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853B1 -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 Google Patents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853B1
KR102153853B1 KR1020200030798A KR20200030798A KR102153853B1 KR 102153853 B1 KR102153853 B1 KR 102153853B1 KR 1020200030798 A KR1020200030798 A KR 1020200030798A KR 20200030798 A KR20200030798 A KR 20200030798A KR 102153853 B1 KR102153853 B1 KR 102153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rizontal support
buffer
seated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분
Original Assignee
강성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분 filed Critical 강성분
Priority to KR1020200030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고정브래킷, 수평지지대, 발판, 핸드레일포스트, 핸드레일 및 완충지지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발판과 수평지지대 사이에 완충지지수단이 적용됨에 따라 완충지지수단을 통해 발판에 대한 완충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내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발판에 대한 완충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점검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Bridge maintenance and administrative passage}
본 발명은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브래킷, 수평지지대, 발판, 핸드레일포스트, 핸드레일 및 완충지지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발판과 수평지지대 사이에 완충지지수단이 적용됨에 따라 완충지지수단을 통해 발판에 대한 완충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내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발판에 대한 완충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점검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는 고소용 접근장비를 이용하여 접근이 불가능한 교량부재의 점검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설치되는 통로 형태의 접근 시설을 말한다.
이러한 고정식 점검시설에 해당하는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는 예를 들면 사장교, 현수교 또는 트러스 교와 같이 교량의 상부나 하부로부터 이동식 접근장비에 의한 점검이 불가능한 교량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는 교량에 설치된 방음벽과 펜스(fence)와 같은 연속적인 부속물의 설치로 인하여 이동식 접근장비에 의한 점검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이동식 접근 장비로 인하여 교통 혼잡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에 설치된 교량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는 교각의 둘레를 따라 점검자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로서의 "교각 점검대"가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81724호 2003.04.11.등록.)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래의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인 "교각 점검대"는 시공이 용이하고 그리고 부분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보수가 용이한 교각 점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특허문헌 1은 교각에 부착되는 브래킷; 브래킷에 고정되는 사각파이프; 사각파이프의 끝에 조립되는 채널바; 채널 바에 조립되는 포스트; 및 채널 바 사이에 고정되어 발판을 형성하는 앵글, 받침판, 난간 파이프 및 클램프로 분할되어 조립될 수 있는 조립방식의 교각 점검대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의 교각 점검대는 발판이 단순히 사각파이프에 의해 안착설치되므로 발판에 대한 완충지지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점검대의 내구성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발판에 대한 완충지지가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점검자의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발판에 대한 완충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내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발판에 대한 완충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점검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81724호 2003.04.11.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64536호 2013.05.08.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8-0003332호 2018.01.09.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브래킷, 수평지지대, 발판, 핸드레일포스트, 핸드레일 및 완충지지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발판과 수평지지대 사이에 완충지지수단이 적용됨에 따라 완충지지수단을 통해 발판에 대한 완충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내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고정브래킷, 수평지지대, 발판, 핸드레일포스트, 핸드레일 및 완충지지수단을 포함함에 따라 발판과 수평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지지수단을 통해 발판에 대한 완충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판에 대한 완충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점검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는 교각에 고정설치되어, 교량의 유지, 관리 및 점검을 위한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에 있어서, 교각의 측벽에 후면이 밀착되어 앵커볼트를 통해 정착고정되는 정착고정판과, 정착고정판의 전면 중앙에 직교하여 후단이 연결되는 연결고정판으로 구성되는 고정브래킷; 'ㄱ'자 형상의 한 쌍의 프레임이 대향되어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며, 한 쌍의 프레임 일단 사이에 상기 고정브래킷의 연결고정판 하단이 삽입 밀착되어 볼트와 너트로 연결고정되는 수평지지대; 상기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상호 이웃하여 밀착되도록 하향 안착되며, 타공 판 구조로 제공되는 발판; 상기 수평지지대의 타단에 직교하여 하단이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되며, 상향 연장되어 일정간격을 가지고 레일설치공이 형성되는 핸드레일포스트; 봉 타입으로 제공되어, 상기 핸드레일포스트의 레일설치공에 끼워져 고정설치되는 핸드레일; 및 상기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발판의 안착시 발판이 완충지지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 상에 설치되는 완충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발판은 타공 판 구조로 제공되되 양측에 하향 절곡된 하단에 수평으로 내향 절곡되면서 하부안착지지부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완충지지수단은 수평지지대의 한 쌍의 마주하는 상하방향 중앙부분에 돌출된 지지돌기 상에 안착되는 완충패킹과, 'T'자형 프레임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단이 상기 완충패킹의 상단에 밀착되며, 상단이 발판의 하부안착지지부 사이의 바닥면에 안착지지되는 발판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판은 타공 판 구조로 제공되되, 중앙이 빈 장방형 타입으로 절곡되어 하부 중앙에 하부안착지지홈이 상향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완충지지수단은 수평지지대의 한 쌍의 마주하는 상하방향 중앙부분에 돌출된 지지돌기 상에 안착되는 완충패킹과, 'ㅗ'자형 프레임 형상으로 제공되되, 하단이 상기 완충패킹의 상단에 밀착되는 베이스판재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발판의 하부안착지지홈에 삽입밀착되는 밀착돌부가 구비되는 발판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발판은 평판형의 타공 판 구조로 제공되며, 상기 수평지지대는 폭 방향으로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길이 함몰되는 안착설치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완충지지수단은 교각의 둘레방향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마주하는 수평지지대 상에 양단이 안착되되 수평지지대와 직교하여 상향 볼록한 단위판재가 다수 개로 링크 연결되어 양단이 수평지지대의 안착설치홈에 안착설치되는 직교지지링크와, 수평지지대의 길이방향과 대응되어 'ㄱ'자 형상으로 한 쌍의 마주하는 프레임 사이에 하향 안내되면서 하단이 직교지지링크의 상단에 안착고정되며, 상단부분이 발판의 하면을 상향 볼록한 단위판재가 다수 개로 링크 연결되는 판형 링크 구조를 통해 탄성적으로 밀착지지하는 수평지지링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링크는 직교지지링크의 상단에 안착고정되되 끼움 지지가 되면서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단위부재의 중앙부분 하면에 직교지지링크의 단위부재 두께와 대응되는 끼움안착홈이 상향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수평지지링크는 판형 탄성 구조를 통해 발판의 완충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위부재의 양측에 상향 텐션 변형을 위한 산형 텐션변형홈이 함몰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정브래킷, 수평지지대, 발판, 핸드레일포스트, 핸드레일 및 완충지지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발판과 수평지지대 사이에 완충지지수단이 적용됨에 따라 완충지지수단을 통해 발판에 대한 완충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내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고정브래킷, 수평지지대, 발판, 핸드레일포스트, 핸드레일 및 완충지지수단을 포함함에 따라 발판과 수평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지지수단을 통해 발판에 대한 완충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판에 대한 완충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점검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에 대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를 나타낸 측면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요부인 완충지지수단에 대한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정면구성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요부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지지수단에 대한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정면구성도.
도 4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요부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지지수단에 대한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정면구성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구성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를 나타낸 측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요부인 완충지지구조를 나타낸 요부 정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요부인 완충지지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설치고정구조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설치고정구조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설치고정구조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에 대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요부인 완충지지수단에 대한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정면구성도이다.
도 1 내지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는 교각(B)에 고정설치되어, 교량의 유지, 관리 및 점검을 위한 것으로, 크게 분류하면 고정브래킷(100), 수평지지대(200), 발판(300), 핸드레일포스트(400), 핸드레일(500) 및 완충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브래킷(100)은 교각(B)의 측벽에 후면이 밀착되어 앵커볼트(A)를 통해 정착고정되는 정착고정판(110)과, 정착고정판(110)의 전면 중앙에 직교하여 후단이 연결되는 연결고정판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브래킷(100)은 교각(B)의 측벽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대(200)는 'ㄱ'자 형상의 한 쌍의 프레임이 대향되어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며, 한 쌍의 프레임 일단 사이에 상기 고정브래킷(100)의 연결고정판(120) 하단이 삽입 밀착되어 볼트와 너트로 연결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판(300)은 상기 수평지지대(200)의 상부에 상호 이웃하여 밀착되도록 하향 안착되며, 타공 판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포스트(400)는 상기 수평지지대(200)의 타단에 직교하여 하단이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되며, 상향 연장되어 일정간격을 가지고 레일설치공(410)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핸드레일(500)은 봉 타입으로 제공되어, 상기 핸드레일포스트(400)의 레일설치공(410)에 끼워져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완충지지수단은 상기 수평지지대(200)의 상부에 발판(300)의 안착시 발판(300)이 완충지지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200) 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에서, 특히 상기 발판(300)은 타공 판 구조로 제공되되 양측에 하향 절곡된 하단에 수평으로 내향 절곡되면서 하부안착지지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완충지지수단은 수평지지대(200)의 한 쌍의 마주하는 상하방향 중앙부분에 돌출된 지지돌기(210) 상에 안착되는 완충패킹(710)과, 'T'자형 프레임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단이 상기 완충패킹(710)의 상단에 밀착되며, 상단이 발판(300)의 하부안착지지부(310) 사이의 바닥면에 안착지지되는 발판지지프레임(72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발판(300)은 하부안착지지부(310) 사이의 바닥면이 발판지지프레임(720)의 상단에 의해 완충지지되면서, 상기 하부안착지지부(310)에 대하여서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수평지지대(200)의 상면에 안착지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완충패킹(710)은 고무패킹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요부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지지수단에 대한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정면구성도이다.
도 4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요부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지지수단은 수평지지대(200)의 한 쌍의 마주하는 상하방향 중앙부분에 돌출된 지지돌기(210) 상에 안착되는 완충스프링(710a)과, 'T'자형 프레임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단이 상기 완충스프링(710a)의 상단에 밀착되며, 상단이 발판(300)의 하부안착지지부(310) 사이의 바닥면에 안착지지되는 발판지지프레임(720)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도 1 내지 4a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완충패킹(710)을 대신하여 완충스프링(710a)이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요부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지지수단에 대한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정면구성도이다.
도 4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요부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지지수단은 수평지지대(200)의 한 쌍의 마주하는 상하방향 중앙부분에 일정길이 돌출된 지지돌기(210)에 대한 마주하는 단부 측 공간을 포함하는 지지돌기(210) 상, 하부 일정길이에 걸친 공간에 배치되는 완충부재(710b)와, 수평지지대(200)의 한 쌍의 마주하는 하단 부분에 대한 완충부재(710b) 하측의 공간을 밀폐마감하는 고무커버(710b') 및 'T'자형 프레임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단이 상기 완충부재(710b)의 상단에 밀착되며, 상단이 발판(300)의 하부안착지지부(310) 사이의 바닥면에 안착지지되는 발판지지프레임(72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완충부재(710b)는 지지돌기(210) 상, 하부 일정길이에 걸친 공간과 대응되는 내부가 빈 프레임 타입으로 제공되되, 지지돌기(210)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부분의 외면에는 주름이 형성되어 상, 하부가 주름관 타입으로 구비되는 케이스(711b) 및 상기 케이스(711b)의 내부공간에 충전되는 실리콘(712b)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구성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요부인 완충지지구조를 나타낸 요부 정면구성도이다.
도 5a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는 교각(B)에 고정설치되어, 교량의 유지, 관리 및 점검을 위한 것으로, 크게 분류하면 고정브래킷(100), 수평지지대(200), 발판(300), 핸드레일포스트(400), 핸드레일(500) 및 완충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브래킷(100)은 교각(B)의 측벽에 후면이 밀착되어 앵커볼트(A)를 통해 정착고정되는 정착고정판(110)과, 정착고정판(110)의 전면 중앙에 직교하여 후단이 연결되는 연결고정판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브래킷(100)은 교각(B)의 측벽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대(200)는 'ㄱ'자 형상의 한 쌍의 프레임이 대향되어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며, 한 쌍의 프레임 일단 사이에 상기 고정브래킷(100)의 연결고정판(120) 하단이 삽입 밀착되어 볼트와 너트로 연결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판(300)은 상기 수평지지대(200)의 상부에 상호 이웃하여 밀착되도록 하향 안착되며, 타공 판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포스트(400)는 상기 수평지지대(200)의 타단에 직교하여 하단이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되며, 상향 연장되어 일정간격을 가지고 레일설치공(410)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핸드레일(500)은 봉 타입으로 제공되어, 상기 핸드레일포스트(400)의 레일설치공(410)에 끼워져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완충지지수단은 상기 수평지지대(200)의 상부에 발판(300)의 안착시 발판(300)이 완충지지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200) 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에서, 특히 상기 발판(300)은 타공 판 구조로 제공되되, 중앙이 빈 장방형 타입으로 절곡되어 하부 중앙에 하부안착지지홈(320)이 상향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완충지지수단은 수평지지대(200)의 한 쌍의 마주하는 상하방향 중앙부분에 돌출된 지지돌기(210) 상에 안착되는 완충패킹(710)과, 'ㅗ'자형 프레임 형상으로 제공되되, 하단이 상기 완충패킹(710)의 상단에 밀착되는 베이스판재(721)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발판(300)의 하부안착지지홈(320)에 삽입밀착되는 밀착돌부(722)가 구비되는 발판지지프레임(72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완충패킹(710)은 발판(300)이 수평지지대(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상호 밀착되면서 안착될 때, 발판지지프레임(720)의 베이스판재(721) 하단 전체에 걸쳐 밀착되면서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베이스판재(721)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고무패킹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요부인 완충지지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이다.
도 8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수평지지대(200)와 발판(300)의 일부가 변경 적용되는 점과, 완충지지수단에 대하여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도 1 내지 4를 함께 참고하되,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에서의, 발판(300)은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단순한 평판형의 타공 판 구조로 제공된다.
그리고 수평지지대(200)는 폭 방향으로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길이 함몰되는 안착설치홈(220)이 형성되며, 이러한 안착설치홈(220)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경우, 완충지지수단은 크게 분류하면, 직교지지링크(750)와, 수평지지링크(760)로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직교지지링크(750)는 교각(B)의 둘레방향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마주하는 수평지지대(200) 상에 양단이 안착되되 수평지지대(200)와 직교하여 상향 볼록한 단위판재가 다수 개로 링크 연결되어 양단이 수평지지대(200)의 안착설치홈(220)에 안착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직교지지링크(750)는 다수의 단위판재(미부호)가 홈과 돌기 구조로 링크 연결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링크(760)는 수평지지대(20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어 'ㄱ'자 형상으로 한 쌍의 마주하는 프레임 사이에 하향 안내되면서 하단이 직교지지링크(750)의 상단에 안착고정되며, 상단부분이 발판(300)의 하면을 상향 볼록한 단위판재가 다수 개로 링크 연결되는 판형 링크 구조를 통해 탄성적으로 밀착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평지지링크(760)도 직교지지링크(75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단위판재(미부호)가 홈과 돌기 구조로 링크 연결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완충지지수단에서, 특히 상기 수평지지링크(760)는 직교지지링크(750)의 상단에 안착고정되되 끼움 지지가 되면서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평지지링크(760)는 단위부재의 중앙부분 하면에 직교지지링크(750)의 단위부재 두께와 대응되는 끼움안착홈(761)이 상향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완충지지수단에서, 특히 상기 수평지지링크(760)는 판형 탄성 구조를 통해 발판(300)의 완충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수평지지링크(760)는 단위부재의 양측에 상향 텐션 변형을 위한 산형 텐션변형홈(762)이 함몰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설치고정구조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도 9a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고정브래킷(100)의 정착고정판(110) 후면에 걸림지지돌기(111a)가 정착고정판(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도 1 내지 4를 함께 참고하되,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는 고정브래킷(100)의 정착고정판(110) 후면이 교각(B)의 측벽에 밀착되어 앵커볼트(A)로 정착고정되되, 정착고정판의 지지가 보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정착고정판(110)의 후면에는 상부로부터 하향 일정간격을 가지고 외향 돌출되되 하향 외측으로 경사진 직각삼각형 타입으로 돌출되어 걸림지지돌기(111a)가 정착고정판(110)과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와 같은 걸림지지돌기(111a)이 적용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에서의 고정브래킷(100)의 정착고정판(110)은 걸림지지돌기(111a) 단부가 교각(B)의 측벽에 밀착된 상태로 걸림지지돌기(111a)을 통해 지지상태가 보강되면서 교각(B) 측벽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앵커볼트(A)로 정착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걸림지지돌기(111a)이 적용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는 걸림지지돌기(111a)이 적용됨에 따라 걸림지지돌기(111a) 단부가 교각(B)의 측벽에 밀착된 상태로 걸림지지돌기(111a)을 통해 지지상태가 추가로 보강되면서 앵커볼트(A)로 고정브래킷(100)의 정착고정판(110)에 대한 정착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설치고정구조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도 9b의 실시예는 도 9a의 실시예와는 걸림지지돌기(111a)가 정착고정판(110)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걸림지지판(111) 상에 절곡을 통해 형성되어 걸림지지판(111)이 고정브래킷(100)의 정착고정판(110) 후면에 밀착 배치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이다.
도 9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는 고정브래킷(100)의 정착고정판(110) 후면이 교각(B)의 측벽에 밀착되어 앵커볼트(A)로 정착고정되되, 정착고정판의 지지가 보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정착고정판(110)의 후면에는 상부로부터 하향 일정간격을 가지고 외향 돌출되되 하향 외측으로 경사진 직각삼각형 타입으로 돌출되어 걸림지지돌기(111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지지돌기(111a)는 별도의 걸림지지판(111)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돌출되게 절곡을 통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걸림지지돌기(111a)가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돌출되게 절곡을 통해 형성되는 걸림지지판(111)은 걸림지지돌기(111a)가 돌출되는 측에 대한 반대 측이 고정브래킷(100)의 정착고정판(110) 후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설치고정구조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예는 도 1 내지 4a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고정브래킷의 길이가 상향 일정길이 더 길게 구비되며, 길게 연장된 연결고정판의 상단 부분에 연결공이 더 형성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므로, 이하 도 1 내지 4a를 함께 참고하기로 하며,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에서 고정브래킷(100)은 핸드레일포스트(400)의 길이보다 상향 일정길이 더 길게 구비되며, 상단부분의 연결고정판(120) 상에 연결공(120a)이 관통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이 적용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는 고정브래킷(100)에 대한 교각(B)에 앵커볼트(A)를 통해 정착고정시, 고정브래킷(100)의 상단부분이 교각(B)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길이 돌출되게 정착고정된 상태에서, 교각(B)의 상단에 장력이 조절되도록 설치되는 턴버클(T)과 와이어(W)를 통해 와이어(W) 단부가 고정브래킷(100)의 연결고정판(120) 상에 형성된 연결공(120a)에 연결고정되면서 앵커볼트(A)와 함께 와이어(W)를 통한 고정브래킷(100)의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정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고정브래킷, 수평지지대, 발판, 핸드레일포스트, 핸드레일 및 완충지지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발판과 수평지지대 사이에 완충지지수단이 적용됨에 따라 완충지지수단을 통해 발판에 대한 완충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의 내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고정브래킷, 수평지지대, 발판, 핸드레일포스트, 핸드레일 및 완충지지수단을 포함함에 따라 발판과 수평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지지수단을 통해 발판에 대한 완충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판에 대한 완충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점검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고정브래킷 110: 정착고정판
111: 걸림지지판 111a: 걸림지지돌기
120: 연결고정판 120a: 연결공
200: 수평지지대 210: 지지돌기
220: 안착설치홈 300: 발판
310: 하부안착지지부 320: 하부안착지지홈
400: 핸드레일포스트 410: 레일설치공
500: 핸드레일 710: 완충패킹
710a: 완충스프링 710b: 완충부재
711b: 케이스 712b: 실리콘
710b': 고무커버
720: 발판지지프레임 721: 베이스판재
722: 밀착돌부 750: 직교지지링크
760: 수평지지링크 761: 끼움안착홈
762: 텐션변형홈 A: 앵커볼트
B: 교각
T: 턴버클
W: 와이어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교각(B)에 고정설치되어, 교량의 유지, 관리 및 점검을 위한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에 있어서,
    교각(B)의 측벽에 후면이 밀착되어 앵커볼트(A)를 통해 정착고정되는 정착고정판(110)과, 정착고정판(110)의 전면 중앙에 직교하여 후단이 연결되는 연결고정판(120)으로 구성되는 고정브래킷(100);
    'ㄱ'자 형상의 한 쌍의 프레임이 대향되어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며, 한 쌍의 프레임 일단 사이에 상기 고정브래킷(100)의 연결고정판(120) 하단이 삽입 밀착되어 볼트와 너트로 연결고정되는 수평지지대(200);
    상기 수평지지대(200)의 상부에 상호 이웃하여 밀착되도록 하향 안착되며, 타공 판 구조로 제공되는 발판(300);
    상기 수평지지대(200)의 타단에 직교하여 하단이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되며, 상향 연장되어 일정간격을 가지고 레일설치공(410)이 형성되는 핸드레일포스트(400);
    봉 타입으로 제공되어, 상기 핸드레일포스트(400)의 레일설치공(410)에 끼워져 고정설치되는 핸드레일(500); 및
    상기 수평지지대(200)의 상부에 발판(300)의 안착시 발판(300)이 완충지지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200) 상에 설치되는 완충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300)은 타공 판 구조로 제공되되, 중앙이 빈 장방형 타입으로 절곡되어 하부 중앙에 하부안착지지홈(320)이 상향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완충지지수단은 수평지지대(200)의 한 쌍의 마주하는 상하방향 중앙부분에 돌출된 지지돌기(210) 상에 안착되는 완충패킹(710)과,
    'ㅗ'자형 프레임 형상으로 제공되되, 하단이 상기 완충패킹(710)의 상단에 밀착되는 베이스판재(721)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발판(300)의 하부안착지지홈(320)에 삽입밀착되는 밀착돌부(722)가 구비되는 발판지지프레임(7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4. 교각(B)에 고정설치되어, 교량의 유지, 관리 및 점검을 위한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에 있어서,
    교각(B)의 측벽에 후면이 밀착되어 앵커볼트(A)를 통해 정착고정되는 정착고정판(110)과, 정착고정판(110)의 전면 중앙에 직교하여 후단이 연결되는 연결고정판(120)으로 구성되는 고정브래킷(100);
    'ㄱ'자 형상의 한 쌍의 프레임이 대향되어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며, 한 쌍의 프레임 일단 사이에 상기 고정브래킷(100)의 연결고정판(120) 하단이 삽입 밀착되어 볼트와 너트로 연결고정되는 수평지지대(200);
    상기 수평지지대(200)의 상부에 상호 이웃하여 밀착되도록 하향 안착되며, 타공 판 구조로 제공되는 발판(300);
    상기 수평지지대(200)의 타단에 직교하여 하단이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되며, 상향 연장되어 일정간격을 가지고 레일설치공(410)이 형성되는 핸드레일포스트(400);
    봉 타입으로 제공되어, 상기 핸드레일포스트(400)의 레일설치공(410)에 끼워져 고정설치되는 핸드레일(500); 및
    상기 수평지지대(200)의 상부에 발판(300)의 안착시 발판(300)이 완충지지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200) 상에 설치되는 완충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300)은 평판형의 타공 판 구조로 제공되며,
    상기 수평지지대(200)는 폭 방향으로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길이 함몰되는 안착설치홈(22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완충지지수단은 교각(B)의 둘레방향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마주하는 수평지지대(200) 상에 양단이 안착되되 수평지지대(200)와 직교하여 상향 볼록한 단위판재가 다수 개로 링크 연결되어 양단이 수평지지대(200)의 안착설치홈(220)에 안착설치되는 직교지지링크(750)와,
    수평지지대(20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어 'ㄱ'자 형상으로 한 쌍의 마주하는 프레임 사이에 하향 안내되면서 하단이 직교지지링크(750)의 상단에 안착고정되며, 상단부분이 발판(300)의 하면을 상향 볼록한 단위판재가 다수 개로 링크 연결되는 판형 링크 구조를 통해 탄성적으로 밀착지지하는 수평지지링크(7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링크(760)는 직교지지링크(750)의 상단에 안착고정되되 끼움 지지가 되면서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단위부재의 중앙부분 하면에 직교지지링크(750)의 단위부재 두께와 대응되는 끼움안착홈(761)이 상향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링크(760)는 판형 탄성 구조를 통해 발판(300)의 완충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위부재의 양측에 상향 텐션 변형을 위한 산형 텐션변형홈(762)이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교각(B)에 고정설치되어, 교량의 유지, 관리 및 점검을 위한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에 있어서,
    교각(B)의 측벽에 후면이 밀착되어 앵커볼트(A)를 통해 정착고정되는 정착고정판(110)과, 정착고정판(110)의 전면 중앙에 직교하여 후단이 연결되는 연결고정판(120)으로 구성되는 고정브래킷(100);
    'ㄱ'자 형상의 한 쌍의 프레임이 대향되어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며, 한 쌍의 프레임 일단 사이에 상기 고정브래킷(100)의 연결고정판(120) 하단이 삽입 밀착되어 볼트와 너트로 연결고정되는 수평지지대(200);
    상기 수평지지대(200)의 상부에 상호 이웃하여 밀착되도록 하향 안착되며, 타공 판 구조로 제공되는 발판(300);
    상기 수평지지대(200)의 타단에 직교하여 하단이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되며, 상향 연장되어 일정간격을 가지고 레일설치공(410)이 형성되는 핸드레일포스트(400);
    봉 타입으로 제공되어, 상기 핸드레일포스트(400)의 레일설치공(410)에 끼워져 고정설치되는 핸드레일(500); 및
    상기 수평지지대(200)의 상부에 발판(300)의 안착시 발판(300)이 완충지지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수평지지대(200) 상에 설치되는 완충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300)은 타공 판 구조로 제공되되 양측에 하향 절곡된 하단에 수평으로 내향 절곡되면서 하부안착지지부(310)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완충지지수단은 수평지지대(200)의 한 쌍의 마주하는 상하방향 중앙부분에 일정길이 돌출된 지지돌기(210)에 대한 마주하는 단부 측 공간을 포함하는 지지돌기(210) 상, 하부 일정길이에 걸친 공간에 배치되는 완충부재(710b)와,
    수평지지대(200)의 한 쌍의 마주하는 하단 부분에 대한 완충부재(710b) 하측의 공간을 밀폐마감하는 고무커버(710b') 및
    'T'자형 프레임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단이 상기 완충부재(710b)의 상단에 밀착되며, 상단이 발판(300)의 하부안착지지부(310) 사이의 바닥면에 안착지지되는 발판지지프레임(7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710b)는 지지돌기(210) 상, 하부 일정길이에 걸친 공간과 대응되는 내부가 빈 프레임 타입으로 제공되되, 지지돌기(210)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부분의 외면에는 주름이 형성되어 상, 하부가 주름관 타입으로 구비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충전되는 실리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12. 삭제
KR1020200030798A 2020-03-12 2020-03-12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KR102153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798A KR102153853B1 (ko) 2020-03-12 2020-03-12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798A KR102153853B1 (ko) 2020-03-12 2020-03-12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853B1 true KR102153853B1 (ko) 2020-09-08

Family

ID=7245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798A KR102153853B1 (ko) 2020-03-12 2020-03-12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8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663B1 (ko) * 2021-08-10 2022-06-02 두한종합건설 주식회사 레일형 안전고리가 구비된 안전 점검시설 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605012B1 (ko) * 2023-06-22 2023-11-23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724B1 (ko) 2000-12-19 2003-05-01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각 점검대
KR200318395Y1 (ko) * 2003-03-21 2003-06-28 이근식 교각의 우각부를 이용한 구조물 설치용 클램프
KR100711976B1 (ko) * 2004-01-02 2007-05-02 (주)에스오씨건설엔지니어링 교량점검통로 및 설치방법
KR101168205B1 (ko) * 2011-11-14 2012-07-25 두한종합건설 주식회사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및 그 시공 방법
KR101264536B1 (ko) 2011-09-08 2013-05-14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유지점검용 안전점검대
KR20180003332A (ko)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 유지 점검 시설물
KR101922889B1 (ko) * 2018-05-11 2019-02-27 주식회사 제현산업 조립식 발판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KR102024209B1 (ko) * 2019-02-20 2019-09-23 동양기업(주) 교량 및 옹벽 확장 인도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724B1 (ko) 2000-12-19 2003-05-01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각 점검대
KR200318395Y1 (ko) * 2003-03-21 2003-06-28 이근식 교각의 우각부를 이용한 구조물 설치용 클램프
KR100711976B1 (ko) * 2004-01-02 2007-05-02 (주)에스오씨건설엔지니어링 교량점검통로 및 설치방법
KR101264536B1 (ko) 2011-09-08 2013-05-14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유지점검용 안전점검대
KR101168205B1 (ko) * 2011-11-14 2012-07-25 두한종합건설 주식회사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및 그 시공 방법
KR20180003332A (ko)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 유지 점검 시설물
KR101922889B1 (ko) * 2018-05-11 2019-02-27 주식회사 제현산업 조립식 발판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KR102024209B1 (ko) * 2019-02-20 2019-09-23 동양기업(주) 교량 및 옹벽 확장 인도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663B1 (ko) * 2021-08-10 2022-06-02 두한종합건설 주식회사 레일형 안전고리가 구비된 안전 점검시설 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605012B1 (ko) * 2023-06-22 2023-11-23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853B1 (ko)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KR100779059B1 (ko)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90169B1 (ko) 아치형 인도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80028216A (ko) 절곡빔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KR101437150B1 (ko) 교량 안전점검대
KR100547484B1 (ko) H빔을 다층으로 연결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교량거더와 낙교방지장치 및 다중 지점 지지장치로 이루어진 가설교량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168205B1 (ko)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및 그 시공 방법
KR100719956B1 (ko) 교량점검대 지지장치
KR20180003332A (ko) 교량 유지 점검 시설물
KR100909486B1 (ko) 조립식 교량점검대
KR101789124B1 (ko) 종방향 교량 점검대
KR200442923Y1 (ko) 케이블 받침대
KR101045828B1 (ko) 교량점검통로
KR100918828B1 (ko) 신축되는 교량용 가설인도
KR100526996B1 (ko) 강봉을 이용하여 조립한 조립식 교량 점검대 및 이를이용한 설치방법
KR20020049414A (ko) 교각 점검대
KR100706932B1 (ko) 매달기식 교량 점검대
KR200340325Y1 (ko) 교량점검대
KR200406524Y1 (ko) 가시설 시스템
KR200268225Y1 (ko) 교량 시설물 점검용 지지대
KR100693482B1 (ko) 조립식 교량점검대
KR100554474B1 (ko) 도로 비탈면 전면부 조립식 점검로 구조
KR102401684B1 (ko) 수직 및 수평으로 강도 보상이 발휘되는 교량 점검시설 설치용 복합 이종소재 난간지지장치
KR102316060B1 (ko) 교각에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구조를 갖는 교량점검대 및 그 시공방법
KR200313636Y1 (ko) 교량 하부 점검용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