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012B1 -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 - Google Patents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012B1
KR102605012B1 KR1020230080370A KR20230080370A KR102605012B1 KR 102605012 B1 KR102605012 B1 KR 102605012B1 KR 1020230080370 A KR1020230080370 A KR 1020230080370A KR 20230080370 A KR20230080370 A KR 20230080370A KR 102605012 B1 KR102605012 B1 KR 102605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le
pier
support frame
fixing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0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송
Original Assignee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유한회사 삼신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유한회사 삼신기업 filed Critical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0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각에 결합되는 교각브라켓과 점검로 발판을 지지하는 발판지지프레임간의 연결부위에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진동과 하중을 흡수하여 완충시켜 주도록 한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각의 벽면에 일측이 고정되는 교각브라켓(10)과, 교각브라켓(10)의 하부에 일단부가 연결볼트(25)로 고정되어 연결되는 발판지지프레임(20)과, 발판지지프레임(20)의 타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가이드포스트(30) 및 난간(35)과, 발판지지프레임(20)의 상면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발판(40)을 포함하는 교량 점검로에 있어서, 상기 교각브라켓(10)의 타측에는 내부에 수용공간(13)을 구비하는 프레임결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결합부(12)의 하부에는 상기 발판지지프레임(20)의 고정을 위한 연결볼트(25)가 끼움 결합되게 측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제1고정홀(15) 및 제2고정홀(16)이 형성되어 지되, 상기 제1고정홀(15)은 상기 연결볼트(25)가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제2고정홀(16)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3)에는 내부로 끼워져 상기 제1고정홀(15)의 형성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결합부(12)에 복수개의 고정수단(55)으로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완충수단(50)이 설치되고, 상기 완충수단(50)에는 상기 제1고정홀(15)을 통해 끼워지는 연결볼트(25)에 관통되도록 상기 제1고정홀(15)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관통홀(51)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수단(50)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연결볼트(25)는 상기 제1고정홀(15)의 내부에 가장자리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허공에 위치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Checking way of bridge having buffering function}
본 발명은 교각에 결합되는 교각브라켓과 점검로 발판을 지지하는 발판지지프레임간의 연결부위에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진동과 하중을 흡수하여 완충시켜 주도록 한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나 국도를 비롯하여 강이나 바다를 가로지르는 도로를 구축함에는 각종 형태의 교량이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에 대해서는 가설 위치 및 구조 형식, 교차 조건, 하부 지지 조건 등의 제반 조건을 감안하여 주요 구조를 교통 흐름의 제한 없이 항상 점검할 수 있는 교량 점검 시설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교량 점검 시설은 교량구조물 각 부위의 기능상태 및 노후도, 결함 등을 확인하거나 점검은 물론 유지보수 등의 교량 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교량을 지지하는 교각의 상부 측에 주로 설치되며,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교량 점검로와 이 교량 점검로에 접근하기 위한 사다리 등을 포함하는 출입 계단 등으로 구성된다.
교량 점검로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교각의 벽면에 고정되는 교각브라켓과, 교각브라켓의 하측부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는 발판지지프레임과, 발판지지프레임의 타단부에 수직하게 고정 연결되는 가이드포스트 및 난간과, 발판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연속 설치하여 작업자가 보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발판지지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교각브라켓과 가이드 포스트가 조립되고, 상기 교각브라켓이 교각에 볼팅 고정된 상태에서 발판이 발판지지프레임의 상면에 볼팅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교량 점검로는, 교각에 장착되는 교각브라켓과 발판을 지지하는 발판지지프레임의 연결부위가 단순히 연결볼트로 조립하여 연결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진동이나 하중이 가해질 때마다 연결볼트에 전단력이 집중적으로 직접 작용하여 결속부위가 취약해지고, 파손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점검로 자체의 하중과 작업자의 보행으로 인한 진동이나 하중이 연결볼트를 통해 교각브라켓에 그대로 전달됨으로써 교각브라켓의 앵커볼트 고정부분이 헐거워지거나 풀림이 서서히 진행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교량을 통해 이동하는 차량이나 열차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점검로의 고정부분(교각브라켓의 앵커볼트 고정부분)이 헐거워지거나 풀림가능성이 있고, 상기한 진동이나 충격이 점검로로 전달되면서 점검로의 흔들림 등으로 인한 파손 발생 및 그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36905호(2021.3.31. 교량 점검로의 풀림방지 및 진동흡수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709111호(2017.02.16. 하중 분산 기능이 개선된 교량 점검통로) 등록특허공보 제 10-2310827호(2021.10.01. 응력 분산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 점검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교각브라켓과 점검로 발판을 지지하는 발판지지프레임간의 연결부위에 완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점검로의 하중이나 발판을 보행하는 작업자에 의한 진동과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완충시켜 줌으로써 연결볼트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교각브라켓으로의 진동이나 하중 등의 응력 전달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을 통해 이동하는 차량이나 열차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점검로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또는 방지함으로써 점검로의 흔들림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점검로 고정부분(교각브라켓의 앵커볼트 고정부분)의 헐거워짐이나 풀림 가능성을 차단하고, 나아가 점검로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교각의 벽면에 일측이 고정되는 교각브라켓(10)과, 교각브라켓(10)의 하부에 일단부가 연결볼트(25)로 고정되어 연결되는 발판지지프레임(20)과, 발판지지프레임(20)의 타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가이드포스트(30) 및 난간(35)과, 발판지지프레임(20)의 상면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발판(40)을 포함하는 교량 점검로에 있어서, 상기 교각브라켓(10)의 타측에는 내부에 수용공간(13)을 구비하는 프레임결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결합부(12)의 하부에는 상기 발판지지프레임(20)의 고정을 위한 연결볼트(25)가 끼움 결합되게 측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제1고정홀(15) 및 제2고정홀(16)이 형성되어 지되, 상기 제1고정홀(15)은 상기 연결볼트(25)가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제2고정홀(16)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3)에는 내부로 끼워져 상기 제1고정홀(15)의 형성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결합부(12)에 복수개의 고정수단(55)으로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완충수단(50)이 설치되고, 상기 완충수단(50)에는 상기 제1고정홀(15)을 통해 끼워지는 연결볼트(25)에 관통되도록 상기 제1고정홀(15)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관통홀(51)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수단(50)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연결볼트(25)는 상기 제1고정홀(15)의 내부에 가장자리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허공에 위치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수단(50)은 고무, 우레탄,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조성되고, 상기 완충수단(50)의 외형상은 상기 수용공간(13)의 평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표면이 상기 프레임결합부(12)의 내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프레임결합부(12)의 일측면 이상에 복수개의 고정수단(55)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1고정홀(15)은 가장자리에서 상기 연결볼트(25)와의 틈새가 1.5㎜ ~ 4㎜를 갖는 원형이나 호형 또는 다각형 홀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에 따르면, 교각브라켓과 발판지지프레임간의 연결부위에 진동이나 하중 등의 응력을 흡수하여 완충시켜 줄 수 있는 완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점검로의 하중이나 보행으로 인한 진동 등의 응력이 교각브라켓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교각브라켓의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시켜 줌은 물론 교량을 통해 이동하는 차량이나 열차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 발생시에도 이를 완충시켜 점검로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점검로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브라켓과 발판지지프레임 및 가이드포스트를 보인 발췌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브라켓과 발판지지프레임간의 연결부위를 보인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브라켓과 발판지지프레임의 연결부위 결합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는 통상의 교량 점검로의 구조와 같이 교각의 벽면에 일측이 고정되는 교각브라켓(10)과, 교각브라켓(10)의 하부에 일단부가 연결볼트(25)로 고정되어 연결되는 발판지지프레임(20)과, 발판지지프레임(20)의 타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가이드포스트(30) 및 난간(35)과, 발판지지프레임(20)의 상면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발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교각브라켓(10)은 통상의 종래 교각브라켓과 같이, 교각고정부(11)와 프레임결합부(12)로 구성되어 있다.
교각고정부(11)는 교각브라켓(10)의 일측에 판판하게 형성되어 있고, 설정된 위치에 고정홀이 형성되어 앵커볼트에 의해 교각의 벽면에 일면이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프레임결합부(12)는 상기 교각브라켓(10)의 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교각고정부(11)의 타면 중앙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13)을 구비하도록 비어 있는 사각통체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결합부(12)의 하부에는 상기 발판지지프레임(20)의 고정을 위한 연결볼트(25)가 끼움 결합되게 측면방향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1고정홀(15)과 제2고정홀(1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고정홀(15)은 제2고정홀(16)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볼트(25)가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마련된다.
연결볼트(25)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이유는, 후술한 완충수단(50)에 연결볼트(25)가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하중이 가해졌을 때 완충수단에 의해 완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완충동작되면서 연결볼트(25)를 통해 교각브라켓(10)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하중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나 하중은 교량점검을 위하여 점검로를 이동하는 작업자, 평상시 교량을 통해 이동하는 차량이나 열차 등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교각브라켓(10)을 결합하는 앵커볼트의 풀림이나 결합력이 감소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고정홀(15)은 가장자리에서 상기 연결볼트(25)와의 틈새가 1.5㎜ ~ 4㎜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원형이나 호형 또는 다각형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홀(15)이 호형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진동이나 하중이 점검로의 상하방향으로 가장 크게 작용하게 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호형이 되게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요 특징부 구성으로, 상기 수용공간(13)에는 내부로 끼워져 상기 제1고정홀(15)의 형성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결합부(12)에 복수개의 고정수단(55)으로 고정되는 완충수단(50)이 설치된다.
완충수단(50)은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하중 등의 응력이 가해졌을 경우에 그 충격을 완화시켜 줄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수단(50)은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인 고무, 우레탄,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조성된다.
이때, 상기 완충수단(50)에는 상기 제1고정홀(15)을 통해 끼워지는 연결볼트(25)에 관통되도록 관통홀(51)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홀(51)은 상기 제1고정홀(15)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51)의 크기가 제1고정홀(15)보다 작게 형성되는 이유는, 연결볼트(25)가 관통홀(51)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볼트(25)가 제1고정홀(15)의 가장자리에 접촉되지 않고 제1고정홀(15)의 내부에 가장자리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허공에 위치되도록 구비하기 위함이다.
즉, 교각브라켓(10)과 발판지지프레임(20)이 연결볼트(25)를 매개로 연결되는데, 연결볼트(25)가 교각브라켓(10)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교각브라켓(10)의 결합부(11)에 설치되는 완충수단(50)을 매개로 발판지지프레임(20)이 교각브라켓(10)에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발판지지프레임(20)이 완충수단(50)을 매개로 하여 교각브라켓(10)과 연결됨으로써 점검로(발판지지프레임, 가이드포스트, 난간, 발판 구성) 자체의 하중이나 발판(40)을 보행하는 작업자에 의한 진동 또는 하중 등에 대해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진동이나 하중 등 응력이 교각브라켓(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함으로써 교각브라켓을 교각 벽면에 고정하는 앵커볼트의 풀림이나 결합력이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혹여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완충수단(50)의 외형상은 상기 수용공간(13)의 평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표면이 상기 프레임결합부(12)의 내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프레임결합부(12)의 일측면 이상에 복수개의 고정수단(55)으로 고정된다.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수단(50)은 프레임결합부(12)가 사각통체로 형성되어 수용공간(13)의 평면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경우에 상기 완충수단(50)은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55)은 나사, 피스, 나사못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점검로의 발판을 보행함에 따라 하중이나 진동 등의 응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응력은 완충수단에 의해 완충되면서 교각브라켓으로 전달되지 않거나 최소화함으로써 교각브라켓의 결합력 감소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점검로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10: 교각브라켓 11: 교각고정부
12: 프레임결합부 13: 수용공간
15: 제1고정홀 16: 제2고정홀
20: 발판지지프레임 25: 연결볼트
30: 가이드포스트 35: 난간
40: 발판 50: 완충수단
51: 관통홀 55: 고정수단

Claims (3)

  1. 교각의 벽면에 일측이 고정되는 교각브라켓(10)과, 교각브라켓(10)의 하부에 일단부가 연결볼트(25)로 고정되어 연결되는 발판지지프레임(20)과, 발판지지프레임(20)의 타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가이드포스트(30) 및 난간(35)과, 발판지지프레임(20)의 상면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발판(40)을 포함하는 교량 점검로에 있어서,
    상기 교각브라켓(10)의 타측에는 내부에 수용공간(13)을 구비하는 프레임결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결합부(12)의 하부에는 상기 발판지지프레임(20)의 고정을 위한 연결볼트(25)가 끼움 결합되게 측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제1고정홀(15) 및 제2고정홀(16)이 형성되어 지되, 상기 제1고정홀(15)은 상기 연결볼트(25)가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제2고정홀(16)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3)에는 내부로 끼워져 상기 제1고정홀(15)의 형성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결합부(12)에 복수개의 고정수단(55)으로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완충수단(50)이 설치되고, 상기 완충수단(50)에는 상기 제1고정홀(15)을 통해 끼워지는 연결볼트(25)에 관통되도록 상기 제1고정홀(15)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관통홀(51)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수단(50)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연결볼트(25)는 상기 제1고정홀(15)의 내부에 가장자리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허공에 위치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50)은 고무, 우레탄,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조성되고,
    상기 완충수단(50)의 외형상은 상기 수용공간(13)의 평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표면이 상기 프레임결합부(12)의 내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프레임결합부(12)의 일측면 이상에 복수개의 고정수단(55)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홀(15)은 가장자리에서 상기 연결볼트(25)와의 틈새가 1.5㎜ ~ 4㎜를 갖는 원형이나 호형 또는 다각형 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
KR1020230080370A 2023-06-22 2023-06-22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 KR102605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370A KR102605012B1 (ko) 2023-06-22 2023-06-22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370A KR102605012B1 (ko) 2023-06-22 2023-06-22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012B1 true KR102605012B1 (ko) 2023-11-23

Family

ID=8897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0370A KR102605012B1 (ko) 2023-06-22 2023-06-22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012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092Y1 (ko) * 2001-11-21 2002-06-20 최두영 분리형 교량유지관리 점검대
KR101306114B1 (ko) * 2013-02-15 2013-09-09 주식회사 제현산업 안전성 향상 기능을 갖는 인도교
KR101709111B1 (ko) 2016-08-10 2017-02-22 주식회사 세진기술개발 하중 분산 기능이 개선된 교량 점검통로
KR101911043B1 (ko) * 2018-04-16 2018-10-23 주식회사 부영물산 교량용 점검대
KR102153853B1 (ko) * 2020-03-12 2020-09-08 강성분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KR102236905B1 (ko) 2020-02-26 2021-04-06 주식회사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교량 점검로의 풀림방지 및 진동흡수장치
KR20210080174A (ko) * 2019-12-20 2021-06-30 (주)신화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
KR102310827B1 (ko) 2020-08-26 2021-10-12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응력 분산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 점검로
KR102322249B1 (ko) * 2020-12-28 2021-11-05 주식회사 하성 확장 가능한 모듈형 인도교
KR102489913B1 (ko) * 2022-09-20 2023-01-18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보행공간 확장 구조를 갖는 진동 저감형 거더
KR20230037976A (ko) * 2021-09-10 2023-03-17 (주)네오브릿지 교량의 안전난간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092Y1 (ko) * 2001-11-21 2002-06-20 최두영 분리형 교량유지관리 점검대
KR101306114B1 (ko) * 2013-02-15 2013-09-09 주식회사 제현산업 안전성 향상 기능을 갖는 인도교
KR101709111B1 (ko) 2016-08-10 2017-02-22 주식회사 세진기술개발 하중 분산 기능이 개선된 교량 점검통로
KR101911043B1 (ko) * 2018-04-16 2018-10-23 주식회사 부영물산 교량용 점검대
KR20210080174A (ko) * 2019-12-20 2021-06-30 (주)신화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
KR102236905B1 (ko) 2020-02-26 2021-04-06 주식회사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교량 점검로의 풀림방지 및 진동흡수장치
KR102153853B1 (ko) * 2020-03-12 2020-09-08 강성분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KR102310827B1 (ko) 2020-08-26 2021-10-12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응력 분산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 점검로
KR102322249B1 (ko) * 2020-12-28 2021-11-05 주식회사 하성 확장 가능한 모듈형 인도교
KR20230037976A (ko) * 2021-09-10 2023-03-17 (주)네오브릿지 교량의 안전난간
KR102489913B1 (ko) * 2022-09-20 2023-01-18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보행공간 확장 구조를 갖는 진동 저감형 거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99413A1 (en) Seismic isolation bearing
US7104720B2 (en) Traffic noise barrier system
KR100589289B1 (ko) 환봉을 이용한 교량용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내진보강공법
KR101778300B1 (ko) 교량용 방호울타리
KR102322249B1 (ko) 확장 가능한 모듈형 인도교
KR102605012B1 (ko)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
KR100680161B1 (ko) 철도교량 레일 방진시설
CN210262671U (zh) 一种公路桥梁防落梁限位装置
JP2000226815A (ja) 落橋防止構造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KR100893323B1 (ko) 차량 방호용 목재 난간
KR101190671B1 (ko) 방호 울타리
JP2003013404A (ja) 道路・橋梁用伸縮継手の緩衝装置
KR100560732B1 (ko) 회전마찰재를 이용한 충격 흡수장치
JP4858848B2 (ja) 桁間連結装置
KR102585187B1 (ko)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지책 및 그 시공방법
KR101765044B1 (ko) 연결부위에 삽입되는 전단 보강재를 가지는 캔틸레버형 인도교
KR20030075361A (ko) 내진보강용 합성교좌장치
KR20210041813A (ko) 거더 조인트
KR100561708B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난간 구조
CN216919983U (zh) 一种桥梁用防撞加固装置
JP5706952B1 (ja) 橋梁構造及び既存橋梁の補強方法
KR102642402B1 (ko) 자립식 진동풀림차단 및 하중전이방지 방음벽
KR200347251Y1 (ko) 회전마찰재를 이용한 충격 흡수장치
KR100517802B1 (ko) 철도교량의 교량상판 이음부 낙교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