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072B1 -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072B1
KR100519072B1 KR1020050062999A KR20050062999A KR100519072B1 KR 100519072 B1 KR100519072 B1 KR 100519072B1 KR 1020050062999 A KR1020050062999 A KR 1020050062999A KR 20050062999 A KR20050062999 A KR 20050062999A KR 100519072 B1 KR100519072 B1 KR 100519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crete block
retaining wall
wall structure
ancho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만섭
Original Assignee
한국씨엠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씨엠이엔지(주) filed Critical 한국씨엠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050062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0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3/00Testing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2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a single pendulum plumb lines G01C15/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면에 콘크리트제 블록(1)을 기초 콘크리트(2) 위에 단계별로 적층시켜 축조하고,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 들의 배면측에는 띠형상의 강판보강재(3) 들을 일정 간격마다 고정하며, 이 강판보강재(3)들을 성토부(4)쪽으로 수평하게 연장시켜 매립하고, 상기 성토부(4) 위에 주택단지를 건설하고, 상기 성토부(4)의 가장자리인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의 상면에 난간울타리(5)를 세워서 된 보강토 옹벽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의 상면에 앵커볼트(11)로 고정되어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의 전면에 돌설되도록 설치된 와이어걸이 앵커볼트판(10)과; 상기 와이어걸이 앵커볼트판(10)의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의 전면에 돌설된 돌설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천공된 장공 형상의 와이어고리 볼트홀(12)에 너트(21)로 상단을 통해 고정 삽입되고, 그 하단에는 와이어(30)를 걸 수 있는 와이어고리(22)가 형성된 와이어고리볼트(20)와; 상기 와이어고리볼트(20)에 매달린 와이어(30)의 하단에 연결된 추(40)와;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의 하부측 전면에 앵커볼트(51)로 고정된 체결부(52)가 형성되고, 이 체결부(52)에 일체로 돌설되어 상기 추(40)를 매단 와이어(30)의 연직 위치를 계측하는 계측눈금판(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전면에 추를 매단 와이어를 설치하고 이 와이어의 연직 위치를 계측눈금판(50)으로 계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전도, 즉,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할 수 있어 보강토 옹벽구조물이 붕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보수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A measuring apparatus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s for safety diagnostic}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전면에 와이어를 상부에서 하부까지 매달아 그 하부에서 와이어의 연직 위치를 계측하여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전도 상태를 측정하도록 한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금까지 도로, 철도의 사면, 공원 지역의 비탈면이나 하천 제방, 해안도로, 아파트 등의 주택가 등의 옹벽을 공사함에 있어서, 토양 안정과 경사면 보호라는 측면을 최우선으로 중요시하여 전면을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콘크리트제 블록 또는 콘크리트제 패널로 마감한 옹벽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류의 옹벽들은 성토재의 배면 측방 토압을 상쇄시켜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대개의 경우 배면 성토부의 내부에 보강 부재를 매립한 보강토 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성토부 내부에 보강부재를 매립한 보강토 옹벽중 대표적인 예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록식 보강토 옹벽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보강토 옹벽은 전면에 콘크리트제 블록(1)을 기초 콘크리트(2) 위에 단계별로 적층시켜 축조된다.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 들의 배면측에는 띠형상의 강판보강재(3) 들을 일정 간격마다 고정하고, 이 강판보강재(3)들을 성토부(4)쪽으로 수평하게 연장시켜 매립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성토부(4) 속에 매립된 강판보강재(3)는 성토재(4)의 토압에 의해 그 위치가 보전되므로,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 들로 축조된 옹벽을 성토부(4) 측으로 인장하게 되어 측방 토압에 의한 전도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보강토 옹벽구조물은 전도 측정에 대한 안전진단용 계측장치가 없어 보강토 옹벽의 전도 정도를 계측할 수 없고, 이러한 전도사고를 미연에 알아서 이에 대한 보수 보강 공사를 할 수 없으므로, 보강토 옹벽의 전도사고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전도 정도를 측정하여 미연에 안전 진단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보강토 옹벽의 전도 사고를 예방하도록 한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는, 전면에 콘크리트제 블록(1)을 기초 콘크리트(2) 위에 단계별로 적층시켜 축조하고,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 들의 배면측에는 띠형상의 강판보강재(3) 들을 일정 간격마다 고정하며, 이 강판보강재(3)들을 성토부(4)쪽으로 수평하게 연장시켜 매립하고, 상기 성토부(4) 위에 주택단지를 건설하고, 상기 성토부(4)의 가장자리인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의 상면에 난간울타리(5)를 세워서 된 보강토 옹벽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의 상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어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의 전면에 돌설되도록 설치된 와이어걸이 앵커볼트판과; 상기 와이어걸이 앵커볼트판의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의 전면에 돌설된 돌설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천공된 장공 형상의 와이어고리 볼트홀에 너트로 상단을 통해 고정 삽입되고, 그 하단에는 와이어를 걸 수 있는 와이어고리가 형성된 와이어고리볼트와; 상기 와이어고리볼트에 매달린 와이어의 하단에 연결된 추와;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의 하부측에 앵커볼트로 고정된 체결부가 형성되고, 이 체결부에 돌설 연결되어 상기 추를 매단 와이어의 연직 위치를 계측하는 계측눈금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는, 전면에 콘크리트제 블록(1)을 기초 콘크리트(2) 위에 단계별로 적층시켜 축조하고,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 들의 배면측에는 띠형상의 강판보강재(3) 들을 일정 간격마다 고정하며, 이 강판보강재(3)들을 성토부(4)쪽으로 수평하게 연장시켜 매립하고, 상기 성토부(4) 위에 주택단지를 건설하고, 상기 성토부(4)의 가장자리인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의 상면에 난간울타리(5)를 세워서 된 보강토 옹벽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의 상면에 앵커볼트(11)로 고정되어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의 전면에 돌설되도록 설치된 와이어걸이 앵커볼트판(10)과; 상기 와이어걸이 앵커볼트판(10)의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의 전면에 돌설된 돌설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천공된 장공 형상의 와이어고리 볼트홀(12)에 너트(21)로 상단을 통해 고정 삽입되고, 그 하단에는 와이어(30)를 걸 수 있는 와이어고리(22)가 형성된 와이어고리볼트(20)와; 상기 와이어고리볼트(20)에 매달린 와이어(30)의 하단에 연결된 추(40)와;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의 하부측 전면에 앵커볼트(51)로 고정된 체결부(52)가 형성되고, 이 체결부(52)에 일체로 돌설되어 상기 추(40)를 매단 와이어(30)의 연직 위치를 계측하는 계측눈금판(5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는, 적층된 콘크리트제 블록(1)의 상단면에 앵커볼트(11)를 매개로 와이어걸이 앵커볼트판(10)을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의 전면에 돌설되도록 설치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걸이 앵커볼트판(10)의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의 전면에 돌설된 돌설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천공된 장공 형상의 와이어고리 볼트홀(12)에 와이어고리볼트(20)의 상단을 하측을 통해 삽입하고 너트(21)로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고, 와이어고리볼트(20)의 하단에 형성된 와이어고리(22)에는 와이어(30)의 상단을 묶어 고정하고, 하측 연직 방향으로 길게 늘어뜨려 하단에 추(40)를 매단다. 이 와이어(30)의 하단 중간인 적층된 콘크리트제 블록(10)의 전면 하측에는 앵커볼트(51)로 체결부(52)를 고정하게 되는 바, 이 고정된 체결부(51)의 위치는 대략 적층된 콘크리트제 블록(1)의 하측 전면이고, 동시에 상기 체결부(51)에 수직으로 돌설된 계측눈금판(50)의 눈금사이로 상기 와이어(30)가 지나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이와 같이 설치함으로써, 와이어(30)의 연직 위치를 계측눈금판(50)으로 계측할 수 있어, 상기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전도, 즉,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할 수 있어 보강토 옹벽구조물이 붕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보수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에 의하면,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전면에 추를 매단 와이어를 설치하고 이 와이어의 연직 위치를 계측눈금판(50)으로 계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전도, 즉,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할 수 있어 보강토 옹벽구조물이 붕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보수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에 의한 보강토 옹벽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콘크리트제 블록 2 : 기초 콘크리트
3 : 강판보강재 4 : 성토부
5 : 난간울타리 10: 와이어걸이 앵커볼트판
12 : 와이어고리 볼트홀 20 : 와이어고리볼트
21 : 너트 22 : 와이어고리
30 : 와이어 40 : 추
50 : 계측눈금판 11, 51 : 앵커볼트
52 : 체결부

Claims (1)

  1. 전면에 콘크리트제 블록(1)을 기초 콘크리트(2) 위에 단계별로 적층시켜 축조하고,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 들의 배면측에는 띠형상의 강판보강재(3) 들을 일정 간격마다 고정하며, 이 강판보강재(3)들을 성토부(4)쪽으로 수평하게 연장시켜 매립하고, 상기 성토부(4) 위에 주택단지를 건설하고, 상기 성토부(4)의 가장자리인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의 상면에 난간울타리(5)를 세워서 된 보강토 옹벽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의 상면에 앵커볼트(11)로 고정되어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의 전면에 돌설되도록 설치된 와이어걸이 앵커볼트판(10)과;
    상기 와이어걸이 앵커볼트판(10)의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의 전면에 돌설된 돌설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천공된 장공 형상의 와이어고리 볼트홀(12)에 너트(21)로 상단을 통해 고정 삽입되고, 그 하단에는 와이어(30)를 걸 수 있는 와이어고리(22)가 형성된 와이어고리볼트(20)와;
    상기 와이어고리볼트(20)에 매달린 와이어(30)의 하단에 연결된 추(40)와;
    상기 콘크리트제 블록(1)의 하부측 전면에 앵커볼트(51)로 고정된 체결부(52)가 형성되고, 이 체결부(52)에 일체로 돌설되어 상기 추(40)를 매단 와이어(30)의 연직 위치를 계측하는 계측눈금판(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KR1020050062999A 2005-07-12 2005-07-12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KR100519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999A KR100519072B1 (ko) 2005-07-12 2005-07-12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999A KR100519072B1 (ko) 2005-07-12 2005-07-12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9072B1 true KR100519072B1 (ko) 2005-10-25

Family

ID=3730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999A KR100519072B1 (ko) 2005-07-12 2005-07-12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07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012B1 (ko) 2006-11-18 2007-05-30 (주) 장맥엔지니어링 구조물 기초말뚝용 안전진단 계측장치
KR100746566B1 (ko) 2007-02-26 2007-08-06 (주)대한이엔씨 교량 횡방향 변위계측 안전진단장치
KR100801915B1 (ko) 2007-07-19 2008-02-12 사단법인 대한산업안전협회 지중 벽체 안전진단 측정 구조체
KR102360138B1 (ko) 2021-06-14 2022-02-08 (주)본이엔씨 옹벽용 계측장치
KR102644475B1 (ko) * 2022-09-26 2024-03-06 국립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옹벽 구축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012B1 (ko) 2006-11-18 2007-05-30 (주) 장맥엔지니어링 구조물 기초말뚝용 안전진단 계측장치
KR100746566B1 (ko) 2007-02-26 2007-08-06 (주)대한이엔씨 교량 횡방향 변위계측 안전진단장치
KR100801915B1 (ko) 2007-07-19 2008-02-12 사단법인 대한산업안전협회 지중 벽체 안전진단 측정 구조체
KR102360138B1 (ko) 2021-06-14 2022-02-08 (주)본이엔씨 옹벽용 계측장치
KR102644475B1 (ko) * 2022-09-26 2024-03-06 국립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옹벽 구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9072B1 (ko)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CA2425811A1 (en) Modular wall system with footing form
GB2522887A (en) Shuttering system
EP3420138B1 (en) Anchoring device for a fence
KR102275957B1 (ko) 콘크리트 기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0711976B1 (ko) 교량점검통로 및 설치방법
WO2014096523A1 (en) Column shoe
KR100749329B1 (ko) 도로 옹벽 변위측정용 안전진단장치
JP3251567B2 (ja) オープンケーソン底盤の施工方法
CN109750825A (zh) 基坑悬挂式马道的施工方法
JP5576816B2 (ja) 鋼製竪形魚道及びその構築方法
JP5184393B2 (ja) 防護壁及び防護壁形成方法
US7562502B2 (en) Device for creating a footing
JP6701848B2 (ja) スペーサ及び鉄筋籠の構築方法
KR101208411B1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JP3905858B2 (ja) 交点検測部材および法面補強工法
KR100590178B1 (ko) 토류벽용 거푸집 고정구
KR100535723B1 (ko) 교량 기초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시설
JP3763062B2 (ja) 橋梁構造物の構築方法
JP3270603B2 (ja) アンカーボルト取付方法
JP6514985B2 (ja) 土留め壁補強構造
KR100588261B1 (ko) 공동주택 단지 지중구조물의 토사침하 계측장치
JP3150846U (ja) 木造建物用高耐震性べた基礎構造
KR200183409Y1 (ko) 프리캐스트제 아치형 통로 구축재
KR200348605Y1 (ko) 토류벽용 거푸집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