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222B1 - 옹벽의 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방법 - Google Patents

옹벽의 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222B1
KR102159222B1 KR1020190069226A KR20190069226A KR102159222B1 KR 102159222 B1 KR102159222 B1 KR 102159222B1 KR 1020190069226 A KR1020190069226 A KR 1020190069226A KR 20190069226 A KR20190069226 A KR 20190069226A KR 102159222 B1 KR102159222 B1 KR 102159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hinge coupling
reference point
unit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9222B9 (ko
Inventor
이근호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이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호 filed Critical 이근호
Priority to KR1020190069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222B1/ko
Publication of KR10215922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22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7/00Tracing profiles
    • G01C7/02Tracing profiles of land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후토사의 토압에 대하여 저항하도록, 다수의 블록(50)의 축조에 의해 형성된 옹벽의 변위를 계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다수의 블록(50)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상기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중 제1 블록 힌지결합부(110)에 일단이 힌지결합한 몸통부(101); 상기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중 제2 블록 힌지결합부(120)에 타단이 힌지결합하고, 일단이 상기 몸통부(101)의 타단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제2 블록 힌지결합부(120)와 상기 몸통부(101)의 타단 사이의 간격변화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제2 간격측정부(220); 상기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중 제1 블록 힌지결합부(110)와 제2 블록 힌지결합부(120) 사이의 기울기변화를 측정하도록 상기 몸통부(101)에 설치된 제2 기울기측정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에는, 상기 제2 간격측정부(220)와 동일한 구조의 간격측정부(200,210,220) 및 상기 제2 기울기측정부(320)와 동일한 구조의 기울기측정부(300,310,320)가 다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계측장치를 제시함으로써, 측정값의 오차가 작고, 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측정이 가능하며, 비용이 적게 소요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옹벽의 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방법{MEASURING APPARATUS FOR RETAIN WALL AND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 계측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옹벽의 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옹벽은 배후토사의 토압에 대하여 저항하기 위한 벽체 구조물로서, 다수의 블록(50)의 축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지하수의 침투, 토사의 압밀 등의 이유로 배후토사에는 부등침하 기타 변위가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이는 옹벽의 변위를 유발하므로,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계측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옹벽의 계측장치 및 계측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는 옹벽의 블록(50)에 상하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타겟(10)을 설치하고, 옹벽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광파 측정장치(20)를 설치한 후, 광파 측정장치(20)에서 광파를 조사하고 타겟(10)에 의해 반사된 광파를 측정함으로써, 타겟(10)의 변위를 측정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런데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광파 측정장치의 위치변화, 타겟의 오염이나 기울기변화 등 순수한 옹벽 자체의 변위 이외의 요인에 의해 측정값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오차가 크다.
둘째, 날씨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우천시와 같이 기상 조건이 좋지 못한 경우에는 측정이 불가능하다.
셋째, 장비의 구매 및 설치에 과도한 비용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측정값의 오차가 작고, 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측정이 가능하며,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옹벽의 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배후토사의 토압에 대하여 저항하도록, 다수의 블록(50)의 축조에 의해 형성된 옹벽의 변위를 계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록(50)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상기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중 제1 블록 힌지결합부(110)에 일단이 힌지결합한 몸통부(101); 상기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중 제2 블록 힌지결합부(120)에 타단이 힌지결합하고, 일단이 상기 몸통부(101)의 타단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제2 블록 힌지결합부(120)와 상기 몸통부(101)의 타단 사이의 간격변화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제2 간격측정부(220); 상기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중 제1 블록 힌지결합부(110)와 제2 블록 힌지결합부(120) 사이의 기울기변화를 측정하도록 상기 몸통부(101)에 설치된 제2 기울기측정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에는, 상기 제2 간격측정부(220)와 동일한 구조의 간격측정부(200,210,220) 및 상기 제2 기울기측정부(320)와 동일한 구조의 기울기측정부(300,310,320)가 다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계측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옹벽의 기초부(70)에 인접한 지반에 매설된 기준점 말뚝(80); 상기 기준점 말뚝(80)의 상단에 설치된 기준점 힌지결합부(100a); 상기 기준점 힌지결합부(100a)에 일단이 힌지결합한 하단 몸통부(101a);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간격측정부(200,210,220) 중 하단 간격측정부(200)는, 상기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중 하단에 위치한 하단 블록 힌지결합부(100)에 타단이 힌지결합하고, 일단이 상기 하단 몸통부(101a)의 타단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하단 블록 힌지결합부(100)와 상기 하단 몸통부(101a)의 타단 사이의 간격변화를 측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기울기측정부(300,310,320) 중 하단 기울기측정부(300)는, 상기 기준점 힌지결합부(100a)와 상기 하단 블록 힌지결합부(100) 사이의 기울기변화를 측정하도록 상기 하단 몸통부(101a)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점 말뚝(80)의 기울기변화를 측정하도록 상기 기준점 말뚝(80)에 설치된 기준점 기울기측정부(300a);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점 기울기측정부(300a)는 2축 경사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점 말뚝(80)과 상기 기초부(70)의 상하방향 상대변위를 측정하도록 상기 기준점 말뚝(80)과 상기 기초부(70) 사이에 설치된 기준점 변위측정부(200a);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계측장치를 이용한 옹벽의 계측방법으로서, 다수의 상기 기울기측정부(300,310,320) 중, 상기 하단 기울기측정부(300)에 인접하여 상부에 설치된 것을 제1 기울기측정부(310)라 하고, 상기 제1 기울기측정부(310)에 인접하여 상부에 설치된 것을 제2 기울기측정부(320)라 할때, 상기 기준점 기울기측정부(300a)에서 기울기변화가 없는 것으로 측정되고, 상기 하단 기울기측정부(300), 제1 기울기측정부(310) 및 제2 기울기측정부(320)에서 기울기변화가 있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다수의 블록(5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방으로 함몰된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계측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기준점 기울기측정부(300a), 하단 기울기측정부(300), 제1 기울기측정부(310) 및 제2 기울기측정부(320)에서 모두 기울기변화가 있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옹벽이 설치된 지반에 전체적으로 부등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계측장치를 이용한 옹벽의 계측방법으로서, 다수의 상기 간격측정부(200,210,220) 중, 상기 하단 간격측정부(200)에 인접하여 상부에 설치된 것을 제1 간격측정부(210)라 하고, 상기 제1 기울기측정부(310)에 인접하여 상부에 설치된 것을 제2 간격측정부(220)라 할때, 상기 기준점 변위측정부(200a)에서 상대변위가 없는 것으로 측정되고, 상기 하단 간격측정부(200), 제1 간격측정부(210) 및 제2 간격측정부(220)에서 간격변화가 있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옹벽의 전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서 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계측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기준점 변위측정부(200a), 하단 간격측정부(200), 제1 간격측정부(210) 및 제2 간격측정부(220)에서 모두 상대변위 또는 간격변화가 있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옹벽이 설치된 지반 및 상기 옹벽에 전체적으로 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측정값의 오차가 작고, 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측정이 가능하며,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옹벽의 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방법을 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계측장치의 구성도.
도 2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계측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계측장치의 제2 실시예의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배후토사의 토압에 대하여 저항하도록, 다수의 블록(50)의 축조에 의해 형성된 옹벽의 변위를 계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다수의 블록(50)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중 제1 블록 힌지결합부(110)에 일단이 힌지결합한 몸통부(101);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중 제2 블록 힌지결합부(120)에 타단이 힌지결합하고, 일단이 상기 몸통부(101)의 타단에 결합함과 아울러, 제2 블록 힌지결합부(120)와 몸통부(101)의 타단 사이의 간격변화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제2 간격측정부(220);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중 제1 블록 힌지결합부(110)와 제2 블록 힌지결합부(120) 사이의 기울기변화를 측정하도록 몸통부(101)에 설치된 제2 기울기측정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에는, 제2 간격측정부(220)와 동일한 구조의 간격측정부(200,210,220) 및 제2 기울기측정부(320)와 동일한 구조의 기울기측정부(300,310,320)가 다수 설치됨으로써, 계측시스템이 형성된다.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는 이들이 각각 설치된 다수의 블록(50)과 일체로 거동하므로, 이들 힌지결합부(100,110,120)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간격측정부(200,210,220) 및 다수의 기울기측정부(300,310,320)에서 측정된 측정값은 다수의 블록(50)의 거동(변위)을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다수의 간격측정부(200,210,220) 중 일부 간격측정부에서 (-) 측정값이 계측된 경우, 그 일부 영역에서 옹벽의 배후토사의 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기울기측정부(300,310,320)에서, (+) 측정값(돌출되는 경사), (0) 측정값(편평한 경사), (-) 측정값(함몰되는 경사)이 순차적으로 측정된 경우, 옹벽의 해당 영역에서 배부름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도록 한다.
첫째, 옹벽의 블록에 견고하게 고정된 측정장치에 의한 시스템이므로, 종래의 방식에 비해 오차의 발생 가능성이 작다.
둘째, 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측정이 가능하다.
셋째, 고가의 광학 장비를 사용하지 않므로, 장비의 구매 및 설치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옹벽의 기초부(70)에 인접한 지반에 이와 별개의 구조로 기준점 말뚝(80)을 매설하고, 위 측정장치와 결합하는 경우, 더욱 안정적이고 다양한 측정값 및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를 위하여, 기준점 말뚝(80)의 상단에 설치된 기준점 힌지결합부(100a); 기준점 힌지결합부(100a)에 일단이 힌지결합한 하단 몸통부(101a);를 포함하고 구조를 취한다.
여기서 다수의 간격측정부(200,210,220) 중 하단 간격측정부(200)는,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중 하단에 위치한 하단 블록 힌지결합부(100)에 타단이 힌지결합하고, 일단이 하단 몸통부(101a)의 타단에 결합함과 아울러, 하단 블록 힌지결합부(100)와 하단 몸통부(101a)의 타단 사이의 간격변화를 측정하도록 설치된다.
다수의 기울기측정부(300,310,320) 중 하단 기울기측정부(300)는, 기준점 힌지결합부(100a)와 하단 블록 힌지결합부(100) 사이의 기울기변화를 측정하도록 하단 몸통부(101a)에 설치된다.
즉, 본 실시예의 구조의 경우, 옹벽과 별개로 거동하도록 지반에 견고하게 매설된 기준점 말뚝(80)을 기준으로 하여, 다수의 블록(50)의 거동에 관한 간격, 기울기 변화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절대값에 가까운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기준점 말뚝(80)의 기울기변화를 측정하도록 기준점 말뚝(80)에 기준점 기울기측정부(300a)를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분석이 가능하다.
다수의 기울기측정부(300,310,320) 중, 하단 기울기측정부(300)에 인접하여 상부에 설치된 것을 제1 기울기측정부(310)라 하고, 제1 기울기측정부(310)에 인접하여 상부에 설치된 것을 제2 기울기측정부(320)라 할때, 기준점 기울기측정부(300a)에서 기울기변화가 없는 것으로 측정되고, 하단 기울기측정부(300), 제1 기울기측정부(310) 및 제2 기울기측정부(320)에서 기울기변화가 있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다수의 블록(5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방으로 함몰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즉, 이는 기준점 말뚝(80)에 기울기변화가 없는 것을 전제로, 옹벽의 블록(50)에만 기울기변화가 나타난 것이므로, 기초지반에는 변위가 없고, 옹벽에만 침하, 배부름 등의 변위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기준점 기울기측정부(300a), 하단 기울기측정부(300), 제1 기울기측정부(310) 및 제2 기울기측정부(320)에서 모두 기울기변화가 있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옹벽이 설치된 지반에 전체적으로 부등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즉, 이는 기준점 말뚝(80) 및 옹벽의 블록(50)들 모두가 기울어짐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옹벽의 기초지반에 부등침하(지반에 균일하지 않은 침하가 발생하는 것)가 발생하여 그 상부 옹벽 구조물 전체의 기울기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기준점 말뚝(80)의 기울기변화에 관한 정보는 옹벽의 블록(50)에 관한 그것보다 더 중요하므로, 기준점 기울기측정부(300a)를 2축 경사계로 사용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고 많은 측정값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준점 말뚝(80)과 기초부(70)의 상하방향 상대변위를 측정하도록 기준점 말뚝(80)과 기초부(70) 사이에 기준점 변위측정부(200a)를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분석이 가능하다.
다수의 간격측정부(200,210,220) 중, 하단 간격측정부(200)에 인접하여 상부에 설치된 것을 제1 간격측정부(210)라 하고, 제1 기울기측정부(310)에 인접하여 상부에 설치된 것을 제2 간격측정부(220)라 할때, 기준점 변위측정부(200a)에서 상대변위가 없는 것으로 측정되고, 하단 간격측정부(200), 제1 간격측정부(210) 및 제2 간격측정부(220)에서 간격변화가 있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옹벽의 전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서 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즉, 이는 기준점 말뚝(80)에 변위(침하)가 발생하지 않은 것을 전제로, 옹벽의 블록(50)에만 간격변화(침하)가 나타난 것이므로, 기초지반에는 변위가 없고, 옹벽에만 침하, 배부름 등의 변위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기준점 변위측정부(200a), 하단 간격측정부(200), 제1 간격측정부(210) 및 제2 간격측정부(220)에서 모두 상대변위 또는 간격변화가 있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옹벽이 설치된 지반에 전체적으로 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즉, 이는 기준점 말뚝(80) 및 옹벽의 블록(50) 모두에 대하여 침하가 발생함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옹벽의 기초지반에도 전체적으로 침하(균등침하 또는 부등침하)가 발생하고, 그 상부 옹벽 구조물에도 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기준점 변위측정부(200a)에만 상대변위가 있는 것으로 측정되고, 하단 간격측정부(200), 제1 간격측정부(210) 및 제2 간격측정부(220)에는 간격변화가 없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라면, 옹벽의 기초지반에만 전체적으로 침하가 발생하고, 그 상부 옹벽 구조물에는 침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위 침하가 균등침하라면, 이 경우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으므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된다.
위와 같은 다수의 간격측정부 및 기울기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분석하는 경우, 옹벽 및 기초지반의 거동을 더욱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50 : 블록 70 : 기초부
80 : 기준점 말뚝 100a : 기준점 힌지결합부
100 : 하단 블록 힌지결합부 110 : 제1 블록 힌지결합부
120 : 제2 블록 힌지결합부 101 : 몸통부
101a : 하단 몸통부 200a : 기준점 변위측정부
200 : 하단 간격측정부 210 : 제1 간격측정부
220 : 제2 간격측정부 300a : 기준점 기울기측정부
300 : 하단 기울기측정부 310 : 제1 기울기측정부
320 : 제2 기울기측정부

Claims (9)

  1. 배후토사의 토압에 대하여 저항하도록, 다수의 블록(50)의 축조에 의해 형성된 옹벽의 변위를 계측하기 위한 계측장치를 이용한 옹벽의 계측방법으로서,
    상기 계측장치는,
    상기 다수의 블록(50)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상기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중 제1 블록 힌지결합부(110)에 일단이 힌지결합한 몸통부(101);
    상기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중 제2 블록 힌지결합부(120)에 타단이 힌지결합하고, 일단이 상기 몸통부(101)의 타단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제2 블록 힌지결합부(120)와 상기 몸통부(101)의 타단 사이의 간격변화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제2 간격측정부(220);
    상기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중 제1 블록 힌지결합부(110)와 제2 블록 힌지결합부(120) 사이의 기울기변화를 측정하도록 상기 몸통부(101)에 설치된 제2 기울기측정부(320);
    상기 옹벽의 기초부(70)에 인접한 지반에 매설된 기준점 말뚝(80);
    상기 기준점 말뚝(80)의 상단에 설치된 기준점 힌지결합부(100a);
    상기 기준점 힌지결합부(100a)에 일단이 힌지결합한 하단 몸통부(101a);
    상기 기준점 말뚝(80)의 기울기변화를 측정하도록 상기 기준점 말뚝(80)에 설치된 기준점 기울기측정부(300a);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에는, 상기 제2 간격측정부(220)와 동일한 구조의 간격측정부(200,210,220) 및 상기 제2 기울기측정부(320)와 동일한 구조의 기울기측정부(300,310,320)가 다수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간격측정부(200,210,220) 중 하단 간격측정부(200)는, 상기 다수의 블록 힌지결합부(100,110,120) 중 하단에 위치한 하단 블록 힌지결합부(100)에 타단이 힌지결합하고, 일단이 상기 하단 몸통부(101a)의 타단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하단 블록 힌지결합부(100)와 상기 하단 몸통부(101a)의 타단 사이의 간격변화를 측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기울기측정부(300,310,320) 중 하단 기울기측정부(300)는, 상기 기준점 힌지결합부(100a)와 상기 하단 블록 힌지결합부(100) 사이의 기울기변화를 측정하도록 상기 하단 몸통부(101a)에 설치되고,
    상기 계측방법은,
    다수의 상기 기울기측정부(300,310,320) 중, 상기 하단 기울기측정부(300)에 인접하여 상부에 설치된 것을 제1 기울기측정부(310)라 하고, 상기 제1 기울기측정부(310)에 인접하여 상부에 설치된 것을 제2 기울기측정부(320)라 할때,
    상기 기준점 기울기측정부(300a)에서 기울기변화가 없는 것으로 측정되고, 상기 하단 기울기측정부(300), 제1 기울기측정부(310) 및 제2 기울기측정부(320)에서 기울기변화가 있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다수의 블록(5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방으로 함몰된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계측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기울기측정부(300a)는 2축 경사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계측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말뚝(80)과 상기 기초부(70)의 상하방향 상대변위를 측정하도록 상기 기준점 말뚝(80)과 상기 기초부(70) 사이에 설치된 기준점 변위측정부(200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계측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기울기측정부(300a), 하단 기울기측정부(300), 제1 기울기측정부(310) 및 제2 기울기측정부(320)에서 모두 기울기변화가 있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옹벽이 설치된 지반에 전체적으로 부등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계측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간격측정부(200,210,220) 중, 상기 하단 간격측정부(200)에 인접하여 상부에 설치된 것을 제1 간격측정부(210)라 하고, 상기 제1 기울기측정부(310)에 인접하여 상부에 설치된 것을 제2 간격측정부(220)라 할때,
    상기 기준점 변위측정부(200a)에서 상대변위가 없는 것으로 측정되고, 상기 하단 간격측정부(200), 제1 간격측정부(210) 및 제2 간격측정부(220)에서 간격변화가 있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옹벽의 전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서 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계측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변위측정부(200a), 하단 간격측정부(200), 제1 간격측정부(210) 및 제2 간격측정부(220)에서 모두 상대변위 또는 간격변화가 있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옹벽이 설치된 지반 및 상기 옹벽에 전체적으로 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계측방법.
KR1020190069226A 2019-06-12 2019-06-12 옹벽의 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방법 KR102159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226A KR102159222B1 (ko) 2019-06-12 2019-06-12 옹벽의 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226A KR102159222B1 (ko) 2019-06-12 2019-06-12 옹벽의 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222B1 true KR102159222B1 (ko) 2020-09-23
KR102159222B9 KR102159222B9 (ko) 2023-06-14

Family

ID=7270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226A KR102159222B1 (ko) 2019-06-12 2019-06-12 옹벽의 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2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138B1 (ko) 2021-06-14 2022-02-08 (주)본이엔씨 옹벽용 계측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876A (ko) * 2002-03-27 2003-10-04 주식회사 탑시스템 터널의 내공변위와 천단침하 측정을 위한 센서시스템
KR20070000032A (ko) * 2005-06-24 2007-01-02 (주)지티씨코퍼레이션 2차원 터널 변형 자동계측장치
KR101499173B1 (ko) * 2013-06-10 2015-03-06 이상헌 시설물의 위치 및 변위량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876A (ko) * 2002-03-27 2003-10-04 주식회사 탑시스템 터널의 내공변위와 천단침하 측정을 위한 센서시스템
KR20070000032A (ko) * 2005-06-24 2007-01-02 (주)지티씨코퍼레이션 2차원 터널 변형 자동계측장치
KR101499173B1 (ko) * 2013-06-10 2015-03-06 이상헌 시설물의 위치 및 변위량 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138B1 (ko) 2021-06-14 2022-02-08 (주)본이엔씨 옹벽용 계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222B9 (ko)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ardina et al. Evaluation of InSAR monitoring data for post‐tunnelling settlement damage assessment
Olsen et al. Terrestrial laser scanning of extended cliff sections in dynamic environments: Parameter analysis
RU2158952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бора данных и управления экскаватором
JP5756835B2 (ja) 粉砕された表面の粉砕された体積又は面積の測定
Cai et al. Correlating intelligent compaction data to in situ soil compaction quality measurements
Scifoni et al. On the joint exploitation of long-term DInSAR time series and geological information for the investigation of ground settlements in the town of Roma (Italy)
Macchiarulo et al. Integrated InSAR monitoring and structural assessment of tunnelling‐induced building deformations
Herrera et al. Validation and comparison of advanced differential interferometry techniques: Murcia metropolitan area case study
KR102159222B1 (ko) 옹벽의 계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방법
Diao et al. Assessment of mining-induced damage to structures using InSAR time series analysis: a case study of Jiulong Mine, China
Koudogbo et al. Radar interferometry as an innovative solution for monitoring the construction of the Grand Paris Express metro network—first results
Nappo et al. Subsidence in Como historic centre (northern Italy): Assessment of building vulnerability combining hydrogeological and stratigraphic features, Cosmo-SkyMed InSAR and damage data
Muszyński et al. Evaluation of terrestrial laser scanner accuracy in the control of hydrotechnical structures
Crosetto et al. Monitoring soil creep landsliding in an urban area using persistent scatterer interferometry (El Papiol, Catalonia, Spain)
Armenakis Subsidence determination by aerial photogrammetry
Murdzek et al. The use of the DInSAR method in the monitoring of road damage caused by mining activities
Park et al. Productivity analysis for the 3D digitization of earthwork sites based on scanning conditions
Sztubecki et al. Vertical displacement monitoring using the modified leveling method
Mill et al. Terrestrial laser scanning technology for deformation monitoring of a large suspension roof structure
JPH0335114A (ja) 地下掘進機械の位置計測装置
JP3501936B2 (ja) 変位計測方法及び変位計測装置
Symons et al. Field measurements on embedded retaining walls
Dirksen et al. Slope profile measurement of sewer inverts
JP2005338107A (ja) 変位計測方法及び変位計測装置
Olsen et al. Movement and erosion quantification of the Johnson Creek, Oregon, landslide through 3D laser scan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