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937Y1 - 이동식 펜스 - Google Patents
이동식 펜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9937Y1 KR200459937Y1 KR2020090015036U KR20090015036U KR200459937Y1 KR 200459937 Y1 KR200459937 Y1 KR 200459937Y1 KR 2020090015036 U KR2020090015036 U KR 2020090015036U KR 20090015036 U KR20090015036 U KR 20090015036U KR 200459937 Y1 KR200459937 Y1 KR 20045993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amp
- pipe
- column
- horizontal
- pip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 Y10S256/03—Wire c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이동식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2개의 기둥 파이프와 상기 2개의 기둥 파이프 사이에 상부 직사각 공간과 하부 직사각 공간을 형성하도록 3열로 배치된 3개의 수평 파이프를 포함하는 프레임;상기 프레임의 기둥 파이프와 3열 중 상단과 하단의 수평 파이프를 연결하는 모서리 클램프; 상기 프레임의 기둥 파이프와 3열 중 중간 수평 파이프를 연결하는 중간 클램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 직사각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철망;을 포함하되,
상기 모서리 클램프는,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상,하단 수 평파이프의 후방을 각각 지지하는 하부 모서리 클램프;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상단과 하단 수평 파이프의 전방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하부 모서리 클램프와 대칭을 이루는 상부 모서리 클램프; 상기 하부 모서리 클램프와 상부 모서리 클램프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중간 클램프는,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중간 수평 파이프의 후방을 지지하는 하부 중간 클램프;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중간 수평 파이프의 전방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하부 중간 클램프와 대칭을 이루는 상부 중간 클램프; 상기 하부 중간 클램프와 상부 중간 클램프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한다.
이동식 펜스, 모서리 클램프, 중간 클램프, 고리, 체결부재, 철망
Description
본 고안은 공사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동형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 없이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이동형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장이나 도로공사와 같은 토목공사장에 사람이나 차량 또는 가축 등의 접근 및 출입을 통제하고 위험지역임을 표시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시설물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식 펜스를 설치한다. 이동식 펜스는 망으로 형성하여 설치 및 철거와 아울러 운반이 용이하고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동식 펜스(100)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식 펜스(100)는 프레임(110)과 철망(120)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2개의 기둥 파이프(111) 사이에 3개의 수평 파이프(112)를 용접(W)으로 결합하여 구성하였다. 철망(120)은 프레임(110)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에 설치되며, 기둥 파이프(111)와 수평 파이프(112)에 용접(W)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식 펜스(100)는 분리가 불가능한 용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기둥 파이프(111)나 수평 파이프(112)의 일부가 파손된 경우 이동식 펜스(100) 전부를 폐기해야 하므로 자원의 낭비가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철망(120)이 훼손된 경우에도, 철망(120)이 프레임(110)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가 불가능하여 이동식 펜스(100) 전체를 폐기해야만 하였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식 펜스(100)는 용접을 이용하여 조립하므로 용접시 발생하는 가스 등에 의해 대기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용접시 발생하는 빛에 의해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이며,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을 것을 요구하는 현대 사회에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동식 펜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용접을 사용하지 않으며,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이동식 펜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2개의 기둥 파이프와 상기 2개의 기둥 파이프 사이에 상부 직사각 공간과 하부 직사각 공간을 형성하도록 3열로 배치된 3개의 수평 파이프를 포함하는 프레임;상기 프레임의 기둥 파이프와 3열 중 상단과 하단의 수평 파이프를 연결하는 모서리 클램프; 상기 프레임의 기둥 파이프와 3열 중 중간 수평 파이프를 연결하는 중간 클램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 직사각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철망;을 포함하되,
상기 모서리 클램프는,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상,하단 수 평파이프의 후방을 각각 지지하는 하부 모서리 클램프;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상단과 하단 수평 파이프의 전방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하부 모서리 클램프와 대칭을 이루는 상부 모서리 클램프; 상기 하부 모서리 클램프와 상부 모서리 클램프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중간 클램프는,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중간 수평 파이프의 후방을 지지하는 하부 중간 클램프;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중간 수평 파이프의 전방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하부 중간 클램프와 대칭을 이루는 상부 중간 클램프; 상기 하부 중간 클램프와 상부 중간 클램프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이동식 펜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 클램프는,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상,하단 수 평파이프의 후방을 각각 지지하는 하부 모서리 클램프;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상단과 하단 수평 파이프의 전방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하부 모서리 클램프와 대칭을 이루는 상부 모서리 클램프; 상기 하부 모서리 클램프와 상부 모서리 클램프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중간 클램프는,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중간 수평 파이프의 후방을 지지하는 하부 중간 클램프;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중간 수평 파이프의 전방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하부 중간 클램프와 대칭을 이루는 상부 중간 클램프; 상기 하부 중간 클램프와 상부 중간 클램프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이동식 펜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하부 모서리 클램프와 상부 모서리 클램프는, 상기 기둥 파이프와 수평 파이프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파이프 지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 지지부를 연결하며,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수평 파이프와 함께 직각 삼각형을 형성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상부 중간 클램프와 하부 중간 클램프는 각각 상기 기둥 파이프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기둥 파이프 지지부; 상기 수평 파이프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수평 파이프 지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기둥 파이프 지지부와 상기 수평 파이프 지지부를 연결하며, 상기 기둥 파이프와 함께 이등변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철망은 각각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수평 파이프에 걸 수 있는 복수 개의 고정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펜스에 의하면, 모서리 클램프와 중간 클램프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조립하여 이동식 펜스의 프레임을 형성하므로, 용접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펜스는 모서리 클램프와 중간 클램프를 사용하여 조립하였으므로, 분해가 가능하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훼손된 파이프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펜스는 모서리 클램프와 중간 클램프를 이용하여 기둥 파이프와 수평 파이프를 조립하여 형성하므로, 용접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식 펜스보다 작업이 간단하며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펜스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펜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동식 펜스의 모서리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이동식 펜스의 중간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펜스(1)는 프레임(2)과 철망(4,5)을 포함한다.
프레임(2)은 2개의 기둥 파이프(10-1,10-2)와 3개의 수평 파이프(20-1,20-2,20-3)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기둥 파이프(10-1,10-2)는 이동식 펜스(1)를 지면에 수직하게 세우는 것으로서, 기둥 파이프(10-1,10-2)의 하단에는 지지판(11)이 설치된다. 2개의 기둥 파이프(10-1,10-2) 사이에는 3개의 수평 파이프(20-1,20-2,20-3)가 3열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3개의 수평 파이프(20-1,20-2,20-3)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중간 파이프(20-2)를 중심으로 상측에는 상부 직사각 공간을 형성하고 하측에는 하부 직사각 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3개의 수평 파이프(20-1,20-2,20-3)를 사용하여 프레임(2)을 형성하였으나, 필요한 경우 중간 수평 파이프(20-2) 없이 2개의 수평 파이프(20-1,20-3)만으로 프레임을 형성하거나 4개 이상의 수평 파이프를 사용하여 프레임을 형성할 수도 있다.
2개의 기둥 파이프(10-1,10-2)와 3개의 수평 파이프(20-1,20-2,20-3)는 도 2와 같이 4개의 모서리 클램프(30)와 2개의 중간 클램프(40)에 의해 결합되어 프레임(2)을 형성한다.
모서리 클램프(30)는 기둥 파이프(10-1,10-2)와 3열의 수평 파이프(20-1,20-2,20-3) 중 상단과 하단의 수평 파이프(20-1,20-3)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경사면으로 기둥 파이프(10-1,10-2)와 수평 파이프(20-1,20-3)의 사이를 지지하여 기둥 파이프와 수평 파이프의 사이가 90도(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모서리 클램프(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파이프(10-1,10-2) 및 상,하단 수평파이프(20-1,20-3)의 후방을 각각 지지하는 하부 모서리 클램프(31)와; 상기 기둥 파이프(10-1,10-2) 및 상,하단의 수평파이프(20-1,20-3)의 전방을 지지하는 상부 모서리 클램프(32) 및 결합부재(33,3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모서리 클램프(31)는 기둥 파이프(10-1)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제1파이프 지지부(311)와, 수평 파이프(20-1)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제2파이프 지지부(312), 및 제1 및 제2파이프 지지부(311,312)를 연결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연결부(313)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파이프 지지부(311,312)는 각각 일부분만 기둥 파이프(10-1) 및 수평 파이프(20-1)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이프 지지부(311)는 기둥 파이프(10-1)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안착부(31a)와, 2개의 안착부(31a) 사이에 형성되며, 기둥 파이프(10-1)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되는 보강부(31b)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31a)는 기둥 파이프(10-1)를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기둥 파이프(10-1)의 외주면의 일부와 밀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1a)는 최대로 기둥 파이프(10-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대응 하는 원의 원주 길이의 절반과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강부(31b)는 2개의 안착부(31a)를 연결하며, 기둥 파이프(10-1)의 외주면과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기둥 파이프(10-1)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파이프 지지부(311)의 보강부(31b)에는 예비구멍(39)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예비구멍(39)은 필요한 경우 기둥 파이프(10-1)가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둥 파이프(10-1)에 나사와 같은 체결구를 직접 박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제2파이프 지지부(312)는 수평 파이프(20-1)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1파이프 지지부(311)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연결부(313)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파이프(10-1) 및 수평 파이프(20-1)와 함께 직각 삼각형을 형성하며, 이와 같은 직각 삼각형의 경사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모서리 클램프(30)는 연결부(313)가 제1파이프 지지부(311)에 안치된 기둥 파이프(10-1)와 제2파이프 지지부(312)에 안치된 수평 파이프(20-1) 사이에 경사지게 위치하여 지지하므로 기둥 파이프(10-1)와 수평 파이프(20-1)를 90도 각도로 견고하게 결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연결부(313)의 중간에는 결합부재(33,34)가 삽입되는 관통홀(31c)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a의 관통홀(31c)은 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관통홀(31c)은 볼트(33)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사각형(31c', 도 7 참조)으로 형성할 수 있다. 사각형의 관통홀(31c')에 볼트의 머리에 인접한 부분에 사각형의 몸체를 갖는 볼트를 사용하면,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 용이하다.
상부 모서리 클램프(32)는 상술한 하부 모서리 클램프(31)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하부 모서리 클램프(31)와 대칭으로 설치된다.
결합부재(33,34)는 상부 모서리 클램프(32)와 하부 모서리 클램프(31)를 결합하는 것으로서, 볼트(33)와 너트(34)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볼트(33)는 상부 모서리 클램프(32)의 관통홀(32c)에 고정시켜, 상부 모서리 클램프(32)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중간 클램프(40)는 기둥 파이프(10-1)와 3열 중 중간의 수평 파이프(20-2)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2개의 경사 면으로 기둥 파이프(10-1)에 대해 중간 수평 파이프(20-2)를 상부와 하부에서 지지하여 기둥 파이프(10-1)와 중간 수평 파이프(20-2) 사이가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중간 클램프(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중간 클램프(41)와 상부 중간 클램프(42) 및 결합부재(43,4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중간 클램프(41)는 기둥 파이프(10-1)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제1 및 제2기둥 파이프 지지부(411,412)와, 중간 수평 파이프(20-2)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수평 파이프 지지부(413), 및 제1 및 제2기둥 파이프 지지부(411,412)와 수평 파이프 지지부(413)를 연결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연결부(414a,414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기둥 파이프 지지부(411,412)와 수평 파이프 지지부(413)는 각각 일부분만 기둥 파이프(10-1) 및 수평 파이프(20-2)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기둥 파이프 지지부(411,412)는 기둥 파이프(10-1)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안착부(41a)와, 2개의 안착부(41a) 사이에 형성되며 기둥 파이프(10-1)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되는 보강부(41b)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41a)는 기둥 파 이프(10-1)를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기둥 파이프(10-1)의 외주면의 일부와 밀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41a)는 최대로 기둥 파이프(10-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대응하는 원의 원주 길이의 절반과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강부(41b)는 2개의 안착부(41a)를 연결하며, 기둥 파이프(10-1)의 외주면과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기둥 파이프(10-1)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기둥 파이프 지지부(411,412)의 보강부(41b)에는 예비구멍(49)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예비구멍(49)은 필요한 경우 기둥 파이프(10-1)가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둥 파이프(10-1)에 나사와 같은 체결구를 직접 박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수평 파이프 지지부(413)는 수평 파이프(20-2)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1기둥 파이프 지지부(411)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연결부(414a,414b)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파이프(10-1)와 함께 이등변 삼각형을 형성하며, 이와 같은 이등변 삼각형의 양쪽 경사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중간 클램프(40)는 제1 및 제2연결부(414a,414b)가 제1 및 제2기둥 파이프 지지부(411,412)에 안치된 기둥 파이프(10-1)와 수평 파이프 지지부(413)에 안치된 중간 수평 파이프(20-2) 사이에 경사지게 위치하여 지지하므로 기둥 파이프(10-1)와 수평 파이프(20-2)를 90도 각도(즉 직각)로 견고하게 결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연결부(414a,414b) 각각의 중간에는 결합부재(43)가 삽입되는 관통홀(41c)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1c)은 결합부재(43)인 볼트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사각형(41c', 도 8 참조)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중간 클램프(42)는 상술한 하부 중간 클램프(41)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하부 중간 클램프(41)와 대칭으로 설치된다.
결합부재(43,44)는 상부 중간 클램프(41)와 하부 중간 클램프(42)를 결합하는 것으로서, 2개의 볼트(43)와 너트(44)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볼트(43)는 상부 중간 클램프(42)의 관통홀(42c)에 고정시켜, 상부 중간 클램프(42)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볼트(43)를 상부 중간 클램프(42)와 일체로 형성하면, 볼트(43)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이 더 편리해 진다.
도 7 및 도 8은 모서리 클램프와 중간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서리 클램프(30')는 제1 및 제2파이프 지지부(311,31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13)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모서리 클램프(30)와 상이하고, 다른 부분은 동일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중간 클램프(40')는 제1 및 제2기둥 파이프 지지부(411,412)와 수평 파이프 지지부(413)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연결부재(414a,414b)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중간 클램프(40)와 상이하고, 다른 부분은 동일하다.
철망(4,5)은 프레임(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2개의 기둥 파이프(10-1,10-2)와 3개의 수평 파이프(20-1,20-2,20-3)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직사각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철망(4)과 하부 철망(5)을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철망(4,5)의 모서리는 모서리 클램프(30)와 중간 클램프(40)에 의해 프레임(2)에 고정된다. 즉, 도 5b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철망(4,5)의 모서리를 하부 모서리 클램프(31)와 하부 중간 클램프(41) 위에 놓고, 도 5c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모서리 클램프(32)와 상부 중간 클램프(42)를 덮고 결합부재(33,43)로 체결하면 상부 철망(4) 및 하부 철망(5)은 프레임(2)에 고정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철망(4,5)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고정고리(50)에 의해 기둥 파이프(10-1,10-2)와 수평 파이프(20-1,20-2,20-3)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고리(50)의 일단은 기둥 파이프(10-1,10-2) 또는 수평 파이프(20-1,20-2,20-3)에 걸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고정고리(50)의 타단은 상부 및 하부 철망(4,5)에 걸 수 있도록 굽힘 가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펜스(1)의 조립방법에 대해 도 2, 도 5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기둥 프레임(10-1)과 상단의 수평 파이프(20-1)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는 하부 모서리 클램프(31)의 제1파이프 지지부(311)에 기둥 파이프(10-1)를 끼우고, 제2파이프 지지부(312)에 상단 수평 파이프(20-1)를 끼운 후, 기둥 파이프(10-1)와 상단 수평 파이프(20-1)가 도 5a와 같이 위치하도록 조절한다. 그 후, 하부 모서리 클램프(31)의 연결부(313)에 상부 철망(4)의 모서리가 놓이도록 한다. 이어서, 상부 모서리 클램프(32)의 제1파이프 지지부(321)와 제2파이프 지지부(322)가 기둥 파이프(10-1)와 상단 수평 파이프(20-1)에 삽입되도록 하여 하부 모서리 클램프(31) 위에 놓는다. 그 후, 볼트(33)를 상부 및 하부 모서리 클램프(32,31)의 연결부(323,313)의 관통홀(32c,31c)에 삽입한 후 너트(34)로 체결하면 기둥 파이프(10-1)와 상단 수평 파이프(20-1)의 조립이 완료된다.
계속해서, 다른 모서리 클램프(30)를 사용하여 기둥 파이프(10-1)와 하단 수평 파이프(20-3)를 조립한다. 또한, 기둥 파이프(10-1)에 조립된 상단 및 하단 수평 파이프(20-1,20-3)의 타단에 다른 모서리 클램프(30) 2개를 사용하여 다른 기둥 파이프(10-2)를 조립한다. 모서리 클램프(30)를 이용하여 기둥 파이프(10-2)와 상단 및 하단 수평 파이프(20-1,20-3)를 조립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개의 기둥 파이프(10-1,10-2)와 상단 및 하단 수평 파이프(20-1,20-3)에 의해 프레임(2)의 외곽이 완성되면, 작업자는 상단 및 하단 수평 파이프(20-1,20-3) 사이에 중간 수평 파이프(20-2)를 조립한다. 중간 수평 파이프(20-2)는 중간 클램프(40)를 사용하여 기둥 파이프(10-1,10-2)에 조립한다.
먼저 하부 중간 클램프(41)의 제1 및 제2기둥 파이프 지지부(411,412)를 기둥 파이프(10-1)에 조립된 2개의 모서리 클램프(30) 사이의 중앙에 끼운다. 이어서 하부 중간 클램프(41)의 수평 파이프 지지부(413)에 중간 수평 파이프(20-2)를 삽입한다. 그 후, 하부 중간 클램프(41)의 제1연결부(414a) 위에 상부 철망(4)의 모서리를 놓고 제2연결부(414b) 위에 하부 철망(5)의 모서리를 놓는다. 계속해서, 상부 중간 클램프(42)를 하부 중간 클램프(41) 위에 놓고 2개의 볼트(43)를 각각 상부 및 하부 중간 클램프(42,41)의 제1 및 제2연결부(424a,414a,424b,414b)의 관통홀(42c,41c)에 삽입한 뒤, 너트(44)로 체결한다. 그러면, 중간 클램프(4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어서, 중간 수평 파이프(20-2)의 반대쪽 단을 다른 중간 클램프(40)를 이용하여 기둥 파이프(10-2)에 조립한다. 이때, 조립과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끝으로, 복수 개의 고정고리(50)를 이용하여 상부 철망(4)과 하부 철망(5)을 프레임(2)에 고정한다. 이때, 고정고리(50)의 일단을 상부 및 하부 철망(4,5)에 걸고 타단은 기둥 파이프(10-1,10-2) 또는 수평 파이프(20-1,20-2,20-3)에 검으로써 상부 철망(4)과 하부 철망(5)을 프레임(2)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2개의 기둥 파이프(10-1,10-2)와 3개의 수평 파이프(20-1,20-2,20-3)를 조립하여 프레임(2)을 형성하는 순서는 일 예일 뿐이며, 작업자는 4개의 모서리 클램프(30)와 2개의 중간 클램프(40)를 사용하여 다양한 순서로 기둥 파이프(10-1,10-2)와 수평 파이프(20-1,20-2,20-3)를 조립하여 프레임(2)을 만들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펜스는 제조시에 용접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친환경적이며, 이동식 펜스의 사용이 필요 없을 경우에는 이동식 펜스를 간단하게 분해하여 파이프를 재사용할 수 있고, 부분적으로 훼손된 파이프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펜스는 모서리 클램프와 중간 클램프를 이용하여 기둥 파이프와 수평 파이프를 조립하여 형성하므로, 용접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식 펜스보다 작업이 간단하며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식 펜스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펜스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이동식 펜스의 모서리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이동식 펜스의 중간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서리 클램프를 이용하여 이동식 펜스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간 클램프를 이용하여 이동식 펜스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펜스에 사용되는 모서리 클램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펜스에 사용되는 중간 클램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동식 펜스 2; 프레임
4; 상부 철망 5; 하부 철망
10-1,10-2; 기둥 파이프 20-1,20-2,20-3; 수평 파이프
30; 모서리 클램프 31; 하부 모서리 클램프
32; 상부 모서리 클램프 40; 중간 클램프
41; 하부 중간 클램프 42; 상부 중간 클램프
50; 고정고리 311,312; 파이프 지지부
313, 414a,414b; 연결부 411,412; 기둥 파이프 지지부
413; 수평 파이프 지지부
Claims (7)
- 2개의 기둥 파이프와 상기 2개의 기둥 파이프 사이에 상부 직사각 공간과 하부 직사각 공간을 형성하도록 3열로 배치된 3개의 수평 파이프를 포함하는 프레임;상기 프레임의 기둥 파이프와 3열 중 상단과 하단의 수평 파이프를 연결하는 모서리 클램프;상기 프레임의 기둥 파이프와 3열 중 중간 수평 파이프를 연결하는 중간 클램프; 및상기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 직사각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철망;을 포함하되,상기 모서리 클램프는,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상,하단 수평파이프의 후방을 각각 지지하는 하부 모서리 클램프;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상,하단 수평 파이프의 전방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하부 모서리 클램프와 대칭을 이루는 상부 모서리 클램프; 상기 하부 모서리 클램프와 상부 모서리 클램프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며,상기 중간 클램프는,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중간 수평 파이프의 후방을 지지하는 하부 중간 클램프;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중간 수평 파이프의 전방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하부 중간 클램프와 대칭을 이루는 상부 중간 클램프; 상기 하부 중간 클램프와 상부 중간 클램프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펜스.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모서리 클램프와 하부 모서리 클램프는,상기 기둥 파이프와 수평 파이프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파이프 지지부; 및상기 제1 및 제2파이프 지지부를 연결하며, 상기 기둥 파이프 및 수평 파이프와 함께 직각 삼각형을 형성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펜스.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중간 클램프와 하부 중간 클램프는 각각,상기 기둥 파이프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기둥 파이프 지지부;상기 수평 파이프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수평 파이프 지지부; 및상기 제1 및 제2기둥 파이프 지지부와 상기 수평 파이프 지지부를 연결하며, 상기 기둥 파이프와 함께 이등변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펜스.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및 하부 철망은 각각,상기 기둥 파이프 및 수평 파이프에 걸 수 있는 복수 개의 고정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펜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5036U KR200459937Y1 (ko) | 2009-11-19 | 2009-11-19 | 이동식 펜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5036U KR200459937Y1 (ko) | 2009-11-19 | 2009-11-19 | 이동식 펜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5217U KR20110005217U (ko) | 2011-05-25 |
KR200459937Y1 true KR200459937Y1 (ko) | 2012-04-20 |
Family
ID=4660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15036U KR200459937Y1 (ko) | 2009-11-19 | 2009-11-19 | 이동식 펜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993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3644U (ko) | 2017-06-16 | 2018-12-27 | 황석하 | 안전펜스의 결착구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15462U (ko) | 1984-12-28 | 1986-07-21 | ||
KR200222883Y1 (ko) | 2000-12-19 | 2001-05-15 |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 종현 | 비계 고정용 티형 클램프 |
KR20090006304U (ko) * | 2007-12-21 | 2009-06-25 | 김인욱 | 조립식 펜스 |
-
2009
- 2009-11-19 KR KR2020090015036U patent/KR200459937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15462U (ko) | 1984-12-28 | 1986-07-21 | ||
KR200222883Y1 (ko) | 2000-12-19 | 2001-05-15 |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 종현 | 비계 고정용 티형 클램프 |
KR20090006304U (ko) * | 2007-12-21 | 2009-06-25 | 김인욱 | 조립식 펜스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3644U (ko) | 2017-06-16 | 2018-12-27 | 황석하 | 안전펜스의 결착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5217U (ko) | 2011-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7519494A (ja) | 懸架される格納棚 | |
JP5957228B2 (ja) | 天井下地構造 | |
JP5746874B2 (ja) | 天井構造およびブレース材と天井仕上板の固定金具 | |
JP2009097274A (ja) | 柱の構築工法及び柱型枠ユニット | |
JP2018062853A (ja) | 天井下地構造 | |
KR200459937Y1 (ko) | 이동식 펜스 | |
JP2016023410A (ja) | 構台 | |
KR101568348B1 (ko) | 평지와 경사로의 공용이 용이한 메쉬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 |
KR200417314Y1 (ko) | 낙하물 방지장치 | |
KR200456278Y1 (ko) |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 | |
JP6561418B2 (ja) | 複数の配管吊下支持具を具備する配管の吊下支持構造 | |
JP7239983B2 (ja) | 作業用ステップおよび支柱 | |
JP6389405B2 (ja) | 防護柵の施工方法及び施工用治具 | |
JP7083677B2 (ja) | メッシュ状天井材の組立て方法 | |
JP2009102899A (ja) | 建築物の柱脚構造 | |
JPH1122182A (ja) | 吊り足場の組立構造 | |
JP2009027771A (ja) | 分電盤架台 | |
JP6391375B2 (ja) | アンカー装置 | |
KR102491817B1 (ko) | 울타리 기둥의 확장연결장치 | |
JP2001049623A (ja) | H鋼アーム足場及びその施工方法 | |
KR20110080195A (ko) | 안전 난간대 | |
JP3112767B2 (ja) | 足場架設用吊り具及び足場架設方法 | |
JP6561419B2 (ja) | 複数の配管吊下支持具を具備する配管の吊下支持構造 | |
JP2017014861A (ja) | 残存型枠施工用治具及びその治具を用いた残存型枠施工方法 | |
KR200373591Y1 (ko) | 조립식 휀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