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552Y1 - 고강도 낙석방지책 - Google Patents

고강도 낙석방지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552Y1
KR200397552Y1 KR20-2005-0019935U KR20050019935U KR200397552Y1 KR 200397552 Y1 KR200397552 Y1 KR 200397552Y1 KR 20050019935 U KR20050019935 U KR 20050019935U KR 200397552 Y1 KR200397552 Y1 KR 200397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s
steel bar
holes
prevention measures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스코
Priority to KR20-2005-0019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5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5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강도 낙석방지책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주와 지주사이에 강봉을 횡설함에 따라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강봉을 긴장해야하는 별도의 긴장장치가 필요치 않게 되며, 횡설되는 강봉이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강봉보강대를 설치하여 낙석에 의한 충격흡수가 뛰어나 낙석이 도로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강봉을 인접한 강봉과 끝단이 교차되도록 지주에 설치함으로써 낙석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뛰어난 고강도 낙석방지책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들과, 상기 지주들을 좌우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부재 및 상기 지주에 설치되어 낙석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그물망을 포함하여 구성된 낙석방지책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웹으로 이루어진 H형태의 지주들과, 상기 지주들의 일측 플랜지에 지주의 높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웹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과, 상기 지주와, 인접하는 지주의 관통홀에 양단이 각각 체결되어 지주를 연결해주는 강봉과, 상기 지주와 지주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강봉과 결속되어 강봉의 상하 간격을 유지해주는 강봉보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고강도 낙석방지책{Falling rock prevention pence}
본 고안은 고강도 낙석방지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H빔으로 이루어진 지주와 지주를 강봉으로 연결하고, 이 지주와 지주 사이에 상기 강봉과 체결되는 강봉보강대를 더 설치하여 낙석에 대한 강도를 높여주며, 상기 강봉의 지주 결합시 강봉을 교차하도록 플랜지에 설치함으로써 낙석에 의해 플랜지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강도가 향상되는 고강도 낙석방지책에 관한 것이다.
통상 낙석방지책은 절개지나 연약지형을 통과하는 도로의 연부에 설치되어 낙석으로 인한 차량이나 인명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다수의 지주가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고, 다수의 와이어로프을 이용하여 지주와 지주를 연결해주며, 상기 와이어로프에 격자철망이 설치되어 낙석사고 발생시에 낙석이 와이어로프와 격자철망에 충격을 가하게 되면 지주전체가 함께 낙석의 충격을 흡수하여 인명과 차량 사고의 발생을 방지해준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는 낙석사고 발생시에 흘러내린 토사의 압력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주에 긴장력을 유지하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도 1 과 같은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101)는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지주(100)들의 웹을 통과하면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통상 60m정도의 길이 마다 단부를 형성하고 긴장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10)는 매우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처짐이 발생하여 긴장력이 약해지고, 낙석이 발생할 경우 저항력이 감소되어 낙석의 충격을 흡수할 수 없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101)가 낙석에 의해 절단되어 와이어로프(101)를 보수해야할 경우에는 횡방향으로 설치된 와이어로프를 모두 제거하고 별도의 와이어로프를 설치해야만 보수가 가능하여 신속한 유지보수가 곤란하고 보수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 와 같은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101)는 U볼트(102) 등에 의해 지주(100)마다 고정되면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로프의 설치 구조는 낙석에 의한 낙석방지책의 마찰계수는 높여주나, 이 또한 60m정도의 길이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로프(101)의 인장범위가 매우 커 실제 낙석이 발생하면 와이어로프가 낙석의 하중에 견디지 못하고 인장되거나 절단되어 낙석이 도로변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되는 것으로, 지주와 지주사이에 강봉을 횡설함에 따라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강봉을 긴장해야하는 별도의 긴장장치가 필요치 않게 되며, 횡설되는 강봉이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강봉보강대를 설치하여 낙석에 의한 충격흡수가 뛰어나 낙석이 도로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강봉을 인접한 강봉과 끝단이 교차되도록 지주에 설치함으로써 낙석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뛰어난 고강도 낙석방지책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들과, 상기 지주들을 좌우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부재 및 상기 지주에 설치되어 낙석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그물망을 포함하여 구성된 낙석방지책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웹으로 이루어진 H형태의 지주들과, 상기 지주들의 일측 플랜지에 지주의 높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웹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과, 상기 지주와, 인접하는 지주의 관통홀에 양단이 각각 체결되어 지주를 연결해주는 강봉과, 상기 지주와 지주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강봉과 결속되어 강봉의 상하 간격을 유지해주는 강봉보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봉은 관통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양단이 일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격된 관통홀은 웹을 중심으로 수평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웹을 중심으로 상하 단차를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이 수평하게 형성될 경우, 상기 강봉은 인접하는 지주들의 최단거리의 관통홀에 양단이 끼워져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이 단차지게 형성될 경우, 상기 강봉은 인접하는 지주들의 수평방향에 위치한 최장거리의 관통홀에 양단이 끼워져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인 그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의 낙석방지책을 정면에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낙석방지책을 배면에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낙석방지책을 배면에서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강봉보강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낙석방지책은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50)과,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50)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10)들과, 상기 지주(10)와 인접하는 지주(10)를 연결하여 상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강봉(30)과, 상기 지주(10)와 인접하는 지주(10)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지주(10)와 지주(10)를 가로지르는 강봉(30)과 결속되도록 설치되어 강도 향상 및 강봉(30)의 상하 간격을 유지해주는 강봉보강대(40)와, 상기 지주(10)에 설치되어 낙석이 도로변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하는 그물망(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10)는 마주보는 한 쌍의 플랜지(12)와, 상기 플랜지(12)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웹(11)으로 구성되어 H형상을 이루고,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50)에 설치시 플랜지(12)가 도로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지주(10)는 강봉(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지주의 일측 플랜지(12)에 제1관통홀(20a) 및 상기 제1관통홀(20a)과 웹(11)을 중심으로 이격되는 제2관통홀(20b)이 형성되며, 상기 제1,2관통홀(20a)(20b)은 지주(10)의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다.
이때 제1관통홀(20a)과 제2관통홀(20b)은 웹(11)을 중심으로 서로 수평하게 위치하거나, 또는 단차가 지도록 위치한다.
상기 강봉(30)은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50) 상에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10)들 중 인접하는 한 쌍의 지주(10)들을 서로 연결해 주는 것으로, 상기 지주(10)와 인접한 지주(10)의 플랜지(12)에 형성된 관통홀(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양단에 절곡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31)의 외주면에는 플랜지(12)에 끼워진 후 너트(33)로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강봉(30)은 통상 2m 정도의 길이를 유지하고, 지주(10)와 지주(10)사이의 경간마다 독립적으로 설치함에 따라 강봉(30)의 처짐을 방지하고 낙석 발생시 강봉의 인장범위가 매우 짧기 때문에 낙석에 대한 저항력이 뛰어나며, 또한 낙석에 의해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파손된 부분만을 손쉽게 교체 및 보수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한편 상기 강봉보강대(40)는 높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관통홀(41) 형성되어 있어, 이 관통홀(41)을 통해 강봉(30)이 끼워져 상기 지주(10)와 지주(10)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강봉보강대(40)에 의해 강봉(30)이 지지됨으로써 강봉(30)의 크리프현상을 방지하고, 강봉(30)의 인장범위를 더욱 더 줄여주어 강봉(30)과 강봉(30)의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함에 따라 낙석에 의한 저항강도가 매우 뛰어나며, 낙석이 도로변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해준다.
도 7 은 본 고안의 낙석방지책의 강봉 결합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도, 도 8 은 본 고안의 낙석방지책의 강봉 결합구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도로서,
상기 제1지주(10a)와 인접하는 제2지주(10b)의 플랜지(12)에 각각 형성된 제1관통홀(20a)과 제2관통홀(20b)이 웹(11)을 중심으로 수평하게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1지주(10a)의 제2관통홀(20b)과 제2지주(10b)의 제1관통홀(20a)에 강봉 양단의 절곡부(31)가 끼워지도록 하여 너트(33)로 결합함으로써 강봉(30)을 설치한다.
한편 상기 제1지주(10a)와 인접하는 제2지주(10b)의 플랜지(12)에 각각 형성된 제1관통홀(20a)과 제2관통홀(20b)이 웹(11)을 중심으로 단차 지도록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1지주(10a)의 제1관통홀(20a)과 제2지주(10b)의 제2관통홀(20b)에 강봉(30) 양단의 절곡부(31)가 끼워지도록 하여 너트(33)로 조여줌으로써 강봉(30)을 설치한다.
즉, 제1,2지주(10a)(10b)에 형성된 제1,2 관통홀(20a)(20b)이 웹(11)을 기준으로 서로 수평하게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제1,2지주(10a)(10b)에 형성된 제1,2관통홀(20a)(20b) 중 최단거리에 위치하는 관통홀에 강봉의 양단을 끼워 나사결합하고, 제1,2지주(10a)(10b)에 형성된 제1,2 관통홀(20a)(20b)이 단차지게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제1,2지주(10a)(10b)의 수평방향에 위치한 최장거리의 관통홀에 강봉(30)의 양단이 끼워져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2 관통홀(20a)(20b)이 단차지게 형성될 경우에는 강봉(30)이 플랜지(12)의 끝단에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웹(11)과 플랜지(12)을 포함하도록 체결되기 때문에 그 강도가 매우 향상되어 낙석에 의해 플랜지(12)의 관통홀(20)이 끊어져 강봉(30)이 플랜지(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낙석방지책의 지주를 강봉을 이용하여 한 경간 마다 설치함으로써 낙석에 의해 강봉이 인장되는 범위를 줄여주어 강도가 매우 뛰어나고, 또한 강봉보강대를 이용하여 강봉의 간격을 유지하고, 낙석에 의한 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여 낙석에 의한 강봉의 벌어짐을 방지해주며, 또한 강봉의 설치시 강봉과 강봉의 끝단이 교차되도록 하여 플랜지와 웹을 포함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지주와의 결합강도가 매우 향상되어 되어 낙석 발생시 강봉의 결합된 플랜지 부분이 끊어져 강봉이 지주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 은 종래의 낙석방지책에 있어 지주를 관통하여 횡설되는 와이어로프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종래의 낙석방지책에 있어 U볼트에 의해 지주에 고정된 와이어로프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낙석방지책을 정면에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낙석방지책을 배면에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낙석방지책을 정면에서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강봉보강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의 낙석방지책의 강봉 결합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도,
도 8 은 본 고안의 낙석방지책의 강봉 결합구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주 (10a) : 제1지주
(10b) : 제2지주 (11) : 웹
(12) : 플랜지 (20) : 관통홀
(20a) : 제1관통홀 (20b) : 제2관통홀
(30) : 강봉 (31) : 절곡부
(32) : 나사부 (33) : 너트
(40) : 강봉보강대 (41) : 관통홀
(50) :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60) : 그물망
(100) : 지주 (101) : 와이어로프
(102) : U볼트

Claims (5)

  1.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들과, 상기 지주들을 좌우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부재 및 상기 지주에 설치되어 낙석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그물망으로 구성된 낙석방지책에 있어서,
    마주보는 한 쌍의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웹으로 이루어진 H형태의 지주들과,
    상기 지주들의 일측 플랜지에 지주의 높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웹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과,
    상기 지주와, 인접하는 지주의 관통홀에 양단이 각각 체결되어 지주를 연결해주는 강봉과,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되, 상기 강봉이 체결되도록 설치되어 강봉의 상하 간격을 유지해주는 강봉보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낙석방지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은 관통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양단이 일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낙석방지책.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된 관통홀은 웹을 중심으로 수평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웹을 중심으로 상하 단차를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낙석방지책.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이 수평하게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강봉은 인접하는 지주들의 최단거리의 관통홀에 양단이 끼워져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낙석방지책.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이 단차지게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강봉은 인접하는 지주들의 수평방향에 위치한 최장거리의 관통홀에 양단이 끼워져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낙석방지책.
KR20-2005-0019935U 2005-07-08 2005-07-08 고강도 낙석방지책 KR200397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935U KR200397552Y1 (ko) 2005-07-08 2005-07-08 고강도 낙석방지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935U KR200397552Y1 (ko) 2005-07-08 2005-07-08 고강도 낙석방지책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613A Division KR100597776B1 (ko) 2005-07-08 2005-07-08 고강도 낙석방지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552Y1 true KR200397552Y1 (ko) 2005-10-06

Family

ID=43698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935U KR200397552Y1 (ko) 2005-07-08 2005-07-08 고강도 낙석방지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5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396B1 (ko) 2019-05-02 2019-11-04 (주) 금동강건 낙석방지책 구조물
KR102307138B1 (ko) 2021-05-14 2021-09-30 (주)화정엔지니어링 철도 선로의 낙석방지 펜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396B1 (ko) 2019-05-02 2019-11-04 (주) 금동강건 낙석방지책 구조물
KR102307138B1 (ko) 2021-05-14 2021-09-30 (주)화정엔지니어링 철도 선로의 낙석방지 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8924B1 (en) Device for holding sliding masses or bodies
KR102081865B1 (ko)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KR101572505B1 (ko) 사면 낙석방지책
JP5830747B2 (ja) 防護柵
CN110453813A (zh) 一种可更换的内置型钢斜撑装配式预应力耗能剪力墙
KR102091924B1 (ko) 도로의 충격흡수 받침대
KR200397552Y1 (ko) 고강도 낙석방지책
KR101530081B1 (ko) 완충슬롯을 갖는 와이어로프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시설 시공 방법
KR100602010B1 (ko) 도로용 가드레일
KR100597776B1 (ko) 고강도 낙석방지책
KR101358426B1 (ko) 교통신호등 지주구조체
KR10087203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1036910B1 (ko) 볼트형 고장력 경강선을 이용한 낙석 방지책
JP5334883B2 (ja) 防護柵
KR101718139B1 (ko) 측구 설치형 차량 방호울타리 보강 구조
KR100581091B1 (ko) 도로의 낙석방지펜스
KR200405982Y1 (ko) 이중 능형망 구조의 낙석방지책
KR200387013Y1 (ko) 낙석방지책
KR102662125B1 (ko) 낙석방지책용 와이어 간격유지장치
KR101073874B1 (ko) 가로보의 설치구조
JP5524884B2 (ja) ケーブル防護柵
JP6733933B2 (ja) 橋梁地覆への車両乗り上げ抑制構造
CN218147758U (zh) 一种抗支座反力的拉杆装置
KR200346219Y1 (ko) 수직형 낙석방지책
JP7318867B2 (ja) 防護柵およびそ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