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138B1 - 옹벽용 계측장치 - Google Patents

옹벽용 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138B1
KR102360138B1 KR1020210076696A KR20210076696A KR102360138B1 KR 102360138 B1 KR102360138 B1 KR 102360138B1 KR 1020210076696 A KR1020210076696 A KR 1020210076696A KR 20210076696 A KR20210076696 A KR 20210076696A KR 102360138 B1 KR102360138 B1 KR 102360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stick
inclination
main body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138B9 (ko
Inventor
서미라
조재형
박광수
장병일
Original Assignee
(주)본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본이엔씨 filed Critical (주)본이엔씨
Priority to KR102021007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138B1/ko
Publication of KR10236013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138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용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돌출 부위가 있는 옹벽을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된 빈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의 바닥면에 연결된 스프링의 압축되는 정도에 따라 옹벽의 기울기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옹벽용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옹벽용 계측장치{MEASURING APPARATUS FOR RETAIN WALL}
본 발명은 옹벽용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요철을 형성하고 있는 옹벽에 접하는 복수의 스프링의 압축되는 평균에 따라 옹벽의 기울기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옹벽용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배후 토사의 토압에 대하여 저항하기 위한 벽체 구조물로서, 다수의 블록의 축조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지하수의 침투, 토사의 압밀 등의 이유로 배후토사에는 부등침하 기타 변위가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이는 옹벽의 변위를 유발하므로,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계측이 필요하다.
기존에 광파 측정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광파 측정장치의 위치변화, 타겟의 오염이나 기울기변화 등 순수한 옹벽 자체의 변위 이외의 요인에 의해 측정값이 변경될 수 있어서 오차의 범위가 크고, 날씨의 영향을 크게 받아서 우천시와 같이 기상 조건이 좋지 못한 경우에는 측정이 어렵고, 장비의 구매 및 설치에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옹벽에서 생기는 요철에 의하여 옹벽의 전체 기울기에 오차가 생겨서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 따라서, 옹벽의 요철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정확하게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참고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2159222호 참고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0519072호 참고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212959호 참고문헌 4: 한국등록특허 제10-0786214호 참고문헌 5: 한국등록특허 제10-07802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요철을 형성하고 있는 옹벽을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된 빈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의 바닥면에 연결된 스프링의 평균적인 압축 정도에 따라 옹벽의 기울기를 경사계측부에서 측정할 수 있는 옹벽용 계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옹벽용 계측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 일단에 연결된 스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틱부의 직경은 상기 수용부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수용부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수용부를 사용한다.
상기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은 상기 수용부 내부의 바닥면에 연결된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은 같은 스프링 계수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어느 일면에 부착 가능한 경사계측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경사계측부는 기울기를 측정하는 경사계측기 및 마그네틱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은 상기 본체부의 외면 상에 구비된 금속 플레이트에 부착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의 길이는 상기 수용부의 깊이보다 짧다.
상기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부의 일면과 대응되는 타면에 손잡이부;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부의 일면과 대응되는 타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가압기둥부를 구비하며, 상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가압기둥부는 가압플레이트부에 의하여 지지되며,상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가압기둥부와 접하는 가압플레이트부 일면과 대응되는 타면에 손잡이부를 구비한다.
2개의 스틱부 사이의 거리를 L이라 정의하면, 상기 가압기둥부는 상기 2개의 스틱부 각각의 위치에서 L/2에 해당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본체부의 타면에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는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제1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오목 형태의 홈부, 상기 제2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볼록한 형태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홈부 및 돌출부의 분리 및 결합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는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로 탈착가능하다.
상기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의 각각에 접하여 고정하기 위한 본체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제1 본체부는 볼트 또는 나사로 고정되고, 또한 상기 본체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제2 본체부는 볼트 또는 나사로 고정된다.
상기 본체부는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로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제1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오목 형태의 홈부, 상기 제2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볼록한 형태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홈부 및 돌출부의 분리 또는 결합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는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가 탈착가능하며, 상기 가압플레이트부는 제1 가압플레이트부 및 제2 가압플레이트부로 분리가능하며, 상기 제1 가압플레이트부 및 제2 가압플레이트부의 각각에 접하여 고정하기 위한 가압플레이트용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용 고정판은 상기 제1 가압플레이트부와 볼트 또는 나사로 고정되며, 또한 상기 가압플레이트용 고정판은 상기 제2 가압플레이트부와 볼트 또는 나사로 고정된다.
상기 홈부의 일단에는 제1 자석부를 구비하며, 상기 볼록부의 일단에는 제2 자석부를 구비하며, 상기 홈부와 상기 볼록부의 결합시에 상기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접한다.
상기 스틱부의 외면에는 눈금부를 구비하여 상기 스틱부가 상기 수용부의 내부로 들어간 깊이를 확인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는 2개 이상의 본체부가 회전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면은 직사각형이며, 상기 본체부의 수용부가 형성된 일면을 yz평면으로 정의하고, 상기 본체부의 일면의 변의 길이가 긴 방향을 y축 방향, 상기 본체부의 일면의 변의 길이가 짧은 방향을 z축 방향, 상기 본체부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을 x축 방향으로 정의하면, 상기 회전부는 z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2개 이상의 본체부 각각은 옹벽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경사각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2개 이상의 본체부 각각에는 경사계측부가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부, 복수의 수용부, 복수의 스프링, 복수의 스틱부를 포함하며, 경사계측부에서 측정된 값으로부터 요철을 갖는 옹벽의 기울기를 보다 정확하고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옹벽의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옹벽용 계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옹벽용 계측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a) 내지 (c)는 본 발명의 경사계측부를 부착한 옹벽용 계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가압기둥부를 통하여 가압을 하는 옹벽용 계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체부가 분리 가능한 옹벽용 계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체부와 가압플레이트부가 분리 가능한 옹벽용 계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a) 및 7(b)은 스틱부에 눈금부를 구비한 옹벽용 계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스틱부의 단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옹벽용 계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회전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옹벽용 계측장치의 측면도이다.
하기에 나타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옹벽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옹벽용 계측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옹벽의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옹벽용 계측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옹벽의 기울기를 측정할 때, 요철에 따라 정확한 기울기의 측정은 어려워지기 때문에 옹벽의 요철에 대응하게 다수개의 스틱부(30)가 각각에 연결된 스프링의 변위의 평균에 따라 기울기의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옹벽용 계측장치(100)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옹벽용 계측장치(100)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31); 상기 복수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31) 각각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프링(32); 상기 복수의 스프링(32) 각각의 일단에 연결된 복수의 스틱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틱부(30)의 직경은 상기 수용부(31)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사용해야 스틱부(30)가 수용부(31)의 빈 공간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스프링(32)은 동일한 탄성계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틱부(30)에 일정 힘이 작용하였을 때 가해지는 힘은 하기 식으로 나타낸다.
F= -k△x
여기서, k는 스프링 상수이며, △x는 스틱부(30)가 이동한 변위를 나타낸다. 따라서, 옹벽 자체에 요철이 형성된 경우, 복수의 스틱부(30)에 서로 다른 변위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평균적인 옹벽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링(32)의 길이는 상기 수용부(31)의 깊이보다 짧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의 길이를 Ls로 정의하고, 수용부의 깊이를 t라고 정의하면, Ls/t 는 0.4 내지 0.9가 바람직하며, Ls/t 는 0.4 내지 0.8은 더욱 바람직하다. 스프링(32)의 길이가 수용부(31)의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스틱부(30)가 옹벽에 접하여 힘이 가해졌을 때, 스프링(32)은 수용부(31)내에 들어가지 않고 옆으로 기울여지거나, 스틱부(30)가 수용부(31) 내측에 접하여 스틱부(30)에 가해지는 힘에 비하여 스프링(32)의 압축 거리가 선형적으로 변화하기 어려워 옹벽의 기울기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워지며, 상기 범위보다 작게되면 스프링의 적절한 탄성을 얻기 어려워 진다. 스프링과 스틱부의 연결, 스프링과 수용부 내부의 바닥면과 연결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도 되고, 중간 연결부재를 통하여 연결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옹벽의 기울기는 경사계측기에 의하여 측정이 가능하다. 옹벽용 계측장치(100)는 본체부(10)의 어느 일면에 부착 가능한 경사계측부(20)를 더욱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계측부(20)는 기울기를 측정하는 경사계측기 및 마그네틱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틱은 상기 본체부(10)의 외면 상에 구비된 금속 플레이트에 부착 가능하다.
도 3(a) 내지 (c)는 본 발명의 경사계측부(20a,20b,20c)를 부착한 옹벽용 계측장치의 측면도이다. 금속 플레이트(미도시)는 본체부(10)의 다수 면의 어느 한 곳 이상에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서 경사계측부(20)를 이동하면서 옹벽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옹벽용 계측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수용부(31)가 형성된 본체부(10)의 일면과 대응되는 타면에 손잡이부(4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0)의 일면은 본체부(10)의 복수의 수용부(31)가 형성된 면을 의미하며, 본체부(10)의 타면은 상기 본체부(10)의 복수의 수용부(31)가 형성된 면에 대응되는 면을 의미한다. 본체부(10)의 타면에 손잡이부(40)를 구비하여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부(40)를 잡고 본체부(10)를 가압하여 옹벽용 계측장치(100)를 옹벽에 밀착할 수 있다. 스프링(32)이 더이상 압축되지 않을 때까지 힘에 가한 상태에서 옹벽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고, 또는 스프링(32)이 더이상 압축되지 않을 때까지 가하는 힘보다 적은 힘을 가한 상태에서 옹벽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손잡이부(40)는 1개 또는 2개를 사용 가능하다.
도 4는 가압기둥부(51)를 통하여 본체부(10)를 가압하는 옹벽용 계측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옹벽용 계측장치(100)는 상기 수용부(31)가 형성된 본체부(10)의 일면과 대응되는 타면에 복수개의 가압기둥부(51)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가압기둥부(51)는 가압플레이트부(50)에 의하여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플레이트부(50)의 일면과 상기 복수개의 가압기둥부(51) 각각은 연결되며, 상기 가압플레이트부(50)의 타면에 손잡이부(40)가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스틱부(30) 사이의 거리를 L이라 정의하면, 상기 가압기둥부(51)는 상기 2개의 스틱부(30) 각각의 위치에서 L/2에 해당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본체부(10)의 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부(10) 일면 상에 제1 스틱부(30)와 제2 스틱부(30)에서 이격된 거리를 L1 및 L2라 하면, L1과 L2가 동일한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압기둥부(51)가 위치하는 것이 가압기둥부(51)에서 제1 스틱부(30)와 제2 스틱부(30)에 동일한 힘을 가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5는 본체부(10)가 분리 가능한 옹벽용 계측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요철을 갖는 옹벽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옹벽용 계측장치(100)는 본체부(10)가 50c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cm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옹벽용 계측장치를 분리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것이 편의성 측면에서 좋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본 발명의 옹벽용 계측장치(100)에서, 상기 본체부(10)는 제1 본체부(10A) 및 제2 본체부(10B)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제1 본체부(10A)의 일단에 형성된 오목 형태의 홈부(61A), 상기 제2 본체부(10B)의 일단에 형성된 볼록한 형태의 돌출부(61B)를 구비하며, 상기 홈부(61A) 및 돌출부(61B)의 분리 및 결합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10)는 제1 본체부(10A) 및 제2 본체부(10B)로 탈착가능하다.
본 발명의 옹벽용 계측장치(100)에서, 상기 홈부(61A)의 일단에는 제1 자석부(62A)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61B)의 일단에는 제2 자석부(62)를 구비하며, 상기 홈부(61A)와 상기돌출부(61B)의 결합시에 상기 제1 자석부(62A)와 제2 자석부(62B)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 자석부(62A)와 제2 자석부(62B)를 탈착하는 것은 자석의 결합력은 높지 않지만, 홈부(61A)와 돌출부(61B)를 서로 결합할 때, 자력에 의한 정하여진 장소에 위치하도록 유도하여 탈착되는 장점을 갖는다.
옹벽의 기울기를 측정할 때, 손잡이부(40)에서 일정 힘 이상을 가해야 하므로 홈부(61A)와 돌출부(61B)와의 결합만으로 제1 본체부(10A) 및 제2 본체부(10B)의 결합력은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본체 고정플레이트(63)를 사용할 수 있다. 본체 고정플레이트(63)는 상기 제1 본체부(10A) 및 제2 본체부(10B)의 양쪽 면에 접하여 고정 가능하다. 상기 본체 고정플레이트(63)와 상기 제1 본체부(10A)는 볼트 또는 나사로 고정되고, 또한 상기 본체 고정플레이트(63)와 상기 제2 본체부(10B)는 볼트 또는 나사로 고정되고, 상기 제1 본체부(10A) 및 제2 본체부(10B)를 분리할 때에는 상기 본체 고정플레이트(63)와 상기 제1 본체부(10A)의 볼트 또는 나사를 풀고, 또한 상기 본체 고정플레이트(63)와 상기 제2 본체부(10B)의 볼트 또는 나사를 풀어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볼트는 너트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체부(10)와 가압플레이트부(50)가 분리 가능한 옹벽용 계측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본체부(10)는 제1 본체부(10A) 및 제2 본체부(10B)로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제1 본체부(10A)의 일단에 형성된 오목 형태의 홈부, 상기 제2 본체부(10B)의 일단에 형성된 볼록한 형태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홈부 및 돌출의 분리 또는 결합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10)는 제1 본체부(10A) 및 제2 본체부(10B)로 탈착가능하다.
본체 고정플레이트(63)는 상기 제1 본체부(10A) 및 제2 본체부(10B)의 양쪽 면에 접하여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다. 상기 본체 고정플레이트(63)와 상기 제1 본체부(10A)는 상기 제1 본체부(10A)에 구비된 홀(65A)에 볼트 또는 나사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또한 상기 본체 고정플레이트(63)와 상기 제2 본체부(10B)는 상기 제2 본체부(10B)에 구비된 홀(65B)에 볼트 또는 나사로 고정된다.
상기 가압플레이트부(50)는 제1 가압플레이트부(50A) 및 제2 가압플레이트부(50B)로 분리가능하며, 상기 제1 가압플레이트부(50A) 및 제2 가압플레이트부(50B)에 각각 접하여 고정하기 위한 가압플레이트용 고정판(80)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용 고정판(80)은 상기 제1 가압플레이트부(50A)와 볼트 또는 나사로 고정되며, 또한 상기 가압플레이트용 고정판(80)은 상기 제2 가압플레이트부(50B)와 볼트 또는 나사로 고정된다. 여기서, 볼트는 너트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옹벽용 계측장치가 상기 본체 고정플레이트(63)와 가압플레이트용 고정판(80)를 구비할 때, 상기 본체 고정플레이트(63)와 가압플레이트용 고정판(80)는 서로 수직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스틱부(30)에 눈금부(33)를 구비한 옹벽용 계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스틱부(30) 각각의 외면에는 눈금부(33)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스틱부(30)가 상기 복수의 수용부(31)의 내부로 들어간 깊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스틱부(30)의 외면에 눈금부(33)를 갖게 되면, 스틱부(30)가 용기부 내에 들어가는 깊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스틱부(30)에 가해지는 압력도 계산을 할 수 있다.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스틱부(30)의 외면에는 제1 눈금부(33)를 구비하여 상기 스틱부(30)가 상기 수용부(31)의 내부로 들어간 깊이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에 수용부(31)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직사각형의 오픈 공간부(12)를 구비하고, 상기 스틱부(30)가 상기 수용부(31)의 내부로 들어간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의 측면 상에 제2 눈금부(13)을 구비한다. 작업 도중에 상기 스틱부(30)의 외면에는 제1 눈금부(33) 만으로 정확한 스틱부(30)의 들어간 깊이를 측정하기 어려울 때, 스프링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스틱부(30)의 끝단의 움직여진 길이를 오픈 공간부(12)에서 확인하여 정확하게 측정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픈 공간부(12)는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에서 수용부(31)로 관통된 공간을 의미한다.
도 8은 스틱부(30)의 단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옹벽용 계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스틱부(30)의 한쪽은 평평한 형태, 둥근 형태,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은 작아지는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옹벽에 형성된 요철에 보다 정확하게 접하는 점에서 스틱부(30)의 한쪽은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은 작아지는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회전부(1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옹벽용 계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본체부(10)는 2개 이상의 본체부(10)가 회전부(1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의 일면은 직사각형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본체부(10)의 수용부(31)가 형성된 일면을 yz평면으로 정의하고, 상기 본체부(10)의 일면의 변의 길이가 긴 방향을 y축 방향, 상기 본체부(10)의 일면의 변의 길이가 짧은 방향을 z축 방향, 상기 본체부(10)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을 x축 방향으로 정의하면, 상기 회전부(11)는 z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2개 이상의 본체부(10) 각각은 옹벽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경사각도를 측정할 수 있고, 평균값을 구하여 옹벽의 기울기를 구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경사각을 측정하기 위하여는 상기 2개 이상의 본체부(10) 각각에는 경사계측부(20)가 구비된다. 경사계측부(20)는 경사계측기와 마그네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옹벽용 계측장치
10, 10a, 10b, 10c 본체부
10A 제1 본체부
10B 제2 본체부
10R 본체부의 일면
10S 본체부의 타면
11 회전부
20 경사계측부
30, 30a, 30b, 30c 스틱부
31 수용부
32 스프링
33 눈금부
40, 40a, 40b, 40c 손잡이부
50 가압플레이트부
50R 가압플레이트부의 일면
50S 가압플레이트부의 타면
51 가압기둥부
61A 홈부
61B 돌출부
62A, 62B 자석부
63 본체 고정플레이트
64, 81 나사
70 옹벽
80 가압플레이트용 고정판

Claims (5)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 일단에 연결된 스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틱부의 직경은 상기 수용부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부의 일면과 대응되는 본체부의 타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가압기둥부를 구비하며, 상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가압기둥부는 가압플레이트부의 일면과 접하며,
    상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가압기둥부와 접하는 가압플레이트부 일면과 대응되는 가압플레이트부의 타면에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2개의 스틱부 사이의 거리를 L이라 정의하면, 상기 가압기둥부는 상기 2개의 스틱부 각각의 위치에서 L/2에 해당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본체부의 타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계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어느 일면에 부착 가능한 경사계측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경사계측부는 기울기를 측정하는 경사계측기 및 마그네틱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은 상기 본체부의 외면 상에 구비된 금속 플레이트에 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계측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76696A 2021-06-14 2021-06-14 옹벽용 계측장치 KR102360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696A KR102360138B1 (ko) 2021-06-14 2021-06-14 옹벽용 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696A KR102360138B1 (ko) 2021-06-14 2021-06-14 옹벽용 계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138B1 true KR102360138B1 (ko) 2022-02-08
KR102360138B9 KR102360138B9 (ko) 2022-07-18

Family

ID=8025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696A KR102360138B1 (ko) 2021-06-14 2021-06-14 옹벽용 계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13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340Y2 (ja) * 1991-03-07 1997-11-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内鉄筋腐食測定器
JP2003194644A (ja) * 2001-12-28 2003-07-09 Sharp Corp ベルトの測定装置およびその測定方法
KR200352440Y1 (ko) * 2004-03-03 2004-06-04 김봉추 경혈자극용 휴대 지압기
KR100519072B1 (ko) 2005-07-12 2005-10-25 한국씨엠이엔지(주)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KR100780273B1 (ko) 2006-10-16 2007-11-29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교량 보강토 옹벽 구간의 안전진단 계측장치
KR100786214B1 (ko) 2007-08-28 2007-12-17 (주)다음기술단 안전진단용 무선계측장치가 포함된 보강토 옹벽
KR101212959B1 (ko) 2011-01-31 2012-12-18 김창원 옹벽의 침하에 대한 계측과 보강 방법
KR102159222B1 (ko) 2019-06-12 2020-09-23 이근호 옹벽의 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340Y2 (ja) * 1991-03-07 1997-11-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内鉄筋腐食測定器
JP2003194644A (ja) * 2001-12-28 2003-07-09 Sharp Corp ベルトの測定装置およびその測定方法
KR200352440Y1 (ko) * 2004-03-03 2004-06-04 김봉추 경혈자극용 휴대 지압기
KR100519072B1 (ko) 2005-07-12 2005-10-25 한국씨엠이엔지(주)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KR100780273B1 (ko) 2006-10-16 2007-11-29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교량 보강토 옹벽 구간의 안전진단 계측장치
KR100786214B1 (ko) 2007-08-28 2007-12-17 (주)다음기술단 안전진단용 무선계측장치가 포함된 보강토 옹벽
KR101212959B1 (ko) 2011-01-31 2012-12-18 김창원 옹벽의 침하에 대한 계측과 보강 방법
KR102159222B1 (ko) 2019-06-12 2020-09-23 이근호 옹벽의 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2554340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138B9 (ko) 202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09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heel alignment, suspension diagnosis and chassis measurement of vehicles
CN101819018A (zh) 检测装置
CN204881427U (zh) 一种尺寸测量装置
US5131161A (en) Guide post and master cylinder squareness gage
KR102360138B1 (ko) 옹벽용 계측장치
CN111089559A (zh) 一种孔距、孔到平面距离以及平面到平面距离的检测工具
CN206618380U (zh) 一种应变式传感器的静态标定装置
CN115267803A (zh) 一种工程质量验收管理系统
CN204115668U (zh) 面向小型机械零件形位误差检测装置
CN209485210U (zh) 混凝土裂缝宽度变化情况检测装置
CN107153183B (zh) 一种车载激光测距仪
CN210036696U (zh) 一种直线明槽轨道水平度测试仪
AU2021102678A4 (en) Device for measuring radial displacement in small-diameter tunnel model test
CN214702092U (zh) 用于平尺检测的调整装置
CN213688308U (zh) 工程测量装置
CN109000546A (zh) 一种汽车轴类零件垂直度检测装置
CN215261782U (zh) 一种基于磁性表座的棱镜装置
CN109990765B (zh) 一种直线明槽轨道水平度测试仪
CN217637166U (zh) 一种偏摆检查装置
KR200207112Y1 (ko) 휴대용 감리 수평수직 검측 자
CN211477165U (zh) 一种标定治具
CN215492807U (zh) 用于地质勘察的便携式十字板剪力仪
CN212007041U (zh) 一种测量斗齿轮廓尺寸的卡尺系统
CN214173255U (zh) 一种桥梁支座变形测量装置
CN218036606U (zh) 一种气相色谱质谱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