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604B1 - 이중고정구조가 적용된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이중고정구조가 적용된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604B1
KR102626604B1 KR1020230122820A KR20230122820A KR102626604B1 KR 102626604 B1 KR102626604 B1 KR 102626604B1 KR 1020230122820 A KR1020230122820 A KR 1020230122820A KR 20230122820 A KR20230122820 A KR 20230122820A KR 102626604 B1 KR102626604 B1 KR 102626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stone
wire
units
net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2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하
Priority to KR1020230122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고정구조가 적용된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톤블럭을 네트유닛에 1차적으로 고정하고, 철선을 이용해서 인접한 다른 네트유닛에 2차적으로 고정하는 이중고정구조를 적용하여, 스톤블럭과 인접한 다른 네트유닛간의 형태안정성이 향상되어 스톤블럭이 고정된 스톤네트를 유속이 빠른 장소에 시공하더라도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이중고정구조가 적용된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고정구조가 적용된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Stone Net With Improved Shape Stability With Double Fix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중고정구조가 적용된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톤블럭을 네트유닛에 1차적으로 고정하고, 철선을 이용해서 인접한 다른 네트유닛에 2차적으로 고정하는 이중고정구조를 적용하여, 스톤블럭과 인접한 다른 네트유닛간의 형태안정성이 향상되어 스톤블럭이 고정된 스톤네트를 유속이 빠른 장소에 시공하더라도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이중고정구조가 적용된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톤네트는 자연석 또는 인공석과 같은 스톤블럭이 철망에 일체화된 구조체로서, 하천의 호안 및 법면에 설치되었을 때 세굴을 방지하며 자연친화적으로 하천을 안정화할 수 있어 현재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톤네트는 철망의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네트유닛 각각에 스톤블럭을 고정시키고, 스톤블럭이 고정된 복수의 네트유닛을 이송장치를 통해 설치장소로 이송한 후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현된다. 스톤네트는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낮아 경제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스톤네트가 설치되는 하천은 그 지형에 따라 유속이 서로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일한 하천에서도 하천이 굴곡되는 지점이나 바닥이 패여 있는 지점에서는 다른 지점에보다 유속이 빠를 수 있다. 종래에는 스톤블럭이 스톤네트에 단일한 부재로만 연결되기 때문에, 유속이 빠른 지점에 고정된 스톤네트에서 스톤블럭이 유실되는 하자가 다수 보고되었다.
따라서 스톤블럭이 철망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되 제작이 용이하고 경제성을 저하시키기 않는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스톤블럭을 네트유닛에 1차적으로 고정하고, 철선을 이용해서 인접한 다른 네트유닛에 2차적으로 고정하는 이중고정구조를 적용하여, 스톤블럭과 인접한 다른 네트유닛간의 형태안정성이 향상되어 스톤블럭이 고정된 스톤네트를 유속이 빠른 장소에 시공하더라도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이중고정구조가 적용된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톤네트로서, 복수의 네트유닛,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각각의 상면에 고정되고 자연석 또는 인공석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스톤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각각은, 사각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공간에서 복수의 격자를 형성하는 철망을 포함하는 철망부;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일단은 상기 복수의 스톤블럭 중 상기 철망부의 모서리영역에 위치하는 스톤블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철망부의 모서리영역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스톤고정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하나에 위치하고, 상기 철망부의 모서리영역의 하측에 고정되는 제1철선클립; 및 일측은 상기 제1철선클립을 관통하고 타측은 상기 스톤고정핀을 관통하는 네일철선;을 포함하는 스톤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톤고정부는, 상기 네일철선이 상기 스톤고정핀 및 제1철선클립을 관통함으로써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네트유닛 각각의 상면의 복수의 스톤블럭을 서로 고정시키는, 스톤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톤네트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을 연결하는 복수의 결속철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각각은,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의 철망연결부재, 및 복수의 지점이 상기 복수의 철망연결부재 각각의 타단을 관통하도록 위치하는 인장철선을 포함하고, 상기 철망부의 네 모서리 중 1 이상에 위치하는 인장철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는 인장철선부가 위치한 일측 모서리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다른 하나의 일측 모서리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결속철선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부가 위치한 일측 모서리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다른 하나의 복수의 격자를 연속적으로 통과함으로써 복수의 네트유닛을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결속철선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다른 하나의 철망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1위치,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다른 하나의 철망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위치,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다른 하나의 철망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 및 복수의 네트유닛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톤네트는, 사용자에 의하여 이송되는 경우에, 상기 인장철선부에 이송장치의 말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방향, 하측방향, 전진방향, 및 후진방향 중 1 이상의 방향으로 연속이동함으로써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톤고정부는, 상기 네일철선의 양단부 각각이 고리모양을 가지도록 굽혀지고, 상기 철선클립이 상기 네일철선의 양단부 각각에서 상기 네일철선이 상호 겹쳐지는 영역을 고정시키는 제2철선클립; 및 상기 네일철선의 양단부 각각을 상기 철망부에 고정시키는 비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너부재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비너부재는 상기 네일철선의 양단부 각각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스톤블럭이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톤네트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스톤네트는, 복수의 네트유닛,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각각의 상면에 고정되고 자연석 또는 인공석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스톤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각각은, 사각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공간에서 복수의 격자를 형성하는 철망을 포함하는 철망부;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일단은 상기 복수의 스톤블럭 중 상기 철망부의 모서리영역에 위치하는 스톤블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철망부의 모서리영역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스톤고정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하나에 위치하고, 상기 철망부의 모서리영역의 하측에 고정되는 제1철선클립; 및 일측은 상기 제1철선클립을 관통하고 타측은 상기 스톤고정핀을 관통하는 네일철선;을 포함하는 스톤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공방법은, 상기 네일철선이 상기 스톤고정핀 및 제1철선클립을 관통함으로써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네트유닛 각각의 상면의 복수의 스톤블럭을 서로 고정시키는 네트블럭고정단계;를 포함하는, 스톤네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유닛에 고정된 스톤블럭이 네일철선을 통해 인접한 네트유닛에 이중으로 고정됨으로써, 스톤네트는 스톤블럭과의 강성이 향상되어 형태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에 복수의 스톤블럭이 배치된 복수의 네트유닛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스톤네트는 하천의 호안 및 법면 등에 설치되었을 때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이 낮아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톤블럭 각각은 앵커에 의하여 네트유닛에 고정됨으로써 스톤네트에 1차적으로 고정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톤고정부는 네트유닛의 상면에 고정된 스톤블럭을 인접한 다른 네트유닛에 고정시킴에 따라, 스톤블럭이 고정된 네트유닛에 하자가 발생하더라도 스톤블럭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철선부가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부를 복수의 네트유닛 중 다른 하나의 철망부에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스톤네트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복수의 네트유닛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어 스톤네트 설치 후 빠른 유속에도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장철선부는 스톤네트의 설치 후에도 양단부에 인장력이 가해짐으로써 네트유닛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스톤네트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철선부를 통해 네트유닛의 인장철선부 및 인접한 다른 네트유닛의 철망부를 꿰맴으로써 네트유닛 사이를 선결속할 수 있고 이는 네트유닛 간의 결속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일철선을 스톤고정핀에 연속적으로 관통시키는 단순한 작업을 통해 복수의 스톤블럭을 이중으로 고정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시공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장철선부를 통해서 네트유닛을 이송시킴으로써 네트유닛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 후 하자가 발생할 수 있는 지점을 최소화함으로써 스톤네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의 평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톤네트가 하천에 설치되었을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철선클립, 비너부재, 및 이를 이용하여 네일철선을 고정시키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철선부 및 결속철선부에 의한 네트유닛 간의 연결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유닛을 이송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의 시공방법의 세부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이 때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스톤네트는 하천의 호안이나 법면을 친환경적으로 보호하는 구조체에 해당하며, 철망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네트유닛 각각의 상면에 복수의 스톤블럭을 고정하고, 이를 설치장소로 이송한 후 서로 연결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종래에는 복수의 스톤블럭 각각의 하측을 단일한 고정부재만을 이용하여 스톤네트에 고정하였고, 이는 스톤네트가 유속이 빠른 지점에 설치되는 경우에 스톤블럭이 쉽게 유실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톤고정부(1300)를 통해 복수의 스톤블럭(2000)을 이중으로 고정하는 스톤네트(1)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톤블럭(2000)은 앵커(a)에 의하여 네트유닛(1000)의 상면에 1차적으로 고정되고, 스톤고정핀(1310), 제1철선클립(1320), 및 네일철선(1330)을 포함하는 스톤고정부(1300)에 의하여 인접한 네트유닛(1000)과 2차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스톤블럭(2000)이 스톤네트(1)에 이중으로 고정되는 이중고정구조가 적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톤고정부(1300)는, 상기 제1철선클립(1320)이 네트유닛(1000)의 모서리영역의 하측에 고정되고, 상기 스톤고정핀(1310)이 상기 네트유닛(1000)과 인접한 네트유닛(1000)의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스톤블럭(20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네일철선(1330)의 일측이 상기 제1철선클립(1320)을 관통하고 타측이 상기 스톤고정핀(1310)을 관통함으로써, 스톤블럭(2000)이 스톤네트(1)에 이중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을 통해, 네트유닛(1000)에 고정된 스톤블럭(2000)이 네일철선(1330)을 통해 인접한 네트유닛(1000)에 이중으로 고정됨으로써, 스톤네트(1000)는 스톤블럭(2000)과의 강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스톤네트(1)의 형태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로서, 복수의 네트유닛(1000),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의 상면에 고정되고 자연석 또는 인공석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스톤블럭(200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은, 사각형상의 프레임(1110) 및 상기 프레임(1110)의 내측공간에서 복수의 격자를 형성하는 철망(1120)을 포함하는 철망부(1100);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상기 철망부(1100)의 모서리영역의 하측에 고정되는 제1철선클립(1320);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하나에 위치하고, 일단은 상기 복수의 스톤블럭(2000) 중 상기 철망부의 모서리영역에 위치하는 스톤블럭(20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철망부의 모서리영역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스톤고정핀(1310); 및 일측은 상기 제1철선클립(1320)을 관통하고 타측은 상기 스톤고정핀(1310)을 관통하는 네일철선(1330);을 포함하는 스톤고정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스톤고정부(1300)는 상기 네일철선(1330)이 상기 스톤고정핀(1310) 및 제1철선클립(1320)을 관통함으로써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긱의 상면의 복수의 스톤블럭(2000)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톤네트(1)는 상면에 복수의 스톤블럭(2000)이 고정된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을 서로 연결한 구조체로서, 복수의 스톤블럭(2000)을 일체화하여 하천 등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체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스톤네트(1)는 하천의 호안 및 법면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자연친화적으로 하천을 보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에 복수의 스톤블럭(2000)이 배치된 복수의 네트유닛(1000)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스톤네트(1)는 하천에 설치되었을 때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이 낮아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톤블럭(2000)은 하천을 친환경적으로 보호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스톤블럭(2000)은 하천이나 석산 등에서 채취한 자연석을 사용하거나 자연석을 일정한 형태로 가공한 인공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은 모듈형태의 구조물로서, 각각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스톤네트(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1000)의 일측 모서리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다른 하나(1000')의 일측 모서리와 서로 연결되는 연결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면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은 사각형상의 프레임(1110)의 내측공간에 복수의 격자를 형성하는 철망(1120)이 배치되는 철망부(1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부식이 방지할 수 있도록 아연도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철망부(1100)는 비용적으로 저렴하여 경제적이고, 복수의 스톤블럭(2000)이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톤블럭(2000) 각각은 앵커(a)에 의하여 네트유닛(1000)에 고정됨으로써 스톤네트(1)에 1차적으로 고정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철망부(1100)는 앵커(a)가 삽입되기 용이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스톤블럭(2000)을 철망부(1100)에 1차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톤네트(1)는 앵커(a)를 통해 복수의 스톤블럭(2000)을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a)는 일측이 철망부(1100)를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복수의 스톤블럭(2000) 각각에 압입설치됨으로써 스톤블럭(2000)과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앵커(a)는 타단이 철망부(1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타단에 상기 철망부(1100)의 격자를 통과할 수 없는 고정판부재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철망부(1100)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앵커(a)는 상기 복수의 스톤블럭(2000) 각각을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은 스톤고정핀(1310), 제1철선클립(1320), 및 네일철선(1330)을 포함하는 스톤고정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은 상기 스톤고정핀(1310), 제1철선클립(1320), 및 네일철선(1330)을 각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1000)에 위치하는 스톤고정부(1300)가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하는 다른 하나(1000')의 상면 중 모서리영역에 위치한 스톤블럭(2000')을 이중으로 고정하는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톤고정핀(1310)은 일단이 상기 복수의 스톤블럭(2000') 중 철망부(1100')의 모서리영역에 위치하는 스톤블럭(20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톤고정핀(1310)의 타단에는 고리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톤고정핀(1310)은 상기 고리형상의 관통홀이 상기 철망부(1100')의 모서리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복수의 스톤블럭(2000')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톤고정핀(1310)은 복수 개 구비되어 철망부(1100')의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스톤블럭(2000')에 각각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철선클립(1320)은 상기 철망부(1100)의 모서리영역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철선클립(1320)은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하측에 상기 제1철선클립(1320)이 고정된 철망부(1100)의 모서리영역의 상측에 스톤블럭(2000)이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본 발명의 구성을 명확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 생략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측에 상기 제1철선클립(1320)이 고정된 모서리영역의 상측에도 복수의 스톤블럭(2000)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네일철선(1330)은, 일측이 해당 네트유닛(1000)의 제1철선클립(1320)을 관통하고, 타측이 해당 네트유닛(1000)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하나(1000')의 복수의 스톤블럭(2000') 중 일부에 배치된 스톤고정핀(1310)을 관통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다른 하나(1000')에 포함된 네일철선(1330')은 일측이 해당 네트유닛(1330')의 제1철선클립(1320')을 관통하고, 타측이 해당 네트유닛(1000')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또 다른 하나(미도시)의 스톤고정핀(미도시)을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네일철선(1330)이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복수의 스톤블럭(2000) 중 모서리영역에 위치하는 스톤블럭(2000)을 이중으로 고정하는 것이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에 하자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상면에 배치된 복수의 스톤블럭(2000) 중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스톤블럭(2000)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하나의 네일철선(133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고, 이는 스톤네트(1)의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네일철선(1330)은 일측이 스톤네트(1)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스톤네트(1)의 상면에 고정된 스톤블럭(2000)에 연결되어 스톤블럭(2000)을 스톤네트(1)에 이중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스톤블럭(2000)과 스톤네트(1) 간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톤고정부(1300)는 어느 하나의 네트유닛(1000)의 상면에 고정된 스톤블럭(2000)을 어느 하나의 네트유닛(1000)과 인접한 다른 하나에 고정시킴에 따라, 스톤블럭(2000)이 고정된 네트유닛(1000)에 하자가 발생하더라도 스톤블럭(2000)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일철선(1330)은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의 모서리의 길이보다 2배 이상으로 긴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톤네트(1)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을 연결하는 복수의 결속철선부(30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은 철망부(1100)의 모서리측에 위치하는 인장철선부(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장철선부(1200) 및 결속철선부(300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이 연결되는 연결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면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1 및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도 1 및 도 2 기준 좌측에 배치된 네트유닛)는 스톤고정핀(1310)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본 발명의 구성을 명확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 생략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스톤네트(1)에 포함된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은 스톤고정핀(13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의 평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에서는 좌상측에 배치된 네트유닛(1000)을 제1네트유닛(1000-1), 우상측에 배치된 네트유닛(1000)을 제2네트유닛(1000-2), 좌하측에 배치된 네트유닛(1000)을 제3네트유닛(1000-3), 및 우하측에 배치된 네트유닛(1000)을 제4네트유닛(1000-4)으로 지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네트유닛(1000-1)은 상측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스톤고정부(1300-1) 및 좌측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스톤고정부(1300'-1)가 스톤고정핀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네트유닛(1000-1)의 상측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스톤고정부(1300-1) 및 좌측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스톤고정부(1300'-1)도 스톤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네트유닛(1000-2) 및 제3네트유닛(1000-3)도 일부 모서리영역 측에 배치된 스톤고정부(1300'-2, 1300-3)가 스톤고정핀(1310)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스톤고정부(1300)가 스톤고정핀(13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고정부(1300)는 철망부(1100)의 네 모서리영역 중 1 이상의 모서리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고정부(1300)는 철망부의 네 모서리영역 중 인접한 2개의 모서리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스톤고정부(1300)는 도 3에 도시된 제4네트유닛(1000-4)에서와 같이 철망부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의 네 모서리영역 중에서 상측 및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1네트유닛(1000-1)에 다음과 같은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네트유닛(1000-1)의 우측 모서리와 제2네트유닛(1000-2)의 좌측 모서리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네트유닛(1000-1)의 상측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네일철선(1330-1)은 제1네트유닛(1000-1)의 복수의 격자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함으로써 제1네트유닛(1000-1)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네트유닛(1000-2)의 복수의 스톤블럭(2000-2) 중 상측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스톤블럭(2000-2)에 고정된 스톤고정핀(1310-2)을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네트유닛(1000-1)의 네일철선(1330-1)은 일측이 제1네트유닛(1000-1)의 하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2네트유닛(1000-2)의 복수의 스톤블럭(2000-2) 중 상측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스톤블럭(2000-2)에 연결되어 상기 제1네트유닛(1000-1) 및 제2네트유닛(1000-2)의 복수의 스톤블럭(2000-2) 중 상측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스톤블럭(2000-2)을 서로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네트유닛(1000-2)의 복수의 스톤블럭(2000-2) 중 상측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스톤블럭(2000-2)은 제2네트유닛(1000-2)에 고정되는 것에 더하여 이중으로 제1네트유닛(1000-1)에 연결되기 때문에, 제2네트유닛(1000-2)에 하자가 발생하더라도 그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에 의하여 제1네트유닛(1000-1)의 하측 모서리와 제3네트유닛(1000-3)의 상측 모서리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네트유닛(1000-1)의 좌측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네일철선(1330'-3)은 제1네트유닛(1000-1)에 형성된 복수의 격자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함으로써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3네트유닛(1000-3)의 복수의 스톤블럭(2000-3) 중 하측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스톤블럭(2000-3)에 고정된 스톤고정핀(1310-3)을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네트유닛(1000-1)의 네일철선(1330'-1)은 일측이 제1네트유닛(1000-1)의 하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3네트유닛(1000-3)의 복수의 스톤블럭(2000-3) 중 좌측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스톤블럭(2000-3)에 연결되어 상기 제1네트유닛(1000-1) 및 제3네트유닛(1000-3)의 복수의 스톤블럭(2000-3) 중 좌측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스톤블럭(2000-3)을 서로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네트유닛(1000-3)의 복수의 스톤블록(2000-3) 중 좌측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스톤블럭(2000-3)은 제3네트유닛(1000-3)에 고정되는 것에 더하여 이중으로 제1네트유닛(1000-1)에 연결되기 때문에 제3네트유닛(1000-3)에 하자가 발생하더라도 그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에 포함된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일철선(1330)은 일측이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면에 고정된 스톤블럭(2000)에 연결되어, 해당 스톤블럭(2000)을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에 이중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스톤블럭(2000)과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간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톤블럭(2000)과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간의 강성이 향상됨에 따라 스톤네트(1)는 유속이 빠른 지점에 설치되더라도 스톤블럭(2000)의 유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톤네트(1)가 하천에 설치되었을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스톤네트(1)가 하천의 바닥에 설치되었을 경우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때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스톤블럭(2000) 중 빗금으로 표시된 스톤블럭(2000)은 스톤고정부(1300)가 연결되어 있는 스톤블럭(2000)에 해당한다.
하천의 물은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되 그 지형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속이 달라질 수 있고, 특히 바닥이 패인 지점 또는 굴곡이 생기는 지점에서는 물의 유속이 급격하게 빨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서와 같이 하천의 바닥이 패인 지점(도 4(b)에서, A지점)에서부터 유속이 급격하게 빨라질 수 있으며, A지점에 가장 인접한 복수의 스톤블럭(2000)은 비교적 강한 외력을 받을 수 있다.
종래의 스톤네트는 복수의 스톤블럭 각각을 앵커(도 2에서, a)에 의하여서만 철망부에 고정하였기 때문에, 복수의 스톤블럭 중 보다 강한 외력을 받는 지점에 고정된 스톤블럭이 스톤네트로부터 유실되는 하자가 다수 보고되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는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에 포함된 스톤고정부(1300)에 의하여, 복수의 스톤블럭(2000) 중 모서리영역에 고정된 스톤블럭(2000)이 인접한 네트유닛(1000)에 이중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하자의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톤고정부(13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톤블럭(2000) 각각에 모두 고정되지 않고,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의 네 모서리영역 중 인접한 2개의 모서리영역에 위치하여 복수의 스톤블럭(2000) 중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스톤블럭(2000)에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는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의 모서리측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의 스톤블럭(2000) 중 스톤고정부(1300)가 연결되지 않은 스톤블럭(2000)이 스톤고정부(1300)가 연결된 스톤블럭(2000)으로 감싸진 것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톤네트(1)는 이러한 형태를 가짐에 따라, 복수의 스톤블럭(2000) 중 스톤고정부(1300)가 연결되지 않은 스톤블럭(2000)(도 4에서, 빗금 쳐지지 않은 스톤블럭)이 복수의 스톤블럭(2000) 중 스톤고정부(1300)가 연결된 스톤블럭(2000)(도 4에서, 빗금 쳐진 스톤블럭)에 의하여 보호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톤고정부(1300)는 복수의 스톤블럭(2000) 중 일부에만 고정되더라도 복수의 스톤블럭(2000) 전체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개수가 절감되어 시공단계를 단축시킬 수 있고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부품의 개수가 절감됨에 따라 종래의 스톤네트에 비하여 비용이 크게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철선클립(1340), 비너부재(1350), 및 이를 이용하여 네일철선(1330)을 고정시키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철선클립(1340), 및 비너부재(1350)를 도시하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철선(1330)의 일단부가 스톤네트(1)의 철망부(1100)에 고정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톤고정부(1300)는, 상기 네일철선(1330)의 양단부 각각이 고리모양을 가지도록 굽혀지고, 상기 네일철선(1330)의 양단부 각각에서 상기 네일철선(1330)이 상호 겹쳐지는 영역을 고정시키는 제2철선클립(1340); 및 상기 네일철선(1330)의 양단부 각각을 상기 철망부(1100)에 고정시키는 비너부재(1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비너부재(1350)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비너부재(1350)는 상기 네일철선(1330)의 양단부 각각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스톤블럭(2000)이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일철선(1330)의 양단부 각각은 고리모양을 가지도록 굽혀질 수 있고 네일철선(1330)이 상호 겹쳐지는 영역은 도 5(a)에 도시된 제2철선클립(1340)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네일철선(133)의 양단부에는 고리부(133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리부에는 도 5(a)에 도시된 비너부재(1350)가 고정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너부재(1350)는 일반적인 비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철선(1330)은 사용자에 의하여 일측이 제1철선클립(1320)을 관통하고 타측이 스톤고정핀(1310)을 관통한 후에, 양단부에 고정된 비너부재(1350)를 철망부(1100)의 복수의 격자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키거나, 철망부(1100)의 프레임(1110)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스톤블럭(2000)이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고정부(1300)의 제1철선클립(1320) 및 제2철선클립(1340)은 상응하는 부재일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스톤고정부(1300)는 비교적 적은 종류의 부품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시공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철선부(1200) 및 결속철선부(3000)에 의한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간의 연결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때 인장철선부(1200) 및 결속철선부(3000)의 구성을 명확하게 보이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톤고정부(1300)는 생략되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로 연결된 두 네트유닛(1000)을 도시한다. 이때 좌측에 배치된 네트유닛(1000)은 제1네트유닛(1000-1)에 해당하고, 우측에 배치된 네트유닛(1000)은 제2네트유닛(1000-2)에 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을 연결하는 복수의 결속철선부(30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은, 일단이 상기 프레임(1110)에 결합되는 복수의 철망연결부재(1210), 및 복수의 지점이 상기 복수의 철망연결부재(1210) 각각의 타단을 관통하도록 위치하는 인장철선(1220)을 포함하고, 상기 철망부(1100)의 네 모서리 중 1 이상에 위치하는 인장철선부(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는 인장철선부(1200)가 위치한 일측 모서리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일측 모서리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결속철선부(300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부(1200)가 위치한 일측 모서리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복수의 격자를 연속적으로 통과함으로써 복수의 네트유닛(10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은 철망부(1100)의 네 모서리 중 1 이상에 위치하는 인장철선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철선부(1200)는 인장철선을 복수의 철망연결부재(1210)를 통해 상기 철망부(1100)의 모서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철망연결부재(1210)는 상기 철망부(1100)의 모서리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인장철선이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철망부(1100)의 모서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철망연결부재(1210) 각각은 전체적으로 8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철망연결부재(1210) 각각은 일측에 상기 철망부(1100)의 모서리를 관통삽입시키고 타측에 상기 인장철선을 관통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인장철선을 상기 철망부(1100)의 모서리에 고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인장철선이 상기 철망부(1100)의 모서리를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장철선은 굴곡형태가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굴곡형태는 상기 인장철선이 복수의 철망연결부재(1210)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철망부(1100)의 모서리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었다가 절곡된 후에 상기 복수의 철망연결부재(121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한 다른 하나까지 연장되는 형태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인장철선의 길이는 상기 철망부(1100)의 모서리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인장철선부(1200)는 갈고리와 같은 걸림부재가 상기 굴곡형태에 의하여 용이하게 걸릴 수 있는 구조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은 상기 인장철선부(1200)에 이송장치의 말단에 배치된 걸림부재가 걸림으로써 이송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은 휨 변형이 최소한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면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복수의 네트유닛(1000)은 상기 인장철선부(1200)가 철망부(1100)의 네 모서리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의 도시된 제1네트유닛(1000-1)와 같이,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는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방향에 있는 네 모서리 중에서 우측방향에 해당하는 모서리에 인장철선부(1200'-1)가 위치하고 좌측방향에 해당하는 모서리에 인장철선부(1200-1)가 위치하는 구조(이하에서, 좌우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6(a)에 도시된 제2네트유닛(1000-2)와 같이,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는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방향에 있는 네 모서리 중에서 상측방향에 해당하는 모서리에 인장철선부(1200'-2)가 위치하고 하측방향에 해당하는 모서리에 인장철선부(1200-2)위치하는 구조(이하에서, 상하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구조는 상기 좌우구조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은 본 발명의 스톤네트(1)가 설치되는 면적의 좌우방향을 따라 좌우구조와 상하구조가 교대로 배치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은 본 발명의 스톤네트(1)가 설치되는 면적의 상하방향을 따라 좌우구조와 상하구조가 교대로 배치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복수의 네트유닛(1000)은 인장철선부(1200)가 위치한 모서리와 인장철선부(1200)가 위치하지 않은 모서리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가 제1네트유닛(1000-1), 제2네트유닛(1000-2), 제3네트유닛(1000-3), 및 제4네트유닛(1000-4)를 포함할 때, 상기 제1네트유닛(1000-1)이 좌우구조를 가진다면 제1네트유닛(1000-1)과 인접한 제2네트유닛(1000-2) 및 제3네트유닛(1000-3)은 상하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3네트유닛(1000-3)이 상하구조를 가진다면 상기 제3네트유닛(1000-3)에 인접한 제4네트유닛은 좌우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장철선부(1200)가 좌우방향으로 마주보는 두 모서리에 배치되는 네트유닛(1000) 및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두 모서리에 배치되는 네트유닛(1000)이 번갈아가며 배치됨에 따라 네트유닛(1000)의 모든 모서리에서 결합이 가능하여 스톤네트(1)의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속철선부(3000)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철선부(3000)는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인장철선부(1200)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하나의 철망부(1100)를 결속시킴으로써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와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를 연결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는 인장철선부(1200)가 위치한 일측 모서리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일측 모서리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복수의 결속철선부(300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복수의 격자를 연속적으로 통과함으로써 복수의 네트유닛(100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는, 결속철선부(3000)를 복수의 격자에 통과시키는 단순한 작업을 통해 복수의 네트유닛(1000) 사이의 연결구조를 구현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시공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에서 제1네트유닛(1000-1)의 네 모서리 중에서 인장철선부(1200)가 위치한 일측 모서리(도 6(a)에서, 제1네트유닛의 좌측 모서리)는 제2네트유닛(1000-2)의 네 모서리 중에서 인장철선부(1200)가 위치하지 않은 일측 모서리(도 6(a)에서, 제2네트유닛의 우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네트유닛(1000-1)의 일측 모서리와 제2네트유닛(1000-2)의 일측 모서리가 나란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네트유닛(1000-1)의 일측 모서리에 위치한 인장철선부(1200)가 상기 제2네트유닛(1000-2)의 철망부(1100)의 상면에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1네트유닛(1000-1)의 인장철선부 및 상기 제2네트유닛(1000-2)의 철망부(1100)가 서로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결속철선부(3000)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네트유닛(1000-2)의 철망부(1100)에 형성된 복수의 격자에 연속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제1네트유닛(1000-1)의 인장철선부 및 제2네트유닛(1000-2)의 철망부(1100)를 결속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의 연결구조는 상기 제1네트유닛(1000-1)의 인장철선부와 상기 제1네트유닛(1000-1)과 인접한 모서리 측의 제2네트유닛(1000-2)의 철망부(1100)를 결속철선부(3000)를 통해 꿰매는 작업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인장철선부(1200)의 인장철선(1220)의 양단부에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1네트유닛(1000-1) 및 제2네트유닛(1000-2)을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톤네트(1)의 설치 후에도 상기 제1네트유닛(1000-1) 및 제2네트유닛(1000-2)의 간격이 벌어질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인장철선(1220)의 양단부에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1네트유닛(1000-1) 및 제2네트유닛(1000-2)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장철선부(1200)는 스톤네트(1)의 설치 후에도 양단부에 인장력이 가해짐으로써 네트유닛(1000)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스톤네트(1)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종래의 스톤네트는 복수의 네트유닛(1000)을 연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의 모서리를 나란히 배치한 후에 해당 모서리를 샤클과 같은 연결부재로 연결하는 방식을 개시하였으며, 이러한 방식은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을 점 결속하는 방식에 해당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스톤네트(1)는 복수의 네트유닛(1000)을 연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부(1200)와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철망부(1100)를 결속철선부(3000)를 통해 결속시키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을 선 결속하는 방식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결속된 복수의 네트유닛(1000)은 복수의 지점에서 점 결속되던 방식에 의하여 결속된 종래의 스톤네트에 비교하여 스톤네트(1)를 더욱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스톤네트(1)가 하나의 철망으로 이루어진 것과 같이 일체화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철선부(3000)를 통해 네트유닛(1000)의 인장철선부(1200) 및 인접한 다른 네트유닛(1000)의 철망부(1100)를 꿰맴으로써 네트유닛(1000) 사이를 선결속할 수 있고 이는 네트유닛(1000) 간의 결속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철선부(3000)가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부(1200)를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철망부(1100)에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스톤네트(1)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복수의 네트유닛(1000)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어 스톤네트(1) 설치 후 빠른 유속에도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6(b)는 도 6(a)의 B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도 6(c)는 도 6(b)에 도시된 C-C'측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속철선부(3000)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1220)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철망(1120)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1위치,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1220)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철망(1120)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위치,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1220)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철망(1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 및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는 인장철선부(1200)가 위치한 일측 모서리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일측 모서리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부(1200)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일측 모서리측 철망부(1100)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의 결속철선부(3000)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부(1200) 및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철망부(1100)에 대하여 제1위치, 제2위치, 및 제3위치로 표현되는 상대적 위치를 가지도록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다른 하나의 일측 모서리측 철망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위치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결속철선부(3000)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1220)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철망(1120)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상대적 위치에 해당하며, 상기 제2위치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결속철선부(3000)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1220)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철망(1120)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상대적 위치에 해당하며, 상기 제3위치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결속철선부(3000)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1220)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철망(1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대적 위치에 해당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철선부(3000)는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부(1200) 및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일측 모서리측에 인접한 철망부(1100)를 서로 꿰매는 방식으로 결속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0 간을 연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철선부(3000)가 인장철선부(1200) 및 철망부(1100)에 대하여 제1위치, 제2위치, 및 제3위치의 상대적 위치를 가지도록 철망부(1100)의 복수의 격자를 연속적으로 통과함에 따라 인장철선부(1200)와 철망부(110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네트유닛(1000-1)의 일측 모서리에 제1네트유닛(1000-1)의 인장철선(1220-1)이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네트유닛(1000-1)의 일측 모서리는 제2네트유닛(1000-2)의 일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네트유닛(1000-1)의 인장철선(1220-1)는 상기 제2네트유닛(1000-2)의 일측 모서리측 철망부(1100-2)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결속철선(3100)을 상기 제2네트유닛(1000-2)의 일측 모서리측 철망부(1100-2)에 형성된 복수의 격자를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며 상기 제1네트유닛(1000-1)의 인장철선(1220-1) 및 제2네트유닛(1000-2)의 철망부(1100-2)를 결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철선부(3000)는 상기 제2네트유닛(1000-2)의 일측 모서리측 철망부(1100-2)에서 상기 제2네트유닛(1000-2)의 일측 모서리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가상의 선을 따라 결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의 선은 상기 인장철선부(1200)의 인장철선(1220)이 형성하는 복수의 굴곡형태에서 절곡된 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속철선부(30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철망부(110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철망부(1100)에 형성된 복수의 격자를 연속적으로 통과함으로써 3가지의 상대적인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c)의 좌측 영역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철선(3100)은 제1네트유닛(1000-1)의 인장철선(1220-1) 및 제2네트유닛(1000-2)의 철망(1120-2)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위치를 가지고, 도 6(c)의 중앙측 영역에서 상기 결속철선부는(3000) 제1네트유닛(1000-1)의 인장철선(1220-1) 및 제2네트유닛(1000-2)의 철망(1120-2)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제2위치를 가지고, 도 6(c)의 우측 영역에서 결속철선(3100)은 제1네트유닛(1000-1)의 인장철선(1220-1) 및 제2네트유닛(1000-2)의 철망(1120-2)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1위치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위치, 제2위치, 및 제3위치간의 전환은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결속철선부(3000)는 상기 철망부(1100)에 인장철선부(1200)를 더욱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종래의 스톤네트는 복수의 네트유닛(1000)을 연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의 모서리를 나란히 배치한 후에 해당 모서리를 샤클과 같은 연결부재로 연결하는 방식을 개시하였으며, 이러한 방식은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을 점 결속하는 방식에 해당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스톤네트(1)는 복수의 네트유닛(1000)을 연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부(1200)와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철망부(1100)를 결속철선부(3000)를 통해 결속시키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을 선 결속하는 방식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결속된 복수의 네트유닛(1000)은 복수의 지점에서 점 결속되던 방식에 의하여 결속된 종래의 스톤네트에 비교하여 스톤네트(1)를 더욱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스톤네트(1)가 하나의 철망으로 이루어진 것과 같이 일체화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톤네트(1)는 복수의 네트유닛(1000) 사이를 선 결속하는 방식을 활용함에 따라, 복수의 네트유닛(1000) 사이의 결속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의 모서리에 휨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도 복수의 네트유닛(1000)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유닛(1000)을 이송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톤네트(1)는, 사용자에 의하여 이송되는 경우에, 상기 인장철선부(1200)에 이송장치의 말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방향, 하측방향, 전진방향, 및 후진방향 중 1 이상의 방향을 연속이동함으로써 이송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은 별도의 장소에서 제작된 후에, 이송장치에 의하여 스톤네트(1)의 설치장소로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의 상면에 복수의 스톤블럭(2000)을 고정하는 작업,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의 네 모서리 중 1 이상에 인장철선부(1200)를 고정하는 작업,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의 상면에 배치된 복수의 스톤블럭(2000) 중 모서리영역에 배치된 스톤블럭(2000)에 스톤고정핀(1310)을 고정하는 작업,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의 모서리영역의 하측에 제1철선클립(1320)을 고정하는 작업,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의 모서리영역의 하측에 네일철선(1330)의 일측을 고정하는 작업은 설치장소가 아닌 별도의 장소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톤네트 운반틀, 스톤네트 운반틀의 하단에 고정된 복수의 체인, 및 상기 복수의 체인 각각의 말단에 갈고리와 같은 형상을 가진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이송장치의 말단에 배치된 걸림부재는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에 포함되는 인장철선부(12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철선부(1200)의 인장철선(1220)은 굴곡형태가 반복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이송장치의 말단에 배치된 걸림부재에 결합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은 인장철선부(1200)에 이송장치의 말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방향, 하측방향, 전진방향, 및 후진방향 중 1 이상의 방향을 연속이동함으로써 별도의 장소에서부터 설치장소로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는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의 모서리에 휨 변형이 발생하지 않거나 휨 변형의 정도가 매우 적을 수 있다.
종래의 스톤네트는 복수의 네트유닛 각각의 모서리에 상기 이송장치의 말단이 직접 결합되어 이송되었고, 이는 네트유닛의 모서리에 휨 변형이 발생되도록 하는 원인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상면에 스톤블럭이 고정된 네트유닛은 1.2 내지 1.5톤의 무게를 가지므로, 네트유닛의 모서리에 이송장치의 말단을 직접 결합하여 이송하는 경우 해당 모서리의 휨 변형의 정도가 심할 수 있다.
휨 변형이 발생한 지점에는 샤클과 같은 연결부재를 연결시킬 수 없으므로 종래의 스톤네트는 휨 변형이 발생한 지점에서부터 하자가 발생하여 네트유닛들 간의 연결이 약해지고 궁극적으로는 네트유닛이 유실되거나 뒤집어지는 하자가 다수 보고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스톤네트(1)는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의 모서리측에 결합된 인장철선부(1200)에 이송장치의 말단이 결합되어 이송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의 모서리에 휨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자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지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는 인장철선부(1200)를 통해서 네트유닛을(1000) 이송시킴으로써 네트유닛(1000)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 후 하자가 발생할 수 있는 지점을 최소화함으로써 스톤네트(1)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스톤네트(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을 통해 설치장소에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의 시공방법의 세부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공방법은, 상기 네일철선(1330)이 상기 스톤고정핀(1310) 및 제1철선클립(1320)을 관통함으로써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의 상면의 복수의 스톤블럭(2000)을 서로 고정시키는 네트블럭고정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공방법은 네트블럭고정단계를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는 인장철선부(1200)가 위치한 일측 모서리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일측 모서리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네트유닛배치단계; 및 상기 복수의 결속철선부(300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부(1200)가 위치한 일측 모서리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복수의 격자를 연속적으로 통과함으로써 복수의 네트유닛(1000)을 서로 연결시키는 네트유닛연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유닛연결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결속철선부(3000) 각각이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철망(1120)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1위치,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철망(1120)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위치,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철망(1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 및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은 철망부(1100)의 상면에 복수의 스톤블럭(2000)을 고정하고, 철망부(1100)의 모서리영역의 하측에 제1철선클립(1320)을 통해 네일철선(1330)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네 모서리 중 1 이상에 인장철선부(1200)를 위치시킴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은 설치장소로 이송된 후에 사용자에 의하여 네트유닛배치단계 및 네트유닛연결단계가 수행됨으로써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부(1200)가 위치한 일측 모서리를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일측 모서리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결속철선부(3000)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부(1200)가 위치한 일측 모서리에서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다른 하나의 복수의 격자를 연속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복수의 네트유닛(100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각각은 서로 연결된 후에 사용자에 의하여 스톤블럭연결단계(S100)가 수행됨으로써 형태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1000) 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 고정된 네일철선(1330)을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모서리영역에 위치한 스톤고정핀(1310)에 연속적으로 관통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 시공방법은, 결속철선부(3000)를 복수의 격자에 통과시키는 단순한 작업을 통해 복수의 네트유닛(1000) 사이의 연결구조를 구현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시공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네트(1) 시공방법은, 네일철선(1330)을 스톤고정핀(1310)에 연속적으로 관통시키는 단순한 작업을 통해 복수의 스톤블럭(2000)을 이중으로 고정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시공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유닛에 고정된 스톤블럭이 네일철선을 통해 인접한 네트유닛에 이중으로 고정됨으로써, 스톤네트는 스톤블럭과의 강성이 향상되어 형태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에 복수의 스톤블럭이 배치된 복수의 네트유닛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스톤네트는 하천의 호안 및 법면 등에 설치되었을 때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이 낮아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톤블럭 각각은 앵커에 의하여 네트유닛에 고정됨으로써 스톤네트에 1차적으로 고정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톤고정부는 네트유닛의 상면에 고정된 스톤블럭을 인접한 다른 네트유닛에 고정시킴에 따라, 스톤블럭이 고정된 네트유닛에 하자가 발생하더라도 스톤블럭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철선부가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부를 복수의 네트유닛 중 다른 하나의 철망부에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스톤네트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복수의 네트유닛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어 스톤네트 설치 후 빠른 유속에도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장철선부는 스톤네트의 설치 후에도 양단부에 인장력이 가해짐으로써 네트유닛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스톤네트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철선부를 통해 네트유닛의 인장철선부 및 인접한 다른 네트유닛의 철망부를 꿰맴으로써 네트유닛 간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일철선을 스톤고정핀에 연속적으로 관통시키는 단순한 작업을 통해 복수의 스톤블럭을 이중으로 고정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시공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장철선부를 통해서 네트유닛을 이송시킴으로써 네트유닛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 후 하자가 발생할 수 있는 지점을 최소화함으로써 스톤네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스톤네트
1000: 네트유닛 1000-1: 제1네트유닛
1000-2: 제2네트유닛 1000-3: 제3네트유닛
1000-4: 제4네트유닛 1100: 철망부
1110: 프레임 1120: 철망
1200: 인장철선부 1210: 철망연결부재
1220: 인장철선 1300: 스톤고정부
1310: 스톤고정핀 1320: 제1철선클립
1330: 네일철선 1340: 제2철선클립
2000: 스톤블럭 3000: 결속철선부
3100: 결속철선 S100: 네트블럭연결단계

Claims (6)

  1. 스톤네트로서,
    복수의 네트유닛,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각각의 상면에 고정되고 자연석 또는 인공석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스톤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각각은,
    사각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공간에서 복수의 격자를 형성하는 철망을 포함하는 철망부;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상기 철망부의 모서리영역의 하측에 고정되는 제1철선클립;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하나에 위치하고, 일단은 상기 복수의 스톤블럭 중 상기 철망부의 모서리영역에 위치하는 스톤블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철망부의 모서리영역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스톤고정핀; 및 일측은 상기 제1철선클립을 관통하고 타측은 상기 스톤고정핀을 관통하는 네일철선;을 포함하는 스톤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톤고정부는,
    상기 네일철선이 상기 스톤고정핀 및 제1철선클립을 관통함으로써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네트유닛 각각의 상면의 복수의 스톤블럭을 서로 고정시키는, 스톤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톤네트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을 연결하는 복수의 결속철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각각은,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의 철망연결부재, 및 복수의 지점이 상기 복수의 철망연결부재 각각의 타단을 관통하도록 위치하는 인장철선을 포함하고, 상기 철망부의 네 모서리 중 1 이상에 위치하는 인장철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는 인장철선부가 위치한 일측 모서리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다른 하나의 일측 모서리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결속철선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부가 위치한 일측 모서리에서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다른 하나의 복수의 격자를 연속적으로 통과됨으로써 복수의 네트유닛을 연결시키는, 스톤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속철선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다른 하나의 철망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1위치,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다른 하나의 철망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위치,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의 인장철선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다른 하나의 철망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 및 복수의 네트유닛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스톤네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톤네트는,
    이송되는 경우에, 상기 인장철선부에 이송장치의 말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방향, 하측방향, 전진방향, 및 후진방향 중 1 이상의 방향으로 연속이동함으로써 이송되는, 스톤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톤고정부는,
    상기 네일철선의 양단부 각각이 고리모양을 가지도록 굽혀진 상태에서, 상기 네일철선의 양단부 각각에서 상기 네일철선이 상호 겹쳐지는 영역을 고정시키는 제2철선클립; 및
    상기 네일철선의 양단부 각각을 상기 철망부에 고정시키는 비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너부재가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비너부재는 상기 네일철선의 양단부 각각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스톤블럭이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톤네트.
  6. 스톤네트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스톤네트는,
    복수의 네트유닛,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각각의 상면에 고정되고 자연석 또는 인공석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스톤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각각은,
    사각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공간에서 복수의 격자를 형성하는 철망을 포함하는 철망부; 및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상기 철망부의 모서리영역의 하측에 고정되는 제1철선클립; 상기 복수의 네트유닛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하나에 위치하고, 일단은 상기 복수의 스톤블럭 중 상기 철망부의 모서리영역에 위치하는 스톤블럭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철망부의 모서리영역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스톤고정핀; 및 일측은 상기 제1철선클립을 관통하고 타측은 상기 스톤고정핀을 관통하는 네일철선;을 포함하는 스톤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톤네트의 시공방법은, 상기 네일철선이 상기 스톤고정핀 및 제1철선클립을 관통함으로써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네트유닛 각각의 상면의 복수의 스톤블럭을 서로 고정시키는 네트블럭고정단계;를 포함하는, 스톤네트의 시공방법.
KR1020230122820A 2023-09-15 2023-09-15 이중고정구조가 적용된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26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2820A KR102626604B1 (ko) 2023-09-15 2023-09-15 이중고정구조가 적용된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2820A KR102626604B1 (ko) 2023-09-15 2023-09-15 이중고정구조가 적용된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604B1 true KR102626604B1 (ko) 2024-01-19

Family

ID=89717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2820A KR102626604B1 (ko) 2023-09-15 2023-09-15 이중고정구조가 적용된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6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908B1 (ko) * 2006-04-20 2007-01-10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2중 접철식 상자형 게비온
KR101820910B1 (ko) * 2016-10-24 2018-03-08 (주)창광이앤씨 토석류 방호시설
KR20180041033A (ko) * 2016-10-13 2018-04-23 김종환 스톤네트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908B1 (ko) * 2006-04-20 2007-01-10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2중 접철식 상자형 게비온
KR20180041033A (ko) * 2016-10-13 2018-04-23 김종환 스톤네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820910B1 (ko) * 2016-10-24 2018-03-08 (주)창광이앤씨 토석류 방호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6251B2 (en) Mesh system
KR101318918B1 (ko) 보호 와이어 네트 및 보호 구조물
US3811287A (en) Bottom and bank facing
JPH0769414A (ja) コンベヤベルトまたは力伝達ストラップのための連結部
JP2009068185A (ja) 繊維系又は樹脂系ジオグリッド
KR102626604B1 (ko) 이중고정구조가 적용된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US2097342A (en) Anchorage for river control apparatus
JP2006316462A (ja) チェーンを用いたブロック積み擁壁と、これに用いられ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2626603B1 (ko) 연결구조가 개선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0196460A (ja) 斜面保護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網状体並びに斜面保護構造体
US20040033337A1 (en) Grid of synthetic material
CN101910534B (zh) 具有双结的链节式编织网
JP6688660B2 (ja) 斜面対策構造
KR101852083B1 (ko) 아웃리거가 구비된 아치용 조립체, 이를 이용한 아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15160B1 (ko) 3차원 교차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를 이용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재보
KR101380941B1 (ko) 친환경 하천호안 및 법면보호용 스톤매트리스
CN209941610U (zh) 对角拼接式砌块及护坡
US6918412B2 (en) Grid mat
JP7211585B2 (ja) 斜面安定化構造及び斜面安定化工法
CN102108738B (zh) 一种开孔板组合连接件
JP4113734B2 (ja) 透過型砂防ダム
SU1125380A1 (ru) Гибкое ограждающее полотно
US589856A (en) eabitz
KR200437362Y1 (ko) 하천 세굴방지블록의 연결구조
CN217673080U (zh) 一种固泊砼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