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528B1 - 사방네트 및 사방네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사방네트 및 사방네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528B1
KR101914528B1 KR1020160036897A KR20160036897A KR101914528B1 KR 101914528 B1 KR101914528 B1 KR 101914528B1 KR 1020160036897 A KR1020160036897 A KR 1020160036897A KR 20160036897 A KR20160036897 A KR 20160036897A KR 101914528 B1 KR101914528 B1 KR 101914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net
wire net
fasten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440A (ko
Inventor
토시미츠 노무라
쇼이치 이노우에
요이치 니시다
히로아키 노다
임상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36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528B1/ko
Priority to JP2017058227A priority patent/JP2017180082A/ja
Publication of KR20170111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05Deformable barrages or barrages consisting of permanently deformable elements, e.g. inflatable, with flexibl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방네트 및 사방네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네트의 교차하는 부분에 완충부를 체결하여 구성함으로써, 토석에 의해 와이어네트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분산되도록 하고, 와이어네트가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여 사방댐의 유속에 의해 이동되는 토석이 최대치에 도달할 때까지 토석의 이동을 제한하는 사방네트 및 사방네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는 사방댐에 설치 고정되는 와이어네트; 및 상기 와이어네트가 교차하는 부분에 체결 고정되고, 토석에 의해 상기 와이어네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는, 상기 와이어네트의 후방에 밀착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와이어네트의 전방에 밀착되어 상기 제1몸체와 압착되어 체결되는 제2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방네트 및 사방네트의 시공방법{EROSION CONTROL NET AND EROSION CONTROL NET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사방네트 및 사방네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네트의 교차하는 부분에 완충부를 체결하여 구성함으로써, 토석에 의해 와이어네트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분산되도록 하고, 와이어네트가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여 사방댐의 유속에 의해 이동되는 토석이 최대치에 도달할 때까지 토석의 이동을 제한하는 사방네트 및 사방네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사태로 인한 토석의 이동을 계류에서 저지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는 사방댐이다.
이를 위하여 불투과형 콘크리트 사방댐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스크린이나 슬릿트 형식의 투과형 사방댐 등이 현장에서 많이 시공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 사방댐이나 강제 사방댐의 경우에는 기초공사를 위해 댐 자리와 주변에 대해 터파기와 지장목 제거 등과 같은 사전 정지작업이 필요하고, 그에 따른 자연훼손과 공사비용이 발생하고, 소계류에 설치되는 인공적인 구조물로 인한 생태계의 단절과 경관훼손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사방댐 설치로 인한 경관훼손을 최소화하고 주변경관과 잘 조화되며 시공 및 관리가 용이한 새로운 형식의 사방댐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문헌 1) :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3416호(2008년 08월 20일 공개) (문헌 2) :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076175호(2008년 08월 20일 공개) (문헌 3) : 국내등록특허 제10-1250185호(2013년 03월 27일 등록) (문헌 4) :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045823호(2011년 05월 04일 공개)
본 발명은 와이어네트의 교차하는 부분에 완충부를 체결하여 구성함으로써, 토석에 의해 와이어네트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분산되도록 하고, 와이어네트가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여 사방댐의 유속에 의해 이동되는 토석이 최대치에 도달할 때까지 토석의 이동을 제한하는 사방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앵커부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기초공사가 필요하지 않고 기존의 지반이나 암반을 이용하여 앵커부를 고정하여 시공재료의 운반에 따른 제한 또는 거푸집 설치와 양생 등에 필요한 공사기간이 단축 등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사방네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는 지반, 암반 또는 사방댐에 설치 고정되는 와이어네트; 및 상기 와이어네트가 교차하는 부분에 체결 고정되고, 토석에 의해 상기 와이어네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는, 상기 와이어네트의 후방에 밀착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와이어네트의 전방에 밀착되어 상기 제1몸체와 압착되어 체결되는 제2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네트는, 사각 형태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1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1와이어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2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와 직교되게 교차하여 마름모의 패턴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1와이어에 체합되는 제3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의 양측 내측면에서 상기 제2몸체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몸체의 상, 하부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2몸체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2몸체의 상, 하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1몸체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돌출부; 및 상기 제2몸체의 양측 테두리에서 상기 제1몸체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압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압착부는 상기 제2몸체의 외측면으로 굴곡되어 밀착되고, 상기 제2압착부는 상기 제1몸체의 외측면으로 굴곡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압착부 및 제2압착부에 의해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네트를 연결하도록 사방댐 하부에 설치 고정되며,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2개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의 시공방법은 사각 형태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1와이어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상기 제1와이어에 결합되는 제2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와 직교되게 교차하여 마름모의 패턴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1와이어에 결합되는 제3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와 제3와이어가 교차하는 부분에 체결되는 완충부로 이루어진 와이어네트를 준비하는 단계; 사방댐의 양측에 고정된 앵커부에 상기 와이어네트의 양측이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와이어네트를 앵커부에 고정하는 단계; 및 사방댐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부에 상기 와이어네트의 전방 부분이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와이어네트를 고정부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는 와이어네트의 교차하는 부분에 완충부를 체결하여 구성함으로써, 토석에 의해 와이어네트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분산되도록 하고, 와이어네트가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여 사방댐의 유속에 의해 이동되는 토석이 최대치에 도달할 때까지 토석의 이동을 제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의 시공방법은 앵커부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기초공사가 필요하지 않고 기존의 지반이나 암반을 이용하여 앵커부를 고정하여 시공재료의 운반에 따른 제한 또는 거푸집 설치와 양생 등에 필요한 공사기간이 단축 등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에서 완충부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에서 완충부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가 시공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에서 완충부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에서 완충부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가 시공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는 와이어네트(100) 및 완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네트(100)는 하천계류에서 발생하는 토석 및 잡목 등의 유실에 의한 토사 재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지반, 암반 또는 사방댐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 형태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1와이어(110)와, 제1와이어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제1와이어(110)에 결합되는 제2와이어(120)와, 제2와이어(120)와 직교되게 교차하여 마름모의 패턴이 유지되도록 제1와이어(110)에 결합되는 제3와이어(130)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와이어(120)와 제3와이어(130)를 이용하여 마름모의 패턴을 형성하였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로 들면, 제2와이어(120)가 제1와이어(110)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제3와이어(130)가 제1와이어(110)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제2와이어(120)와 제3와이어(130)가 사각의 패턴이 형성되도록 다양한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와이어(120) 및 제3와이어(130)는 제1와이어(110)에 클립을 이용하여 압착하거나 또는 샤클 등과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와이어네트(100)를 사용하게 되면, 사방댐에 구조에 따라 특성에 맞게 제작이 용이하고, 탈부착이 용이하여 와이어네트(100)의 유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며, 토사석력을 쉽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네트(100)는 사방댐의 양측에 삽입 고정되는 앵커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앵커부(300)는 일정 지름을 갖는 여러 가닥의 철사를 서로 꼬아 유연성을 갖도록 형성하는 와이어로프(310)와, 와이어로프(310)의 일단 일부를 접어 형성한 고리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종래에 사방댐의 양측에 앵커 볼트 등을 시공할 경우 앵커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기초 작업이 필요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초작업 없이 바로 기존의 지반 또는 암반에 설치할 수 있도록 와이어로프(310)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앵커부(300)는 사방댐의 측면을 천공하여 천공된 부분으로 삽입한 다음 고리부(320)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천공된 부분으로 시멘트 등을 주입시켜 고정되게 한다.
위와 같은 유연성을 갖는 앵커부(300)를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콘크리트 기초가 없어도 사방댐의 측면을 구성하는 암반 등에 직접 설치가 가능하고, 암반의 상태에 따라 앵커부(300)의 매설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지형이 굴곡된 부분도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명에 따른 와이어네트(100)는 제1와이어(110)의 양측을 고정 지지하는 체결부(400) 및 제1와이어(110)의 중간 부분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400)는 제1와이어(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연결부(410)와, 연결부(410)와 제1와이어(110)가 서로 고정되도록 체결하는 클립(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로 들어, 연결부(410)를 고리부(320)로 삽입한 상태에서 제1와이어(110)와 근접하게 위치한 다음, 연결부(410)가 제1와이어(110)에 체결되도록 연결부(410)의 일단 및 타단에 클립(420)을 체결하여 고정한다.
즉, 연결부(410)는 제1와이어(110)에 체결 고정되고, 앵커부(300)는 연결부(410)에 체결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와이어네트(100)의 파손으로 인한 와이어네트(100) 교체 시 연결부(410) 부분을 절단하여 앵커부(300)와 와이어네트(100)가 서로 분리되게 한다.
고정부(500)는 사방댐의 하부에 설치 고정되고, 와이어네트(100)의 전면에 위치하며, 제2와이어(120) 또는 제3와이어(130)와 탈착 가능하도록 후크 등으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500)는 지주대 형태로 형성되고, 와이어네트(100)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와이어네트(100)에서 발생하는 압력이 분산되도록 하기 위하여 와이어네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즉, 토석 또는 석력 등의 이동될 때 와이어네트(100)의 중앙 또는 한쪽으로 몰리게 되면 그 충격으로 제2와이어(120) 또는 제3와이어(130) 심하게 늘어나 파손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러한 와이어의 파손을 방지하고자 고정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완충부(200)는 제2와이어(120)와 제3와이어(130)가 교차하는 부분에 체결되고, 토석에 의해 와이어네트(100)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토석 또는 석력 등의 이동될 때 와이어네트(100)로 충격이 가해지면 그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을 전달받아 근접한 다른 하나의 완충부(200)로 분산되도록 한다.
또한, 완충부(200)는 제2와이어(120) 및 제3와이어(130)의 후방에 밀착되는 제1몸체(210)와, 제2와이어(120) 및 제3와이어(130)의 전방에 밀착되어 제1몸체(210)와 결합 고정되는 제2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210)는 내측면 양측에 형성된 제1돌출부(211)와, 상, 하부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제1압착부(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부(211)는 제1몸체(210)의 내측면에서 제2몸체(22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X"자 형태로 이루어진 제2와이어(120) 및 제3와이어(13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와이어(120) 및 제3와이어(130)가 제1몸체(21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면, 제2와이어(120) 및 제3와이어(130)의 교차된 부분은 제1돌출부(211)에 의해 제1몸체(210)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지지 되도록 한다.
제1압착부(212)는 제1몸체(210)의 내측면에서 제2몸체(22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몸체(210)가 제2몸체(220)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제1압착부(212)를 제2몸체(220)의 외측면 방향으로 절곡시켜 제2몸체(220)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한다.
제2몸체(220)는 내측면의 상, 하부에 형성된 제2돌출부(221)와, 양측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제2압착부(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돌출부(221)는 제2몸체(220)의 내측면에서 제1몸체(21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X"자 형태로 이루어진 제2와이어(120) 및 제3와이어(13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와이어(120) 및 제3와이어(130)가 제2몸체(22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면, 제2와이어(120) 및 제3와이어(130)의 교차된 부분은 제2돌출부(221)에 의해 제2몸체(220)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지지 되도록 한다.
제2압착부(222)는 제2몸체(220)의 내측면에서 제1몸체(21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몸체(220)가 제1몸체(210)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몸체(220)와 제1몸체(210)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제2압착부(222)를 제1몸체(210)의 외측면 방향으로 절곡시켜 제1몸체(210)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한다.
한편, 위와 같은 완충부(200)를 사용하게 되면, 와이어네트(100)가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형이 되어 토석이 최대치에 도달할 때까지 토석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유수만 하류로 흘려보내는 장점이 있고, 특히, 제1돌출부(211) 및 제2돌출부(221)를 사용하게 되면,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가 결합 될 때 자동으로 서로 일치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가 서로 결합 될 때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프레스 장치 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예로 들면, 프레스 장치 위에 제1몸체(210)를 올려놓은 다음 제2와이어(120) 및 제3와이어(130)가 교차하는 부분을 제1몸체(210) 위에 올려놓고, 다시 제2몸체(220)를 제1몸체(210)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2와이어(120) 및 제3와이어(130)가 교차하는 부분에 올려놓은 다음 프레스 장치를 작동시켜 압착하게 되는데, 이때, 제1압착부(212)는 제2몸체(220)의 외측면으로 굴곡되어 결합되고, 제2압착부(222)는 제1몸체(210)의 외측면으로 굴곡되어 결합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의 시공방법에 대한설명을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의 시공방법은 와이어네트(100)를 준비하는 단계, 앵커부(300)를 사방댐의 양측에 체결하는 단계, 고정부(500)를 사방댐의 하부에 체결하는 단계, 와이어네트(100)를 앵커부(300)에 고정하는 단계 및 와이어네트(100)를 고정부(500)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네트(100)를 준비하는 단계는, 유속에 의해 토석 등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1와이어(110), 제2와이어(120) 및 제3와이어(130)로 구성된 와이어네트(100)를 별도로 준비한다.
또한, 제2와이어(120)와 제3와이어(130)가 교차하는 부분에 완충부(200)를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완충부(200)는 토석에 의해 와이어네트(100)에 발생하는 압력을 분산하도록 한다.
앵커부(300)를 사방댐의 양측에 설치하는 단계는, 사방댐의 양측에 천공된 부분으로 앵커부(300)를 삽입시킨 후 시멘트를 주입시켜 시멘트가 경화되도록 한 다음, 앵커부(300)가 고정되게 하는 단계이다.
고정부(500)를 사방댐의 하부에 설치하는 단계는, 고정부(500)의 하부 일부를 사방댐의 바닥면에 삽입시키고, 삽입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고정하며, 와이어네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는 단계이다.
와이어네트(100)를 앵커부(300)에 고정하는 단계는, 와이어네트(100)의 양측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와이어네트(100)의 외측에 구비된 체결부(400)와 앵커부(300)를 고정하는 단계이다.
와이어네트(100)를 고정부(500)에 고정하는 단계는, 와이어네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부(500)와 와이어네트(100)가 서로 고정되도록 와이어네트(100)의 전방 부분을 후크 또는 클립 등으로 고정하는 단계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와이어네트 110; 제1와이어
120; 제2와이어 130; 제3와이어
200; 완충부 210; 제1몸체
211; 제1돌출부 212; 제1압착부
220; 제2몸체 221; 제2돌출부
222; 제2압착부 300; 앵커부
310; 와이어로프 320; 고리부
400; 체결부 410; 연결부
420; 클립 500; 고정부

Claims (5)

  1. 지반, 암반 또는 사방댐에 설치 고정되는 와이어네트; 및
    상기 와이어네트가 교차하는 부분에 체결 고정되고, 토석에 의해 상기 와이어네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는,
    상기 와이어네트의 후방에 밀착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와이어네트의 전방에 밀착되어 상기 제1몸체와 압착되어 체결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네트는,
    사각 형태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1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1와이어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2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와 직교되게 교차하여 마름모의 패턴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1와이어에 체합되는 제3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1몸체의 양측 내측면에서 상기 제2몸체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몸체의 상, 하부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2몸체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2몸체의 상, 하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1몸체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돌출부; 및
    상기 제2몸체의 양측 테두리에서 상기 제1몸체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압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압착부는 상기 제2몸체의 외측면으로 절곡되어 밀착되고, 상기 제2압착부는 상기 제1몸체의 외측면으로 절곡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압착부 및 제2압착부에 의해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는 "X"자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제2와이어 및 상기 제3와이어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하고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네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네트를 연결하도록 사방댐 하부에 설치 고정되며,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2개 이상의 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네트.
  5. 삭제
KR1020160036897A 2016-03-28 2016-03-28 사방네트 및 사방네트의 시공방법 KR101914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897A KR101914528B1 (ko) 2016-03-28 2016-03-28 사방네트 및 사방네트의 시공방법
JP2017058227A JP2017180082A (ja) 2016-03-28 2017-03-23 砂防ネット及び砂防ネットの施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897A KR101914528B1 (ko) 2016-03-28 2016-03-28 사방네트 및 사방네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440A KR20170111440A (ko) 2017-10-12
KR101914528B1 true KR101914528B1 (ko) 2018-11-05

Family

ID=6000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897A KR101914528B1 (ko) 2016-03-28 2016-03-28 사방네트 및 사방네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7180082A (ko)
KR (1) KR1019145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338A (ja) * 2001-05-15 2002-11-27 Landcreate Kenkyusho:Kk 流下物捕捉構造
JP2009249825A (ja) * 2008-04-01 2009-10-29 Toa Grout Kogyo Co Ltd 覆網式斜面保護工法
JP2012021545A (ja) * 2010-07-12 2012-02-02 Nittan:Kk ワイヤーロープ固定具
KR101551174B1 (ko) * 2015-03-24 2015-09-08 (주)창광이앤씨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9325B2 (ko) * 1973-07-24 1980-05-26
IT1236571B (it) * 1989-11-20 1993-03-11 Macchina per la produzione automatizzata di reti costituite da funi a trefoli in acciaio
JP3082030B2 (ja) * 1997-06-04 2000-08-28 博 吉田 衝撃吸収用ロープ材の把持装置
JP3909026B2 (ja) * 2003-02-14 2007-04-25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ワイヤロープ締結金具
JP4682288B1 (ja) * 2010-04-30 2011-05-11 株式会社プロテックエンジニアリング 結束具
JP5102893B2 (ja) * 2011-07-12 2012-12-19 東京製綱株式会社 落下物捕捉システム
JP5272096B2 (ja) * 2012-06-05 2013-08-28 登志夫 田中 ターンバックル及び該ターンバックルを使用したワイヤロープの固定構造
JP6073614B2 (ja) * 2012-09-19 2017-02-01 神鋼建材工業株式会社 土石流防止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338A (ja) * 2001-05-15 2002-11-27 Landcreate Kenkyusho:Kk 流下物捕捉構造
JP2009249825A (ja) * 2008-04-01 2009-10-29 Toa Grout Kogyo Co Ltd 覆網式斜面保護工法
JP2012021545A (ja) * 2010-07-12 2012-02-02 Nittan:Kk ワイヤーロープ固定具
KR101551174B1 (ko) * 2015-03-24 2015-09-08 (주)창광이앤씨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440A (ko) 2017-10-12
JP2017180082A (ja)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292B1 (ko) 와이어로프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 방지 시설
KR101682624B1 (ko) 충격흡수형 압착식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JP5670927B2 (ja) 防護柵
CN109487712A (zh) 一种用于棚洞工程的活塞杆点支式自恢复柔性缓冲结构
JP6393850B1 (ja) 防護柵における支柱の立設構造
CN103774767B (zh) 一种组合式高层结构消能减震加强层
CN204000898U (zh) 新型抗冲击被动防护系统
KR101256097B1 (ko) 낙석방지망 설치 구조물
JP6114537B2 (ja) 落石防護装置および落石防護工法
KR20160033442A (ko)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914528B1 (ko) 사방네트 및 사방네트의 시공방법
KR101530081B1 (ko) 완충슬롯을 갖는 와이어로프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시설 시공 방법
KR20110130077A (ko) 충격에너지의 분배 및 흡수가 가능한 낙석방지 울타리
JP6014282B1 (ja) 柔構造の防護構造体
CN104032671A (zh) 高强细密钢丝网加劲钢纤维复合高阻尼橡胶支座
KR101729572B1 (ko) 하천 호안 및 법면보호용 스톤매트리스
JP4564460B2 (ja) 崩落物の防護構造体
KR101920459B1 (ko) 고장력네트의 강화지지수단
JP3639950B2 (ja) 衝撃吸収防護柵
CN210636837U (zh) 一种新型土木工程施工安全防护装置
KR101917417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
KR101484005B1 (ko) 암부착 와이어넷 및 그 연결 방법
JP2005213747A (ja) 雪崩・落石防護柵
KR20170111442A (ko)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및 고정 지주대를 이용한 사방네트 시공방법
KR200473180Y1 (ko) 낙석방지망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