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976B1 - 교량점검통로 및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점검통로 및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976B1
KR100711976B1 KR1020040014443A KR20040014443A KR100711976B1 KR 100711976 B1 KR100711976 B1 KR 100711976B1 KR 1020040014443 A KR1020040014443 A KR 1020040014443A KR 20040014443 A KR20040014443 A KR 20040014443A KR 100711976 B1 KR100711976 B1 KR 100711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horizontal
handrail
support
bridge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1311A (ko
Inventor
유정식
Original Assignee
(주)에스오씨건설엔지니어링
유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오씨건설엔지니어링, 유정식 filed Critical (주)에스오씨건설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050071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구조물의 정기점검 및 유지보수를 위한 교량점검통로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용 앵커볼트의 일부를 생략하여 설치하기 위하여 지지 후레임에 작용되는 수직분력에 대해서는 수평걸림턱이 담당하게 하여 이 부분에는 고정용 앵커볼트의 설치를 생략하고, 수평분력에 대해서는 수직부재에 앵커볼트를 고정한 수평 지지력에 의해서 담당되도록 설치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점검통로로서 구조물의 손상요인을 감소시켜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통로 바닥판에 대해서는 지지 후레임의 사용수량을 감소시켜 앵커볼트의 사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돌기형 타공 절곡판의 하면 요부 공간 내에 종방향 중공 받침대를 교량점검통로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복합재료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앵커볼트의 설치수량을 감소시켜 구조물의 손상요인을 감소시킴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성도 향상시키는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난간부재에 대해서는 난간부재의 종류별로 각각 하단부에 규격이 표준화된 난간받침을 두고, 이 난간받침 상에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간부재 선택의 호환성이 향상됨은 물론 시공성도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교량점검통로 및 설치방법{omitted}
도 1은 교량 구조물의 교각 측면 상에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 따른 교량점검통로가 설치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따른 교량점검통로용 후레임 중에서 수평걸림턱,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 부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따른 통로 바닥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따른 교량점검통로 중에서 난간부재 및 난간봉에 대한 제 1 실시예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따른 교량점검통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따른 교량점검통로 중에서 난간부재 및 난간봉에 대한 제 2 실시예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따른 교량점검통로 중에서 난간부재 및 난간봉에 대한 제 3 실시예의 개념도.
도 8은 도 2 및 도 11의 A-A 단면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2 및 도 11의 B-B 단면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C-C 단면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점검통로용 후레임 중에서 수평걸림턱, 수직부재 부분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점검통로용 후레임중에서 수평부재, 난간부재 부분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로 바닥판 중에서 타공판에 대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점검통로의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D에 대한 확대도.
도 16은 도 14의 E에 대한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량점검통로 3 : 수직부재
5 : 수평부재 6 : 수평걸림턱
7, 7', 7" : 난간부재 8 : 난간봉
9 : 구조물 10 : 구조물 측면부
11 : 구조물 상단부 13 : 통로 바닥판
15 : 종방향 중공 받침대 17 : 돌기형 타공 절곡판
19, 19' : 좌대부 21, 21', 21" : 보강부
23 : 받침부 25 : 난간받침
29, 29', 29" : 앵커볼트 고정홀 30 : 앵커볼트 지지홀
31, 31' , 31" : 앵커볼트 35 : 마찰증대용 요철부
37, 37' : 케미칼 본드 39 : 미천공 결합판
41 : 천공 결합판 43 : 지지판
45 : 공간부 47, 47' : 엘(L)형 앵글
49 : 티(T)형 봉 52 : 앵커볼트 결합홀
54, 54' : 결합용 앵커볼트 56, 56', 56" : 고정홈
58 : 타공판
본 발명은 교량의 안전점검 및 유지보수를 위하여 설치되는 교량점검통로를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품질 및 시공성을 향상시킨 교량점검통로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점검통로는 교각이나 교대 등 구조물의 상단 측면부에 설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교량점검통로를 고정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구조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사항으로는 고정용 앵커볼트를 사용하는 방법과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크게 대별할 수 있고, 이 두가지 방법별로는 각각 장단점이 있는 실정이나 본 발명이 속하는 고정용 앵커볼트를 사용하는 방법에 속하는 종래의 교량점검통로에 관한 문제점을 세분하여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교량점검통로는 교각이나 교대 등의 구조물 상단 측면부에 고정되어 설치되어야 하는 실정이므로 구조물 측면상의 소정의 작용점에 대하여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이 복합적으로 작용되어 휨모멘트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대응하기 위하 여 안전율을 감안한 충분한 소요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구조물의 측면부만을 대상으로 다수의 고정용 앵커를 설치하여 교량점검통로를 고정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의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고정용 앵커볼트를 설치하게 되고, 이 고정용 앵커볼트를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하여 천공하는 과정에서 구조물을 크게 손상시킬 수 있어 품질저하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우천시에는 강우의 유입에 의해서 매입된 철근이 녹슬게 되거나, 유입된 강우의 동결융해에 의해서 천공부 주변의 콘크리트에 균열을 발생시켜 품질을 저하시킴은 물론 시공성 측면에서도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둘째로, 또 다른 한가지 방법으로는 구조물의 측면부와 상단부를 대상으로 다수의 고정용 앵커볼트를 설치하여 교량점검통로를 고정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의 경우에도 필요 이상의 고정용 앵커볼트를 설치하게 됨은 물론 미끄럼 방지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실정이고, 이 고정용 앵커볼트를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하여 천공하는 과정에서 구조물을 크게 손상시킬 수 있어 품질저하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우천시에는 강우의 유입에 의해서 매입된 철근이 녹슬게 되거나, 유입된 강우의 동결융해에 의해서 천공부 주변의 콘크리트에 균열을 발생시켜 품질을 저하시킴은 물론 시공성 측면에서도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고, 특히 구조물의 상단부를 천공할 경우에는 교량의 상부하중을 지지하는 교각이나 교대 등에 직접적인 단면손실이 발생되어 구조적으로 안전성을 감소시키게 됨은 물론 우천시 강우의 침입이 구조물의 측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하여 매입된 철근이 녹슬게 되거나, 유입된 강우의 동결융해에 의해서 천공부 주변의 콘크리트에 균열을 발생시키기도 하여 구조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품질저하 요인이 될 수 있음은 물론 시공성 측면에서도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교량점검통로를 소정의 간격으로 지지하기 위한 종래의 후레임으로는 에이치(H)형 부재나 티(T)형 부재 또는 각형 부재가 사용되고 있는데, 에이치(H)형 부재의 경우에는 부재의 중립축을 기준으로 인장측과 압축측이 평형을 이루어 단면력이 증대되어 구조적으로는 유리한 반면 앵커볼트 설치작업시에는 작업공간 상의 제약을 받아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티(T)형 부재의 경우에는 앵커볼트 설치작업시에는 작업공간 상의 제약을 받지 않아 시공성은 향상되는 반면 부재의 중립축을 기준으로 인장측과 압축측이 평형을 이루지 못하여 단면력이 감소되어 구조적으로는 불리한 문제점이 있으며, 각형 부재는 강재나 플라스틱 재질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이 제한적인 실정이다.
한편, 교량점검통로의 일부로서 지지 후레임의 끝단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사용되는 난간부재는 교량점검통로의 안전을 포함한 구조적인 측면에서나 미관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경제성을 유지하는 선에서 가급적 호환성이 양호한 것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나 종래의 난간부재는 한가지에 한정되어 사용될 수 있는 구조이어서 호환성이 전혀 감안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두가지 이상의 난간부재를 사용하여 호환성을 양호하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지지 후레임을 한가지 형태로만 제작하면 두가지 이상의 난간부재를 수용할 수 없어 각각의 지지 후레임을 구비해야만 되는 실정이며, 알루미늄을 포함한 주물 형태로 제조할 경우에는 수평부재 상에 난간부재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돌출 고정부를 두는 경우에는 돌출 고정부의 형 태가 난간부재의 형태 예를 들면, 원형, 사각형 등의 여러 가지 형태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수평부재를 포함한 지지 후레임의 주물용 금형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제조비용의 상승 및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착상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교량점검통로를 지지하는 지지 후레임과, 지지 후레임의 내부 바닥 상부에 설치되는 통로 바닥판과, 지지 후레임의 일부 부재로서 지지 후레임의 외측 끝단부에 설치되는 난간부재별로 각각 분류하여 상호간의 결합관계에 따른 교량점검통로의 설치 방법과 이에 따른 구조 형태를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로,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설치 방법을 개선하였다.
고정용 앵커볼트를 사용하는 방법에 속하는 교량점검통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량점검통로는 구조물 측면상의 소정의 작용점에 대하여 수직력과 수평력이 복합적으로 합성되어 작용되는 점을 구조적으로 분류하여 교량점검통로에 작용되는 수직분력에 대해서는 미끄럼 방지 및 부착 수단이 구비된 수평걸림턱이 전적으로 구조물의 상단부에 걸려 있는 상태의 수직 지지력(V)에 의해서만 담당되도록 함으로써 수평걸림턱의 부분에는 고정용 앵커볼트의 설치를 생략하도록 구성하고, 교량점검통로의 수평분력에 대해서는 수직부재 상의 좌대부에 소정 수량의 앵커볼트 고정에 의한 수평 지지력(H)에 의해서 담당되도록 분담시켜 교량점검통로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수직 지지력을 담당하는 부분의 앵커볼트 설치를 생략하여 이 수직 지지력 부분에 대한 구조물 손상요인을 제거함으로써 구조물 전체적으로는 구조물 손상요인을 감소시켜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을 대상으로 한 구조 형태를 다음과 같이 개선하였다.
지지 후레임은 수평걸림턱, 수직부재, 수평부재, 난간부재로 구성되어 부재간에는 일체화되거나 볼트로 고정하게 되고, 상기 지지 후레임과는 별도로 지지 후레임의 내부 바닥 상부에 통로 바닥판이 설치되는데, 구조물 상단부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수평걸림턱의 하부에 마찰증대용 요철부를 설치하고 이 부분에는 고정용 앵커볼트의 설치를 생략하도록 하며, 상기 수평걸림턱의 한쪽 끝단부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수직부재 상의 좌대부에만 소정의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측면부에 고정하되, 수직부재의 길이를 동일하게 일률적으로 구성하는 경우의 한가지 실시예와 현장여건에 따라 수직부재를 소정의 길이만큼 달리 조정하여 현장에서 고정할 수 있는 경우의 또 다른 실시예로 구분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물 손상요인을 감소시켜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하였으며,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 한쪽 끝단부로부터 수평적으로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수평부재는 통로 바닥판을 지지하는 받침부가 보강부와 일체적인 구조이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수평부재 받침부의 한쪽 끝단부로부터 직각방향인 수직 상향으로 설치되는 난간부재는 수평부재 상에 분리된 상태로 앵커볼트로 고정되거나 일체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직 지지력 부분에 대한 앵커볼트의 설치를 생략하여 구조물 손상요인을 제거함으로써 구조물 전체적으로는 구조물 손상요인을 감소시켜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둘째로, 통로 바닥판을 대상으로 설치방법을 다음과 같이 개선하였다.
교량점검통로를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의 사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또 다른 한가지 개선방법으로는 후레임 자체의 설치방법 외에 수평걸림턱, 수직부재, 수평부재 및 난간부재로 구성되는 지지 후레임의 사용수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며, 이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 후레임의 내부 수평부재 상부에 설치되는 통로 바닥판을 동일한 조건의 하중상태 하에서 구조적으로 유리하도록 사용재료의 중량을 최소화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면서도 단면계수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표면상에 돌기가 형성된 타공판을 사각형의 지그재그형 요철 형태로 접은 돌기형 타공 절곡판의 홈 내측에 속이 빈 종방향 중공 받침대를 지지 후레임의 수평부재 상부에 교량점검통로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복합재료를 구성하여 앵커볼트로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지지 단면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지지 후레임 간의 간격을 증가시켜 고정시키도록 하여 교량점검통로의 설치구간에 필요한 지지 후레임의 수량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는 앵커볼트의 설치수량을 감소시키게 되어 구조물의 손상요인을 감소시켜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성도 향상시키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지지 후레임의 내부 수평부재 상부에 설치되는 통로 바닥판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구조 형태를 개선하였다.
한가지 실시예로서 표면상에 돌기가 형성된 타공판을 각형의 요철 형태로 접은 돌기형 타공 절곡판의 홈 내측에 속이 빈 종방향 중공 받침대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복합재료를 구성한 후 지지 후레임의 내부 수평부재 상부에 앵커볼트로 고정시킴으로써 지지 후레임 간의 간격을 증가시켜 고정시키도록 하여 교량점검통로의 설치구간에 필요한 지지 후레임의 설치수량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는 앵커볼트 설치수량을 감소시키게 되어 구조물의 손상요인을 감소시켜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성도 향상시키도록 개선하였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엘(L)형 앵글, 티(T)형 봉 및 타공판을 지지 후레임의 내부 수평부재 상부에 앵커볼트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통로 바닥판도 병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로 바닥판의 두께를 감소시켜 점검통로의 통행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로, 난간부재를 대상으로 설치 방법을 다음과 같이 개선하였다.
상기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의 또 다른 일부로서 지지 후레임을 구성하고 있는 수평부재 상의 받침부 외측면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수직 상향으로 설치되는 난간부재가 주물형, 원형, 각형 등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수평부재의 한쪽 끝단부와 직각방향으로 난간부재 하단부의 고정방법을 표준화하고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난간부재 선택의 호환성이 향상됨은 물론 비용이 절감되고 시공성도 향상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난간부재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구조 형태를 개선하였다.
한가지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 후레임의 수평부재 한쪽 끝단부에 수직 상향으로 설치되는 주물형 난간부재, 원형 난간부재, 각형 난간부재를 포함한 난간부재는 각각 하단부에 규격이 표준화된 난간받침을 두고, 이 난간받침 상에 설치된 앵커볼트 고정홀과 수평부재 상의 앵커볼트 지지홀을 관통하여 앵커볼트로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난간부재 선택의 호환성이 향상됨은 물론 비용이 질감되고 시공성도 향상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 후레임의 수평부재 한쪽 끝단부에서 수직 상향으로 난간부재를 일체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난간부재를 설치하는 공정이 생략되어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교량점검통로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평걸림턱, 수직부재, 수평부재, 난간부재로 구성되어 부재간에는 일체화되거나 볼트로 고정되는 지지 후레임과, 지지 후레임의 내부 바닥 상부에 설치되는 통로 바닥판과, 상기 지지 후레임의 일부 부재로서 지지 후레임의 외측 끝단부에 설치되는 난간부재별로 각각 분류하여 상호간의 결합관계에 따른 교량점검통로의 설치 방법과 이에 따른 구조 형태를 대상으로 한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세부 내용별로 첨부된 예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을 대상으로 설치 방법을 개선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상기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을 대상으로 설치 방법의 한가지 실시예로서, 교량점검통로(1)는 교량 구조물(9)의 교각이나 교대 등 구조물 측면부(10)에 매달린 상태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구조물이므로 교량점검통로(1)를 지지하게 되는 구조물의 측면부(10)를 기준으로 하면 수직력과 수평력이 복합적으로 합성되어 작용하는 점을 구조적으로 분류하여 수직분력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구조물의 상단부(11)에 마찰력이 작용되도록 미끄럼 방지 및 부착 수단을 구비한 채 걸려 있는 상태의 수직 지지력(V)에 의해서만 분담되도록 함으로써 수평걸림턱(6)의 부분에는 고정용 앵커볼트(31)의 설치를 생략하도록 구성하고, 교량점검통로(1)의 수평분력에 대해서는 수직부재(3) 상의 좌대부(19)에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앵커볼트(31) 고정에 의한 수평 지지력(H)에 의해서 분담되도록 함으로써 수직 지지력을 담당하는 부분에는 앵커볼트(31)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점검통로의 설치방법으로서,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의 일부로서 수평걸림턱(6), 수직부재(3) 및 수평부재(5)로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부재를 구조물의 상단부(11) 및 측면부(10)에 소정의 간격으로 접촉시켜 거치시키는 공정과, 구조물 상단부(11)와 상기 수평걸림턱(6)의 마찰증대용 요철부(35) 사이의 측면 공극 사이로 케미칼 본드(37)를 충진시키는 공정과, 상기 수평걸림턱(6)의 한쪽 끝단부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부재(3)의 양쪽 좌대부(19) 상의 구조물 측면부(10)에 통상적인 천공기를 사용하여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천공면 내에 케미칼 본드(37')를 충진한 후 이 케미칼 본드(37') 속에 상기 좌대부를 관통하여 앵커볼트(31)가 매입되는 상태로 고정시키는 공정과, 지지 후레임의 또 다른 일부로서 하단부에 규격이 표준화된 난간받침(25)을 구비한 난간부재(7, 7', 7")의 난간받침(25) 상의 앵커볼트 고정홀(29')과 상기 수평부재(5)의 한쪽 끝단부인 받침부(23)의 한쪽 끝단부에 설치된 앵커볼트 지지홀(30)을 관통하여 앵커볼트(31')를 사용하여 분리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공정과, 상기 난간부재(7, 7', 7") 상의 수 개소에 선형의 난간봉(8)을 난간부재(7, 7', 7")와 직각방향인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하는 공정과, 돌기형 타공 절곡판(17)의 하부 홈 내측에 종방향 중공 받침대(15)를 교량점검통로(1)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복합재료를 구성한 후 상기 지지 후레임의 내면 수평부재(5) 상부에 깔고, 종방향 중공 받침대(15)와 수평부재(5) 상의 받침부(23)가 교차되는 부분의 돌기형 타공 절곡판(17)과 종방향 중공 받침대(15)에 설치된 앵커볼트 고정홀(29")을 관통하여 받침부(23) 상에 소정의 깊이까지 앵커볼트(31")를 고정시키는 공정의 순으로 교량점검통로의 설치방법을 구성하여 앵커볼트(31)의 사용을 감소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물 손상요인을 감소시켜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상기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을 대상으로 설치 방법의 또 다른 한가지 실시예로서, 상기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의 일부로서 수평걸림턱(6), 수직부재(3) 및 수평부재(5)로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부재를 구조물의 상단부(11) 및 측면부(10)에 소정의 간격으로 접촉시켜 거치시키는 공정은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의 일부로서 수평걸림턱(6), 수직부재(3)로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부재를 구조물의 상단부(11) 및 측면부(10)에 소정의 간격으로 접촉시켜 거치시키는 공정과, 상기 지지 후레임의 또 다른 일부로서 하단부에 규격이 표준화된 난간받침(25)을 구비한 난간부재(7, 7', 7")의 난간받침(25) 상의 앵커볼트 고정홀(29')과 상기 수평부재(5)의 한쪽 끝단부인 받침부(23)의 한쪽 끝단부에 설치된 앵커볼트 지지홀(30)을 관통하여 앵커볼트(31')를 사용하여 분리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공정은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의 일부로서 수평걸림턱(6), 수직부재(3)로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부재중에서 수직부재(3)의 하단 외측면에 설치되는 미천공 결합판(39) 상에 현장여건에 맞게 통로 바닥판(13)의 높이를 측정하여 통상적인 드릴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미천공 결합판(39) 상에 앵커볼트 결합홀(52)을 천공한 후 이 미천공 결합판(39) 상에 천공된 앵커볼트 결합홀(52)과 상기 지지 후레임의 또 다른 일부로서 수평부재(5)와 난간부재(7, 7', 7")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부재중에서 수평부재(5)의 구조물측 한쪽 끝단부에 설치된 천공 결합판(41)상의 앵커볼트 결합홀(52)을 앵커볼트 결합홀(52)끼리 각각 맞댄 상태에서 결합용 앵커볼트(54)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공정과, 돌기형 타곡 절곡판(17)의 하부 홈 내측에 종방향 중공 받침대(15)를 교량점검통로(1)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복합재료를 구성한 후 지지 후레임의 수평부재(5) 상에 깔고, 종방향 중공 받침대(15)와 수평부재(5) 상의 받침부(23)가 교차되는 부분의 돌기형 타공 절곡판(17)과 종방향 중공 받침대(15)에 설치된 앵커볼트 고정홀(29")을 관통하여 받침부(23) 상에 소정의 깊이까지 앵커볼트(31")를 고정시키는 공정은 수평부재(5)의 받침부(23) 양쪽 가장자리 부분과 중앙 부분에 각각 내설된 고정홈(56, 56', 56") 내에 엘(L)형 앵글(47, 47')과 티(T)형 봉(49)을 설치한 후 수평부재(5)의 받침부(23)를 포함한 엘(L)형 앵글(47. 47')과 티(T)형 봉(49)의 상부에 타공판(58)을 깐 다음 수평부재(5) 상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내설된 고정홈(56, 56") 상에 결합용 앵커볼트(54')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공정으로 구성하여 앵커볼트(31)의 사용을 감소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물 손상요인을 감소시켜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한편,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을 대상으로 한 구조 형태를 두가지 실시예로 구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두가지 실시예의 공통사항으로서 교량점검통로(1)를 지지하는 후레임은 수평걸림턱(6), 수직부재(3), 수평부재(5) 및 난간부재(7, 7', 7")의 주요 부재 중에서 하기 두가지의 경우로 분류된 부재의 종류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걸림턱(6), 수직부재(3)를 구성하는 후레임은 단면력이 증대되면서도 앵커볼트(31)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구조물의 측면부(10)에 직접 접촉되어 고정되는 좌대부(19)와 이 좌대부(19)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부(21)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레일형 부재로 구성하였다.
삭제
상기 한가지 실시예의 경우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의 일부로서 수평걸림턱,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로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부재는 수평걸림턱(6)이 구조물의 상단부(11)에 걸리는 구조로 도면에 표기된 바와 같이 일체화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수평걸림턱(6)은 구조물의 상단부(11)에 걸리는 구조로 직접 접촉되어 고정되는 좌대부(19')와 이 좌대부(19')의 하단부에 요철부를 형성하도록 설치된 마찰증대용 요철부(35) 및 좌대부(19')의 중앙 상단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보강부(21")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레일형 부재로 구성되어 구조물 상단부(11)와 마찰증대용 요철부(35) 사이에 소정량의 케미칼 본드(37)를 마찰증대용 요철부(35) 사이의 측면 공극 사이로 충진시켜 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수평걸림턱(6)의 한쪽 끝단부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구조물 측면부(10)에 직접 접촉되어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수직부재(3)는 구조물 측면부(10) 상에 좌대부(19)가 직접 접촉되어 있으며, 이 좌대부(19)의 길이방향으로 중앙 상단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보강부(21)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레일형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보강부(21)의 양쪽 좌대부(19) 상에는 구조물 측면부(10)에 통상적인 천공기를 사용하여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천공면 내에 케미칼 본드(37')를 충진한 후 이 케미칼 본드(37') 속에 앵커볼트(31)가 매입되는 상태로 좌대부(19)를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재(3)의 한쪽 끝단부인 하단부로부터 구조물 측면부(10)의 외측 수직방향인 직각방향으로 수평부재(5)가 수평적으로 일체화된 상태로 연결되는데, 이 수평부재(5)의 구조는 통로 바닥판(13)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23)가 수평방향으로 평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받침부(23)의 중앙 하부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받침부(23)를 지지하는 상태로 보강부(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평부재(5)의 한쪽 끝단부인 받침부(23)의 한쪽 끝단부에는 수직 상향으로 설치되는 난간부재(7, 7', 7")가 앵커볼트(31')를 사용하여 분리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앵커볼트 지지홀(30)이 내설되어 있으며, 받침부(23)의 하단부에는 받침부(23)에 직각방향으로 보강부(21')가 일체화되거나 별도로 분리된 상태로 설치된 레일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앵커볼트 지지홀(30) 상에는 상기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의 또 다른 일부로서 주물형 난간부재(7), 원형 난간부재(7'), 각형 난간부재(7")를 포함한 난간부재(7, 7', 7")가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앵커볼트(31')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난간부재(7, 7', 7")별로 하단부에 각각 난간부재(7, 7', 7")에 직각방향으로 규격이 표준화된 난간받침(25)을 두고, 이 난간받침(25) 상에는 앵커볼트 고정홀(29')을 설치하여 앵커볼트(31')를 사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직 지지력을 담당하는 부분의 앵커볼트 설치를 생략하여 이 수직 지지력 부분에 대한 구조물 손상요인을 제거함으로써 구조물 전체적으로는 구조물 손상요인을 감소시켜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성도 항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상기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을 대상으로 한 구조 형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의 일부로서 수평걸림턱, 수직부재로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부재는 수평걸림턱(6)이 구조물의 상단부(11)에 걸리는 구조로 도면에 표기된 바와 같이 일체화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수평걸림턱(6)은 구조물의 상단부(11)에 걸리는 구조로 직접 접촉되어 고정되는 좌대부(19')와 이 좌대부(19')의 하단부에 설치된 마찰증대용 요철부(35) 및 좌대부(19')의 길이방향으로 중앙 상단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보강부(21")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레일형 부재로 구성되어 구조물 상단부(11)와 마찰증대용 요철부(35) 사이에 소정량의 케미칼 본드(37)를 마찰증대용 요철부(35)의 측면 공극 사이로 충진시켜 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였고, 상기 수평걸림턱(6)의 한쪽 끝단부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구조물 측면부(10)에 직접 접촉되어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수직부재(3)는 구조물 측면부(10) 상에 좌대부(19)가 직접 접촉되어 있으며, 이 좌대부(19)의 길이방향으로 중앙 상단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보강부(21)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레일형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보강부(21)의 양쪽 좌대부(19) 상에는 구조물 측면부(10)에 통상적인 천공기를 사용하여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천공면 내에 케미칼 본드(37')를 충진한 후 이 케미칼 본드(37') 속에 앵커볼트(31)가 매입된 상태로 좌대부(19)를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앵커볼트 고정홀(29)의 주변을 제외한 보강부(21)의 양쪽 좌대부(19)에는 소정의 면적만큼 단면이 빈 공간부(45)를 내설하여 후레임의 자중을 감소시킴은 물론 재료도 절약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3)의 한쪽 끝단부인 하단부에는 수평부재(5)의 구조물 측면부(10) 방향의 끝단부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직접 수평부재(5) 상에 설치되는 통로 바닥판(13) 높이를 조정하여 통상적인 볼트 체결 방식으로 분리된 상태로 수평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기 위하여 수직부재(3)의 하단 외측면에 해당되는 레일형 부재의 외측면 위치에 수직부재(3)와 평행하게 소정의 두께와 단면적을 갖는 미천공 결합판(39)을 설치하되 앵커볼트 결합홀(52)이 없는 상태로 설치되며, 해당 현장여건에 맞게 통로 바닥판(13)의 높이를 측정하여 도면에서 별도로 표기하지 않은 통상적인 드릴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미천공 결합판(39) 상에 앵커볼트 결합홀(52)을 천공한 후 이 미천공 결합판(39) 상에 천공된 앵커볼트 결합홀(52)과 수평부재(5)의 한쪽 끝단부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천공 결합판(41)상의 앵커볼트 결합홀(52)을 앵커볼트 결합홀(52)끼리 각각 맞댄 상태에서 결합용 앵커볼트(54)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이 미천공 결합판(39)의 배면과 수직부재(3)의 좌대부(19) 사이의 공간부에는 미천공 결합판(39)을 지지하고 보강할 수 있도록 미천공 결합판(39)과 좌대부(19)에 각각 직각방향으로 소정 수량의 지지판(43)을 설치하였다.
한편, 상기 지지 후레임의 또 다른 일부로서 수평부재와 난간부재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부재중에서 수평부재(5)는 통로 바닥판(13)을 지지하는 판상의 받침부(23)가 길이방향으로 수평적으로 설치되며 이 받침부(23)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직각으로 보강부(21')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받침부(23)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과 중앙 부분에는 고정홈(56, 56', 56")이 내설되어 있으며, 수평부재(5)의 구조물 측면부(10) 방향 한쪽 끝단부에는 소정 수량의 앵커볼트 결합홀(52)이 내설된 사각형 형태의 천공 결합판(41)이 수평부재(5)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 수직부재(3)의 하단부에 수직부재(3)와 평행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미천공 결합판(39) 상에 천공되는 앵커볼트 결합홀(52)과 각각 맞댄 상태에서 결합용 앵커볼트(54)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수평부재(5)의 다른 한쪽 끝단부에는 소정 수량의 난간봉(8)이 관통되어 끼워져서 수평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난간부재(7)가 일체적으로 수직 상향으로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직 지지력을 담당하는 부분의 앵커볼트 설치를 생략하여 이 수직 지지력 부분에 대한 구조물 손상요인을 제거함으로써 구조물 전체적으로는 구조물 손상요인을 감소시켜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둘째로, 통로 바닥판을 대상으로 설치방법을 개선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교량점검통로(1)를 구조물(9)에 고정하는 앵커볼트(31")의 사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또 다른 한가지 방법으로는 수평걸림턱(6), 수직부재(3), 수평부재(5) 및 난간부재(7, 7', 7")로 구성되는 지지 후레임의 사용수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서 상기 지지 후레임의 내면 수평부재(5)의 상부에 설치되는 통로 바닥판(13)을 동일한 조건의 하중상태 하에서 구조적으로 유리하도록 사용재료의 중량을 최소화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면서도 단면계수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돌기형 타공 절곡판(17)의 하부 홈 내측에 속이 빈 종방향 중공 받침대(15)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복합재료를 구성한 후 지지 후레임의 내면 수평부재(5) 상부에 깔고, 종방향 중공 받침대(15)와 수평부재(5) 상의 받침부(23)가 교차되는 부분의 돌기형 타공 절곡판(17)과 종방향 중공 받침대(15)에 설치된 앵커볼트 고정홀(29")을 관통하여 받침부(23) 상에 소정의 깊이까지 앵커볼트(31")가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방법으로 단면내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지지 후레임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켜 고정하도록 하여 교량점검통로(1)의 설치구간에 필요한 지지 후레임의 설치 수량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는 앵커볼트(31) 설치 수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구조물 손상요인을 감소시켜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성도 향상시키도록 개선하였다.
한편, 통로 바닥판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구조 형태를 개선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가지 실시예로서 지지 후레임의 내면 수평부재(5)의 상부에 설치되는 통로 바닥판(13)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표면상에 돌기가 형성된 타공판을 각형의 요철 형태로 접어 돌기형 타공 절곡판(17)을 제작한 다음 돌기형 타공 절곡판(17)의 하부 홈 내측에 속이 빈 종방향 중공 받침대(15)를 소정의 간격으로 교량점검통로(1)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복합재료를 구성한 후 지지 후레임의 수평부재(5) 상에 깔고, 종방향 중공 받침대(15)와 수평부재(5) 상의 받침부(23)가 교차되는 부분의 돌기형 타공 절곡판(17)과 종방향 중공 받침대(15)에 설치된 앵커볼트 고정홀(29")을 관통하여 받침부(23) 상에 소정의 깊이까지 앵커볼트(31")가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 후레임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켜 고정하도록 하여 교량점검통로(1)의 설치구간에 필요한 지지 후레임의 설치 수량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는 앵커볼트(31) 설치 수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구조물의 손상요인을 감소시켜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성도 향상시키도록 개선하였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 후레임의 내면 수평부재(5)의 상부에 설치되는 통로 바닥판(13)은 수평부재(5)의 받침부(23) 양쪽 가장자리 부분과 중앙 부분에 각각 내설된 고정홈(56, 56', 56") 내에 엘(L)형 앵글(47, 47')과 티(T)형 봉(49)을 설치한 후 수평부재(5)의 받침부(23)를 포함한 엘(L)형 앵글(47, 47')과 티(T)형 봉(49)의 상부에 타공판(58)을 깐 다음 수평부재(5) 상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내설된 고정홈(56, 56") 상에 결합용 앵커볼트(54')를 사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통로 바닥판(13)의 두께를 감소시켜 점검용 통행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로, 난간부재를 대상으로 구조 형태를 개선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가지 실시예에서는 지지 후레임을 구성하고 있는 수평부재(5) 상의 받침부(23) 외측면 가장자리에 수직 상향으로 주물형 난간부재(7), 원형 난간부재(7'), 각형 난간부재(7")를 포함한 난간부재(7, 7', 7")가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난간부재(7, 7', 7")별로 각각 하단부에 규격이 표준화된 난간받침(25)을 두고, 이 난간받침(25) 상에는 앵커볼트 고정홀(29')을 설치하여 난간받침(25) 상의 앵커볼트 고정홀(29')을 통해 난간부재(7, 7', 7")를 앵커볼트(31')를 사용하여 분리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난간부재(7, 7', 7") 상의 수 개소에 통상적인 난간봉(8)이 난간부재(7, 7', 7")와 직각방향인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난간부재(7, 7', 7") 선택의 호환성이 향상됨은 물론 수평부재(5)를 포함한 지지 후레임을 한가지만 구비하거나, 알루미늄을 포함한 주물용 금형을 한가지만 구비해도 되는 점을 통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시공성도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평부재(5)의 한쪽 끝단부에 수직 상향으로 난간부재(7)가 일체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평부재(5)와 분리 구성된 난간부재(7)에 비해 난간부재(7)를 설치하는 공정이 생략되어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교량점검통로에 대하여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로, 후레임에 대해서는 수직분력의 경우 미끄럼 방지 및 부착 수단이 구비된 수평걸림턱이 담당하도록 하여 이 부분에는 고정용 앵커볼트의 설치를 생략하도록 구성하고, 수평분력의 경우 수직부재에 소정 수량의 앵커볼트를 고정한 수평 지지력에 의해서 담당되도록 설치방법을 개선하며, 수평걸림턱의 하부에 마찰증대용 요철부를 설치하고, 수직부재에만 소정의 앵커볼트를 고정하도록 함과 동시에 수직부재의 길이는 일률적으로 하거나 이와는 달리 현장에서 현장 여건에 맞게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개선함으로써 구조물 손상요인을 감소시켜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둘째로, 통로 바닥판에 대해서는 지지 후레임의 사용수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돌기형 타공 절곡판의 하부 홈 내측에 속이 빈 종방향 중공 받침대를 교량점검통로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복합재료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후레임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킴으로써 후레임 고정용 앵커볼트의 설치수량을 감소시켜 구조물의 손상요인을 감소시키도록 하여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성도 향상시키거나 이와는 달리 엘(L)형 앵글, 티(T)형 봉 및 타공판으로 구성된 종래의 통로 바닥판을 사용하여 통로 바닥판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점검용 통행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셋째로, 난간부재에 대해서는 난간부재의 종류별로 각각 하단부에 규격이 표준화된 난간받침을 두고, 이 난간받침 상에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간부재 선택의 호환성이 향상됨은 물론 시공성도 향상시키거나 이와는 달리 수평부재와 난간부재를 일체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난간부재를 설치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4)

  1. 교량 구조물의 안전점검이나 유지보수시 사용되는 교량점검통로에 있어서,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의 일부로서 수평걸림턱,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로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부재를 구조물의 상단부 및 측면부에 접촉시켜 거치시키는 공정과,
    상기 구조물 상단부와 수평걸림턱의 마찰증대용 요철부 사이의 측면 공극 사이로 케미칼 본드를 충진시키는 공정과,
    상기 수평걸림턱의 한쪽 끝단부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부재의 양쪽 좌대부 상의 구조물 측면부에 설치되는 천공면 내에 케미칼 본드를 충진한 후 이 케미칼 본드 속에 상기 좌대부를 관통하여 앵커볼트가 매입되는 상태로 고정시키는 공정과,
    상기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의 또 다른 일부로서 하단부에 규격이 표준화된 수평상태의 난간받침을 구비한 난간부재의 난간받침 상의 앵커볼트 고정홀과 상기 수평부재의 한쪽 끝단부인 받침부의 한쪽 끝단부의 상부에 수평적으로 설치된 앵커볼트 지지홀을 각각 관통하여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수평부재의 한쪽 끝단부에 직각방향으로 난간부재를 수직 상향으로 분리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공정과,
    상기 난간부재 상에 난간부재와 직각방향인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난간봉을 설치하는 공정과,
    돌기형 타곡 절곡판의 하부 홈 내측에 종방향 중공 받침대를 교량점검통로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복합재료를 구성한 후 상기 지지 후레임의 내면 수평부재의 상부에 깔고, 종방향 중공 받침대와 수평부재 상의 받침부가 교차되는 부분의 돌기형 타공 절곡판과 종방향 중공 받침대에 설치된 앵커볼트 고정홀을 관통하여 받침부에 앵커볼트를 고정시켜 통로 바닥판을 설치하는 공정의 순으로 구성되어 앵커볼트의 사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통로 설치방법.
  2. 교량 구조물의 안전점검이나 유지보수시 사용되는 교량점검통로에 있어서,
    구조물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레일형 부재의 하단부에는 마찰증대용 요철부를 갖는 상기 마찰증대용 요철부와 구조물 상단부 사이에는 케미칼 본드가 충진되도록 구성되는 수평걸림턱과,
    상기 수평걸림턱의 한쪽 끝단부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구조물의 측면부에 접하도록 레일형 부재로 일체적으로 설치되며 구조물의 측면부 상에 직접 접촉되어 좌대부 상의 양쪽에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측면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부와 직각방향으로 일체적으로 구조물의 측면부 외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상단부의 받침부를 포함한 레일형 부재로 설치되며 상기 받침부의 한쪽 끝단부에는 앵커볼트 지지홀이 설치되고 중앙부와 다른 한쪽 끝단부 상부에는 앵커볼트 고정홈이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앵커볼트 지지홀이 설치된 수평부재의 끝단부로부터 직각방향인 수직 상향으로 수평부재와 분리된 상태로 하단부에 설치되는 난간받침 상의 앵커볼트 고정홀을 통해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고정되며 난간봉이 관통하여 수평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난간부재와,
    상기 수평걸림턱, 수직부재, 수평부재 및 난간부재로 구성되는 지지 후레임의 내면 수평부재 상부에 설치되는 절곡판과 절곡판의 하면 홈 내측에 교량점검통로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 중공 받침대가 복합재료를 구성하고 이 복합재료를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수평부재의 받침부 상에 고정시키는 통로 바닥판으로 구성되어 앵커볼트의 사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통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걸림턱의 한쪽 끝단부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구조물의 측면부에 접하도록 레일형 부재로 일체적으로 설치되며 구조물의 측면부 상에 직접 접촉되어 좌대부 상의 양쪽에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측면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수직부재는 수평걸림턱의 한쪽 끝단부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구조물의 측면부에 접하도록 레일형 부재로 일체적으로 설치되며 구조물의 측면부 상에 직접 접촉되어 좌대부 상의 양쪽에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측면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앵커볼트가 설치되는 앵커볼트 고정홀 사이에는 공간부가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레일형 부재의 외측면 위치에 수직부재와 평행하게 미천공 결합판이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부와 직각방향으로 일체적으로 구조물의 측면부 외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상단부의 받침부를 포함한 레일형 부재로 설치되며 상기 받침부의 한쪽 끝단부에는 앵커볼트 지지홀이 설치되고 중앙부와 다른 한쪽 끝단부 상부에는 앵커볼트 고정홈이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수평부재는 한쪽 끝단부에 천공 결합판이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수직으로 설치되며 수직부재의 하단부에 수직부재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미천공 결합판과 분리된 채 맞댄 상태로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고정되며 다른 한쪽 끝단부는 직각 상향으로 난간부재와 일체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앵커볼트 지지홀이 설치된 수평부재의 끝단부로부터 직각방향인 수직 상향으로 수평부재와 분리된 상태로 하단부에 설치되는 난간받침 상의 앵커볼트 고정홀을 통해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고정되며 난간봉이 관통하여 수평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난간부재는 수평부재의 한쪽 끝단부에 수직 상향으로 일체적으로 설치되며 난간봉이 관통하여 수평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난간부재와,
    상기 수평걸림턱, 수직부재, 수평부재 및 난간부재로 구성되는 지지 후레임의 내면 수평부재 상부에 설치되는 절곡판과 절곡판의 하면 홈 내측에 교량점검통로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 중공 받침대가 복합재료를 구성하고 이 복합재료를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수평부재의 받침부 상에 고정시키는 통로 바닥판은 수평걸림턱, 수직부재, 수평부재 및 난간부재로 구성되는 지지 후레임의 내면 수평부재 상부에 교량점검통로의 길이방향으로 수평부재 상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엘(L)형 앵글과 중간부에 설치되는 티(T)형 봉 상에 타공판이 설치되고 상기 타공판은 수평부재 상에 내설된 고정홈 상에 결합용 앵커볼트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앵커볼트의 사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통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의 일부로서 수평걸림턱,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로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부재를 구조물의 상단부 및 측면부에 접촉시켜 거치시키는 공정은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의 일부로서 수평걸림턱과 수직부재로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부재를 구조물의 상단부 및 측면부에 접촉시켜 거치시키는 공정과,
    상기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의 또 다른 일부로서 하단부에 규격이 표준화된 수평상태의 난간받침을 구비한 난간부재의 난간받침 상의 앵커볼트 고정홀과 상기 수평부재의 한쪽 끝단부인 받침부의 한쪽 끝단부의 상부에 수평적으로 설치된 앵커볼트 지지홀을 각각 관통하여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수평부재의 한쪽 끝단부에 직각방향으로 난간부재를 수직 상향으로 분리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공정은 교량점검통로용 지지 후레임의 일부로서 수평걸림턱과 수직부재로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부재중에서 수직부재의 하단 외측면에 설치되는 미천공 결합판 상에 통로 바닥판의 높이를 측정하여 직접 앵커볼트 결합홀을 천공한 후 상기 미천공 결합판 상에 천공된 앵커볼트 결합홀과 상기 지지 후레임의 또 다른 일부로서 수평부재와 난간부재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부재중에서 수평부재의 구조물측 한쪽 끝단부에 설치된 천공 결합판 상의 앵커볼트 결합홀을 각각 관통하도록 맞댄 상태에서 결합용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공정과,
    돌기형 타곡 절곡판의 하부 홈 내측에 종방향 중공 받침대를 교량점검통로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복합재료를 구성한 후 상기 지지 후레임의 내면 수평부재의 상부에 깔고, 종방향 중공 받침대와 수평부재 상의 받침부가 교차되는 부분의 돌기형 타공 절곡판과 종방향 중공 받침대에 설치된 앵커볼트 고정홀을 관통하여 받침부에 앵커볼트를 고정시켜 통로 바닥판을 설치하는 공정은 수평부재의 받침부 양쪽 가장자리 부분과 중앙 부분에 각각 내설된 고정홈 내에 엘(L)형 앵글과 티(T)형 봉을 각각 설치한 후 수평부재의 받침부를 포함한 엘(L)형 앵글과 티(T)형 봉의 상부에 타공판을 깐 다음 수평부재 상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내설된 고정홈 상에 결합용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앵커볼트의 사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통로 설치방법.
KR1020040014443A 2004-01-02 2004-03-03 교량점검통로 및 설치방법 KR100711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0159 2004-01-02
KR1020040000159 2004-01-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290U Division KR200382207Y1 (ko) 2005-01-14 2005-01-14 교량점검통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311A KR20050071311A (ko) 2005-07-07
KR100711976B1 true KR100711976B1 (ko) 2007-05-02

Family

ID=3726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443A KR100711976B1 (ko) 2004-01-02 2004-03-03 교량점검통로 및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9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610B1 (ko) 2009-07-10 2010-04-15 (주) 태평양지질 교량용 확장 인도
KR102153853B1 (ko) * 2020-03-12 2020-09-08 강성분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KR20200110967A (ko) 2019-03-18 2020-09-28 삼우엠텍(주) 교량용 점검대
KR102310827B1 (ko) * 2020-08-26 2021-10-12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응력 분산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 점검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487B1 (ko) * 2005-10-28 2007-02-22 김상희 차량용 교량에 설치되는 인도 및 그 설치방법
KR100596897B1 (ko) * 2006-02-21 2006-07-04 주식회사 탑스코 걸이식 교량유지 점검통로 및 그 설치방법
KR101021832B1 (ko) * 2009-10-19 2011-03-17 (주) 태평양지질 확장 인도용 바닥 패널
KR101304950B1 (ko) * 2011-12-20 2013-09-06 주식회사 대호하이테크 선박용 교량표지 점검대
CN108797339A (zh) * 2018-06-26 2018-11-13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现浇钢筋混凝土防撞护栏的安全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557Y1 (ko) 2001-02-28 2001-09-28 주식회사 수성기술단 교량안전 점검통로구조
KR200333776Y1 (ko) 2003-08-12 2003-11-17 김동필 교량점검통로의 거치대 및 그 거치대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557Y1 (ko) 2001-02-28 2001-09-28 주식회사 수성기술단 교량안전 점검통로구조
KR200333776Y1 (ko) 2003-08-12 2003-11-17 김동필 교량점검통로의 거치대 및 그 거치대 설치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610B1 (ko) 2009-07-10 2010-04-15 (주) 태평양지질 교량용 확장 인도
KR20200110967A (ko) 2019-03-18 2020-09-28 삼우엠텍(주) 교량용 점검대
KR102153853B1 (ko) * 2020-03-12 2020-09-08 강성분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KR102310827B1 (ko) * 2020-08-26 2021-10-12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응력 분산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 점검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311A (ko)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01002C (en) Building system using modular precast concrete components
US11970873B2 (en) Bearing plate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6443656B1 (en) Trench forming assembly having removable pin anchoring mechanism
US20090094916A1 (en) Masonry wall tension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KR100779059B1 (ko)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243984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711976B1 (ko) 교량점검통로 및 설치방법
US20110072751A1 (en) Masonry bracket,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CN106460403B (zh) 扶手套件,扶手系统和安装方法
KR101277751B1 (ko) 프리캐스트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중저층 보-기둥 건물의 리모델링 보강공법
US7448171B1 (en) Joist support structure adapted to be embedded into a foundation wall
KR100519072B1 (ko)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KR102464479B1 (ko) 걸이식 교량 점검시설용 단일 결속수단의 사방결속브래킷
KR101270697B1 (ko) 프리캐스트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중저층 건물의 기둥 리모델링 보강공법
CN115434360B (zh) 一种狭窄阶地桩锚式塔吊基础结构及施工方法
KR101281067B1 (ko)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
KR101967425B1 (ko) 부벽식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382207Y1 (ko) 교량점검통로
KR200457690Y1 (ko) 지반보강용 블록
CA3085940A1 (e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KR200298097Y1 (ko) 거푸집 지지구조
RU2651668C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пилонов и плит перекрытия и пилон безригельного железобетонного каркаса здания
RU2363818C1 (ru) Узел сопряжения многопустотных плит кучихина
KR101059539B1 (ko) 도로 확장 블록
JP4633584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桁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