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174B1 -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 - Google Patents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174B1
KR101551174B1 KR1020150040808A KR20150040808A KR101551174B1 KR 101551174 B1 KR101551174 B1 KR 101551174B1 KR 1020150040808 A KR1020150040808 A KR 1020150040808A KR 20150040808 A KR20150040808 A KR 20150040808A KR 101551174 B1 KR101551174 B1 KR 101551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horizontal
vertical
net
va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익
Original Assignee
(주)창광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광이앤씨 filed Critical (주)창광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040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로프를 격자형상으로 배치하고 교차점을 결속수단을 통해 고정한 형태를 갖는 복수의 와이어로프 네트를 이용하여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유목과 토석류에 의해 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사태 방호시설을 구성함에 있어서,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해 상호 격자모양으로 배치되는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 중 수평 와이어로프 상에 복수의 완충수단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한 두 개의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를 계곡의 정해진 구간에서 상,하부로 정해진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하되, 상부에 설치되는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는 양측 단부만 복수의 앵커를 통해 계곡의 양측 경사면에 고정하여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 저면과 계곡의 바닥면 사이가 오픈되게 하고, 하부에 설치되는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는 양측 단부는 물론 저부도 복수의 앵커를 통해 계곡의 양측 경사면과 바닥면에 각각 고정하여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 저면과 계곡의 바닥면 사이가 밀폐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유목이나 토사 및 낙석(즉, 토석류) 등과 물을 분리할 수 있어 월류 파괴와 도로나 주택지로의 잔재가 흘러내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완충수단의 완충작용에 의해 충격 흡수성능이 우수하며, 유목이나 토사 및 낙석 등의 잔재가 토석류 방호시설에 걸렸을 경우 이의 정격 하중에 최대한 저항할 수 있고, 호우가 끝난 후에는 퇴적된 잔재의 처리가 용이하고 부분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 성능이 우수하며, 토석류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단계적인 방호가 가능하여 충격 흡수 성능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방호시설 자체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Double reduction landslide protection facilities}
본 발명은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토사 유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놓여져 상호 격자모양을 갖게 되는 와이어로프 상에 압축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완충수단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설치한 와이어로프 네트를 산지 등의 계곡에 적어도 2단(또는 다단)으로 설치하여 완충수단의 완충작용에 의해 충격 흡수성능이 우수하고, 토석류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단계적인 방호가 가능하여 충격 흡수 성능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토석류(土石流)란 오랫동안 풍화작용(風化作用)을 받아 토사와 암석편이 많이 생긴 산사면이 폭우나 장마로 인해 물로 포화되어 그 무게가 마찰력을 지탱하지 못하여 흘러내리는 현상을 말한다.
즉, 장년기(壯年期) 지형 산사면에서 때때로 일어나는 산사태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토석류는 산지 하측에 위치한 거주지 및 토목구조물(도로 등)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한번 토석류가 발생한 곳에서는 바닥의 암반이 나타나서 새로운 토양이 되어 식물이 무성해질 때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토사 유출 재해에는 사면 붕괴, 산사태 및 토석류 등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데, 이중 산사태 및 토석류는 절개지나 산지의 계곡부에서 호우로 인해 유목, 토사, 낙석 등이 물과 함께 흘러내리는 것으로 최근 기후 변화에 의한 집중 호우와 국지성 폭우 등으로 이의 재해가 증가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산사태나 토석류는 집중호우와 강우 후 지반에 스며든 물이 빠지면서 지표면의 표피에서 전단파괴가 발생하여 토사, 유목 및 낙석 등이 물과 함께 도로나 주택지로 흘러내리므로 이의 발생 시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완충할 수 있어야 하고, 토사나 유목 및 낙석 등이 도로나 주택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해야 하한다.
또한, 유목이나 토사 및 낙석 등의 잔재가 토석류 방호시설에 걸렸을 경우에는 이의 정격 하중에 저항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호우가 끝난 후에는 이의 방호 시설에 걸려있는 잔재를 쉽게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산사태 및 토석류 방호시설로는 사방댐과 완충형의 그물 구조 등이 있다.
이들 중 종래 사방땜의 기술로는 '다기능 사방댐 및 그 시공방법'(한국특허 등록번호 10-0560986호 2006. 03. 08), '버트러스 강재 사방댐'(한국특허 등록번호 10-0491444호, 2005. 05. 17)등이 있는데, 사방댐 및 스크린댐은 하상구배가 큰 계곡에 설치되어 급류가 강바닥을 파고 양쪽 산기슭을 깎아서 산사태를 일으키는 현상과 토사가 흘러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였다.
이와 같은 사방댐은 산사태 방호시설로서는 우수한 성능이 있으나,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가 많이 들고, 유목과 토사 및 낙석과 물을 분리하지 못해 대규모 시설이 필요하며, 산지에서 잔재의 제거가 어렵고, 산지 주변의 토사와 재료를 굴착하여 이용해야 하므로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 완충형 그물 구조의 경우는, 스위스에서 개발된 링 네트(Ring Net)공법이 있는데, 이것은 원형의 링을 겹쳐놓은 그물을 설치하여 산사태 발생시 이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구조로서 산사태 발생시, 하단부가 지면에 밀착되고 중앙부는 배가 나온 댐 구조로 방호되므로 충격 흡수 성능은 우수하나 퇴적 용량이 모두 찼을 경우에는 토석류가 월류하여 파괴에 취약하고, 잔재의 제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파괴 시는 전체 시설을 재시공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도 이와 같은 완충형 그물 구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즉, 토석류로부터 산지 하측의 거주지 및 구조물을 보호하여 재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토석류에 의한 재해 방지 구조물"(한국 등록특허공보 10-1437537호, 2014년 08월 28일)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토석류에 의한 재해방지를 위한 구조물로서, 토석류의 흐름을 전환하도록 지면에 설치된 제어말뚝; 상기 제어말뚝보다 하류측 지면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말뚝 및 토석류 중 일부가 걸리도록, 상기 복수의 지지말뚝에 결합한 그물부재를 포함하는 방호부;를 포함한다.
또, 상기 방호부는 토석류의 흐름 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방호부 중 상류측 방호부의 상기 그물부재의 그물 크기에 비하여 하류측 방호부의 상기 그물부재의 그물 크기가 작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말뚝은 상기 그물부재가 결합하도록 설치된 좌측 지지말뚝, 우측 지지말뚝 및 중간 지지말뚝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지지말뚝은 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말뚝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지말뚝에는 토석류에 의한 상기 그물부재의 펼침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펼침 허용수단;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펼침 허용수단은 상기 지지말뚝에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된 봉 부재; 상기 봉 부재 외면을 둘러싼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또, 상기 그물부재는 상기 스프링 부재(330)의 외면에 둘러진 상태로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그물부재의 일단 또는 양단은 상기 그물부재에 토석류가 일정 하중 이상 가해질 때, 상기 펼침 허용수단으로부터 분리되고, 토석류의 유입 시, 상기 펼침 허용수단에 둘러진 상태로 지지된 상기 그물부재가 펼쳐지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그물부재가 상기 펼침 허용수단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된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토석류에 의한 재해 방지 구조물은 복잡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지지말뚝과 펼침 허용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시공이 복잡함은 몰론 공사비와 유지관리비가 많이 들고, 그물부재에 토석류가 일정 하중 이상 가해질 때 펼침 허용수단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성이어서 토석류가 월류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잔재의 제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파괴 시는 전체 시설을 재시공해야 하는 등을 그대로 지니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134935호(2006년 12월 2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72807호(2007년 01월 1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37537호(2014년 08월 28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놓여져 상호 격자모양을 갖게 되는 와이어로프 상에 압축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완충수단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한 와이어로프 네트들을 산지 등의 계곡에 적어도 2단(또는 다단)으로 설치하되, 상단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로프 네트들의 저부에는 중량체를 설치한 상태에서 오픈시켜 주고, 하단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로프 네트는 저부는 계곡의 바닥면에 고정하여 와이어로프 네트의 저부와 바닥 사이를 밀폐시켜 줌으로써 유목이나 토사 및 낙석(즉, 토석류) 등과 물을 분리할 수 있어 월류 파괴와 도로나 주택지로의 잔재가 흘러내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완충수단의 완충작용에 의해 충격 흡수성능이 우수하며, 유목이나 토사 및 낙석 등의 잔재가 토석류 방호시설에 걸렸을 경우 이의 정격 하중에 최대한 저항할 수 있음은 물론 호우가 끝난 후에는 퇴적된 잔재의 처리가 용이하고 부분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 성능이 우수하며, 토석류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단계적인 방호가 가능하여 충격 흡수 성능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사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한 와이어로프를 격자형상으로 배치하고 교차점을 결속수단을 통해 고정한 형태를 갖는 복수의 와이어로프 네트를 이용하여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유목과 토석류에 의해 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사태 방호시설을 구성함에 있어서,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해 상호 격자모양으로 배치되는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 중 수평 와이어로프 상에 복수의 완충수단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한 두 개의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를 소정계곡의 정해진 구간에서 상,하부로 정해진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하되, 상부에 설치되는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는 양측 단부만 복수의 앵커를 통해 계곡의 양측 경사면에 고정하여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 저면과 계곡의 바닥면 사이가 오픈되게 하고, 하부에 설치되는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는 양측 단부는 물론 저부도 복수의 앵커를 통해 계곡의 양측 경사면과 바닥면에 각각 고정하여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 저면과 계곡의 바닥면 사이가 밀폐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의 수직 와이어로프의 저단부에는 각각 중량체를 더 설치하여, 토석류 발생 시 상기 중량체가 계곡의 바닥면을 따라 소정구간 내에서 끌려 내려가며 토석류들이 발생하는 힘을 완충하면서 작은 입자의 토석류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계곡에서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와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의 양측 단부 사이에는 복수의 완충수단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된 형상을 갖는 복수의 상,하단 네트 연결용 와이어로프를 정해진 높이간격 두고 고정 설치하되, 상기 상,하단 네트 연결용 와이어로프들은 복수의 앵커를 통해 계곡의 양측 경사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의 수평 와이어로프들의 설치 간격은, 수평방향에 대한 중심선을 기점으로 상방부로 갈수록 좁아지고, 하방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의 수평 와이어로프들의 설치 간격은, 수평방향에 대한 중심선을 기점으로 상방부로 갈수록 넓어지고, 하방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결속수단은, 원판 또는 사각 철판의 상,하면에 각각 "+"자 형상을 갖는 와이어로프 고정홈이 형성된 상,하 고정판을 격자형상으로 배치한 상기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의 교차점에서 상,하부에 각각 위치시키고 4모서리부를 복수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호 일체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 중 수직 와이어로프 상에도 복수의 완충수단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의 수평 와이어로프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에 완충수단을 설치할 때, 수평 와이어로프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에 대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동일한 위치(즉, 동일선상)에 각각 설치하거나 또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위치에 있는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에 대해 상,하,좌,우로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완충수단은, 절단된 부위의 일부가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한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의 절단부에 각각 압착을 통해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걸림구 이탈방지겸 록킹 와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한 쌍의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 및 와이어로프가 통과될 수 있는 장방형 구멍을 구비하고 압축 스프링의 양단부에 각각 내면이 밀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 지지 와셔와;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의 절단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외부에서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에 압력이 가해질 때 이를 탄력적으로 완충시켜 줌은 물론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들의 길이가 외부에서 압력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가변되게 하는 압축 스프링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 및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와이어로프 인출홈이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스프링 지지 와셔의 외면에 밀착된 형태로 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 절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걸림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걸림구 이탈방지겸 록킹 와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의 상방부로 수직 와이어로프들의 저단부에 중량체가 구비된 또 다른 저부 개구형 와이어로프 네트를 1단 이상 다단으로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에 의하면, 상호 격자모양을 갖게 배치되는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 상에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압축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완충수단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한 와이어로프 네트들을 산지 등의 계곡에 적어도 2단(또는 다단)으로 설치하되, 상단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로프 네트들의 저부에는 중량체를 설치한 상태에서 오픈시켜 주고, 하단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로프 네트는 저부는 계곡의 바닥면에 고정하여 와이어로프 네트의 저부와 바닥 사이를 밀폐시켜 줌으로써 첫째 유목이나 토사 및 낙석(즉, 토석류) 등과 물을 분리할 수 있어 월류 파괴와 도로나 주택지로의 잔재가 흘러내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둘째 완충수단의 완충작용에 의해 충격 흡수성능이 우수하며, 셋째 유목이나 토사 및 낙석 등의 잔재가 토석류 방호시설에 걸렸을 경우 이의 정격 하중에 최대한 저항할 수 있고, 넷째 호우가 끝난 후에는 퇴적된 잔재의 처리가 용이하고 부분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 성능이 우수하며, 다섯째 토석류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단계적인 방호가 가능하여 충격 흡수 성능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방호시설 자체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일 실시 예가 적용된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이 계곡에 설치된 상태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 중 수평 와이어로프 상에 복수의 완충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네트의 일부 확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이 계곡에 설치된 상태의 예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의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 상에 복수의 완충수단이 다양한 형태로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네트의 일부 확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적용된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이 계곡에 설치된 상태의 측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중 완충수단의 분해 및 결합상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중 결속수단의 분해 및 결합상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일 실시 예가 적용된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이 계곡에 설치된 상태의 예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 중 수평 와이어로프 상에 복수의 완충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네트의 일부 확대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3은 본 발명이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이 계곡에 설치된 상태의 예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의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 상에 복수의 완충수단이 다양한 형태로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네트의 일부 확대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 적용된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이 계곡에 설치된 상태의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중 완충수단의 분해 및 결합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중 결속수단의 분해 및 결합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철사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한 와이어로프를 격자형상으로 배치하고 교차점을 결속수단(3)을 통해 고정한 형태를 갖는 복수의 와이어로프 네트(1)(2)를 이용하여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유목과 토석류에 의해 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사태 방호시설을 구성함에 있어서,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해 상호 격자모양으로 배치되는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 중 수평 와이어로프(HWL) 상에 복수의 완충수단(4)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한 두 개의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1)(2)를 소정계곡의 정해진 구간에서 상,하부로 정해진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하되,
상부에 설치되는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는 양측 단부만 복수의 앵커(5)를 통해 계곡의 양측 경사면(81)에 고정하여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 저면과 계곡의 바닥면(82) 사이가 오픈되게 하고,
하부에 설치되는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2)는 양측 단부는 물론 저부도 복수의 앵커(5)를 통해 계곡의 양측 경사면(81)과 바닥면(82)에 각각 고정하여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2) 저면과 계곡의 바닥면(82) 사이가 밀폐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의 수직 와이어로프(VWL)의 저단부에는 각각 중량체(6)를 더 설치하여, 토석류 발생 시 상기 중량체(6)가 계곡의 바닥면을 따라 소정구간 내에서 끌려 내려가며 토석류들이 발생하는 힘을 완충하면서 작은 입자의 토석류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계곡에서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와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2)의 양측 단부 사이에는,
복수의 완충수단(4)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된 형상을 갖는 복수의 상,하단 네트 연결용 와이어로프(7)를 정해진 높이간격 두고 고정 설치하되, 상기 상,하단 네트 연결용 와이어로프(7)들은 복수의 앵커(5)를 통해 계곡의 양측 경사면(81)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의 수평 와이어로프(HWL)들의 설치 간격은,
수평방향에 대한 중심선을 기점으로 상방부로 갈수록 좁아지고, 하방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2)의 수평 와이어로프(HWL)들의 설치 간격은,
수평방향에 대한 중심선을 기점으로 상방부로 갈수록 넓어지고, 하방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결속수단(3)은,
원판 또는 사각 철판의 상,하면에 각각 "+"자 형상을 갖는 와이어로프 고정홈(33)이 형성된 상,하 고정판(31)(32)을 격자형상으로 배치한 상기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의 교차점에서 상,하부에 각각 위치시키고, 4모서리부를 복수의 볼트(34)와 너트(35)를 이용하여 상호 일체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 중 수직 와이어로프(VWL) 상에도 복수의 완충수단(4)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1)(2)의 수평 와이어로프(HWL)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VWL)에 완충수단(4)들을 설치할 때,
수평 와이어로프(HWL)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VWL)에 대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동일한 위치(즉, 동일선상)에 각각 설치하거나,
또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위치에 있는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에 대해 상,하,좌,우로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완충수단(4)은,
절단된 부위의 일부가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한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의 절단부에 각각 압착을 통해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걸림구 이탈방지겸 록킹 와셔(4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한 쌍의 걸림구(41)와;
상기 걸림구(41) 및 와이어로프가 통과될 수 있는 장방형 구멍(421)을 구비하고 압축 스프링(43)의 양단부에 각각 내면이 밀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 지지 와셔(42)와;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의 절단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외부에서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에 압력이 가해질 때 이를 탄력적으로 완충시켜 줌은 물론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들의 길이가 외부에서 압력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가변되게 하는 압축 스프링(43)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 및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와이어로프 인출홈(441)이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스프링 지지 와셔(42)의 외면에 밀착된 형태로 볼트(45)를 통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 절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걸림구(41)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걸림구 이탈방지겸 록킹 와셔(4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의 상방부로 수직 와이어로프(VWL)들의 저단부에 중량체(6)가 구비된 또 다른 저부 개구형 와이어로프 네트를 1단 이상 다단으로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의 일 실시 예는 도 1, 도 2 및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사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한 와이어로프를 격자형상으로 배치하고 교차점을 결속수단(3)을 통해 고정한 형태를 갖는 2개 즉,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1)(2) 중 수평 와이어로프(HWL) 상에 복수의 완충수단(4)을 구비시켜 준 상태에서 소정계곡의 정해진 구간에 정해진 거리를 두고 복수의 앵커(5)를 이용하여 도 1 및 도 6과 같이 고정 설치하여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유목과 토석류 등에 의해 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즉,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해 상호 격자모양으로 배치되는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 중 수평 와이어로프(HWL)들 상에 도 1 및 도 2와 같이 각각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의 완충수단(4)을 설치한 두 개의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1)(2)는 도 1 및 도 6과 같이 소정계곡의 정해진 구간에서 상,하부로 정해진 거리를 두고 배치한 다음 정해진 인장력을 가하여 긴장시킨 상태에서 앵커(5)들을 통해 계곡의 경사면 등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부에 설치되는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는 양측 단부만 복수의 앵커(5)를 이용하여 계곡의 양측 경사면(81)에 고정하여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 저면과 계곡의 바닥면(82) 사이가 오픈되게 하되,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의 수직 와이어로프(VWL)의 저단부에는 도 1 및 도 6과 같이 각각 중량체(6)를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해당 계곡에서 토석류가 발생하여 물과 함께 흘러내려 올 때, 상기 중량체(6)가 계곡의 바닥면을 따라 소정구간 내에서 끌려 내려가며 작은 입자의 토석류만 통과하도록 한다.
물론,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유목 등은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에 의해 걸려지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하부에 설치되는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2)는 양측 단부는 물론 저부도 복수의 앵커(5)를 이용하여 계곡의 양측 경사면(81)과 바닥면(82)에 각각 고정하여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2) 저면과 계곡의 바닥면(82) 사이가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저부 오픈형인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의 저부를 통과한 작은 입자의 토석류(실제로는 상기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2)의 망 크기보다는 작은 토석류)가 상기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2)에 의해 대부분 걸려지고 물만 통과시켜 주게 되므로 토석류 등이 도로나 주택지 등으로 흘러내려 입게 될 수 있는 재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의 수평 와이어로프(HWL)들의 설치 간격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수평방향에 대한 중심선을 기점으로 상방부로 갈수록 좁아지고, 하방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하여 줌으로써 산사태 등의 발생시 대부분의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대부분의 유목 등을 포함한 입자가 큰 입자를 갖는 대부분의 토석류는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에 의해 1차적으로 걸려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2)의 수평 와이어로프(HWL)들의 설치 간격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수평방향에 대한 중심선을 기점으로 상방부로 갈수록 넓어지고, 하방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하여 줌으로써 저부 오픈형인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의 저부를 통과한 비교적 작은 입자를 갖는 토석류는 물론 짧은 길이를 갖는 유목까지 상기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2)에 의해 걸리고 물만 통과하게 되므로 유목 및 토석류 등이 도로나 주택지 등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2)를 계곡의 경사면(81) 및 바닥면(82)에 앵커(5)들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는, 계곡의 경사면(81) 및 바닥면(82)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앵커 설치용 구멍을 천공하고, 상기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2)들을 좌,우 및 상,하로 긴장시킨 상태에서 앵커(5)들의 상단부에 구비된 와이어로프 걸림고리에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가 걸려지도록 한 다음 각각의 앵커(5)를 상기 앵커 설치용 구멍들에 각각 삽입하여 고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 중 수직 와이어로프(VWL) 상에도 도 3과 같이 복수의 완충수단(4)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1)(2)의 수평 와이어로프(HWL)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VWL)에 완충수단(4)들을 각각 또는 동시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수평 와이어로프(HWL)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VWL)에 대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동일한 위치(즉, 동일선상)에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각각 설치할 수도 있고, 또한 도 5와 같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위치에 있는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에 대해 상,하,좌,우로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수평 와이어로프(HWL)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VWL)에 대해 각각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동일한 위치(즉, 동일선상)에 완충수단(4)을 각각 설치한 경우에는, 상기 완충수단(4)들의 양측 또는 상,하부에 위치되는 결속수단(3)의 위치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즉, 동일선상)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 와이어로프(HWL)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VWL)들의 교차점에 설치된 결속수단(3)의 위치에 무관하게 유목이나 토석류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하여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 또는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2)들의 수평 와이어로프(HWL)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VWL)들의 길이가 상기 완충수단(4)들의 수축 및 압축 길이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능동적으로 동일하게 변화된다.
또, 상기에서 도 5과 같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위치에 있는 수평 와이어로프(HWL)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VWL) 상에 대해 각각 좌,우 또는 상,하로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완충수단(4)을 각각 설치한 경우에는, 상기 완충수단(4)들의 양측 또는 상,하부에 위치되는 결속수단(3)의 위치가 수평 및 수직방향에 대해 서로 엇갈린 위치를 갖게 된다.
따라서, 유목이나 토석류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하여 수축 또는 압축되며 그 길이가 변화되는 상기 완충수단(4)들의 길이 변화에 제한을 받게 되므로(즉, 수평 와이어로프(HWL)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VWL)에서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어 있는 완충수단(4)에서만 압력에 대응하여 길이를 받게 되므로)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 또는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2)들의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들의 길이는 전술한 예와 달리 서로 엇갈려 변화됨은 물론 비교적 작은 길이 변화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설계자가 상기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1)(2)의 수평 와이어로프(HWL)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VWL)들에 완충수단(4)들을 설치기 위하여 설치개수와 설치위치 등을 결정하고자 할 때에는, 본 발명의 방호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계곡의 경사도와 폭은 물론 해당 계곡으로 흘러내릴 수 있는 유목 및 토석류 등의 량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 와이어로프(HWL)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VWL)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완충수단(4)들이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설치된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2)를 소정계곡의 정해진 구간에서 상,하부로 정해진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하게 되면, 유목이나 토사 및 낙석(즉, 토석류) 등과 물을 분리할 수 있어 월류 파괴와 도로나 주택지로의 잔재가 흘러내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유목이나 토석류 등의 잔재가 본 발명이 적용된 토석류 방호시설에 걸렸을 경우 이의 정격 하중에 최대한 저항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복수의 완충수단(4)이 구비된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1)(2)를 복수의 앵커(5)를 이용하여 소정계곡의 정해진 구간에 정해진 거리를 두고 단순히 고정 설치할 경우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1)(2)가 각각 별도로 고정된 형태를 갖게 되어 유목 및 토석류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차에 의해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1)(2) 중 어느 한 네트가 계곡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계곡에서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와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2)의 양측 단부 사이에, 도 3 및 도 6과 같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의 완충수단(4)이 설치된 형상을 갖는 또 다른 복수의 상,하단 네트 연결용 와이어로프(7)를 정해진 높이간격 두고 고정 설치함은 물론 상기 상,하단 네트 연결용 와이어로프(7)들을 복수의 앵커(5)를 통해 계곡의 양측 경사면(81)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하여 주었다.
따라서, 계곡의 경사면(81)에 양측 단부가 각각 복수의 앵커(5)를 통해 고정된 상태를 갖는 상기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1)(2)의 상호 결합력이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와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2)의 양측 단부 사이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연결된 복수의 상,하단 네트 연결용 와이어로프(7)에 의해 증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하단 네트 연결용 와이어로프(7)들이 복수의 앵커(5)를 통해 계곡의 양측 경사면(81)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된 형태를 가짐으로 고정력 역시 강화되어 유목 및 토석류에 의해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1)(2)에 각각 가해지는 압력차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복수의 완충수단(4)을 구비한 복수의 상기 상,하단 네트 연결용 와이어로프(7)가 이를 완화 및 완충시켜 줌은 물론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게 되므로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1)(2)가 계곡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상기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1)(2)의 구성요소인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의 교차점에 설치되어 상호 유동되지 않도록 결속시켜 주는 결속수단(3)은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하 고정판(31)(32)과 복수의 볼트(34) 및 너트(35)로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상,하 고정판(31)(32)은 소정두께와 면적은 갖는 원판 또는 사각 철판의 상,하면에 각각 "+"자 형상을 갖는 와이어로프 고정홈(33)을 형성시켜 준 것으로, 격자형상으로 배치한 상기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의 교차점에서 상,하부에 각각 위치시키고, 복수의 볼트(34)와 너트(35)를 이용하여 상기 상,하 고정판(31)(32)의 4모서리부를 일체로 고정시켜 줌으로써 외부에서 어떠한 압력이 가해져도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의 교차부위가 유동되지 않고 상호 일체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완충수단(4)을 도 7 및 도 8과 같이, 한 쌍의 걸림구(41)와 한 쌍의 스프링 지지 와셔(42), 압축 스프링(43) 및 한 쌍의 걸림구 이탈방지겸 록킹 와셔(44)로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걸림구(41)는 와이어로프가 끼워질 수 있는 파이프 형상을 갖거나 또는 와이어로프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소정깊이로 형성된 봉 형상을 갖고 일부가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한 수평 와이어로프(HWL)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VWL)의 절단부에 각각 끼워져 압착을 통해 일체로 고정 설치된 것으로, 상기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들이 걸림구 이탈방지겸 록킹 와셔(4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지지 와셔(42)는 중앙에 일부가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상기 수평 와이어로프(HWL)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VWL)를 포함한 상기 걸림구(41)가 통과될 수 있는 장방형 구멍(421)을 구비하고 압축 스프링(43)의 양단부에 각각 내면이 밀착되게 배치되고 외면에는 후술하는 걸림구 이탈방지겸 록킹 와셔(44)가 배치된 상태에서 볼트(45)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압축 스프링(43)은 상기 걸림구(41)를 포함한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가 동시에 삽입될 수 있는 내경 및 정해진 탄성력을 갖게 제작된 것으로,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의 절단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압축 스프링(43)은 충격 흡수성능이 매우 우수하므로 외부에서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에 압력(즉, 유목 및 토석류를 포함한 물에 의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수축 및 압축되며 상기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을 통해 전달되는 압력 및 충격력을 완화 및 완충시켜 줌은 물론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HWL)(VWL)들의 길이가 외부에서 압력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가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 스프링(43)의 탄성력은 유목이나 토석류 등의 잔재가 본 발명이 적용된 토석류 방호시설에 도 6의 가상선과 같이 걸렸을 경우 이의 정격 하중에 최대한 저항할 수 있을 정도로 설계하면 된다.
또, 상기 한 쌍의 걸림구 이탈방지겸 록킹 와셔(44)은 전술한 스프링 지지 와셔(42)의 지름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도록 소정두께를 갖는 철판으로 성형한 것으로 중심점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 및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와이어로프 인출홈(441)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상기 걸림구 이탈방지겸 록킹 와셔(44)들은 상기 수평 와이어로프(HWL)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VWL) 절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걸림구(41)가 와이어로프 고정홈(33)들의 외측에 각각 걸려지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 지지 와셔(42)의 외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45)를 통해 스프링 지지 와셔(42)들에 분해 가능하게 고정 설치하여 상기 수평 와이어로프(HWL)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VWL) 절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상기 걸림구(41)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에서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1)(2)들의 측면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상기 상,하단 네트 연결용 와이어로프(7)들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수단(4)도 전술한 완충수단의 구성과 동일함은 물론 각각의 구성요소 기능 역시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지금까지의 설명은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1)(2)의 수평 와이어로프(HWL)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VWL) 상에 각각 복수의 완충수단(4)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구비시켜 준 상태에서 소정계곡의 정해진 구간에 정해진 거리를 두고 복수의 앵커(5)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는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산사태가 발생될 확률이 높은 계곡일 경우,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1)의 상방부로 수직 와이어로프(VWL)들의 저단부에 중량체(6)가 구비된 또 다른 저부 개구형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를 1단 이상 다단으로 더 설치하여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유목과 토석류 등에 의해 재해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이 적용된 산사태 방호시설은 호우 등이 끝난 후에 상기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1)(2)에 각각 걸려 퇴적된 잔재의 처리가 용이하고, 완충수단(4)들의 분해를 통해 일부 와이어로프 네트를 분리하고 새로운 와이어로프 네트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부분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 성능이 우수함은 물론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또 토석류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단계적인 방호가 가능하여 충격 흡수 성능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방호시설 자체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
2 :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
HWL : 수평 와이어로프
VWL : 수직 와이어로프
3 : 결속수단
31, 32 : 상,하 고정판 33 : 와이어로프 고정홈
34 : 볼트 35 : 너트
4 : 완충수단 41 : 걸림구
42 : 스프링 지지 와셔 421 : 장방형 구멍
43 : 스프링 44 : 걸림구 이탈방지겸 록킹 와셔
441 : 와이어로프 인출홈 45 : 볼트
5 : 앵커
6 : 중량체
7 : 상,하단 네트 연결용 와이어로프
81 : 경사면 82 : 바닥면

Claims (10)

  1. 와이어로프를 격자형상으로 배치하고 교차점을 결속수단을 통해 고정한 형태를 갖는 복수의 와이어로프 네트를 이용하여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유목과 토석류에 의해 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사태 방호시설을 구성함에 있어서,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해 상호 격자모양으로 배치되는 수평 및 수직 와이어로프 상에 복수의 완충수단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한 두 개의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를 소정계곡의 정해진 구간에서 상,하부로 정해진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하되,
    상부에 설치되는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는 양측만 복수의 앵커를 통해 계곡의 양측 경사면에 고정하여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 저면과 계곡의 바닥면 사이가 오픈되게 하고, 오픈된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의 수직 와이어로프의 저단부에는 각각 중량체를 설치하며,
    하부에 설치되는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는 양측은 물론 저부도 복수의 앵커를 통해 계곡의 양측 경사면과 바닥면에 각각 고정하여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 저면과 계곡의 바닥면 사이가 밀폐되게 하고,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와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의 양측 단부 사이에, 복수의 완충수단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된 형상을 갖는 복수의 상,하단 네트 연결용 와이어로프를 정해진 높이간격 두고 고정 설치하며, 상기 상,하단 네트 연결용 와이어로프들은 복수의 앵커를 통해 계곡의 양측 경사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하되,
    상기 상단 와이어로프 네트의 수평 와이어로프들의 설치 간격은, 수평방향에 대한 중심선을 기점으로 상방부로 갈수록 좁아지고 하방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하며,
    상기 하단 와이어로프 네트의 수평 와이어로프들의 설치 간격은, 수평방향에 대한 중심선을 기점으로 상방부로 갈수록 넓어지고 하방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하며,
    상기 상,하단 와이어로프 네트의 수평 와이어로프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에 완충수단을 설치할 때, 수평 와이어로프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에 대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동일한 위치에 각각 설치하거나, 또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위치에 있는 수평 와이어로프 또는 수직 와이어로프에 대해 상,하,좌,우로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40808A 2015-03-24 2015-03-24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 KR101551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808A KR101551174B1 (ko) 2015-03-24 2015-03-24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808A KR101551174B1 (ko) 2015-03-24 2015-03-24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174B1 true KR101551174B1 (ko) 2015-09-08

Family

ID=54247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808A KR101551174B1 (ko) 2015-03-24 2015-03-24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174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079B1 (ko) 2016-04-26 2016-11-08 (주)창광이앤씨 로프를 이용한 링형 완충장치
KR101820910B1 (ko) * 2016-10-24 2018-03-08 (주)창광이앤씨 토석류 방호시설
KR20180059077A (ko) * 2016-11-25 2018-06-04 한국과학기술원 토석류 방재를 위한 유연성 방호책 및 토석류 방재 방법
KR101905473B1 (ko) * 2016-10-18 2018-10-10 (주)창광이앤씨 완충형 와이어 로프 체결장치를 이용한 분리가능한 낙석방지망 구조체
KR101914693B1 (ko) * 2018-01-31 2018-11-02 서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다단 분리형 토석류 방호 완충 네트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914528B1 (ko) * 2016-03-28 2018-11-05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 엔지니어링 사방네트 및 사방네트의 시공방법
KR101935546B1 (ko) * 2018-02-21 2019-01-04 차윤호 암반밀착식 낙석방지망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02132A (ko) * 2017-06-29 2019-01-08 김정구 낙석 방지용 완충 장치
KR101936857B1 (ko) * 2018-07-04 2019-01-09 오인철 낙석방지망
KR101937941B1 (ko) * 2018-07-02 2019-01-14 (주)목양 낙석방지책의 간이 개폐식 윈도우 장치
DE102017123816A1 (de) * 2017-10-12 2019-04-18 Geobrugg Ag Sicherheitsnetz
KR20210004425A (ko) * 2019-07-04 2021-01-13 김나영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
KR20220098540A (ko) 2021-01-04 2022-07-12 (주)창광이앤씨 와이어 로프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와이어 로프 네트
CN115262437A (zh) * 2022-08-16 2022-11-01 中化地质矿山总局吉林地质勘查院 一种用于地质灾害治理的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0484A (ja) * 2005-10-07 2007-04-19 Okumiya Kogyo:Kk 落石誘導ユニットを有する落石防護網とその落石誘導ユニット
KR101225007B1 (ko) * 2012-06-14 2013-01-25 손정익 낙석방지용 울타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0484A (ja) * 2005-10-07 2007-04-19 Okumiya Kogyo:Kk 落石誘導ユニットを有する落石防護網とその落石誘導ユニット
KR101225007B1 (ko) * 2012-06-14 2013-01-25 손정익 낙석방지용 울타리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528B1 (ko) * 2016-03-28 2018-11-05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 엔지니어링 사방네트 및 사방네트의 시공방법
KR101674079B1 (ko) 2016-04-26 2016-11-08 (주)창광이앤씨 로프를 이용한 링형 완충장치
KR101905473B1 (ko) * 2016-10-18 2018-10-10 (주)창광이앤씨 완충형 와이어 로프 체결장치를 이용한 분리가능한 낙석방지망 구조체
KR101820910B1 (ko) * 2016-10-24 2018-03-08 (주)창광이앤씨 토석류 방호시설
KR101942012B1 (ko) * 2016-11-25 2019-01-24 한국과학기술원 토석류 방재를 위한 유연성 방호책 및 토석류 방재 방법
KR20180059077A (ko) * 2016-11-25 2018-06-04 한국과학기술원 토석류 방재를 위한 유연성 방호책 및 토석류 방재 방법
KR20190002132A (ko) * 2017-06-29 2019-01-08 김정구 낙석 방지용 완충 장치
KR101997904B1 (ko) * 2017-06-29 2019-07-08 홍용택 낙석 방지용 완충 장치
AU2018350279B2 (en) * 2017-10-12 2021-05-20 Geobrugg Ag Safety net
DE102017123816A1 (de) * 2017-10-12 2019-04-18 Geobrugg Ag Sicherheitsnetz
US11180895B2 (en) 2017-10-12 2021-11-23 Geobrugg Ag Safety net
KR101914693B1 (ko) * 2018-01-31 2018-11-02 서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다단 분리형 토석류 방호 완충 네트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935546B1 (ko) * 2018-02-21 2019-01-04 차윤호 암반밀착식 낙석방지망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37941B1 (ko) * 2018-07-02 2019-01-14 (주)목양 낙석방지책의 간이 개폐식 윈도우 장치
KR101936857B1 (ko) * 2018-07-04 2019-01-09 오인철 낙석방지망
KR102226921B1 (ko) * 2019-07-04 2021-03-10 김나영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
KR20210004425A (ko) * 2019-07-04 2021-01-13 김나영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
KR20220098540A (ko) 2021-01-04 2022-07-12 (주)창광이앤씨 와이어 로프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와이어 로프 네트
CN115262437A (zh) * 2022-08-16 2022-11-01 中化地质矿山总局吉林地质勘查院 一种用于地质灾害治理的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CN115262437B (zh) * 2022-08-16 2024-03-01 中化明达东北地质矿业有限公司 一种用于地质灾害治理的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174B1 (ko)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
KR100794922B1 (ko) 에이치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KR20090098554A (ko) 교각 기초 구조물의 세굴방지대
KR101496954B1 (ko) 사방댐 구조물
KR102019236B1 (ko) 낙석 방지 구조체
KR101820910B1 (ko) 토석류 방호시설
JP2007056488A (ja) 透過型砂防堰堤及びその土砂捕捉部材
JP2002339338A (ja) 流下物捕捉構造
Perez et al. Installation enhancements to common inlet protection practices using large-scale testing techniques
JP3608773B2 (ja) 流下物捕捉構造
KR102037464B1 (ko)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JP2006274575A (ja) 透過型砂防えん堤
KR20140064105A (ko) 토석류에 의한 재해 방지 구조물
KR101262240B1 (ko) 토석류에 의한 재해방지구조물
KR101887359B1 (ko) 복합 스크린 콘크리트 사방댐
JP2012082677A (ja) 防護柵
JP4652993B2 (ja) 水制工及びその設置構造
CN210562017U (zh) 泥石流柔性拦挡网及泥石流柔性拦挡坝
KR101706588B1 (ko) 친환경 토석류 피해 저감 구조물 및 설치방법
KR101313868B1 (ko) 복수의 중공형 구조체를 갖는 사방댐 구조물
KR101788623B1 (ko) 리모델링으로 홍수 및 토석류 조절기능을 강화한 사방댐
JP4663403B2 (ja) 透過型砂防堰堤
KR101907879B1 (ko) 지주식 네트형 토석류 저감장치
KR102375803B1 (ko) 낙석에 의한 재해방지구조물
KR100959350B1 (ko) 하천 법면 보강용 철골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