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442A -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및 고정 지주대를 이용한 사방네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및 고정 지주대를 이용한 사방네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442A
KR20170111442A KR1020160036911A KR20160036911A KR20170111442A KR 20170111442 A KR20170111442 A KR 20170111442A KR 1020160036911 A KR1020160036911 A KR 1020160036911A KR 20160036911 A KR20160036911 A KR 20160036911A KR 20170111442 A KR20170111442 A KR 20170111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net
square
fasten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0409B1 (ko
Inventor
토시미츠 노무라
쇼이치 이노우에
요이치 니시다
히로아키 노다
임상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36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409B1/ko
Priority to JP2017058237A priority patent/JP6405562B2/ja
Publication of KR20170111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05Deformable barrages or barrages consisting of permanently deformable elements, e.g. inflatable, with flexibl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및 고정 지주대를 이용한 사방네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방댐의 바닥면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 지주대의 하단에 비트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사방댐의 바닥면을 천공함과 동시에 고정 지주대를 사방댐의 바닥면으로 삽입시켜 고정되도록 하고, 고정 지주대와 사방네트가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방네트의 교체가 쉽고 빠르게 교체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및 고정 지주대를 이용한 사방네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는 사방댐에 설치 고정되는 사방네트; 및 상기 사방댐의 바닥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사방네트의 전면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 지주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지주대는, 상기 사방댐의 바닥면을 천공함과 동시에 상기 사방댐의 바닥면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체결 고정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사방네트의 전면에 체결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및 고정 지주대를 이용한 사방네트 시공방법{STATIONARY SUPPORTING OF EROSION CONTROL NET AN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및 고정 지주대를 이용한 사방네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방댐의 바닥면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 지주대의 하단에 비트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사방댐의 바닥면을 천공함과 동시에 고정 지주대를 사방댐의 바닥면으로 삽입시켜 고정되도록 하고, 고정 지주대와 사방네트가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방네트의 교체가 쉽고 빠르게 교체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및 고정 지주대를 이용한 사방네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사태로 인한 토석의 이동을 계류에서 저지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는 사방댐이다.
이를 위하여 불투과형 콘크리트 사방댐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스크린이나 슬릿트 형식의 투과형 사방댐 등이 현장에서 많이 시공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 사방댐이나 강제 사방댐의 경우에는 기초공사를 위해 댐 자리와 주변에 대해 터파기와 지장목 제거 등과 같은 사전 정지작업이 필요하고, 그에 따른 자연훼손과 공사비용이 발생하고, 소계류에 설치되는 인공적인 구조물로 인한 생태계의 단절과 경관훼손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사방댐 설치로 인한 경관훼손을 최소화하고 주변경관과 잘 조화되며 시공 및 관리가 용이한 새로운 형식의 사방댐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문헌 1) :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3416호(2008년 08월 20일 공개) (문헌 2) :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076175호(2008년 08월 20일 공개) (문헌 3) : 국내등록특허 제10-1250185호(2013년 03월 27일 등록) (문헌 4) :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045823호(2011년 05월 04일 공개)
본 발명은 사방댐의 바닥면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 지주대의 하단에 비트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사방댐의 바닥면을 천공함과 동시에 고정 지주대를 사방댐의 바닥면으로 삽입시켜 고정되도록 하고, 고정 지주대와 사방네트가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방네트의 교체가 쉽고 빠르게 교체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지주대를 사방댐의 바닥면에 천공함과 동시에 고정되도록 시공함으로써, 고정 지주대의 시공이 편리하고, 시공 시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고정 지주대를 이용한 사방네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는 사방댐에 설치 고정되는 사방네트; 및 상기 사방댐의 바닥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사방네트의 전면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 지주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지주대는, 상기 사방댐의 바닥면을 천공함과 동시에 상기 사방댐의 바닥면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체결 고정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사방네트의 전면에 체결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철근 형태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 고정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하단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사방댐의 바닥면을 천공함과 동시에 상기 로드가 천공된 부분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사방댐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의 중간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를 고정 지지하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과 접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사방네트의 전면에 위치하고, 양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공이 형성된 각파이프; 상기 각파이프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볼트로 체결 고정되며, 상기 각파이프가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 및 양단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각파이프에 밀착된 상기 사방네트와 클립을 이용하여 결속되도록 하기 위한 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지주대를 이용한 사방네트 시공방법은 제1항에 따른 고정 지주대를 이용한 사방네트의 시공 방법으로서, 서로 교체되도록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로프로 구성된 사방네트를 준비하는 단계; 사방댐의 양측에 고정된 앵커부에 상기 와이어네트의 양측이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사방네트를 앵커부에 고정하는 단계; 및 고정 지주대와 사방네트가 서로 고정되도록 사방네트의 전방 부분에 로프 및 클립을 이용하여 사방네트를 고정 지주대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는 사방댐의 바닥면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 지주대의 하단에 비트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사방댐의 바닥면을 천공함과 동시에 고정 지주대를 사방댐의 바닥면으로 삽입시켜 고정되도록 하고, 고정 지주대와 사방네트가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방네트의 교체가 쉽고 빠르게 교체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지주대를 이용한 사방네트 시공방법은 고정 지주대를 사방댐의 바닥면에 천공함과 동시에 고정되도록 시공함으로써, 고정 지주대의 시공이 편리하고, 시공 시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지주대의 분해 사시고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지주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지주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지주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지주대가 사방댐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지주대의 분해 사시고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지주대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지주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지주대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지주대가 사방댐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100)는 사방댐(10)의 양측에 구비된 앵커부(30)에 양측이 고정 지지되는 사방네트(20)의 전면 부분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방댐(10)의 유속에 의해 이동되는 토석 등을 사방네트(20)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사방네트(20)에 토석이 최대치에 도달할 수 있을 때까지 지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100)는 사방네트(20)의 좌, 우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100)는 삽입부(110), 플레이트(120), 지지대(130) 및 로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10)는 사방댐(10)의 바닥면에 삽입 고정되고, 사방댐(1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120)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110)는 철근 형태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111)와, 로드(111)의 하단에 용접 등으로 체결 고정되는 비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10)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삽입부(110)를 사방댐(10)의 바닥면에 삽입시켜 사용하게 되면, 종래에 사용되는 앵커볼트, 전산볼트 또는 지주대 보다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특히, 종래에는 사방댐(10)의 바닥면을 천공한 후 천공된 부분으로 앵커볼트, 전산볼트 또는 지주대를 박아 사용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이중 작업을 한 번에 작업할 수 있도록 로드(111)의 하단에 비트(112)를 체결하여 사용한다.
예로 들면, 일정 길이를 갖는 로드(111)의 하단에 비트(112)를 체결한 후 전동공구(미도시)에 로드(111)를 장착한 상태에서 전동공구를 작동시키면 로드(111)의 하단에 체결된 비트(112)가 회전되면서 사방댐(10)의 바닥면을 뚫고 내부로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로드(111)가 일정 깊이 삽입되면 로드(111)의 상단에 고정너트(113)를 이용하여 플레이트(120)가 고정되게 한다.
즉, 종래에는 별도의 천공 장치를 이용하여 사방댐(10)의 바닥면을 천공한 후 다시 앵커볼트, 전산볼트 또는 지주대를 삽입하였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하게 되면 흐르는 물에 의해 앵커볼트, 전산볼트 또는 지주대가 천공된 부분을 찾기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어,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사방댐(10)의 바닥면을 천공함과 동시에 로드(111)가 사방댐(10)의 바닥에 삽입되도록 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플레이트(120)는 사방댐(10)의 바닥면에 위치하고, 사방댐(10)의 바닥면 외부로 노출된 삽입부(110)의 상단에 고정너트(113)로 체결 고정되며, 지지대(13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사방댐(10)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수평판(121)과, 수평판(121)의 중간에 형성된 수직판(122)과, 수직판(122)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보강리브(123)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판(122)은 지지대(13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보강리브(123)는 수직판(122)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수직판(122)과 접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보강리브(123)를 외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하여 사용하게 되면, 수직판(122)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평판(121)의 바닥면 양측에는 삽입부(110)가 삽입되도록 삽입홀(124)이 형성되고, 수직판(122)의 전면에는 볼트(125)가 삽입되는 체결공(122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평판(121)에 형성된 삽입홀(124)은 수평판(121)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서 내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삽입홀(124)과 접하는 수평판(121)의 외측 테두리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홀(124)의 외측이 개방되도록 형성하여 삽입부(110)가 쉽고 편리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예로 들면, 수평판(121)에 형성된 삽입홀(124)의 위치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삽입부(110)와 동일한 위치에서 벗어날 경우 외측이 개방된 부분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대(130)는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수직판(122) 사이에 볼트(125)로 체결 고정되고, 앵커 부(30)에 의해 사방댐(10)의 양측에 고정된 사방네트(20)의 전면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130)는 일정 길이를 갖는 각파이프(131)와, 각파이프(131)의 양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관통공(132)과, 각파이프(131)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33)의 측면에는 관통된 장공(133a)이 형성되고, 장공(133a)에 의해 지지대(130)의 높낮이는 조절할 수 있다.
즉, 각파이프(131)에 형성된 관통공(132)에 로프(140)를 이용하여 사방네트(20)에 체결될 수 있는데, 이때, 각파이프(131)에 형성된 관통공(132)이 로프(140)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예로 들면, 와이어로프가 사선 방향 또는 직각 형태로 이루어진 사방네트(20)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다음, 체결부(133)에 형성된 장공(133a)이 수직판(122)에 형성된 체결공(122a)에 위치되도록 하는데, 이때, 각파이프(131)에 형성된 관통공(132)이 사방네트(20)를 이루는 와이어로프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볼트(125)를 이용하여 체결공(122a)에 삽입한 후 장공(133a)을 통과해 반대 측 체결공(122a)으로 관통되어 너트 등으로 체결한다.
로프(140)는 양단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각파이프(131)에 형성된 관통공(132)으로 삽입한 후 관통공(132)과 근접하거나 각파이프(131)에 밀착된 사방네트(20)의 와이어로프와 클립(141)을 이용하여 결속될 수 있다. 즉, 로프(140)를 이용하여 사방네트(20)가 지지대(130)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클립(141)은 지지대(130)에 고정된 사방네트(20)가 탈착 가능한 클립(141)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방네트(20)의 파손으로 사방네트(20) 교체 시 클립(141)을 용이하게 제거한 후 새로운 사방네트(20)가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지주대를 이용한 사방네트의 시공방법에 대한설명을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지주대를 이용한 사방네트의 시공방법은 사방네트(20)를 준비하는 단계, 앵커부(30)를 사방댐(10)의 양측에 체결하는 단계, 고정 지주대(100)를 사방댐의 하부에 체결하는 단계, 사방네트(20)를 앵커부(30)에 고정하는 단계 및 사방네트(20)를 고정 지주대(100)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방네트(20)를 준비하는 단계는, 유속에 의해 토석 등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서로 교체되도록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로프로 구성된 사방네트(20)를 별도로 준비한다.
앵커부(30)를 사방댐(10)의 양측에 설치하는 단계는, 사방댐(10)의 양측에 천공된 부분으로 앵커부(30)를 삽입시킨 후 시멘트를 주입시켜 시멘트가 경화되도록 한 다음, 앵커부(30)가 고정되게 하는 단계이다.
고정 지주대(100)를 사방댐(10)의 하부에 설치하는 단계는, 고정 지주대(100)의 하부 일부를 사방댐(10)의 바닥면에 삽입시키고, 삽입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고정하며, 사방네트(20)의 좌, 우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는 단계이다.
사방네트(20)를 앵커부(30)에 고정하는 단계는, 사방네트(20)의 양측을 고정하는 단계로 사방네트(20)가 사방댐(10)에 고정되어 토석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분산되도록 고정하는 단계이다.
사방네트(20)를 고정 지주대(100)에 고정하는 단계는, 사방네트(20)의 좌, 우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 지주대(100)와 사방네트(20)가 서로 고정되도록 사방네트(20)의 전면 부분에 로프(140) 및 클립(141)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계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사방댐 20; 사방네트
30; 앵커부 100; 고정 지주대
110; 삽입부 111; 로드
112; 비트 113; 고정너트
120; 플레이트 121; 수평판
122; 수직판 122a; 체결공
123; 보강리브 124; 삽입홀
125; 볼트 130; 지지대
131; 각파이프 132; 관통공
133; 체결부 133a; 장공
140; 로프 141; 클립

Claims (5)

  1. 사방댐에 설치 고정되는 사방네트; 및
    상기 사방댐의 바닥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사방네트의 전면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 지주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지주대는,
    상기 사방댐의 바닥면을 천공함과 동시에 상기 사방댐의 바닥면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체결 고정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사방네트의 전면에 체결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철근 형태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 고정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하단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사방댐의 바닥면을 천공함과 동시에 상기 로드가 천공된 부분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사방댐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의 중간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를 고정 지지하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과 접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보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사방네트의 전면에 위치하고,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공이 형성된 각파이프;
    상기 각파이프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볼트로 체결 고정되며, 상기 각파이프가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 및
    양단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각파이프에 밀착된 상기 사방네트와 클립을 이용하여 결속되도록 하기 위한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5. 제1항에 따른 고정 지주대를 이용한 사방네트의 시공 방법으로서,
    서로 교체되도록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로프로 구성된 사방네트를 준비하는 단계;
    사방댐의 양측에 고정된 앵커부에 상기 와이어네트의 양측이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사방네트를 앵커부에 고정하는 단계; 및
    고정 지주대와 사방네트가 서로 고정되도록 사방네트의 전방 부분에 로프 및 클립을 이용하여 사방네트를 고정 지주대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지주대를 이용한 사방네트 시공방법.
KR1020160036911A 2016-03-28 2016-03-28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KR101990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911A KR101990409B1 (ko) 2016-03-28 2016-03-28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JP2017058237A JP6405562B2 (ja) 2016-03-28 2017-03-23 砂防ネットの固定支柱台及び固定支柱台を用いた砂防ネットの施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911A KR101990409B1 (ko) 2016-03-28 2016-03-28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442A true KR20170111442A (ko) 2017-10-12
KR101990409B1 KR101990409B1 (ko) 2019-10-01

Family

ID=60005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911A KR101990409B1 (ko) 2016-03-28 2016-03-28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405562B2 (ko)
KR (1) KR1019904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131B1 (ko) * 2023-06-07 2023-11-30 엄도부 날개형 확장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91526B1 (ja) 2021-09-14 2022-01-12 前田工繊株式会社 防護柵の支柱ユニット及び防護柵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117A (ja) * 1993-07-30 1995-02-10 Tokyo Seiko Co Ltd 落石防護ネツト工法及び落石防護ネツトのポケツト形成用支柱
JP2002339338A (ja) * 2001-05-15 2002-11-27 Landcreate Kenkyusho:Kk 流下物捕捉構造
JP2008121311A (ja) * 2006-11-13 2008-05-29 Tokyo Seiko Co Ltd アンカー設置角度設定用アジャスター
KR20080076175A (ko) 2007-02-15 2008-08-20 (주)창광이앤씨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링네트 가공 공법
KR20080003416U (ko) 2007-02-15 2008-08-20 (주)창광이앤씨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링네트 시스템
JP4278170B1 (ja) * 2008-08-11 2009-06-10 有限会社吉田構造デザイン 落石誘導防護構造体
KR20110045823A (ko) 2009-10-28 2011-05-04 권영제 와이어네트 사방댐
KR101250185B1 (ko) 2010-10-20 2013-04-05 최한미 자체 토사 조절기능을 갖는 사방댐
KR101475807B1 (ko) * 2014-06-11 2014-12-23 유한회사 도유 높이 조절이 가능한 펜스 지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9325B2 (ko) * 1973-07-24 1980-05-26
US5435524A (en) * 1993-12-06 1995-07-25 Ingram; L. Howard Impact fence
JP2006183327A (ja) * 2004-12-27 2006-07-13 Purotekku Engineering:Kk 雪崩予防柵
JP4549427B1 (ja) * 2009-08-27 2010-09-22 株式会社プロテックエンジニアリング 防護柵
JP4451491B1 (ja) * 2009-11-17 2010-04-14 有限会社吉田構造デザイン アンカー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JP5102893B2 (ja) * 2011-07-12 2012-12-19 東京製綱株式会社 落下物捕捉システム
JP5919098B2 (ja) * 2012-06-04 2016-05-18 ゼニス羽田株式会社 防護柵
JP5272096B2 (ja) * 2012-06-05 2013-08-28 登志夫 田中 ターンバックル及び該ターンバックルを使用したワイヤロープの固定構造
JP5830747B2 (ja) * 2012-06-15 2015-12-09 株式会社ライテク 防護柵
JP6073614B2 (ja) * 2012-09-19 2017-02-01 神鋼建材工業株式会社 土石流防止柵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117A (ja) * 1993-07-30 1995-02-10 Tokyo Seiko Co Ltd 落石防護ネツト工法及び落石防護ネツトのポケツト形成用支柱
JP2002339338A (ja) * 2001-05-15 2002-11-27 Landcreate Kenkyusho:Kk 流下物捕捉構造
JP2008121311A (ja) * 2006-11-13 2008-05-29 Tokyo Seiko Co Ltd アンカー設置角度設定用アジャスター
KR20080076175A (ko) 2007-02-15 2008-08-20 (주)창광이앤씨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링네트 가공 공법
KR20080003416U (ko) 2007-02-15 2008-08-20 (주)창광이앤씨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링네트 시스템
JP4278170B1 (ja) * 2008-08-11 2009-06-10 有限会社吉田構造デザイン 落石誘導防護構造体
KR20110045823A (ko) 2009-10-28 2011-05-04 권영제 와이어네트 사방댐
KR101250185B1 (ko) 2010-10-20 2013-04-05 최한미 자체 토사 조절기능을 갖는 사방댐
KR101475807B1 (ko) * 2014-06-11 2014-12-23 유한회사 도유 높이 조절이 가능한 펜스 지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131B1 (ko) * 2023-06-07 2023-11-30 엄도부 날개형 확장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05562B2 (ja) 2018-10-17
JP2017180083A (ja) 2017-10-05
KR101990409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356551B (zh) 一种悬挑架结构
JP2012162898A (ja) アンカーフレーム及びそれを用いた基礎構造体の構築工法
KR20170111442A (ko)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및 고정 지주대를 이용한 사방네트 시공방법
KR101707170B1 (ko) 지주 연결 구조물
JP6577155B1 (ja) 強度不足のブロック塀のフェンス塀への改築工法およびこの工法で使用する金具
JP5425157B2 (ja) 簡易基礎用構造体
KR101249408B1 (ko)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용 철근 받침기둥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의 상부철근 배근방법
JP3179138U (ja) 脚頭部施工用足場支保工
KR100714434B1 (ko) 버팀보 보강용 브레이싱
CN109778703B (zh) 一种桥梁道路施工用临边防护设计及其施工方法
CN204849792U (zh) 降水井井管托换支架
KR101247672B1 (ko) 온실 기초 시공방법 및 그 시공구조
CN109594485A (zh) 一种公路防高边坡落石构件化防护棚架结构及其施工方法
CN209211486U (zh) 可循环利用的预埋地脚螺栓固定支架
KR101091600B1 (ko) 측구용 pc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측구 시공방법
TW201420847A (zh) 組立件及其安裝構造
JP2019065641A (ja) 落石防護柵
CN113585492A (zh) 一种多构件复杂构件相交节点系统及其施工方法
KR101244810B1 (ko) 식생기반재를 사용한 친환경 옹벽
KR101955246B1 (ko) 내진 보강용 강재 근입형 제트그라우팅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99237B1 (ko) 기둥 고정 기초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둥 고정 기초석
KR101942346B1 (ko) 내진 보강용 강재 근입형 제트그라우팅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205530776U (zh) 一种橡胶支座可拆换式减震装置
JP2014139394A (ja) 支柱用の支線アンカー、及び支柱用の支線アンカーの敷設方法
KR102491817B1 (ko) 울타리 기둥의 확장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