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475B1 - 복합 옹벽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옹벽 구축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4475B1 KR102644475B1 KR1020220121773A KR20220121773A KR102644475B1 KR 102644475 B1 KR102644475 B1 KR 102644475B1 KR 1020220121773 A KR1020220121773 A KR 1020220121773A KR 20220121773 A KR20220121773 A KR 20220121773A KR 102644475 B1 KR102644475 B1 KR 1026444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installing
- reinforcement
- delete delete
- terrai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0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6 geo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78 shot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이 구축되고자 하는 위치로부터 후방측으로 이단 경사진 지형에 설치되는 복합 옹벽 구축방법에 있어서, 지반으로부터 1차계획고까지 경사지형에 복수의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각 천공홀에 보강유닛을 단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유닛 단부에 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압판이 내설된 상태로 1차옹벽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1차옹벽과 후방측 지형 사이로 상기 1차옹벽에 대응되는 높이로 토사를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옹벽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옹벽이 구축되는 위치로부터 경사각 형태가 다른 지형에 두 개 이상의 옹벽 구축방법을 적용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옹벽이 구축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상의 편리함을 가져옴과 동시에 경제성을 가지는 복합 옹벽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은 표고 차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벽의 한쪽 면 상에서 물질을 억누르는 벽체로서 정의되며, 이러한 옹벽은 형태별로 중력식, 보강콘크리트식, 보강토식 옹벽 등으로 구분된다.
이하, 종래의 일반적인 옹벽 구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옹벽이 구축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서와 같이, 경사진 지형의 최대 이격 거리인 상측부가 옹벽이 구축되는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경우에는 경사지 하측으로부터 상부로 소정 구간씩 절토하고 숏크리트 등 기초 보강 작업 등을 거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 후, 도 2에서와 같이 옹벽(10)을 구축 후 옹벽(10)과 지형 사이로 쇄석을 토설하여 옹벽 구축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지형 전방측을 절토 후에 토목섬유(20)와 쇄석(22) 및 후방충진토사(12)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토체를 구축 후, 보강토체 전방측에 옹벽(10)이 구축되는 방법도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옹벽 구축방법의 경우는 지형의 절토 과정 및 절토된 지형의 보강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지형의 형태에 상관 없이 단일화된 옹벽 구축방법이 적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경사진 원지형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옹벽이 구축되고자 하는 위치와 경사지형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서 적합한 형태의 옹벽 구축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옹벽 구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안전성을 도모하고 옹벽 구축에 적용되는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시공 경제성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진 옹벽 구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옹벽이 구축되고자 하는 위치로부터 후방측으로 이단 경사진 지형에 설치되는 복합 옹벽 구축방법에 있어서, 지반으로부터 1차계획고까지 경사지형에 복수의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각 천공홀에 보강유닛을 단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유닛 단부에 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압판이 내설된 상태로 1차옹벽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1차옹벽과 후방측 지형 사이로 상기 1차옹벽에 대응되는 높이로 토사를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옹벽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지형에 천공홀과 보강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는, 지반 하부로부터 상측 기 설정 높이까지 복수 회 반복되어 복수 개의 천공홀과 보강유닛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홀 내 보강유닛을 설치 후 그라우팅재를 충진하는 단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사가 충진된 상부로 보강토체를 2차계획고까지 다수 회 적층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토체는, 상기 충진된 토사 상부로 주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주보강재의 상부 전방측으로 지지틀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틀의 상부로 보조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된 보조보강재의 상부로 쇄석을 포설한 후 상기 보조보강재의 전단을 상기 포설된 쇄석의 외부를 덮어 감싸며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주보강재 상부로 상기 쇄석 후방측으로 토사를 상부가 수평하게 채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틀 전방측으로 "┏┓" 형태로 절곡된 걸림부재의 일측 절곡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의 타측 절곡부가 내설된 상태로 2차 옹벽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의 타측에 보강보드를 용접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보드는 상기 걸림부재의 타측에 대응하여 수직 절곡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보드는 다수행 및 다수열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옹벽이 구축되고자 하는 위치로부터 후방측으로 이단 경사진 지형에 설치되는 복합 옹벽 구축방법에 있어서, 지반으로부터 1차계획고까지 경사지형에 복수의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각 천공홀에 보강유닛을 단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유닛 단부에 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압판이 내설된 상태로 1차옹벽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1차옹벽과 후방측 지형 사이로 상기 1차옹벽에 대응되는 높이로 토사를 충진하는 단계; 상기 토사가 충진된 상부로 보강토체를 2차계획고까지 다수 회 적층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토체 전방측으로 2차옹벽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옹벽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토체는, 상기 충진된 토사 상부로 주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주보강재의 상부 전방측으로 지지틀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틀의 상부로 보조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된 보조보강재의 상부로 쇄석을 포설한 후 상기 보조보강재의 전단을 상기 포설된 쇄석의 외부를 덮어 감싸며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주보강재 상부로 상기 쇄석 후방측으로 토사를 상부가 수평하게 채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틀 전방측으로 "┏┓" 형태로 절곡된 걸림부재의 일측 절곡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의 타측 절곡부가 내설된 상태로 2차 옹벽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의 타측에 보강보드를 용접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유닛 단부에 지압판을 설치 시 지압판의 설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옹벽이 구축되고자 하는 위치로부터 후방측으로 이단 경사진 지형에 설치되는 복합 옹벽 구축방법에 있어서, 지반으로부터 1차계획고까지 경사지형에 복수의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각 천공홀에 보강유닛을 단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유닛 단부에 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후방측 지형과 상기 지압판 사이로 1차옹벽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1차옹벽과 후방측 지형 사이로 상기 1차옹벽에 대응되는 높이로 토사를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지압판을 상기 1차옹벽의 전방측을 가압하도록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옹벽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토사가 충진된 상부로 보강토체를 2차계획고까지 다수 회 적층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토체는 상기 충진된 토사 상부로 주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주보강재의 상부 전방측으로 지지틀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틀의 상부로 보조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된 보조보강재의 상부로 쇄석을 포설한 후 상기 보조보강재의 전단을 상기 포설된 쇄석의 외부를 덮어 감싸며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주보강재 상부로 상기 쇄석 후방측으로 토사를 상부가 수평하게 채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옹벽 구축방법에 의하면, 경사진 원지형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옹벽이 구축되고자 하는 위치와 경사지형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서 적합한 형태의 옹벽 구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 및 시공 시간의 단축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옹벽 구축방법에 의하면, 지형의 절토 작업 등이 필요 없어 작업 안전성을 도모하고 옹벽 구축에 적용되는 지압판 등의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시공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다른 기술에 따라 구축된 옹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옹벽이 구축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
도 12는 지지틀과 걸림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보강보드가 걸림부재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4는 걸림부재에 보강보드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지압판 위치지정모듈의 사시도;
도 16은 지압판 위치지정모듈이 보강유닛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지압판 위치지정모듈을 이용 지압판의 위치를 설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옹벽이 구축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9는 상기 도 18에서 지압판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옹벽이 구축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다른 기술에 따라 구축된 옹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옹벽이 구축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
도 12는 지지틀과 걸림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보강보드가 걸림부재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4는 걸림부재에 보강보드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지압판 위치지정모듈의 사시도;
도 16은 지압판 위치지정모듈이 보강유닛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지압판 위치지정모듈을 이용 지압판의 위치를 설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옹벽이 구축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9는 상기 도 18에서 지압판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옹벽이 구축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4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옹벽 구축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옹벽이 구축되고자 하는 위치로부터 후방측으로 이단 이상 서로 다르게 경사진 지형에 하부 지반으로부터 1차계획고(h1)까지 후방측 경사지형에 복수의 천공홀(H)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형성된 각 천공홀(H)에 강봉 형태의 보강유닛(110)을 단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하고, 천공홀(H) 내부에 그라우팅재(G)를 충진하여 보강유닛(110)을 지형에 일체화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지형에 천공홀(H)과 보강유닛(110) 및 그라우팅재(G) 주입 단계는 지반 하부로부터 상측 기 설정 높이까지 복수 회 반복되어 복수 개의 천공홀(H)과 보강유닛(110)이 설치되도록 하게 되는데, 먼저 천공홀(H)들을 복수 개 형성한 후에 상술한 보강유닛(110) 설치 및 그라우팅재(G) 주입 작업이 후작업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강유닛(110)은 전체적으로 모든 보강유닛(110)의 단부가 지반에 수직한 동일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천공홀(H)의 깊이 및 보강유닛(110)의 길이와 설치 위치가 한정된다.
상술한 과정들을 거친 후에는 지형 외부로 일부 길이 노출된 상기 보강유닛(110) 단부에 지압판(112)을 설치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 지압판(112)은 상기 보강유닛(110) 단부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지반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보강유닛(110)에 설치되는 지압판(112)들이 동일 위치로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난 후,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지압판(112)이 내설된 상태로 종래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콘크리트 등을 포설하는 등의 방식으로 1차옹벽(121)을 구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축조된 1차옹벽(121)은 지형에 고정된 상기 보강유닛(110)과 지압판(112)들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어 견고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1차옹벽(121)과 후방측 지형 사이로 상기 1차옹벽(121)에 대응되는 높이로 토사를 충진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1차옹벽 구조체가 완료된다.
다음으로는, 도 9 및 도 10에와 같이, 상기 토사가 충진된 상부로 보강토체를 2차계획고(h2)까지 다수 회 적층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토체는 상기 충진된 토사 상부로 주보강재(162)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주보강재(162)의 상부 전방측으로 지지틀(150)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틀(150)의 상부로 보조보강재(160)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된 보조보강재(160)의 상부로 쇄석()을 포설한 후 상기 보조보강재(160)의 전단을 상기 포설된 쇄석()의 외부를 덮어 감싸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주보강재(162) 상부로 상기 쇄석() 후방측으로 토사()를 상부가 수평하게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보강재(162)는 토목섬유매트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보조보강재(160)는 토목섬유매트나 부직포재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보강토체의 구축 단계에서 상기 지지틀(150) 전방측으로 "┏┓" 형태로 절곡된 걸림부재(180)의 일측 절곡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된다(도 12 참조).
상기 걸림부재(180)는 양측이 수직 절곡된 강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틀(150) 전방측에 상기 걸림부재(180)의 일측 절곡부는 용접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체적으로 상기 1차옹벽(121)에 상부 수직 방향으로 전술한 적층된 보강토체 각각에 설치시킨 상기 걸림부재(180)들이 동일 수직 위치로 배치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180)의 타측 노출된 절곡부가 내설된 상태로 2차옹벽(122) 및 전체 복합 옹벽 구축이 완료되며, 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옹벽 구축방법에 의하면, 경사진 원지형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옹벽이 구축되고자 하는 위치와 경사지형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서 적합한 형태의 옹벽 구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 및 시공 시간의 단축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지형의 절토 작업 등이 필요 없어 작업 안전성을 도모하고 옹벽 구축에 적용되는 지압판 등의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시공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보강보드가 걸림부재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4는 걸림부재에 보강보드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틀(150) 타측으로 노출된 상기 걸림부재(180)의 타측에 별도로 구비되는 보강보드(190)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보드(190)는 판상의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부재(180)에 용접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보강보드(190)는 상기 걸림부재(180)의 타측에 대응하여 수직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보드(190)는 다수행 및 다수열로 관통공(19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보강보드(190)는 보강토체와 2차 옹벽과의 결합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강유닛(110) 단부에 지압판(112)을 설치 시 지압판(112)의 설치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지압판 위치지정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16은 지압판 위치지정모듈이 보강유닛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7은 지압판 위치지정모듈을 이용 지압판의 위치를 설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판 위치지정모듈(200)은 양측이 개구된 관형태의 중앙관부(215)와, 상기 중앙관부(215) 양측에 구비되는 림부(210)와, 상기 림부(210) 사이 중앙관부(215)에 감겨지는 스트링부(50)와, 상기 스트링부(50)의 자유단 단부에 고정되는 중량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관부(215)는 금속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 림부(210) 외부로부터 상기 중앙관부(215) 일측에 자력에 의하여 고정되는 링형 자석부(25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지압판 위치지정모듈(200)는 보강유닛(110) 단부에 지압판(112)을 설치 후, 지압판(112) 외측으로 상기 중앙관부(215)를 보강유닛(110)이 관통되도록 배치시키되 자석부(250)를 이용 중앙관부(215)가 보강유닛(110)의 기 설정 위치에 임시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중량부(230)를 하측으로 잡아당기어 스트링부(50)가 지반에 수직한 일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후, 상기 스트링부(50) 위치로 전체 보강유닛(110) 단부 지압판(112) 위치를 설정하고 결합함으로써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옹벽이 구축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9는 상기 도 18에서 지압판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차옹벽(121) 외측까지 보강유닛(110) 단부가 기 설정 길이 노출되도록 한 후, 상기 노출된 보강유닛(110) 단부에 지압판(112)과 체결너트(114)를 체결하여 1차옹벽(121) 외측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지압판(112) 중앙부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부를 통하여 상기 보강유닛(110)이 관통되도록 한 후, 상기 관통보다 직경이 큰 체결너트(114)가 상기 보강유닛(110) 단부에 나사 체결되도록 하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옹벽이 구축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1차옹벽(121) 외측까지 보강유닛(110) 단부가 기 설정 길이 노출되도록 한 후, 상기 노출된 보강유닛(110) 단부에 지압판(112)과 체결너트(114)를 체결하여 1차옹벽(121) 외측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부재(180)가 "┏━" 자 형태로 일측만이 수직 절곡되도록 형성된 후, 상기 절곡된 부위가 지지틀에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 지지되도록 하되 타측 일자부위는 2차옹벽(122) 외측으로 소정 길이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2차옹벽(122) 외측으로 노출된 걸림부재(180)의 타측 단부에 지압판(112)과 체결너트(114)가 체결되어 2차옹벽(122)을 보강토체 전방측에 견고히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보강유닛
112: 지압판
121: 1차옹벽
122: 2차옹벽
150: 지지틀
180: 걸림부재
112: 지압판
121: 1차옹벽
122: 2차옹벽
150: 지지틀
180: 걸림부재
Claims (18)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옹벽이 구축되고자 하는 위치로부터 후방측으로 이단 경사진 지형에 설치되는 복합 옹벽 구축방법에 있어서,
지반으로부터 1차계획고까지 경사지형에 복수의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각 천공홀에 보강유닛을 단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유닛 단부에 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유닛 중 선택된 보강유닛 단부에 지압판 위치지정모듈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위치지정모듈을 이용 지압판들의 위치를 상하 대응되는 위치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압판이 내설된 상태로 1차옹벽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1차옹벽과 후방측 지형 사이로 상기 1차옹벽에 대응되는 높이로 토사를 충진하는 단계;
상기 토사가 충진된 상부로 보강토체를 2차계획고까지 다수 회 적층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토체 전방측으로 2차옹벽을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토체는 상기 충진된 토사 상부로 주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주보강재의 상부 전방측으로 지지틀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틀의 상부로 보조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된 보조보강재의 상부로 쇄석을 포설한 후 상기 보조보강재의 전단을 상기 포설된 쇄석의 외부를 덮어 감싸며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주보강재 상부로 상기 쇄석 후방측으로 토사를 상부가 수평하게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틀 전방측으로 "┏┓" 형태로 절곡된 걸림부재의 일측 절곡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의 타측에 상기 걸림부재의 타측에 대응하여 수직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수행 및 다수열로 관통공이 형성된 보강보드를 용접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의 타측 절곡부 및 보강보드가 내설된 상태로 2차 옹벽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압판 위치지정모듈은 양측이 개구된 관형태의 중앙관부와, 상기 중앙관부 양측에 구비되는 림부와, 상기 림부 사이 중앙관부에 감겨지는 스트링부와, 상기 스트링부의 자유단 단부에 고정되는 중량부를 포함하는,
복합 옹벽 구축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판은 중앙부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압판의 관통부를 통하여 상기 보강유닛이 관통되도록 한 후, 상기 관통부보다 직경이 큰 체결너트가 상기 보강유닛 단부에 나사 체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합 옹벽 구축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1773A KR102644475B1 (ko) | 2022-09-26 | 2022-09-26 | 복합 옹벽 구축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1773A KR102644475B1 (ko) | 2022-09-26 | 2022-09-26 | 복합 옹벽 구축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44475B1 true KR102644475B1 (ko) | 2024-03-06 |
Family
ID=90239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1773A KR102644475B1 (ko) | 2022-09-26 | 2022-09-26 | 복합 옹벽 구축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4475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4965A (ko) * | 2001-08-14 | 2003-02-20 |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 블록식 옹벽의 축조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
KR100519072B1 (ko) * | 2005-07-12 | 2005-10-25 | 한국씨엠이엔지(주) |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
KR20090093556A (ko) * | 2008-02-29 | 2009-09-02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벽체를 이루는 패널과 강성 벽체구조 및 이를 이용한보강토 옹벽 |
KR20090105728A (ko) * | 2008-04-03 | 2009-10-07 | 송준호 | 적층부재 압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옹벽 시공방법 |
KR20100115919A (ko) * | 2009-04-21 | 2010-10-29 | (주)이랜드건설 | 옹벽과 그 시공방법 |
KR101022009B1 (ko) | 2009-02-18 | 2011-03-16 | (주)하이빅스이앤지 | 가압식 소일네일링 공법을 적용한 사면 안착형 보강토 옹벽시공방법과 보강토 옹벽블록 |
-
2022
- 2022-09-26 KR KR1020220121773A patent/KR1026444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4965A (ko) * | 2001-08-14 | 2003-02-20 |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 블록식 옹벽의 축조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
KR100519072B1 (ko) * | 2005-07-12 | 2005-10-25 | 한국씨엠이엔지(주) |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
KR20090093556A (ko) * | 2008-02-29 | 2009-09-02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벽체를 이루는 패널과 강성 벽체구조 및 이를 이용한보강토 옹벽 |
KR20090105728A (ko) * | 2008-04-03 | 2009-10-07 | 송준호 | 적층부재 압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옹벽 시공방법 |
KR101022009B1 (ko) | 2009-02-18 | 2011-03-16 | (주)하이빅스이앤지 | 가압식 소일네일링 공법을 적용한 사면 안착형 보강토 옹벽시공방법과 보강토 옹벽블록 |
KR20100115919A (ko) * | 2009-04-21 | 2010-10-29 | (주)이랜드건설 | 옹벽과 그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2972B1 (ko) | 멀티보강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0932468B1 (ko) | 원심 성형 중공 피씨 기둥 및 이것과 함께 현장타설 콘크리트 또는 철골 기둥을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 |
KR101179770B1 (ko) | 흙막이 가설구조 및 흙막이 가설 방법 | |
CN105134269B (zh) | 一种锚索穿棚协同承载的巷道围岩控制方法 | |
CN109235490B (zh) | 挡土墙及其施工方法 | |
CN110159323B (zh) | 适用于特大断面地下硐室开挖和钢拱架固定的施工方法 | |
KR102429084B1 (ko) | 이열 말뚝 자립형 흙막이 공법 | |
KR102018567B1 (ko) | 자립식 옹벽구조 | |
KR102084829B1 (ko) | 각형강관과 합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활용한 pc 탑다운공법 | |
KR20140055639A (ko) | 흙막이 겸용 건축빔 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건축빔 구조체 | |
KR20200124949A (ko) | 앵커 인장식 흙막이 구조 및 흙막이 공법 | |
CN203614107U (zh) | 马头门复合支护结构 | |
KR101958126B1 (ko) | 지주 구조체 | |
CN110616740A (zh) | 一种地铁矿山法建成区间扩建成渡线段的结构及其施工方法 | |
KR20120039439A (ko) | 엄지말뚝을 이용한 합성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644475B1 (ko) | 복합 옹벽 구축방법 | |
KR101324231B1 (ko) | 소일 시멘트벽 가시설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0763443B1 (ko) | 식생 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0520480B1 (ko) | 합성 기둥을 이용한 도로 하천제방 옹벽구조 | |
KR20120122024A (ko) | 커플러와 볼트를 활용하여 가설 흙막이벽과 지하실 외벽을 일체화하는 공법 | |
KR20040031451A (ko) | 혁신적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 |
KR102043582B1 (ko) | 기초부 보강방안이 구비된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방법 | |
KR200308716Y1 (ko) |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 |
KR101147460B1 (ko) | 기둥을 이용한 직립식 절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CN208857826U (zh) | 一种边坡加固的预制格构梁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