의한 집중 호우와 국지성 폭우 등으로 이의 재해가 증가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산사태나 토석류는 집중호우와 강우 후 지반에 스며든 물이 빠지면서 지표면의 표피에서 전단파괴가 발생하여 토사, 유목 및 낙석 등이 물과 함께 도로나 주택지로 흘러내리므로 이의 발생 시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완충할 수 있어야 하고, 토사나 유목 및 낙석 등이 도로나 주택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유목이나 토사 및 낙석 등의 잔재가 토석류 방호시설에 걸렸을 경우에는 이의 정격 하중에 저항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호우가 끝난 후에는 이의 방호 시설에 걸려있는 잔재를 쉽게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산사태 및 토석류 방호시설로는 스위스에서 개발된 링 네트(Ring Net)공법이 있는데, 이것은 원형의 링을 겹쳐놓은 그물을 설치하여 산사태 발생시 이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구조로서 산사태 발생시, 하단부가 지면에 밀착되고 중앙부는 배가 나온 댐 구조로 방호되므로 충격 흡수 성능은 우수하나 퇴적 용량이 모두 찼을 경우에는 토석류가 월류하여 파괴에 취약하고, 잔재의 제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파괴 시는 전체 시설을 재시공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토석류 방호시설을 형성하는 로트는 탄력성이 거의 없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어 로프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로프가 체결된 지주나 앵커에 그대로 전달되어 상기 구조물의 파손 및 훼손을 유발하였다.
즉 토석류 방호시설의 경우 작은 토석류에 의하여 로프에 가해지는 가벼운 충격이 앵커나 지주 및 로프에 전달되는 상황이 장기간 지속되어 피로 하중이 쌓임에 따라 방호시설의 회손 또는 파손되어 빈번한 시설물 보완공사 및 나아가 재시공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로프가 직접적으로 파단되거나 체결구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155117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설치되는 앵커에 네트부를 설치하되, 앵커에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오픈소켓을 통해 네트부를 설치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네트부의 제거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유지보수 및 사용성이 우수하도록 하고, 네트부에 설치되는 완충수단을 통해 토석류에 의한 충격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지주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경우 지주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추가적인 충격완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토석류 방호시설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낙석구간의 경사면 및 바닥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앵커; 상기 앵커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 중공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형 앵커결합부와, 상기 너트형 앵커결합부의 일측 양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오픈소켓; 상기 오픈소켓에 가장자리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완충수단이 구비되어 낙석구간에서 발생되는 토석류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토석류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네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낙석구간에 상기 네트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주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는,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지주받침부; 상기 지주받침부에 하단이 힌지 결합되어 토석류가 흘러내리는 방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토석류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주몸체; 상기 지주몸체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지면에 설치되는 앵커에 연결되어 지주몸체를 지지해주는 다수의 지주보강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받침부는, 상기 앵커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의 상, 하, 좌, 우 4면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지주몸체의 회전반경을 제한해주는 4개의 측벽판; 상기 4개의 측벽판들 중 좌, 우측에 마주하는 측벽판을 관통하여 상기 지주몸체의 하단에 끼워짐으로써 지주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도록 하는 연결핀; 상기 측벽판들 중 하측에 위치한 측벽판에 인접되고 지주가 회동되는 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회동된 지주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경사측벽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수단은 네트부를 구성하는 로프에 끼워질 수 있도록 중심부에 끼움홀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와셔; 상기 고정와셔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고정와셔의 끼움홀을 상, 하로 구획시켜주는 한 쌍의 지지와셔; 상기 고정와셔의 끼움홀에 끼워지는 로프를 가압하여 고정해주는 가압볼트; 상기 로프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한 쌍의 고정와셔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프는 지지와셔에 의해 구획된 고정와셔들의 일측 끼움홀을 통해 끼워지고 링형태로 감겨진 후 다시 고정와셔들의 타측 끼움홀을 통해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링형태의 충격완화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와셔는, 로프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심부에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끼움홀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통되는 2개의 가압볼트홀이 끼움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고정와셔몸체와, 상기고정와셔몸체의 일측면 상, 하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와셔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와셔는 고정와셔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로프가 설치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개구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와셔몸체와, 상기 지지와셔몸체의 중심에서일측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의 중심으로 삽입되어 끼움홀을 구획해주는 구획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토석류 방호시설은 오픈소켓을 통해 네트부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네트부가 손상되었을 경우 손쉽게 제거 및 재 설치가 가능하여 유지보수 및 사용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링형 완충수단과 직선형 완충수단에 의해 완충효과가 뛰어나 충격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링형 완충수단은 가압볼트를 이용하여 로프를 가압하는 과정을 통해 1차적인 완충이 발생되도록 하고, 충격완화부의 크기 변화를 통해 2차적인 완충이 발생되도록 하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통해 3차적인 완충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충격흡수 성능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네트부를 고정하기 위한 지주를 더 설치하되, 상기 지주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산사태 발생시 토석류에 의한 충격을 추가적으로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토석류 방호시설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토석류 방호시설에 있어 오픈소켓을 통해 네트부를 고정한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토석류 방호시설의 오픈소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링형 완충수단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링형 완충수단에 있어 고정와셔와 지지와셔의 결합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링형 완충수단에 있어 고정와셔와 지지와셔의 분리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링형 완충수단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직선형 완충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직선형 완충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토석류 방호시설에 있어 지주를 더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지주와 지주보강 와이어로프의 설치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지주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지주에 있어 지주몸체와 지주받침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지주의 충격흡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토석류 방호시설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토석류 방호시설에 있어 오픈소켓을 통해 네트부를 고정한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토석류 방호시설의 오픈소켓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낙석구간의 경사면 및 바닥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앵커(10)와, 상기 앵커(10)에 나사결합되어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오픈소켓(100)과, 상기 오픈소켓(100)에 가장자리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다수의 완충수단이 구비되어 낙석구간에서 발생되는 토석류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네트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낙석구간은 통상적으로 계곡과 같은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낙석구간은 오목한 형태로 경사면과 바닥면이 형성된다.
상기 앵커(10)는 경사면 및 바닥면으로 설치되어 네트부(200) 고정을 위한 오픈소켓(100)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오픈소켓(100)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두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픈소켓(100)은 상기 앵커(10)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 중공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형 앵커결합부(110)와, 상기 너트형 앵커결합부(110)의 외부 일측에서 서로 마주보며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대(120)와, 상기 지지대(120)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네트부(200)를 형성하는 와이어로프(210)가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연결핀(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오픈소켓(100)은 너트형 앵커결합부(110)를 통해 경사면과 바닥면에 설치된 앵커(10)에 손쉽게 체결하거나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유지보수 하는 과정에서 손쉽게 탈착이 이루어져 유지보수 및 시공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네트부(200)는 도면에서와 같이 와이어로프(210)를 격자형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교차점에는 결속수단(230)을 설치하여 교차된 와이어로프(210)를 결속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로프는(210) 서로 교차되는 수직와이어로프(211)와 수평와이어로프(212)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로프(210)는 끝단이 오픈소켓(100)의 연결핀(130)이나 지지대(120)에 감아 겹쳐진 상태에서 고정클립(220)을 통해 고정하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링형 완충수단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링형 완충수단에 있어 고정와셔와 지지와셔의 결합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링형 완충수단에 있어 고정와셔와 지지와셔의 분리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링형 완충수단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직선형 완충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직선형 완충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상기 완충수단은 링형 완충수단(400)과 직선형 완충수단(5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형 완충수단(400)과 직선형 완충수단(500)은 통상 수평와이어로프(212)에 설치되는데 경우에 따라 수직와이어로프(211)나 경사형태로 설치되는 와이어로프 등 어떠한 와이어로프에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링형 완충수단(400)은 와이어로프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심부에 끼움홀(412)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와셔(410)와, 상기 고정와셔(41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고정와셔(410)의 끼움홀(412)을 상, 하로 구획시켜주는 한 쌍의 지지와셔(420)와, 상기 고정와셔(410)의 끼움홀(412)에 끼워지는 와이어로프(210)를 가압하여 와이어로프(21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완충작용이 발생되도록 하는 가압볼트(430)와, 상기 와이어로프(210)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한 쌍의 고정와셔(410)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외력발생시 충격을 흡수해주는 압축스프링(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로프(210)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와셔(410)들의 구획된 어느 하나의 끼움홀(412)을 통해 연속적으로 끼워지고 이후 끼워진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링형태로 감겨져 충격완화부(450)를 형성한 후 다시 고정와셔(410)들의 구획된 나머지 하나의 끼움홀(412)을 통해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와셔(410)는 와이어로프(2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심부에 끼움홀(412)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볼트(4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끼움홀(412)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2개의 가압볼트홀(413)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와셔몸체(411)와, 상기 고정와셔몸체(411)의 일측면 상, 하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와셔(420)에 끼워지는 끼움돌기(4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볼트홀(413)은 끼움홀(412)을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지지와셔(420)에 의해 끼움홀(412)이 구획될 경우 각각의 끼움홀(412)에 가압볼트(4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와셔몸체(411)에는 고정볼트(431)를 통해 지지와셔(420)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끼움홀(412)의 양측에 고정볼트홀(42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와셔(420)는 고정와셔(41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로프(21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개구홈(422)이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지지와셔몸체(421)와, 상기 지지와셔몸체(421)의 중심에서 일측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412)의 중심으로 삽입되어 끼움홀(412)을 구획해주는 구획돌기(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와셔몸체(421)는 고정볼트(431)를 통해 고정와셔(410)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고정볼트홀(42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구획돌기(423)는 끼움홀(412)을 2개로 구획해줌과 동시에 끼움홀(412)로 끼워지는 와이어로프(210)가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오목한 형태의 수용홈(424)이 형성된다.
이렇게 구획돌기(423)에 수용홈(424)을 형성함으로써 가압볼트(430)에 의해 와이어로프(210)가 가압될 경우 와이어로프(210)가 수용홈(424)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끼움홀(412)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424)의 내부면에는 요철부(425)를 더 형성하여 와이어로프(210)의 가압시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강한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안정적으로 흡수하여 완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링형 완충수단(400)은 상기 가압볼트(430)를 통해 와이어로프(210)를 가압해줌으로써 외부 충격이 발생될 경우 가압력을 통한 1차적인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후 링형태의 충격완화부(450)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2차적인 충격완화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후 고정와셔(410) 사이의 압축스프링(440)이 압축되면서 3차적으로 충격을 완화시켜 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와이어로프(210)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직선형 완충수단(500)은 절단된 부위의 일부가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한 와이어로프(210) 절단부에 각각 압착을 통해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록킹 와셔(54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한 쌍의 걸림구(510)와, 상기 걸림구(510) 및 와이어로프(210)가 통과될 수 있는 장방형 구멍(521)을 구비하고 압축스프링(530)의 양단부에 각각 내면이 밀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압축스프링 지지와셔(520)와,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와이어로프(210)의 절단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외부에서 와이어로프(210)에 압력이 가해질 때 이를 탄력적으로 완충시켜 줌은 물론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210)들의 길이가 외부에서 압력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가변되게 하는 압축스프링(530)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 및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와이어로프 인출홈(541)이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압축스프링 지지와셔(520)의 외면에 밀착된 형태로 고정볼트(550)를 통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로프(210) 절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걸림구(51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록킹와셔(540)로 구성된다.
상기 직선형완충수단(500)은, 한 쌍의 걸림구(510)와 한 쌍의 압축스프링 지지와셔(520), 압축스프링(530) 및 한 쌍의 록킹와셔(540)로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걸림구(510)는 와이어로프(210)가 끼워질 수 있는 파이프 형상을 갖거나 또는 와이어로프(210)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소정깊이로 형성된 봉형상을 갖고 일부가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한 와이어로프(210)의 절단부에 각각 끼워져 압착을 통해 일체로 고정 설치된 것으로, 상기 와이어로프(210)들이 록킹와셔(540)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한 쌍의 압축스프링 지지와셔(520)는 중앙에 일부가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상기 와이어로프(210)를 포함한 상기 걸림구(410)가 통과될 수 있는 장방형 구멍(521)을 구비하고 압축 스프링(530)의 양단부에 각각 내면이 밀착되게 배치되고 외면에는 후술하는 록킹와셔(540)가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볼트(550)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압축스프링(530)은 상기 걸림구(510)를 포함한 와이어로프(210)가 동시에 삽입될 수 있는 내경 및 정해진 탄성력을 갖게 제작된 것으로,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와이어로프(210)의 절단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압축스프링(530)은 충격 흡수성능이 매우 우수하므로 외부에서 와이어로프(210)에 압력(즉, 유목 및 토석류를 포함한 물에 의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수축 및 압축되며 상기 와이어로프(210)을 통해 전달되는 압력 및 충격력을 완화 및 완충시켜 줌은 물론 와이어로프(210)들의 길이가 외부에서 압력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가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한 쌍의 록킹와셔(540)은 전술한 압축스프링 지지와셔(520)의 지름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도록 소정두께를 갖는 철판으로 성형한 것으로 중심점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 및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와이어로프 인출홈(541)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상기 록킹와셔(540)들은 상기 와이어로프(210) 절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걸림구(510)가 압축스프링 지지와셔(520)의 외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550)를 통해 압축스프링 지지와셔(520)들에 분해 가능하게 고정 설치하여 상기 와이어로프(210) 절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상기 걸림구(510)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직선형 완충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토석류 방호시설에 있어 지주를 더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지주와 지주보강 와이어로프의 설치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지주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지주에 있어 지주몸체와 지주받침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지주의 충격흡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낙석구간에 설치되어 상기 네트부(2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주(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주(300)는 지면에 앵커(10)를 통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지주받침부(320)와, 상기 지주받침부(320)에 하단이 힌지 결합되어 토석류가 흘러내리는 방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토석류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네트부(200)의 와이어로프(210)가 연결되는 지주몸체(310)와, 상기 지주몸체(310)의 일측단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지면에 설치되는 앵커(10)에 연결되어 지주몸체(310)를 지지해주는 다수의 지주보강 와이어로프(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주받침부(320)는 앵커(10)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판(321)과, 상기 하부판(321)의 4면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4개의 측벽판(322a)(322b)(322c)(322d)과, 상기 4개의 측벽판(322a)(322b)(322c)(322d)들 중 좌, 우측에 마주하는 측벽판(322a)(322b)을 관통하여 상기 지주몸체(310)의 하단에 끼워짐으로써 지주몸체(3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도록 하는 연결핀(3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벽판(322a)(322b)(322c)(322d)들 상측에 위치하는 측벽판(322c)은 지주몸체(310)의 상측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지주몸체(310)가 상측 방향으로는 전도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도록 받쳐주게 된다.
또한 상기 측벽판들 중 하측에 위치한 측벽판(322d)는 지주몸체(310)와 이격되어 지주몸체(310)가 전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회동된 후 받쳐주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주받침부(320)는 상기 하측에 위치한 측벽판(322d)에 인접하고 지주가 회동되는 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측벽판(322e)을 더 설치하여 지주몸체(310)가 회동될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지주몸체(3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사측벽판(322e)은 하단은 하부판(321)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하측에 위치한 측벽판(322d)에 부착된 상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지주몸체(310)의 회전각도를 제한해주고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지주보강 와이어로프(330)는 지주몸체(310)를 추가적으로 지면에 고정해주는 것으로 지주(300)의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켜 토석류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지주보강 와이어로프(330)는 일측단이 지주몸체(310)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오픈소켓(100)을 통해 앵커에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지주보강 와이어로프(330)에도 상기 링형 완충수단(400)과 직선형 완충수단(50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보강 와이어로프(330)는 낙석구간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토석류가 지주에 직접적으로 부딪히기 전에 지주보강 와이어로프(330)에 먼저 부딪힐 수 있도록 하여 충격을 흡수해줌으로써 지주(3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토석류 방호시설은 오픈소켓(100)을 통해 네트부(200)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네트부(200)가 손상되었을 경우 손쉽게 제거 및 재 설치가 가능하여 유지보수 및 사용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링형 완충수단(400)과 직선형 완충수단(500)에 의해 완충효과가 뛰어나 충격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방호구간의 폭이 클 경우 소정의 간격마다 네트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주를 더 설치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방호시설을 구성할 수 있게 되며, 지주를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토석류에 의한 충격을 추가적으로 완화시켜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앵커 (100) : 오픈소켓
(110) : 너트형 앵커결합부 (111) : 중공
(120) : 지지대 (130) : 연결핀
(200) : 네트부 (210) : 와이어로프
(211) : 수직와이어로프 (212) : 수평와이어로프
(220) : 고정클립 (230) : 결속수단
(300) : 지주 (310) : 지주몸체
(320) : 지주받침부 (321) : 하부판
(322a)(322b)(322c)(322d) : 측벽판 (322e) : 경사측벽판
(323) : 연결핀 (330) : 지주보강 와이어로프
(400) : 링형 완충수단 (410) : 고정와셔
(411) : 고정와셔몸체 (412) : 끼움홀
(413) : 가압볼트홀 (414) : 고정볼트홀
(415) : 끼움돌기 (420) : 지지와셔
(421) : 지지와셔몸체 (422) : 개구홈
(423) : 구획돌기 (424) : 수용홈
(425) : 요철부 (426) : 고정볼트홀
(430) : 가압볼트 (431) : 고정볼트
(440) : 압축스프링 (450) : 충격완화부
(500) : 직선형 완충수단 (510) : 걸림구
(520) : 압축스프링 지지와셔 (521) : 장방형 구멍
(530) : 압축스프링 (540) : 록킹와셔
(541) : 인출홈 (550) : 고정볼트

Claims (6)

  1. 낙석구간의 경사면 및 바닥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앵커(10);
    상기 앵커(10)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 중공(111)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형 앵커결합부(110)와, 상기 너트형 앵커결합부(110)의 일측 양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120)와 상기 지지대(120)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연결핀(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오픈소켓(100);
    상기 오픈소켓(100)에 가장자리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완충수단이 구비되어 낙석구간에서 발생되는 토석류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토석류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네트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완충수단은 링형 완충수단(400)으로써, 네트부(200)를 구성하는 와이어로프(2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심부에 끼움홀(412)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와셔(410)와, 상기 고정와셔(41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고정와셔(410)의 끼움홀(412)을 상, 하로 구획시켜주는 한 쌍의 지지와셔(420)와, 상기 고정와셔(410)의 끼움홀(412)에 끼워지는 와이어로프(210)를 가압하여 와이어로프(21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완충작용이 발생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볼트(430)와, 상기 와이어로프(210)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한 쌍의 고정와셔(410)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외력발생시 충격을 흡수해주는 압축스프링(4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로프(210)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와셔(410)들의 구획된 어느 하나의 끼움홀(412)을 통해 연속적으로 끼워지고 이후 끼워진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링형태로 감겨진 후 다시 고정와셔(410)들의 구획된 나머지 하나의 끼움홀(412)을 통해 끼워져 충격완화부(450)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와셔(410)는, 와이어로프(2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심부에 끼움홀(412)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볼트(4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끼움홀(412)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통되는 2개의 가압볼트홀(413)이 끼움홀(412)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고정와셔몸체(411)와, 상기 고정와셔몸체(411)의 일측면 상, 하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와셔(420)에 끼워지는 끼움돌기(41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와셔(420)는 고정와셔(41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로프(21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개구홈(422)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와셔몸체(421)와, 상기 지지와셔몸체(421)의 중심에서 일측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412)의 중심으로 삽입되어 끼움홀(412)을 구획해주는 구획돌기(423)와, 상기 구획돌기(423)의 양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와이어로프(210)가 끼워지게 되는 수용홈(424)과, 상기 수용홈에 형성되어 와이어로프(210)의 가압시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하는 요철부(42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호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낙석구간에 상기 네트부(2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주(30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호시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300)는,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지주받침부(320);
    상기 지주받침부(320)에 하단이 힌지 결합되어 토석류가 흘러내리는 방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토석류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주몸체(310);
    상기 지주몸체(310)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지면에 설치되는 앵커에 연결되어 지주몸체(310)를 지지해주는 다수의 지주보강 와이어로프(3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호시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받침부(320)는,
    상기 앵커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판(321);
    상기 하부판(321)의 상, 하, 좌, 우 4면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지주몸체(310)의 회전반경을 제한해주는 4개의 측벽판(322a)(322b)(322c)(322d);
    상기 4개의 측벽판(322a)(322b)(322c)(322d)들 중 좌, 우측에 마주하는 측벽판을 관통하여 상기 지주몸체(310)의 하단에 끼워짐으로써 지주몸체(3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도록 하는 연결핀(323);
    상기 측벽판(322a)(322b)(322c)(322d)들 중 하측에 위치한 측벽판에 인접되고 지주몸체(310)가 회동되는 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회동된 지주몸체(3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경사측벽판(322e);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방호시설.








  5. 삭제
  6. 삭제
KR1020160138607A 2016-10-24 2016-10-24 토석류 방호시설 KR101820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607A KR101820910B1 (ko) 2016-10-24 2016-10-24 토석류 방호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607A KR101820910B1 (ko) 2016-10-24 2016-10-24 토석류 방호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910B1 true KR101820910B1 (ko) 2018-03-08

Family

ID=6172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607A KR101820910B1 (ko) 2016-10-24 2016-10-24 토석류 방호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91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921B1 (ko) * 2018-07-16 2019-05-21 주식회사 성화휀스 스프링 탈락 방지구조의 낙석방지 구조물
KR102143455B1 (ko) * 2019-12-23 2020-08-11 나재술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방법
US11180895B2 (en) 2017-10-12 2021-11-23 Geobrugg Ag Safety net
KR102626603B1 (ko) * 2023-09-15 2024-01-19 주식회사 태하 연결구조가 개선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26604B1 (ko) * 2023-09-15 2024-01-19 주식회사 태하 이중고정구조가 적용된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372B1 (ko) * 2006-02-14 2006-12-19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와이어로프 완충장치와 단부장치를 이용한 충격흡수 울타리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81309B1 (ko) * 2005-03-29 2007-02-09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옹벽 블럭과 소일 네일링의 인장재 연결구조
KR101551174B1 (ko) * 2015-03-24 2015-09-08 (주)창광이앤씨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
KR101572505B1 (ko) * 2015-04-28 2015-11-27 주식회사 성원안전 사면 낙석방지책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309B1 (ko) * 2005-03-29 2007-02-09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옹벽 블럭과 소일 네일링의 인장재 연결구조
KR100659372B1 (ko) * 2006-02-14 2006-12-19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와이어로프 완충장치와 단부장치를 이용한 충격흡수 울타리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51174B1 (ko) * 2015-03-24 2015-09-08 (주)창광이앤씨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
KR101572505B1 (ko) * 2015-04-28 2015-11-27 주식회사 성원안전 사면 낙석방지책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0895B2 (en) 2017-10-12 2021-11-23 Geobrugg Ag Safety net
KR101979921B1 (ko) * 2018-07-16 2019-05-21 주식회사 성화휀스 스프링 탈락 방지구조의 낙석방지 구조물
KR102143455B1 (ko) * 2019-12-23 2020-08-11 나재술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2626603B1 (ko) * 2023-09-15 2024-01-19 주식회사 태하 연결구조가 개선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26604B1 (ko) * 2023-09-15 2024-01-19 주식회사 태하 이중고정구조가 적용된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910B1 (ko) 토석류 방호시설
KR101551174B1 (ko)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
KR101912713B1 (ko) 내진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572505B1 (ko) 사면 낙석방지책
KR102081865B1 (ko)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KR101866432B1 (ko) 낙석 방지용 와이어 로프 완충형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 방지망 시공방법
JP4549427B1 (ja) 防護柵
JP2018115420A (ja) 防護柵
JP2018178480A (ja) 防護柵
KR101345966B1 (ko) 외력에 순응하는 기능성 펜스의 지주 구조
JP5557166B2 (ja) 防護柵
KR101530081B1 (ko) 완충슬롯을 갖는 와이어로프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시설 시공 방법
KR101037013B1 (ko) 와이어로프의 충격흡수용 슬라이드 조립체
JP5490670B2 (ja) 落石防護ネット構造
KR20110130077A (ko) 충격에너지의 분배 및 흡수가 가능한 낙석방지 울타리
KR101506327B1 (ko) 낙석방지망용 로프의 교차부 결속 및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
KR100938709B1 (ko) 사면보강용 와이어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사면보강장치
KR200287832Y1 (ko) 낙석방지울타리의 와이어로프 간격유지장치
CN212801197U (zh) 一种带波纹板的桥梁减震伸缩缝
CN212801198U (zh) 一种可更换的新型桥梁减震伸缩缝
KR200473180Y1 (ko) 낙석방지망 고정장치
JP7165555B2 (ja) 機能分離型衝撃吸収装置
KR200397552Y1 (ko) 고강도 낙석방지책
KR101907879B1 (ko) 지주식 네트형 토석류 저감장치
KR102311349B1 (ko) 완충연결장치를 포함하는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