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957B1 - 콘크리트 기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기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957B1
KR102275957B1 KR1020207031237A KR20207031237A KR102275957B1 KR 102275957 B1 KR102275957 B1 KR 102275957B1 KR 1020207031237 A KR1020207031237 A KR 1020207031237A KR 20207031237 A KR20207031237 A KR 20207031237A KR 102275957 B1 KR102275957 B1 KR 102275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oundation
precast concrete
hole
connecting member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8591A (ko
Inventor
유미코 후나코시
유 나가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프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프렉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프렉스
Publication of KR20200128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16Flat foundations made mainly from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0Anchored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2Flat foundations without substantial excav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8Reinforcements for 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6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without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를 지반에 대하여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콘크리트 기초 구조(10)는 지반(G)에 매설된 돌출부(30)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를 구비하고 있다. 지반(G)에 형성된 굴삭 구멍(18)의 내부에는 앵커 플레이트(20)가 배치되어 있으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와 앵커 플레이트(20)가 연결 부재(22)로 연결되어 있다. 굴삭 구멍(18)의 내부에는 고화재와 흙을 포함하는 되메움재(94)로 되메움부(24)가 구성되어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와 되메움부(24) 사이에는, 고화재를 포함하는 충전재(96)로 충전층(26)이 구성되어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는 연결 부재(22)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공(42)을 갖고 있으며, 충전층(26)을 구성하는 충전재(96)는 관통공(42)으로부터 충전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기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를 사용한 콘크리트 기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하중(荷重)을 받기 위한 기초로서 줄기초, 통기초 및 독립기초 등의 콘크리트제 기초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초를 시공할 때에는, 현장에서 형틀을 조립하는 공정, 철근을 구조 설계대로 배근하는 공정, 형틀 내에 콘크리트를 유입하는 공정, 콘크리트를 경화(硬化)시키는 공정 및 형틀을 떼어내는 공정 등 많은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사 기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기초는 현장에서 사람의 수작업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완성 정밀도에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숙련된 기능자 외, 콘크리트 펌프차 등의 특수 차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공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종래 기술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초 구조가 있다. 이 기초 구조는 지반의 표면에 배치된 콘크리트 기초판과 땅 속에 박힌 지중 앵커를 구비하고 있으며, 콘크리트 기초판과 지중 앵커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기초 구조에 의하면, 콘크리트 기초판을 공장에서 생산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의 콘크리트의 타설 작업 등을 생략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43027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초 구조는 전기 온수기 등의 기기의 하중을 받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며, 건물의 하중을 받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가정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당해 기초 구조를 건물의 하중을 받는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콘크리트 기초판이 침강하거나, 건물에 닿는 바람의 힘으로 지중 앵커가 뽑혀 콘크리트 기초판이 움직일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를 지반에 대해 강고(强固)하게 고정할 수 있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특징은, 지반의 표면에 배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의 하방의 상기 지반을 굴삭(掘削)하여 구성된 굴삭 구멍과, 상기 굴삭 구멍의 내부에 배치된 판(板) 형태의 앵커 플레이트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앵커 플레이트를 연결한 봉(棒) 형태의 연결 부재와, 고화재(固化材)를 포함하는 되메움재를 상기 굴삭 구멍에 되메움하여 구성된 되메움부와, 고화재를 포함하는 충전재(充塡材)를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되메움부 사이에 충전하여 구성된 충전층을 구비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는, 상기 되메움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구성된 기초 본체와, 상기 기초 본체의 외주부(外周部)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상기 지반에 매설된 돌출부를 갖고 있다는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의 하방에 구성된 되메움부가 고화재를 사용하여 굳어져 있으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되메움부 사이에 구성된 충전층이 고화재를 사용하여 굳어져 있으므로, 되메움부 및 충전층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에 연결된 앵커 플레이트가 되메움부에 매설됨으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되메움부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되메움부의 외면과 굴삭 구멍의 내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의 돌출부가 지반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돌출부와 지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를 지반에 대해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다른 특징은,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초 본체의 외주부에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돌출부가 기초 본체의 외주부에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되메움부의 상부를 돌출부로 둘러쌀 수 있음과 함께, 돌출부의 둘레 전체 위에 지반을 존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에 수평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되메움부 및 지반에 의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다른 특징은, 상기 기초 본체에는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공(貫通孔)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상기 기초 본체에 당접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부가 장착되어 있다는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되메움부에 매설된 연결 부재의 상단부를 기초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 통과시키고, 그 후, 연결 부재의 관통공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이동 저지부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되메움부를 구성할 때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를 연결 부재로부터 분리시켜 두는 것이 가능하고, 되메움부를 구성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다른 특징은,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는 상기 충전재와 동종(同種)의 충전재가 충전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충전된 상기 충전재는, 상기 충전층을 구성하는 상기 충전재와 연속하여 일체화되어 있다는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되메움부 사이에 존재하는 연결 부재의 제1 부분과, 관통공의 내부에 존재하는 연결 부재의 제2 부분을 연속하는 하나의 충전재로 감쌀 수 있으므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경계부에 전단력(剪斷力)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 부재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다른 특징은, 상기 관통공은 하방을 향해 횡단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관통공이 하방을 향해 횡단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를 충전층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했을 때에는, 관통공의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가 관통공의 내면에 걸린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는 충전층으로부터 분리되기 어렵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시공 방법의 특징은, 지반을 굴삭하여 굴삭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 (a)와, 판 형태의 앵커 플레이트를 봉 형태의 연결 부재의 하단부에 장착함과 함께, 상기 앵커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굴삭 구멍의 내부에 배치하는 공정 (b)와, 고화재를 포함하는 되메움재를 상기 굴삭 구멍에 되메움하여 되메움부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연결 부재의 상단부를 상기 되메움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시키는 공정 (c)와, 상기 연결 부재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기초 본체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를 준비하는 공정 (d)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를 상기 지반의 표면에 배치하여, 상기 관통공에 상기 연결 부재를 삽입 통과시키는 공정 (e)와, 고화재를 포함하는 충전재를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되메움부 사이에 충전하는 공정 (f)와, 상기 기초 본체에 당접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부를,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장착하는 공정 (g)를 구비한다는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정 (c)에 있어서, 고화재를 포함하는 되메움재를 굴삭 구멍에 되메움하여 되메움부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되메움부를 단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공정 (f)에 있어서, 고화재를 포함하는 충전재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되메움부 사이에 충전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충전재로 구성되는 충전층을 단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되메움부 및 충전층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공정 (b)에서는 앵커 플레이트 및 연결 부재를 굴삭 구멍의 내부에 배치하고, 공정 (c)에서는 되메움재를 굴삭 구멍에 되메움하여 되메움부를 구성하며, 공정 (g)에서는 이동 저지부를 연결 부재의 관통공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되메움부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되메움부의 외면과 굴삭 구멍의 내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시공 방법의 다른 특징은, 상기 공정 (f)에서는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도 상기 충전재를 충전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되메움부 사이에 충전된 상기 충전재와,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충전된 상기 충전재를 연속시켜 일체화시키는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되메움부 사이에 존재하는 연결 부재의 제1 부분과, 관통공의 내부에 존재하는 연결 부재의 제2 부분을 연속하는 하나의 충전재로 감쌀 수 있으므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경계부에 전단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 부재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시공 방법의 다른 특징은, 상기 공정 (f)에서는 상기 충전재를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되메움부 사이에 충전한다는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 부재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으로부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되메움부 사이에 충전재를 충전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충전재를 충전하기 위한 관통공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의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시공 방법의 다른 특징은, 상기 공정 (c)에서는 상기 되메움부를 전압(轉壓)한다는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정 (c)에 있어서, 되메움부를 전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되메움부를 보다 강고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시공 방법의 다른 특징은, 상기 공정 (e)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된 암나사부를 갖는 높이 조정구를,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의 측면에 장착하고, 상기 수나사부를 회전시켜 상기 수나사부의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의 높이를 조정한다는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정 (e)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콘크리트 기초 구조를 높은 정밀도로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정구는 수나사부와 암나사부를 갖는 단순한 구성이기 때문에, 높이 조정 작업을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굴삭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B)는 굴삭 구멍의 내부에 앵커 플레이트 및 연결 부재를 배치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C)는 되메움재를 굴삭 구멍에 되메움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의 (D)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를 지반의 표면에 배치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E)는 충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F)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를 연결 부재에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에 높이 조정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에 높이 조정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충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콘크리트 기초 구조에 대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 구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10)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콘크리트 기초 구조(10)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10)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10)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10)는 지반(G)의 표면에 있어서, 건물(12)의 하중을 받는 구조체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사용예에서는, 건물(12)의 바닥 면적에 따라 정해진, 필요한 지지 면적(예를 들면, 바닥 면적의 1/3 이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4개의 콘크리트 기초 구조(10)가 서로 간격을 두고 시공되어 있다. 각 콘크리트 기초 구조(10)의 상부에는 바닥 구조(14)를 구성하는 장선(14a)이 고정되어 있으며, 2개의 콘크리트 기초 구조(10)의 각각 절반을 사용하여, 현관 포치(12a)의 하중을 받고 있다.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콘크리트 기초 구조(10) 사이에는, 상하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각종 배관(P)을 통과하기 위한 공간(S)(땅 속을 포함한다)이 구성되어 있다. 이 공간(S)이 바닥 아래 공간에 바깥공기를 받아들이거나, 바닥 아래 공간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로로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관(P)은 관로(管路) 유지 부재(62)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기초 구조(10)에 고정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기초 구조(1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 굴삭 구멍(18), 앵커 플레이트(20), 2개의 연결 부재(22), 되메움부(24) 및 충전층(26)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중,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 앵커 플레이트(20) 및 2개의 연결 부재(22)는 공장에서 제조되고, 굴삭 구멍(18), 되메움부(24) 및 충전층(26)은 현장에서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는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의 판 형태 또는 블록 형태의 부재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는 되메움부(24)(도 1)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구성된 기초 본체(28)와, 기초 본체(28)의 외주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지반 (G)(도 1)에 매설되는 돌출부(30)를 갖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 본체(28)는 상방을 향해 열린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인 2개의 오목부(32)를 갖고 있다. 2개의 오목부(32)는 기초 본체(28)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으며, 2개의 오목부(32) 사이에는 칸막이부(34)가 구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32)의 개구(32a)가 열린 기초 본체(28)의 상면(28a)은 일정한 높이로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상면(28a)이 건물(12)의 하중을 받는 지지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상면(28a)에는 도 1에 나타내는 장선(14a) 등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38)가 나사 결합되는 복수의 암나사 부재(40)가 매설되어 있다.
2개의 오목부(32)의 각각의 바닥부(32b)에는 연결 부재(22)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공(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오목부(32)의 각각의 바닥부(32b)에는 아이볼트 등을 걸기위한 금구(44)(도 8의 (A), (B))가 나사 결합되는 복수의 암나사 부재(46)가 매설되어 있다.
관통공(42)은 연결 부재(22)를 삽입 통과시키는 기능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와 되메움부(24) 사이에 충전재(96)(도 9)를 도입하는 기능을 병유하는 것이다. 관통공(42)은 하방을 향해 횡단 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10)에 있어서, 관통공(42)의 내부에는 연결 부재(22)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42)의 내부에는 충전층(26)을 구성하는 후술의 충전재(96)와 동종의 충전재(96)가 충전되어 있다. 관통공(42)의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96)는, 충전층(26)을 구성하는 충전재(96)와 연속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 본체(28)의 상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한쪽 단부에는 단차부(段差部)(48)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48)의 상면(48a)은 기초 본체(28)의 상면(28a)보다도 낮은 높이로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상면(48a)이 건물(12)의 하중을 받는 봉 형태의 지지체(50)(도 3) 등을 지지하는 지지면으로 되어 있다. 단차부(48)의 상면(48a)에는 지지체(50) 등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52)(도 3)가 나사 결합되는 복수의 암나사 부재(54)가 매설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30)는 기초 본체(28)의 외주부에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바닥면에서 본 형상이 장방형이 되도록, 돌출부(30)는 바닥면에서 볼 때 사각형의 벽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0)의 안쪽에는 되메움부(24)(도 1)의 상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56)이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30)의 내측면(30a)은 수용 공간(56)의 횡단면(수평 단면)이 하방을 향해 서서히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철근(74)의 일부는 돌출부(30)의 내측면(30a)에 따라, 그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돌출부(30)의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 수용 공간(56)의 개구(56a)가 열린 돌출부(30)의 하면(30b)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4개의 측면(58a, 58b, 60a, 60b)의 각각에는, 도 1에 나타내는 관로 유지 부재(62) 등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64)가 나사 결합되는 복수의 암나사 부재(66)가 매설되어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폭 방향의 양측면(60a, 60b)에는, 도 8의 (A), (B)에 나타내는 높이 조정구(68)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70)가 나사 결합되는 복수의 암나사 부재(72)가 매설되어 있다. 또한, 기초 본체(28) 및 돌출부(30)의 각각의 내부에는, 이들을 보강하기 위한 철근(74)이 매설되어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사이즈는 길이 2516㎜, 폭 1367㎜, 높이 600㎜로 정해져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중량은 2765Kg으로 정해져 있다. 수용 공간(56)의 개구(56a)의 사이즈는 길이 2216㎜, 폭 1067㎜로 정해져 있다. 관통공(42)의 사이즈는 상단부의 내경 60㎜, 하단부의 내경 50㎜로 정해져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앵커 플레이트(20)는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의 판 형태 부재이며, 압연강재(壓延鋼材)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용이하게 구부러지지 않는 강도로 형성되어 있다. 앵커 플레이트(20)에는 연결 부재(22)가 삽입 통과되는 2개의 관통공(76)이,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앵커 플레이트(20)의 사이즈는 길이 2000㎜, 폭 800㎜, 두께 12㎜로 정해져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22)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와 앵커 플레이트(20)를 연결하는 부재이며,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원형 단면을 갖는 봉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22)의 한쪽 단부(하단부)에는 제1 수나사부(78a)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 부재(22)의 다른 쪽 단부(상단부)에는 제2 수나사부(78b)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22)의 사이즈는 길이 1000∼2000㎜, 직경 20㎜로 정해져 있다. 연결 부재(22)의 강도는 전단 강도 7t으로 정해져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10)에 있어서, 연결 부재(22)는 굴삭 구멍(18)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 부재(22)의 제1 수나사부(78a)는 앵커 플레이트(20)의 관통공(76)에 삽입 통과되어 있으며, 제1 수나사부(78a)에 나사 결합된 2개의 암나사 부재(80, 82)로 앵커 플레이트(20)가 끼워져 있다. 이에 의해, 앵커 플레이트(20)가 연결 부재(22)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연결 부재(22)의 제2 수나사부(78b)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관통공(42)에 삽입 통과되어 있고, 제2 수나사부(78b)의 관통공(42)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이동 저지부(84)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가 연결 부재(22)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동 저지부(84)는 기초 본체(28)에 당접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부재이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22)의 제2 수나사부(78b)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84a)를 갖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삭 구멍(18)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하방의 지반(G)을 굴삭함으로써,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굴삭 구멍(18)의 상부의 내주부(內周部)에는 단차부(86)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차부(86)의 상면에는 콘크리트층(88) 및 혼합 모르타르층(90)이 이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콘크리트층(88)은 단차부(86)의 상면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층이며, 혼합 모르타르층(9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 조정층이다. 혼합 모르타르층(90)에 있어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가 재치되는 영역의 주위에는, 지반(G)의 벽면(92)이 구성되어 있다. 굴삭 구멍(18)의 사이즈는 길이 2100㎜, 폭 900㎜, 깊이 1000∼2000㎜로 정해져 있다.
굴삭 구멍(18)의 개구(18a)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수용 공간(56)의 개구(56a)보다도 안쪽에 배치되어 있고, 지반(G)의 벽면(92)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돌출부(30)의 외측면보다도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돌출부(30)를 단차부(86)에 재치할 수 있으며, 단차부(86)를 구성하는 지반(G)에 의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메움부(24)는 물에 반응하여 고화하는 시멘트계 고화재와 흙을 포함하는 되메움재(94)를 굴삭 구멍(18)에 되메움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되메움부(24)는 전압됨으로써 강고하게 굳어져 있으며, 되메움부(24)의 외면이 굴삭 구멍(18)의 내면에 밀접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굴삭 구멍(18)은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굴삭 구멍(18)에 되메움된 되메움재(94)는 굴삭 구멍(18)의 내부에서 사각 기둥상으로 굳어지고, 앵커 플레이트(20) 및 연결 부재(22)와 일체화되어 있다. 되메움부(24)의 상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수용 공간(56)에 수용되어 있으며, 되메움부(24)의 상면(24a)의 전체가 수용 공간(56)을 구성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하면(16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층(26)은 물에 반응하여 고화하는 시멘트계 고화재를 포함하는 충전재(96)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와 되메움부(24) 사이에 충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충전재(96)는 「시멘트 밀크」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되메움부(24)의 상면(24a)의 전체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하면(16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되메움부(24)의 상면(24a)의 전체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하면(16a)을 충전층(26)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에 작용하는 건물(12)의 하중을 되메움부(24)의 전체에서 받을 수 있다.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시공 방법)
도 6의 (A)는 굴삭 구멍(18)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의 (B)는 굴삭 구멍(18)의 내부에 앵커 플레이트(20) 및 연결 부재(22)를 배치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의 (C)는 되메움재(94)를 굴삭 구멍(18)에 되메움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의 (D)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를 지반(G)의 표면에 배치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의 (E)는 충전층(26)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의 (F)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를 연결 부재(22)에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콘크리트 기초 구조(10)를 시공할 때에는, 시공자는 이하의 각 공정 (a)∼(g)를 이 순서로 실행한다.
공정 (a)에서는 건물(12)(도 3)의 시공 현장에서, 콘크리트 기초 구조(10)를 시공할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결정한 위치의 지반(G)을 파서 굴삭 구멍(18)을 구성한다. 이 때, 굴삭 구멍(18)의 상부의 내주부에 단차부(86)를 구성한다.
공정 (b)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앵커 플레이트(20)를, 봉 형태의 연결 부재(22)의 하단부에 2개의 암나사 부재(80, 82)를 사용하여 장착한다. 그리고,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앵커 플레이트(20) 및 2개의 연결 부재(22)를 굴삭 구멍(18)의 내부에 배치한다. 이 때, 앵커 플레이트(20)를 수평으로 배치하고, 2개의 연결 부재(22)를 앵커 플레이트(20)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한다.
공정 (c)에서는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에 반응하여 고화하는 고화재와 흙을 포함하는 되메움재(94)를 굴삭 구멍(18)에 되메움하여 되메움부(24)를 구성한다. 또한, 연결 부재(22)의 상단부를 되메움부(24)의 상면(24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되메움부(24)를 전압하여 되메움부(24)에 포함되는 공기를 뽑는다. 그러면, 고화재가 흙의 수분에 반응하여 고화함과 함께, 되메움부(24)가 단단해진다.
공정 (d)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를 준비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는 기초 본체(28)와 돌출부(30)를 갖고 있고, 기초 본체(28)에는 연결 부재(22)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42)이 형성되어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는 그 사이즈 및 중량이 상기와 같이 정해져 있는 점에서 차량에 의한 운반이 가능하고, 공장 설비를 이용하여 고정밀도로 제조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를 차량에 재치하여 현장에 반입할 수 있다.
공정 (e)에서는 도 7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를 지반(G)의 표면에 배치하고, 관통공(42)에 연결 부재(22)를 삽입 통과시킨다. 또한, 도 8의 (A), (B)에 나타내는 2개의 높이 조정구(68)를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높이를 조정한다.
도 8의 (A)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에 높이 조정구(68)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8의 (B)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에 높이 조정구(68)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조정구(68)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수나사부(98)와, 수나사부(98)가 나사 결합된 암나사부(100a)를 갖는 지지체(支持體)(100)와, 2개의 지지체(100)가 고정된 기체(基體)(102)를 갖고 있다. 기체(102)의 길이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정해져 있다. 2개의 지지체(100)는 기체(10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기체(102)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암나사 부재(72)(도 4, 도 5)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70)가 삽입 통과되는 복수의 관통공(104)이 형성되어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높이를 조정할 때에는,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높이 조정구(68)를, 볼트(70)를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폭 방향의 양측면(60a, 60b)에 장착한다. 또한, 도 7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차부(86)의 상면에 콘크리트층(88) 및 혼합 모르타르층(90)을 이 순서로 형성한다. 이어서, 도 8의 (A), (B)에 나타내는 와이어(W)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를 매달고, 이를 혼합 모르타르층(90)에 재치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높이를 측정한다. 그리고, 수나사부(98)를 회전시켜 수나사부(98)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98a)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측정값이 설계값에 일치하도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높이를 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에 대해 4개의 수나사부(98)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각 수나사부(98)를 적절히 회전시킴으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높이를 정밀도가 양호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에 장착되는 수나사부(98)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개 이하여도 되고, 5개 이상이어도 된다.
공정 (f)에서는 도 7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에 반응하여 고화하는 고화재와 물을 포함하는 충전재(96)를 관통공(42)으로부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와 되메움부(24) 사이에 충전한다. 그러면, 충전재(96)의 고화재가 물에 반응하여 고화함으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와 되메움부(24) 사이에 충전층(26)이 구성된다. 이 때, 충전재(96)의 일부가 되메움부(24)에 침투하므로, 충전층(26)은 되메움부(24)와 강고하게 일체화된다.
도 9는 충전층(26)을 형성하는 공정을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공정 (f)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재(96)의 일부를 관통공(42)의 내부에도 충전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와 되메움부(24) 사이에 충전된 충전재(96)와, 관통공(42)의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96)를 연속시켜 일체화시킨다.
공정 (g)에서는 도 7의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 본체(28)에 당접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부(84)를, 연결 부재(22)의 관통공(42)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장착한다. 즉, 이동 저지부(84)의 암나사(84a)(도 4)를 연결 부재(22)의 제2 수나사부(78b)에 나사 결합한다.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구성에 의해 이하의 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도 1에 나타내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하방에 구성된 되메움부(24)가 고화재를 사용하여 굳어져 있으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와 되메움부(24) 사이에 구성된 충전층(26)이 고화재를 사용하여 굳어져 있으므로, 되메움부(24) 및 충전층(26)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에 연결된 앵커 플레이트(20)가 되메움부(24)에 매설됨으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와 되메움부(24)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되메움부(24)의 외면과 굴삭 구멍(18)의 내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돌출부(30)가 지반(G)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돌출부(30)와 지반(G)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를 지반(G)에 대해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각 부분의 사이즈, 중량 및 재질 등이 정해져 있는 점에서, 지반 지지력 5t/㎡ 이상의 지반(G)에 있어서는, 1개의 콘크리트 기초 구조(10)에 대해, 16.7t의 인발저항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4개의 콘크리트 기초 구조(10)를 사용한 사용예(도 1, 도 2)에서는, 전체로서 66.8t의 높은 인발저항력을 얻을 수 있으며, 풍속 80m/s 정도의 회오리 바람에도 견딜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30)가 기초 본체(28)의 외주부에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되메움부(24)의 상부를 돌출부(30)로 둘러쌀 수 있음과 함께, 돌출부(30)의 둘레 전체 위에 지반(G)의 벽면(92)(도 1)을 존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에 수평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되메움부(24) 및 지반(G)에 의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22)의 관통공(42)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이동 저지부(84)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되메움부(24)를 구성할 때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를 연결 부재(22)로부터 분리시켜 두는 것이 가능하고, 되메움부(24)를 구성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와 되메움부(24) 사이에 존재하는 연결 부재(22)의 제1 부분(22a)과, 관통공(42)의 내부에 존재하는 연결 부재(22)의 제2 부분(22b)을 연속하는 하나의 충전재(96)로 감쌀 수 있으므로, 제1 부분(22a)과 제2 부분(22b)의 경계부에 전단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 부재(22)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공(42)이 하방을 향해 횡단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를 충전층(26)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했을 때에는, 관통공(42)의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96)가 관통공(42)의 내면에 걸린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는 충전층(26)으로부터 분리되기 어렵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22)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42)으로부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와 되메움부(24) 사이에 충전재(96)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충전재(96)를 충전하기 위한 관통공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높이 조정구(68)는 수나사부(98)와 암나사부(100a)를 갖는 단순한 구성이기 때문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의 높이를 조정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다.
(변형예)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 변경이 가능하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10)가 건물(12)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지만, 콘크리트 기초 구조(10)는 가로등, 간판, 비닐 하우스 및 기계 장치 등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콘크리트 기초 구조(10)의 사이즈 및 중량은, 용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 및 앵커 플레이트(20)가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은 평면에서 볼 때 정방형, 원형, 타원형, 삼각형, 오각형 및 육각형 등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30)가 기초 본체(28)의 외주부에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만, 돌출부(30)는 기초 본체(28)의 외주부에 간헐적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고리형의 일부가 결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관통공(42)이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만, 관통공(42)의 형상은 하방을 향해 횡단 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이면 되고, 예를 들면, 일정한 내경(內徑)으로 형성된 관통공의 내면에 돌기(突起)를 형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관통공(42) 대신에, 일정한 내경을 갖는 통 형태의 관통공(도시 생략)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서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16)와 되메움부(24) 사이에 존재하는 연결 부재(22)의 제1 부분(22a)과, 관통공(도시 생략)의 내부에 존재하는 연결 부재(22)의 제2 부분(22b)을 연속하는 하나의 충전재(96)로 감쌀 수 있으므로, 이들의 경계부에 전단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 부재(22)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앵커 플레이트(20)가 연결 부재(22)에 대해 2개의 암나사 부재(80, 82)로 고정되어 있지만, 앵커 플레이트(20)의 고정 방법은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앵커 플레이트(20)의 상측에 배치된 암나사 부재(82)는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연결 부재(22)의 하단부가 구부러져 앵커 플레이트(20)에 걸려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저지부(84)가 암나사(84a)(도 4)를 갖는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이동 저지부(84)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22)의 상단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 저지부(84)는 그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를 갖는 부재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서도, 이동 저지부(84)는 연결 부재(22)의 관통공(42)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장착되어, 기초 본체(28)에 당접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되메움재(94) 및 충전재(96)의 고화재로서 시멘트계 고화재가 사용되고 있지만, 다른 종류의 고화재가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석회계 고화재나, 시멘트계 고화재와 석회계 고화재를 혼합한 복합계 고화재가 사용되어도 된다. 단, 장기에 걸쳐 안정된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시멘트계 고화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부재(22)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42)으로부터 충전층(26)을 구성하는 충전재(96)를 충전하도록 하고 있지만, 관통공(42)과는 별도로 형성된 관통공(도시 생략)으로부터 충전층(26)을 구성하는 충전재(96)를 충전하도록 하면 된다.
G…지반, 10…콘크리트 기초 구조, 12…건물, 14…바닥 구조, 16…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18…굴삭 구멍, 20…앵커 플레이트, 22…연결 부재, 24…되메움부, 26…충전층, 28…기초 본체, 30…돌출부, 42…관통공, 68…높이 조정구, 84…이동 저지부, 94…되메움재, 96…충전재.

Claims (10)

  1. 지반의 표면에 배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의 하방의 상기 지반을 굴삭하여 구성된 굴삭 구멍과,
    상기 굴삭 구멍의 내부에 배치된 판 형태의 앵커 플레이트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앵커 플레이트를 연결한 봉 형태의 연결 부재와,
    고화재를 포함하는 되메움재를 상기 굴삭 구멍에 되메움하여 구성된 되메움부와,
    고화재를 포함하는 충전재를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되메움부 사이에 충전하여 구성된 충전층을 구비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는, 상기 되메움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구성된 기초 본체와, 상기 기초 본체의 외주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상기 지반에 매설된 돌출부를 갖고 있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초 본체의 외주부에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본체에는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상기 기초 본체에 당접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부가 장착되어 있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는 상기 충전재와 동종의 충전재가 충전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충전된 상기 충전재는, 상기 충전층을 구성하는 상기 충전재와 연속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하방을 향해 횡단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
  6. 지반을 굴삭하여 굴삭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 (a)와,
    판 형태의 앵커 플레이트를 봉 형태의 연결 부재의 하단부에 장착함과 함께, 상기 앵커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굴삭 구멍의 내부에 배치하는 공정 (b)와,
    고화재를 포함하는 되메움재를 상기 굴삭 구멍에 되메움하여 되메움부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연결 부재의 상단부를 상기 되메움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시키는 공정 (c)와,
    상기 연결 부재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기초 본체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를 준비하는 공정 (d)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를 상기 지반의 표면에 배치하여, 상기 관통공에 상기 연결 부재를 삽입 통과시키는 공정 (e)와,
    고화재를 포함하는 충전재를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되메움부 사이에 충전하는 공정 (f)와,
    상기 기초 본체에 당접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부를,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장착하는 공정 (g)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f)에서는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도 상기 충전재를 충전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되메움부 사이에 충전된 상기 충전재와,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충전된 상기 충전재를 연속시켜 일체화시키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시공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f)에서는 상기 충전재를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되메움부 사이에 충전하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시공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c)에서는 상기 되메움부를 전압하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시공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e)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된 암나사부를 갖는 높이 조정구를,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의 측면에 장착하고, 상기 수나사부를 회전시켜 상기 수나사부의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의 높이를 조정하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의 시공 방법.
KR1020207031237A 2019-04-02 2019-12-17 콘크리트 기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2275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70944 2019-04-02
JP2019070944A JP6572469B1 (ja) 2019-04-02 2019-04-02 コンクリート基礎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PCT/JP2019/049486 WO2020202658A1 (ja) 2019-04-02 2019-12-17 コンクリート基礎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591A KR20200128591A (ko) 2020-11-13
KR102275957B1 true KR102275957B1 (ko) 2021-07-12

Family

ID=6790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237A KR102275957B1 (ko) 2019-04-02 2019-12-17 콘크리트 기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47103B2 (ko)
JP (1) JP6572469B1 (ko)
KR (1) KR102275957B1 (ko)
CN (1) CN112074640B (ko)
AU (1) AU2019439273B2 (ko)
CA (1) CA3099161C (ko)
PH (1) PH12020551966A1 (ko)
WO (1) WO20202026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7756B1 (nl) 2021-03-15 2022-09-27 Westo Prefab Betonsystemen B V Fundatie-element voor een mastfundatie, een mastfundatie en een methode om een mastfundatie te plaatsen
IT202100015353A1 (it) * 2021-06-11 2022-12-11 Metallurgica Ledrense Soc Cooperativa Struttura di fondazioni per costruzioni e relativi elementi di connessione meccanic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7173A (ja) 2002-02-05 2003-08-15 Nippon Steel Corp 建造物の柱脚支持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16108810A (ja) 2014-12-05 2016-06-20 旭化成建材株式会社 露出型柱脚構造
KR101869050B1 (ko) 2017-04-28 2018-06-20 에이치엔디종합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기초와 목재기둥 결합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89204A (en) * 1924-04-01 Base fob poles
US107637A (en) * 1870-09-20 Improvement in methods of setting posts
US885043A (en) * 1907-04-12 1908-04-21 James T Hambay Foundation.
US1858925A (en) * 1928-04-05 1932-05-17 Goodrich Chauncey Marsh Short leg tower extension
US3283518A (en) * 1965-04-15 1966-11-08 Norman R Toffolon Soil footing
US4716696A (en) * 1985-05-07 1988-01-05 Joseph Yacoboni Resilient pier and footing arrangement
JPH02197622A (ja) * 1989-01-27 1990-08-06 Toshiba Corp 機器の据付方法
JP3002107B2 (ja) * 1994-12-19 2000-01-24 勤伍 内藤 柱脚構造及び柱脚工法
US6050038A (en) * 1998-09-11 2000-04-18 Fey; James M. Foundation system for supporting a superstructure
KR20010057453A (ko) * 1999-12-23 2001-07-04 이구택 대형 이형철근을 이용한 강재교각 앵커시스템
JP2011043027A (ja) 2009-08-24 2011-03-03 Kyushu Koatsu Concrete Kogyo Kk 機器用基礎構造
CN102979109B (zh) 2012-12-17 2015-06-17 中国电建集团西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装配式预应力混凝土圆筒型柱体基础的设计方法
CN103967031B (zh) 2013-01-24 2015-09-16 中交公路规划设计院有限公司 一种加固地基的沉箱与桩组合基础及其施工方法
CN103334357B (zh) 2013-06-07 2015-07-15 上海嘉实(集团)有限公司 一种高架桥下桩基承台伸入路基的路堤结构及施工方法
CN103388341B (zh) * 2013-07-29 2015-06-17 江苏翔森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大型桩筏基础结构及施工方法
US9003721B1 (en) * 2013-11-08 2015-04-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veling arrangement for a tower
CN203808092U (zh) 2014-03-17 2014-09-03 北京金水源岩土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复合桩基础
CN105442627B (zh) 2016-01-19 2018-09-14 温州电力设计有限公司 一种装配式板索基础
CN206245338U (zh) 2016-10-27 2017-06-13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双层筏板的施工电梯基础结构
CN107816054A (zh) 2017-12-01 2018-03-20 绍兴大明电力设计院有限公司 柔性锚杆基础
CN208235561U (zh) * 2018-05-26 2018-12-14 武恒 一种新式桩基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7173A (ja) 2002-02-05 2003-08-15 Nippon Steel Corp 建造物の柱脚支持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16108810A (ja) 2014-12-05 2016-06-20 旭化成建材株式会社 露出型柱脚構造
KR101869050B1 (ko) 2017-04-28 2018-06-20 에이치엔디종합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기초와 목재기둥 결합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69478A (ja) 2020-10-15
CA3099161A1 (en) 2020-10-08
KR20200128591A (ko) 2020-11-13
CA3099161C (en) 2021-09-14
JP6572469B1 (ja) 2019-09-11
US11047103B2 (en) 2021-06-29
WO2020202658A1 (ja) 2020-10-08
AU2019439273A1 (en) 2021-09-30
CN112074640A (zh) 2020-12-11
PH12020551966A1 (en) 2021-09-13
AU2019439273B2 (en) 2021-10-28
US20210062451A1 (en) 2021-03-04
CN112074640B (zh)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9256A (en) Pinned foundation system
KR102275957B1 (ko) 콘크리트 기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US8443562B2 (en) Form for a concrete footing
KR100519072B1 (ko)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JP5028323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KR20170051018A (ko) Pc패널을 이용한 기초 트윈 월 구조체 및 이의 제작방법
JP2022161709A (ja) ベタ基礎形成用の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材、かか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材を成形するための成形装置、かかる成形装置を用いて上記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材を成形する方法、及び上記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材を用いてベタ基礎を形成する方法
JP5056534B2 (ja) 水勾配床の構造物据付け方法
JP3905858B2 (ja) 交点検測部材および法面補強工法
JP2515227B2 (ja) 現場打ちコンクリ―ト布基礎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ト壁版との取付け方法
JP4332651B2 (ja) 基礎補強装置及び基礎施工方法
KR102092244B1 (ko) 프리캐스트 엘형 옹벽 어셈블리
JP4809446B2 (ja) 浄化槽設置構造
JPH07127114A (ja) 雨水地下貯水施設
JPH026105Y2 (ko)
JP2004300754A (ja) 杭頭接合構造
JP2017166264A (ja) スペーサ及び鉄筋籠の構築方法
KR200183409Y1 (ko) 프리캐스트제 아치형 통로 구축재
US3545149A (en) Concrete grade beam support
CA2816154A1 (en) Suspended accurate placement system hanger for rebar
JPH0743177Y2 (ja) コンクリート布基礎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版との取付け構造
JPH0663643U (ja) 鉄筋コンクリート製l形擁壁
JP2011136336A (ja) 浄化槽設置構造
JPH09158210A (ja) 基礎及びその設置工法
JPH0533353A (ja) 床束石集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