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260B1 -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 - Google Patents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7260B1 KR102147260B1 KR1020190007351A KR20190007351A KR102147260B1 KR 102147260 B1 KR102147260 B1 KR 102147260B1 KR 1020190007351 A KR1020190007351 A KR 1020190007351A KR 20190007351 A KR20190007351 A KR 20190007351A KR 102147260 B1 KR102147260 B1 KR 1021472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uss
- tube body
- steel pipe
- cast steel
- truss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2012/006—Structures with truss-like sections combined with tubular-like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층마다 연결링을 구비할 필요없이 연결봉의 각도 변환이 자유로워 휨의 곡선이 급격한 외관에 제한됨이 없이 보다 다양한 형태의 전망 타워의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이 보다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데크로 이루어진 보행로가 나선 형태를 이루고, 상기 데크는 외측의 트러스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조립식의 전망 타워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하단부에서 상단부 데크까지 보행로의 나선 형태를 따라 휘어지게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는 제1 트러스 관체와;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하단부에서 상단부 데크까지 보행로의 나선 반대방향을 따라 휘어지게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는 제2 트러스 관체와;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상단부 및 하단부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3 트러스 관체와; 상기 제1 트러스 관체와 제2 트러스 관체의 교차점에서 제1 트러스 관체와 제2 트러스 관체에 대한 4방향 연결 구조를 갖는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와; 상기 제1 트러스 관체 및 제2 트러스 관체와, 제3 트러스 관체의 종결점에서 제1 트러스 관체와 제2 트러스 관체에 대한 3방향 연결 구조를 갖는 서브 트러스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층마다 연결링을 구비할 필요없이 연결봉의 각도 변환이 자유로워 휨의 곡선이 급격한 외관에 제한됨이 없이 보다 다양한 형태의 전망 타워의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이 보다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망이 뛰어난 산이나 해안가, 공원 등에는 시설물로 일정 높이를 갖는 전망 타워가 설치되어 높은 곳에서 자연의 아름다운 경치를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 전망 타워의 대부분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일정 수직 높이의 타워를 시공한 다음 타워 상단 부위에 전망대를 설치하고, 별도의 엘리베이터를 마련하여 지상으로부터 전망대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엘리베이터 이동방식은 시공 비용의 부담을 가져와 경제성이 저하되고, 시공 기간이 오래 소요되며, 터파기 및 콘트리 타설을 위한 공간 확보 및 작업으로 시공의 비효율성은 물론 자연 환경을 훼손하게 되는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8037호(2016.08.12.공고.)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가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서, 상기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는 도 1 및 등록특허공보의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정 폭을 가지는 강판스트립구조로서, 상면 내측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결합단(112)이 마련되고, 상면 외측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배치되되 인접하는 제1결합단(112) 사이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2결합단(116)이 마련되는 고정링(11);
일정 폭을 가지는 강판스트립구조로서 하면 내측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3결합단(122)이 마련되고 하면 외측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배치되되 인접하는 제3결합단(122) 사이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4결합단(126)이 마련되어 고정링(11)의 수직 상방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제1하부연결링(12);
일정 폭을 가지는 강재스트립구조로서 상면 내측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5결합단(142)이 마련되고 상면 외측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배치되되 인접하는 제5결합단(142) 사이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6결합단(146)이 마련되어 하면 부위가 제1하부연결링(12)의 상면 부위를 따라 결합되는 제1상부연결링(14);
일정 폭을 가지는 강재스트립구조로서 하면 내측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7결합단(162)이 마련되고 하면 외측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배치되되 인접하는 제7결합단(162) 사이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8결합단(166)이 마련되어 제1상부연결링(14)의 수직 상방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제2하부연결링(16);
일정 폭을 가지는 강재스트립구조로서 상면 내측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9결합단(182)이 마련되고 상면 외측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배치되되 인접하는 제9결합단(182) 사이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10결합단(186)이 마련되어 하면 부위가 제2하부연결링(16)의 상면 부위를 따라 결합되는 제2상부연결링(18);
일정 폭을 가지는 강재스트립구조로서 하면 내측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1결합단(192)이 마련되고 하면 외측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배치되되 인접하는 제11결합단(192) 사이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12결합단(196)이 마련되어 제2상부연결링(18)의 수직 상방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지지링(19);
각 일단 부위는 고정링(11)의 제1결합단(112)에 결합되고 각 타단 부위는 제1하부연결링(12)의 제3결합단(132)에 결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타단 부위는 제1결합단(112)의 수직 상방에 위치하며 대향하는 제3결합단(132)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제3결합단에 결합되어 일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는 제1연결봉(21);
각 일단 부위는 고정링(11)의 제2결합단(116)에 결합되고 각 타단 부위는 제1하부연결링(12)의 제4결합단(136)에 결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타단 부위는 제2결합단(116)의 수직 상방에 위치하며 대향하는 제4결합단(136)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제4결합단에 결합되어 제1연결봉(21) 각각과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는 제2연결봉(22);
각 일단 부위는 제1상부연결링(14)의 제5결합단(142)에 결합되고 각 타단 부위는 제2하부연결링(16)의 제7결합단(162)에 결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타단 부위는 제5결합단(142)의 수직 상방에 위치하며 대향하는 제7결합단(162)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제7결합단에 결합되어 일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는 제3연결봉(23);
각 일단 부위는 제1상부연결링(14)의 제6결합단(146)에 결합되고 각 타단 부위는 제2하부연결링(16)의 제8결합단(166)에 결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타단 부위는 제6결합단(146)의 수직 상방에 위치하며 대향하는 제8결합단(166)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제8결합단에 결합되어 제3연결봉(23) 각각과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는 제4연결봉(24);
각 일단 부위는 제2상부연결링(18)의 제9결합단(182)에 결합되고 각 타단 부위는 지지링(19)의 제11결합단(192)에 결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타단 부위는 제9결합단(182)의 수직 상방에 위치하여 대향하며 제11결합단(192)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제11결합단에 결합되어 일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는 제5연결봉(25);
각 일단 부위는 제2상부연결링(18)의 제10결합단(186)에 결합되고 각 타단 부위는 지지링(19)의 제12결합단(196)에 결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타단 부위는 제10결합단(186)의 수직 상방에 위치하여 대향하며 제12결합단(196)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제12결합단에 결합되어 제5연결봉(25) 각각과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는 제6연결봉(26):
원판구조로 이루어지되, 중앙 부위에는 주출입홀(322)이 형성되어 하부 모서리 부위가 지지링(19)의 상면 부위를 따라 설치되는 주전망대바닥판(32);
원판구조로 이루어지되, 중앙 부위에는 제1중간출입홀(342)이 형성되어 상면 및 하면 각 모서리 부위가 제1상부연결링(14) 및 제1하부연결링(12) 사이에 설치되는 제1보조전망대바닥판(34);
원판구조로 이루어지되, 중앙 부위에는 제2중간출입홀(362)이 형성되어 상면 및 하면 각 모서리 부위가 제2상부연결링(18) 및 제2하부연결링(16) 사이에 설치되는 제2보조전망대바닥판(36);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되고 타측 부위는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주전망대바닥판(32), 제1, 2보조전망대바닥판(36) 각각의 외측 모서리 부위와 결합되는 링지지기둥(40);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되고 타측 부위는 주출입홀(322) 및 제1, 2중간출입홀(342, 362) 각각의 중앙 부위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계단지지기둥(50);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환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일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타측 부위는 주출입홀(322) 및 제1, 2중간출입홀(342, 362) 각각의 내면 부위와 밀착되며 수직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손잡이봉(60); 및, 계단지지기둥(50)를 따라 나선형을 이루는 복수 개의 계단(70);을 포함하는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는 각 층마다 연결링을 구비하고, 각각의 연결링에 일자형으로 된 2개의 연결봉 양단을 좌.우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하는 것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전망 타워 외관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특히, 휨의 곡선이 급격한 외관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는 연결봉이 일자형으로 형태 변형이 어렵기 때문에 휨의 곡선이 급격한 외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층간 높이를 줄이거나 크게 하는 것을 고려해야만 되고, 이러한 층간 높이의 차이는 데크, 즉 보행자가 걷는 바닥판의 경사 각도의 변화를 가져오게 됨으로써 관람자로 하여금 보행의 불편성과 피로를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 층마다 연결링을 구비할 필요없이 연결봉의 각도 변환이 자유로워 휨의 곡선이 급격한 외관에 제한됨이 없이 보다 다양한 형태의 전망 타워의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이 보다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타워형 트러스 구조물 전망대의 한 형태는, 데크로 이루어진 보행로가 나선 형태를 이루고, 상기 데크는 외측의 트러스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조립식의 전망 타워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하단부에서 상단부 데크까지 보행로의 나선 형태를 따라 휘어지게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는 제1 트러스 관체와;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하단부에서 상단부 데크까지 보행로의 나선 반대방향을 따라 휘어지게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는 제2 트러스 관체와;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상단부 및 하단부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3 트러스 관체와; 상기 제1 트러스 관체와 제2 트러스 관체의 교차점에서 제1 트러스 관체와 제2 트러스 관체에 대한 4방향 연결 구조를 갖는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와; 상기 제1 트러스 관체 및 제2 트러스 관체와, 제3 트러스 관체의 종결점에서 제1 트러스 관체와 제2 트러스 관체에 대한 3방향 연결 구조를 갖는 서브 트러스 연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는 서로 교차되게 중간이 고장력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는 한 쌍의 제1 지지편 및 제2 지지편와; 상기 제1 지지편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분리된 제1 트러스 관체의 주형강관A 및 주형강관B의 입구를 통해 삽입 고정되는 속주A 및 속주B와; 상기 제2 지지편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분리된 제2 트러스 관체의 주형강관C 및 주형강관D의 입구를 통해 삽입 및 고정되는 속주C 및 속주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 트러스 연결부재는,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분리된 제3 트러스 관체의 주형강관E와 주형강관F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 속주E 및 속주F를 갖는 제3 지지편과; 상기 제3 지지편의 중간에 일측 단부가 고장력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1 트러스 관체에 삽입 고정되는 속주G가 일체로 형성된 제4 지지편과; 상기 제3 지지편의 중간에 일측 단부가 고장력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2 트러스 관체(120)에 삽입 고정되는 속주H가 일체로 형성된 제5 지지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타워형 트러스 구조물 전망대 시공 방법의 한 형태는, 기초를 다진 지면 위의 원형 데크를 따라 구비된 제3 관체에 서로 교차되는 제1 트러스 관체 및 제2 트러스 관체를 고장력 볼트 및 너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3방향 연결 구조를 갖는 서브 트러스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 및 고정한 후, 제1 트러스 관체 및 제2 트러스 관체와, 서로 분리된 제3 트러스 관체의 주형강관E 및 주형강관F를 서로 맞대기 용접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제1 트러스 관체와 제2 트러스 관체를 고장력 볼트 및 너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4방향 연결 구조를 갖는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분리된 제1 트러스 관체의 주형강관A 및 주형강관B와 제2 트러스 관체의 주형강관C 및 주형강관D를 연결 및 고정한 후, 서로 맞대기 용접하는 것을 반복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3 트러스 관체를 상단 데크를 따라 구비하고, 제3 트러스 관체에 서로 교차되는 제1 트러스 관체 및 제2 트러스 관체를 고장력 볼트 및 너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4방향 연결 구조를 갖는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 및 고정한 후, 제1 트러스 관체 및 제2 트러스 관체와, 서로 분리된 제3 트러스 관체의 주형강관E 및 주형강관F를 서로 맞대기 용접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를 거쳐 형성된 트러스 구조물의 내측에 나선 형태로 데크를 설치하여 보행로를 형성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단계는 트러스 구조물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몇 칸 씩 건너 정해진 위치의 일부 교차점에서 제1 트러스 관체의 주형강관A 및 주형강관B와 제2 트러스 관체의 주형강관C 및 주형강관D를 스폿 용접식으로 부분 용접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크로 이루어진 보행로가 나선 형태를 이루고, 상기 데크는 외측의 트러스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조립식의 전망 타워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하단부에서 상단부 데크까지 보행로의 나선 형태를 따라 휘어지게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는 제1 트러스 관체와;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하단부에서 상단부 데크까지 보행로의 나선 반대방향을 따라 휘어지게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는 제2 트러스 관체와;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상단부 및 하단부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3 트러스 관체와; 상기 제1 트러스 관체와 제2 트러스 관체의 교차점에서 제1 트러스 관체와 제2 트러스 관체에 대한 4방향 연결 구조를 갖는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와; 상기 제1 트러스 관체 및 제2 트러스 관체와, 제3 트러스 관체의 종결점에서 제1 트러스 관체와 제2 트러스 관체에 대한 3방향 연결 구조를 갖는 서브 트러스 연결부재;로 구성됨으로써 각 층마다 연결링을 구비할 필요없이 연결봉의 각도 변환이 자유로워 휨의 곡선이 급격한 외관에 제한됨이 없이 보다 다양한 형태의 전망 타워의 시공이 가능해 시공의 간편성 및 효율성은 물론 보다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안전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의 전망 타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의 전망 타워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서브 트러스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용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의 전망 타워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서브 트러스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용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타워형 트러스 구조물 전망대 및 그 시공 방법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걸어서 올라갈 수 있도록 데크(100a)로 이루어진 보행로가 상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나선 형태를 이루고, 상기 데크(100a)는 외측의 트러스 구조물(10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트러스 구조물(100)은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길이가 길게 보행로의 달팽이관 형태로 휘어지게 제1 관체()가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트러스 관체(110)의 반대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길이가 길게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되어 제1 트러스 관체(110)와 교차되는 제2 트러스 관체(120)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트러스 관체(110)와 제2 트러스 관체(120)가 서로 교차되는 교차점(C)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방향 연결구조를 갖는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140)와, 3방향 연결구조를 갖는 서브 트러스 연결부재(150)에 의해서 상호 연결 및 조립된다.
상기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140)는 서로 교차되게 중간이 고장력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는 한 쌍의 제1 지지편(142) 및 제2 지지편(143)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지지편(142) 및 제2 지지편(143)은 고장력 볼트(141a) 및 너트(141b)의 조임력이 작용하면 서로 움직임이 없이 고정되고, 상기 고장력 볼트(141a) 및 너트(141b)의 조임력이 해제되면 고장력 볼트(141a)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 지지편(142)의 양단부와, 제2 지지편(143)의 양단부에는 서로 분리된 제1 트러스 관체(110)의 주형강관A(111) 및 주형강관B(112)의 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속주A(144) 및 속주B(14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편(143)의 양단부에는 서로 분리된 제2 트러스 관체(120)의 주형강관C(121) 및 주형강관D(122)의 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속주C(146) 및 속주D(147)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서브 트러스 연결부재(150)는 제3 지지편(151)과 제4 지지편(153) 및 제5 지지편(154)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3 지지편(151)은 양단부에 속주E(151a) 및 속주F(151b)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지지편(153) 및 제5 지지편(154) 각각의 일측단부는 제3 지지편(151)의 중간에 고장력 볼트(152a) 및 너트(152b)에 의해 체결되며, 제4 지지편(153) 및 제5 지지편(154) 각각의 타측단부에는 속주G(153a) 및 속주H(154a)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4 지지편(153)과 제5 지지편(154)은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140)와 마찬가지로 고장력 볼트(152a) 및 너트(152b)의 조임력에 의해 서로 움직임없이 고정되고, 상기 고장력 볼트(152a) 및 너트(152b)의 조임력이 해제되면 고장력 볼트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140)의 고장력 볼트(141a) 및 너트(141b)를 풀어 제1 지지편(142) 및 제2 지지편(143)이 고장력 볼트(141a)를 중심이 회전이 자유롭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트러스 관체(110)를 구성하고, 서로 분리된 주형강관A(111)와 주형강관B(112)의 입구를 통해 제1 지지편(142)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속주A(144) 및 속주B(145)를 각각 삽입한 후, 고장력 볼트(141a) 및 너트(141b)를 조여 고정한다.
그런 다음, 제2 지지편(143)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속주C(146) 및 속주D(147)를 제2 트러스 관체(120)를 구성하고 서로 분리된 주형강관C(121) 및 주형강관D(122)의 입구를 통해 각각 삽입한 후, 고장력 볼트(141a) 및 너트(141b)를 조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140)에 의해 서로 교차되게 제1 트러스 관체(110)의 주형강관A(111) 및 주형강관B(112)와, 제2 트러스 관체(120)의 주형강관C(121) 및 주형강관D(122)가 그 위치를 정해지면, 서로 맞대어지는 주형강관A(111), 주형강관B(112), 주형강관C(121), 주형강관D(122)의 입구를 서로 맞대기 용접함으로써 일련의 제1 트러스 관체(110) 및 제2 트러스 관체(120)의 교차점(C)에 대한 4방향 연결 및 조립 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서브 트러스 연결부재(150)의 경우에는 트러스 구조물(100)의 상단이나 하단부와 같은 종결점(F)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수평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된 제3 트러스 관체(130)와, 제1 트러스 관체(110)와, 제2 트러스 관체(120)에 대한 3방향 연결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3 트러스 관체(130)는 서로 분리된 주형강관E(131) 및 주형강관F(132)로 분리 구성되는 것으로서, 먼저, 고장력 볼트(152a) 및 너트(152b)를 풀어 제4 지지편(153) 및 제5 지지편(154)이 상기 고장력 볼트(152a)를 중심이 회전이 자유롭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3 지지편(151)의 양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속주E(151a) 및 속주F(151b)의 외측으로 제3 트러스 관체(130)를 구성하는 주형강관E(131) 및 주형강관F(132)의 입구를 각각 삽입한다.
그런 다음, 제4 지지편(153) 및 제5 지지편(154) 각각의 일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속주G(153a) 및 속주H(154a)의 외측으로 제1 트러스 관체(110) 및 제2 트러스 관체(120)를 각각 삽입하여 위치를 결정한 후, 다시 고장력 볼트(152a) 및 너트(152b)를 조여 제4 지지편(153) 및 제5 지지편(154)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그 후, 제3 트러스 관체(130)를 구성하는 주형강관E(131) 및 주형강관F(132)와, 제1 트러스 관체(110) 및 제2 트러스 관체(120)의 입구를 서로 맞대기 용접함으로서 트러스 구조물(100)의 종결점(F)에 대한 3방향 연결 및 조립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망 타워를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이상이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서, 주로 트러스 구조물(100)의 교차점(C)이나 종결점(F)에서 발생될 수 밖에 없고, 교차점(C)의 경우에는 어디에서 이상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찾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러스 구조물(100)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몇 칸 씩 건너 그 정해진 교차점(C)의 경우에는 용접할 때 서로 맞대기 용접으로 접촉 부위를 모두 용접하지 않고, 스폿(Spot) 용접식으로 부분 용접을 수행한다,
즉, 제1 트러스 관체(110) 및 제2 트러스 관체(120)의 수축과 팽창에 의한 연결부분의 이상이 그 정해진 스폿 용접 부위에서 발생될 수 밖에 없고, 작업자는 그 정해진 용접 부위만 확인한 후 다시 스폿 용접하면 되므로 이상 부위 확인 및 수리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첨부된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140)의 제1 지지편(142) 양단부에 형성된 속주A(144) 및 속주B(145)를 제1 트러스 관체(110)의 주형강관A(111) 및 주형강관B(112)에 각각 삽입 및 고정하고, 제2 지지편(143)의 양단부에 형성된 속주C(146) 및 속주D(147)를 제2 트러스 관체(120)의 주형강관C(121) 및 주형강관D(122)에 각각 삽입 및 고정한 후, 상기 주형강관A(111), 주형강관B(112), 주형강관C(121), 주형강관D(122)를 서로 맞대기 용접할 때, 접촉 부위의 전체를 용접하지 않고 스폿 용접식으로 부분적으로 용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1 트러스 관체(110)의 주형강관A(111) 및 주형강관B(112)와 제2 트러스 관체(120)의 주형강관C(121) 및 주형강관D(122)가 계절의 온도차에 따른 수축과 팽창을 반복할 때,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140)를 중심으로 서로 접촉된 주형강관A(111), 주형강관B(112), 주형강관()C, 주형강관D(122) 전체를 용접한 부위보다 먼저, 용접 부위가 터져 이상이 생기게 되고, 작업자는 이미 정해진 위치의 교차점(C)을 찾아 다시 용접해서 수리하면 되므로 이상 부위의 확인 및 수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데크로 이루어진 보행로가 나선 형태를 이루고, 상기 데크는 외측의 트러스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조립식의 전망 타워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하단부에서 상단부 데크까지 보행로의 나선 형태를 따라 휘어지게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는 제1 트러스 관체와;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하단부에서 상단부 데크까지 보행로의 나선 반대방향을 따라 휘어지게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는 제2 트러스 관체와; 상기 트러스 구조물의 상단부 및 하단부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3 트러스 관체와; 상기 제1 트러스 관체와 제2 트러스 관체의 교차점에서 제1 트러스 관체와 제2 트러스 관체에 대한 4방향 연결 구조를 갖는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와; 상기 제1 트러스 관체 및 제2 트러스 관체와, 제3 트러스 관체의 종결점에서 제1 트러스 관체와 제2 트러스 관체에 대한 3방향 연결 구조를 갖는 서브 트러스 연결부재;로 구성됨으로써 각 층마다 연결링을 구비할 필요없이 연결봉의 각도 변환이 자유로워 휨의 곡선이 급격한 외관에 제한됨이 없이 보다 다양한 형태의 전망 타워의 시공이 가능해 시공의 간편성 및 효율성은 물론 보다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안전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의 전망 타워 및 그 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트러스 구조물 100a: 데크
110: 제1 트러스 관체
111: 주형강관A 112: 주형강관B
120: 제2 트러스 관체
121: 주형강관C 122: 주형강관D
130: 제3 트러스 관체
131: 주형강관E 132: 주형강관F
140: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
141a: 고장력 볼트 141b: 너트
142: 제1 지지편 143: 제2 지지편
144: 속주A 145: 속주B
146: 속주C 147: 속주D
150: 서브 트러스 연결부재
151: 제3 지지편 151a: 속주E
151b: 속주F 152a: 고장력 볼트
152b: 너트 153: 제4 지지편
153a: 속주G 154: 제5 지지편
154a: 속주H
110: 제1 트러스 관체
111: 주형강관A 112: 주형강관B
120: 제2 트러스 관체
121: 주형강관C 122: 주형강관D
130: 제3 트러스 관체
131: 주형강관E 132: 주형강관F
140: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
141a: 고장력 볼트 141b: 너트
142: 제1 지지편 143: 제2 지지편
144: 속주A 145: 속주B
146: 속주C 147: 속주D
150: 서브 트러스 연결부재
151: 제3 지지편 151a: 속주E
151b: 속주F 152a: 고장력 볼트
152b: 너트 153: 제4 지지편
153a: 속주G 154: 제5 지지편
154a: 속주H
Claims (4)
- 삭제
- 삭제
- 삭제
- 기초를 다진 지면 위의 원형 데크(100a)를 따라 구비된 제3 트러스 관체(130)에 서로 교차되는 제1 트러스 관체(110) 및 제2 트러스 관체(120)를 고장력 볼트(152a) 및 너트(152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3방향 연결 구조를 갖는 서브 트러스 연결부재(150)를 이용하여 연결 및 고정한 후, 제1 트러스 관체(110) 및 제2 트러스 관체(120)와, 서로 분리된 제3 트러스 관체(130)의 주형강관E(131) 및 주형강관F(132)를 서로 맞대기 용접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제1 트러스 관체(110)와 제2 트러스 관체(120)를 고장력 볼트(141a) 및 너트(141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4방향 연결 구조를 갖는 메인 트러스 연결부재(140)를 이용하여 서로 분리된 제1 트러스 관체(110)의 주형강관A(111) 및 주형강관B(112)와 제2 트러스 관체(120)의 주형강관C(121) 및 주형강관D(122)를 연결 및 고정한 후, 서로 맞대기 용접하는 것을 반복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3 트러스 관체(130)를 상단 데크(100a)를 따라 구비하고, 제3 트러스 관체(130)에 서로 교차되는 제1 트러스 관체(110) 및 제2 트러스 관체(120)를 고장력 볼트(152a) 및 너트(152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3방향 연결 구조를 갖는 서브 트러스 연결부재(150)를 이용하여 연결 및 고정한 후, 제1 트러스 관체(110) 및 제2 트러스 관체(120)와, 서로 분리된 제3 트러스 관체(130)의 주형강관E(131) 및 주형강관F(132)를 서로 맞대기 용접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를 거쳐 형성된 트러스 구조물(100)의 내측에 나선 형태로 데크(100a)를 설치하여 보행로를 형성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조립식의 전망 타워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트러스 구조물(100)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몇 칸 씩 건너 정해진 위치의 일부 교차점에서 제1 트러스 관체(110)의 주형강관A(111) 및 주형강관B(112)와 제2 트러스 관체(120)의 주형강관C(121) 및 주형강관D(122)를 스폿 용접식으로 부분 용접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조립식의 전망 타워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7351A KR102147260B1 (ko) | 2019-01-21 | 2019-01-21 |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7351A KR102147260B1 (ko) | 2019-01-21 | 2019-01-21 |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0388A KR20200090388A (ko) | 2020-07-29 |
KR102147260B1 true KR102147260B1 (ko) | 2020-08-24 |
Family
ID=7189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7351A KR102147260B1 (ko) | 2019-01-21 | 2019-01-21 |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726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9057B1 (ko) * | 2020-12-14 | 2021-06-23 | 안승환 |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전망대 |
DE202021103007U1 (de) * | 2021-06-02 | 2022-09-05 | Philipp Strasser | Schneckenturm und Windungsmodul hierfür |
CN114033036B (zh) * | 2021-12-09 | 2022-12-02 |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 小直径超高层景观塔的环塔钢结构的施工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979790A (zh) * | 2010-09-14 | 2011-02-23 | 上海珊迪建筑科技有限公司 | 钢管连接头 |
CN207974601U (zh) * | 2017-12-26 | 2018-10-16 | 中建三局第二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 一种大型覆土混凝土罐穹顶钢支撑结构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858769A1 (en) * | 2012-06-10 | 2015-04-15 | MHI Vestas Offshore Wind A/S | Node structures for lattice frames |
KR101648037B1 (ko) | 2016-05-30 | 2016-08-12 | (주)신흥이앤지 |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 |
-
2019
- 2019-01-21 KR KR1020190007351A patent/KR1021472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979790A (zh) * | 2010-09-14 | 2011-02-23 | 上海珊迪建筑科技有限公司 | 钢管连接头 |
CN207974601U (zh) * | 2017-12-26 | 2018-10-16 | 中建三局第二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 一种大型覆土混凝土罐穹顶钢支撑结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0388A (ko) | 2020-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7260B1 (ko) |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 | |
KR101852360B1 (ko) | 설치시공이 용이한 데크로드 시스템 | |
KR101771926B1 (ko) | 데크 로드 시스템 | |
JP2009138478A (ja) | Rc柱の補強方法 | |
JP6468596B2 (ja) | 既設柱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 |
KR20150002715A (ko) | 철근 콘크리트 구조체에 사용되는 철근 조립체 및 전단 보강근 | |
KR101939193B1 (ko)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 |
JP5575561B2 (ja) | 建物の耐震構造 | |
KR101404513B1 (ko) | ㄱ형강 또는 t형강을 이용한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 | |
JP5866689B1 (ja) | Pcランプウェー建造物 | |
US8661764B2 (en) | Method of forming multilayered netlock girder system | |
KR102193738B1 (ko) | 조립식 난간 | |
KR102123296B1 (ko) | 강관에 의해 지지되는 거더교 | |
JP7155488B2 (ja) | 構造物耐震補強構造 | |
JP6353647B2 (ja) | 免震装置接合構造 | |
KR102316319B1 (ko) | 유니트바닥판의 연결구조 | |
JP4100185B2 (ja) | 階段の支承体 | |
KR101995471B1 (ko) | 조립식 천막의 엔드 포스트 | |
JP4044835B2 (ja) | 接合構造 | |
KR102697407B1 (ko) | 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관형주 철탑 | |
KR102627366B1 (ko) | 무용접 찬넬 시스템 | |
JP6823687B2 (ja) | 温室用八角中空管 | |
CN212200732U (zh) | 建筑物外伸圆管柱固定结构 | |
KR200201260Y1 (ko) | 3중벽 파이프패널 구조물 | |
JP7229857B2 (ja) | 建物の建築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