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469Y1 - 조립형 동물 울타리 - Google Patents

조립형 동물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469Y1
KR200453469Y1 KR2020100005506U KR20100005506U KR200453469Y1 KR 200453469 Y1 KR200453469 Y1 KR 200453469Y1 KR 2020100005506 U KR2020100005506 U KR 2020100005506U KR 20100005506 U KR20100005506 U KR 20100005506U KR 200453469 Y1 KR200453469 Y1 KR 200453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connector
block
hol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소영
Original Assignee
전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소영 filed Critical 전소영
Priority to KR2020100005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4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4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8Corrals, i.e. easily transportable or demountable en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형 동물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애견 등 동물 을 보호하거나 구역을 정하여 관리하고자 할 때 관리자가 쉽고 간단하게 울타리를 조립하고 해체하도록 함으로써 울타리의 이용과 활용에서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조립형 동물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가로 세로 방향으로 프레임(31)이 있고 그 프레임(31)의 내부방향으로는 프레임(31) 사이 공간을 막는 스크린(32)을 갖는 울타리 블럭(33); 서로 이웃하는 상기 각 울타리 블럭(33)을 상호 결합을 위하여 울타리 블럭(33)의 프레임(31) 대응 위치에 형성되는 커넥터(34); 상기 커넥터(34)를 연결하여 울타리 블럭(33)을 연결하는 조인트(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형 동물 울타리{Fence for Dog House}
본 고안은 조립형 동물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애견 등 동물 을 보호하거나 구역을 정하여 관리하고자 할 때 관리자가 쉽고 간단하게 울타리를 조립하고 해체하도록 함으로써 울타리의 이용과 활용에서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조립형 동물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외 공간에서 애견 및 기타 동물 등을 구역을 정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놓아두고 관리하는 방법은 울타리를 만들어서 이동 영역을 정해 놓고 관리하는 것이다.
견사 및 동물의 집 등은 울타리와는 다르다. 통상적으로 견사 또는 동물의 집은 좁은 공간을 정해놓고 그 공간에 수면공간을 제공하는 것이고 울타리는 공간을 정하여 정해진 공간 안에서 동물이 활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실내외 공간에서 울타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적당한 울타리재료가 있어야 하고 그 울타리재료를 맞추어 조립하거나 바로 세워서 전체적으로 울타리 형상을 완성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세워서 맞출 수 있는 여러 가지 모양 의 울타리재료가 개발되었다.
울타리재료의 기본 구조는, 세울 수 있고 면적을 갖는 판 형상의 울타리 본체가 있고, 그 울타리 본체를 끼워 맞추거나 아니면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필요한 만큼 연결할 수 있게 조립체로 되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08-0003575호 및 공개번호 20-2008-0003576호에 개시된 '조립형 개집 울타리'는 집의 주위를 에워 쌓을 수 있게 충분한 넓이를 갖는 울타리를 조립하여 연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애견의 이동 범위를 집 주위로 넓혀줄 수 있도록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목재로 이루어진 사각형 몸체 가장자리 둘레에 다수 개의 나사홈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내부 프레임(10), 목재로 이루어진 사각형 가장자리 몸체 둘레에 상기 내부 프레임(10)과 동일한 개수 및 간격의 나사홈이 배열되어 있으며 나사못에 의하여 상기 내부 프레임(10)과 앞뒤로 겹치는 형태로 결속되는 외부 프레임(11), 다수 개의 철재 봉(12)이 격자 상으로 모여 망 형상을 이루며 내부 프레임(10)과 외부 프레임(11)의 사이에 끼워져 내부 프레임(10) 및 외부 프레임(11)과 일체를 이루게 되는 울타리망(14)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목재로 이루어진 몸체에 다수 개의 홈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15), 목재로 이루어진 몸체에 상부 프레임(15)과 동일한 개수 및 간격의 홈이 배열되어 있는 하부 프레임(16), 목재로 이루어진 몸체의 수직방향 상부 끝단은 상부 프레임(15)과 나사못에 의하여 결속되며 몸체의 수직방향 하부 끝단은 하부 프레임(16)과 나사못(19)에 의하여 결속됨으로써 상부 프레임(15) 및 하부 프레임(16)을 지지하는 측면 프레임(17) 및 상부 프레임(15) 및 하부 프레임(16)의 홈에 끼워지는 다수 개의 철재봉(18)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종래의 울타리는 구조적으로 가벼운 목재의 사용으로 조립 해체를 자유롭게 하고 별도의 장비 없이 손쉽게 연결이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제시된 것이다.
그 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293491호, 제0310582호에는 조립이 가능한 개집 및 울타리와 관련된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울타리의 길이와 높이를 쉽고 간편하게 조절하여 조립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한 개시는 없다.
일반적인 조립형 울타리를 포함하여 종래의 울타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울타리 길이를 사용자가 직접 정할 수 없으므로 이동 구역을 정하는데 있어서 준비된 프레임 재료를 연속해서 이어주거나 또는 프레임 재료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하는 방법으로 울타리를 완성하였으므로 누구나 손쉽고 간단하게 울타리를 만들지 못했다. 즉 종래의 울타리는 집의 주위를 에워 쌓는 울타리 기능을 위한 것이고 여기서 벗어나지 못했다.
또한, 울타리 높이와 길이를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로 조절할 수 없었으므로 사용 제약이 많았고 울타리를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 수 없다.
또한, 준비된 울타리재료가 없으면 망상형 철재 울타리를 용접방법으로 연결하여 울타리를 만들었으므로 이동과 해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고 누구나 쉽게 원하는 장소에서 동물의 이동 구역을 정해주는 울타리를 만들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울타리의 형상과 모양을 사용자가 직접 필요한 형상과 모양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준비된 재료를 연속해서 조립할 수 있어 동물의 이동 구역을 임의로 정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울타리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누구나 손쉽고 간단하게 장소에 맞게 울타리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외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조립형 동물 울타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상의 스크린을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울타리 디자인을 원하는 모양으로 디자인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동물 울타리는,
가로 세로 방향으로 프레임이 있고 그 프레임의 내부방향으로는 프레임 사이 공간을 막는 스크린을 갖는 울타리 블럭;
서로 이웃하는 상기 각 울타리 블럭을 상호 결합을 위하여 울타리 블럭의 프레임 대응 위치에 형성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를 연결하여 울타리 블럭을 연결하는 조인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울타리 블럭의 수평 방향 프레임에는 울타리 블럭의 수평 방향 프레임들 간 밀착결합을 유도하는 돌출단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대측 울타리 블럭의 수평 방향 프레임에는 돌출단이 안착될 수 있는 랜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울타리 블럭의 수평 방향 프레임에 형성되는 돌출단과 랜딩홈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장방형 돌출단과 장방형 랜딩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울타리 블럭의 수직 방향 프레임에 형성되는 커넥터는, 수직 방향 프레임에 외부 돌출형으로 돌설되고, 그 커넥터에는 구멍을 형성하여 조인트가 구멍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이 상호 결합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인트는,
상기 수직 방향 프레임에 형성된 커넥터에 뚫려 있는 구멍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을 상호 체결하는 볼트 및 그 볼트를 연속해서 연장하면서 울타리 블럭의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를 연결하는 하우징 너트를 포함하며, 하부측 하우징 너트는 지면에 닿아 지지력을 더해주는 지지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인트는,
상기 수직 방향 프레임에 형성된 커넥터에 뚫려 있는 구멍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을 상호 체결하는 볼트 및 그 울타리 블럭의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를 커넥터에 고정 결합하는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울타리 블럭의 수직 방향 프레임에 형성되는 커넥터는, 수직 방향 프레임에 외부 돌출형으로 돌설되고, 그 커넥터에는 다각형 구멍을 형성하여 조인트가 다각형 구멍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이 상호 결합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인트는,
상기 수직 방향 프레임에 형성된 커넥터에 뚫려 있는 상기 다각형 구멍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을 상호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다각형 구멍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넥터를 끼움 결합하는 각형 체결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인트는,
상기 울타리 블럭의 양편 수직 방향 프레임의 수직 벽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져 울타리 블럭을 상호 연결하는 슬라이드레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인트는,
상기 수직 방향 프레임에 형성된 커넥터에 뚫려 있는 구멍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을 상호 체결하기 위하여 구멍에 끼워지는 체결핀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핀을 울타리 블럭 사이에서 지지하는 체결핀 막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울타리 블럭을 조립하여 연속해서 이어주거나 또는 울타리 블럭의 길이를 짧게 하여 필요한 만큼의 이동 구역을 정할 수 있고 울타리 블럭의 적층이 가능하여 울타리 높이 조절도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로 조립이 가능하므로 여러 가지 모양과 형상으로 취향에 따라 조립하여 울타리를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공구 없이 누구나 손쉽고 간단하게 조립하여 울타리를 만들 수 있고 다시 해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외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형상의 스크린을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울타리 디자인을 취향에 따라 원하는 모양으로 디자인하여 조립할 수 있어 거부감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립형 울타리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조립형 울타리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동물 울타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 블럭의 상부 방향 조립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 블럭의 길이 방향 결합 상태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 블럭의 길이 방향 결합 상태 설명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 블럭의 길이 방향 결합 상태 설명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 블럭의 길이 방향 결합 상태 설명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 블럭의 길이 방향 결합 상태 설명도.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설명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동물 울타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 블럭의 상부 방향 조립 상태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 블럭의 길이 방향 결합 상태 설명도 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 블럭의 길이 방향 결합 상태 설명도 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 블럭의 길이 방향 결합 상태 설명도 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 블럭의 길이 방향 결합 상태 설명도 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 블럭의 길이 방향 결합 상태 설명도 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설명도 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동물 울타리(30)는, 도 3과 같이, 가로 세로 방향으로 프레임(31)이 있고 그 프레임(31)의 내부방향으로는 프레임(31) 사이 공간을 막는 스크린(32)을 갖는 울타리 블럭(3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각 울타리 블럭(33) 간 상호 결합을 위하여 울타리 블럭(33)의 프레임(31) 대응 위치에는 커넥터(34)가 위치한다.
그리고, 커넥터(34)를 연결하여 울타리 블럭(33)을 연결하는 조인트(35)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구성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같이, 울타리 블럭(33)의 스크린(32)은 동물이 울타리를 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가림막부재로서 투명 또는 불투명패널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통풍과 내부 투시가 양호한 통상의 그물 형 망체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울타리 블럭(33)의 수평 방향 프레임(31)에는 울타리 블럭(33)의 수평 방향 프레임(31)들 간 밀착결합을 유도하는 돌출단(36)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대측 울타리 블럭(33)의 수평 방향 프레임(31)에는 돌출단(36)이 안착될 수 있는 랜딩홈(37)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울타리 블럭(33)의 수평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되는 돌출단(36)과 랜딩홈(37)은 프레임(3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장방형 돌출단(36a)과 장방형 랜딩홈(37a)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울타리 블럭(33)의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되는 커넥터(34)는 외부 돌출형으로 돌설되고, 그 커넥터(34)에는 구멍(38)을 형성하여 조인트(35)가 구멍(38)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33)이 상호 결합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울타리 블럭(33)의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되는 커넥터(34)는,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외부 돌출형으로 돌설되고, 그 커넥터(34)에는 다각형 구멍(38a)을 형성하여 조인트(35)가 다각형 구멍(38a)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33)이 상호 결합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34)에 형성하는 다각형 구멍(38a)은, 도 6의 (b)와 같은 육각형, 또는 (c)와 같은 사각형을 포함하여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각형 구멀(38a)을 형성하고 여기에 맞는 각형 체결대(40a)로 결합하면 울타리 블럭(33)의 결합 후 회전이 방지되는 구조가 된다.
도 7과 같은 커넥터(34) 구조에서, 조인트(35)는,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된 커넥터(34)에 뚫려져 있는 상기 다각형 구멍(38a)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33)을 상호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다각형 구멍(38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커넥터(34)를 끼움 결합하는 각형 체결대(40a)로 구성된다.
도 8과 같이, 울타리 블럭(33)의 수직 방향 프레임에 형성되는 커넥터(34)는 수직방향 프레임(31)의 벽면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39)을 형성하여 조인트(35)가 가이드홈(39)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으로 결합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35)는, 도 5와 같이,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된 커넥터(34)에 뚫려져 있는 구멍(38)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33)을 상호 체결하는 볼트(40) 및 그 볼트(40)를 연속해서 연장하면서 울타리 블럭(33)의 구멍(38)을 관통하는 볼트(40)를 연결하는 하우징 너트(41)를 포함하며, 하부측 하우징 너트(41)는 지면에 닿아 지지력을 더해주는 지지판(42)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35)는, 도 6과 같이,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된 커넥터(34)에 뚫려져 있는 구멍(38)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33)을 상호 체결하는 볼트(40) 및 그 울타리 블럭(33)의 구멍(38)을 관통하는 볼트(40)를 커넥터(34)에 고정 결합하는 너트(41a)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인트(35)는, 도 8과 같이, 울타리 블럭(33)의 양편 수직 방향 프레임(31)의 수직 벽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39)에 끼워져 울타리 블럭(33)을 상호 연결하는 슬라이드레일(43)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35)는, 도 9와 같이,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된 커넥터(34)에 뚫려져 있는 구멍(38)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33)을 상호 체결하기 위하여 구멍(33)에 끼워지는 체결핀(44)을 형성하고 그 체결핀(44)을 울타리 블럭(33) 사이에서 지지하는 체결핀 막대(45)로 구성할 수 있다.
울타리(30)를 구성하는 울타리 블럭(33)의 프레임(31)은 합성수지재, 목재, 기타 경금속재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동물 울타리의 조립 및 사용 그리고 특징을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낱개의 울타리 블럭(33)들은 가로 세로 방향으로 프레임(31)으로 되어 있고 그 프레임(31)의 내부방향으로는 프레임(31) 사이 공간을 막는 스크린(32)을 갖는다. 스크린(32)은 프레임(31)의 공간을 막아 동물의 이탈을 막는 것으로 격자형 그물 망상체가 적당하다.
울타리 블럭(33) 들은 상호 결합이 가능하다. 결합 방향은 길이 방향 또는 높이 방향 등 원하는 방향으로 길이와 높이로 울타리를 만들 수 있으며 낱개의 울타리 블럭(33)들을 조립함으로써 원하는 길이와 높이를 갖는 울타리를 의도하는 대로 만들 수 있다.
울타리 블럭(33)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시켜 조립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수직 방향 프레임(31)을 기준으로 구성된 커넥터(34)와 이것을 연결하는 조인트(35)이다. 커넥터(34)는 울타리 블럭(33)을 제작할 때 프레임(31)에 형성하는 부분이고, 조인트(35)는 커넥터(34)를 결합하여 낱개의 울타리 블럭(33)들을 연속해서 이어지게 하는 결합 수단이다.
이에 대하여 울타리 블럭(33)을 상부 방향 즉 높이 방향으로 쌓아올릴 수 있게 하는 것은 수평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된 돌출단(36)과 랜딩홈(37)이다.
돌출단(36)과 랜딩홈(37)은, 도 3과 같이, 서로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하기 위하여 수평 프레임(31)의 대응 위치에 형성하여 한쪽의 돌출단(36)이 상대측 랜딩홈(37)에 끼워져 조립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도 4와 같이 장방형 돌출단(36a)과 장방형 랜딩홈(37a)으로 형성하여 쌓아 올려 조립할 수 있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여러 개의 돌출단과 랜딩홈을 형성하여도 울타리 블럭(33)을 적층 상으로 쌓아 올리는 조립이 가능하다.
한편, 울타리 블럭(33)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조립하기 위하여 프레임(31)에 구성하는 커넥터(34)와 조인트(35)는 다양한 형식으로 구성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울타리 블럭(33)의 수직 프레임(31)의 벽면에 구멍(38)이 형성된 커넥터(34)를 돌출하고 그 구멍(38)에 조인트(35)를 끼워 울타리 블럭(33)을 조립한 예이다. 여기서 사용한 조인트(35)는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된 커넥터(34)에 뚫려져 있는 구멍(38)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33)을 상호 체결하는 볼트(40) 및 그 볼트(40)를 연속해서 연장하면서 울타리 블럭(33)의 구멍(38)을 관통하는 볼트(40)를 연결하는 하우징 너트(41)의 형식이다.
하부측 하우징 너트(41)는 지면에 닿아 지지력을 더해주는 지지판(42)을 추가하여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볼트(40) 및 하우징 너트(41)는 공구를 사용해서 돌리지 않고 볼트(40)를 손으로 잡고 돌리면 볼트(40)가 하우징 너트(41)의 나사와 맞물려 조립되는 형식이며, 울타리 블럭(33)을 분해할 때는 볼트(40)를 손으로 잡고 조립할 때와는 다른 방향으로 돌려서 빼내면 간단히 분리된다.
조인트(35)는, 도 6과 같이,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된 커넥터(34)에 뚫려져 있는 구멍(38)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33)을 상호 체결하는 볼트(40) 및 그 울타리 블럭(33)의 구멍(38)을 관통하는 볼트(40)를 커넥터(34)에 고정 결합하는 너트(41a)로 구성하여 울타리 블럭(33)을 연속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울타리 블럭(33)의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되는 커넥터(34)는,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외부 돌출형으로 돌설하고, 그 커넥터(34)에는 다각형 구멍(38a)을 형성하여 조인트(35)가 다각형 구멍(38a)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33)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조인트(35)는,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된 커넥터(34)에 뚫려져 있는 다각형 구멍(38a)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33)을 상호 체결할 수 있도록 다각형 구멍(38a)에 대응되는 각형 체결대(40a)를 사용함으로서 결합 후 울타리 블럭(33)의 틀어짐이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형식이다.
도 8은 울타리 블럭(33)을 연결하는 조인트(35)가 슬라이드레일(43) 형식인 예를 나타낸 것으로, 울타리 블럭(33)의 양편 수직 방향 프레임(31)의 수직 벽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39)에 맞추어 슬라이드 레일(43)의 양편을 밀어서 끼워 넣으면 양편의 울타리 블럭(33)은 슬라이드레일(43)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서로 결합된다. 울타리 블럭(33)을 분리할 때는 슬라이드 레일(43)을 손으로 잡고 가이드홈(39)에서 빼내면 분해된다.
도 9는 울타리 블럭(33)을 연결하는 조인트(35)가 체결핀(44) 형식인 예를 나타낸 것으로,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된 커넥터(34)에 뚫려져 있는 구멍(38)을 체결핀(44)이 관통하여 양편의 울타리 블럭(33)을 연결 조립하는 형식이다. 체결핀(44)은 체결핀 막대(45)에 달려 있다. 따라서 울타리 블럭(33)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체결핀 막대(45)를 잡고 체결핀(44)을 구멍(38)에 밀어 넣어 끼우면 되고, 반대로 분리할 때는 체결핀 막대(45)를 잡고 구멍(38)에서 빼내면 울타리 블럭(33)의 구멍(38)에서 체결핀(44)이 빠져 나와 분해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울타리 블럭(33)을 길이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연결한 예로서, 길이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낱개의 울타리 블럭(33)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길이와 높이 만큼 울타리 블럭(33)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울타리 블럭(33)을 조립하고 분해할 때 별도의 조립용 공구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울타리 블럭(33)을 원하는 형상으로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고, 단순한 수정 및 변형은 모두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속한다.
30:울타리
31:프레임
32:스크린
33:울타리블럭
34:커넥터
35:조인트
36:돌출단
36a:장방형돌출단
37:랜딩홈
37a:장방형랜딩홈
38:구멍
38a:다각형구멍
39:가이드홈
40:볼트
40a:각형체결대
41:너트
41a:너트
42:지지판
43:슬라이드레일
44:체결핀
45:체결핀막대

Claims (10)

  1. 가로 세로 방향으로 프레임(31)이 있고 그 프레임(31)의 내부방향으로는 프레임(31) 사이 공간을 막는 스크린(32)을 갖는 울타리 블럭(33);
    서로 이웃하는 상기 각 울타리 블럭(33)을 상호 결합을 위하여 울타리 블럭(33)의 프레임(31) 대응 위치에 형성되는 커넥터(34);
    상기 커넥터(34)를 연결하여 울타리 블럭(33)을 연결하는 조인트(3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울타리 블럭(33)의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되는 커넥터(34)는,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외부 돌출형으로 돌설되고, 그 커넥터(34)에는 구멍(38)을 형성하여 조인트(35)가 구멍(38)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33)이 상호 결합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조인트(35)는,
    상기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된 커넥터(34)에 뚫려져 있는 구멍(38)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33)을 상호 체결하는 볼트(40) 및 그 볼트(40)를 연속해서 연장하면서 울타리 블럭(33)의 구멍(38)을 관통하는 볼트(40)를 연결하는 하우징 너트(41)를 포함하며, 하부측 하우징 너트(41)는 지면에 닿아 지지력을 더해주는 지지판(42)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동물 울타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35)는,
    상기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된 커넥터(34)에 뚫려져 있는 구멍(38)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33)을 상호 체결하는 볼트(40) 및 그 울타리 블럭(33)의 구멍(38)을 관통하는 볼트(40)를 커넥터(34)에 고정 결합하는 너트(41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동물 울타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울타리 블럭(33)의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되는 커넥터(34)는,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외부 돌출형으로 돌설되고, 그 커넥터(34)에는 다각형 구멍(38a)을 형성하여 조인트(35)가 다각형 구멍(38a)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33)이 상호 결합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동물 울타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35)는,
    상기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된 커넥터(34)에 뚫려져 있는 상기 다각형 구멍(38a)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33)을 상호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다각형 구멍(38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넥터(34)를 끼움 결합하는 각형 체결대(40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동물 울타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35)는,
    상기 울타리 블럭(33)의 양편 수직 방향 프레임(31)의 수직 벽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39)에 끼워져 울타리 블럭(33)을 상호 연결하는 슬라이드레일(4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동물 울타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35)는,
    상기 수직 방향 프레임(31)에 형성된 커넥터(34)에 뚫려져 있는 구멍(38)을 관통하여 울타리 블럭(33)을 상호 체결하기 위하여 구멍(33)에 끼워지는 체결핀(44)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핀(44)을 울타리 블럭(33) 사이에서 지지하는 체결핀 막대(4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동물 울타리.
KR2020100005506U 2010-05-26 2010-05-26 조립형 동물 울타리 KR200453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506U KR200453469Y1 (ko) 2010-05-26 2010-05-26 조립형 동물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506U KR200453469Y1 (ko) 2010-05-26 2010-05-26 조립형 동물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469Y1 true KR200453469Y1 (ko) 2011-05-06

Family

ID=44478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506U KR200453469Y1 (ko) 2010-05-26 2010-05-26 조립형 동물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46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887B1 (ko) * 2005-03-04 2005-10-11 (주)다산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합성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 조경 울타리 시공 구조
KR20100004198U (ko) * 2008-10-14 2010-04-22 전소영 조립식 동물 사육장치
KR100966624B1 (ko) 2007-12-17 2010-06-29 조석송 울타리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887B1 (ko) * 2005-03-04 2005-10-11 (주)다산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합성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 조경 울타리 시공 구조
KR100966624B1 (ko) 2007-12-17 2010-06-29 조석송 울타리 연결장치
KR20100004198U (ko) * 2008-10-14 2010-04-22 전소영 조립식 동물 사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828B1 (ko) 조립식 캣 타워
CN103891624B (zh) 一种积木宠物组装箱
KR200478622Y1 (ko) 어린이 및 애완동물 보호용 펜스 어셈블리
KR101169351B1 (ko) 가드닝 플랜터
JP2012115149A (ja) 猫用遊具
US6450123B1 (en) Portable, expandable, rectilinear pet corral or enclosure
EP3192945A1 (de) Aufbewahrungsvorrichtung für den aussenbereich
KR200453469Y1 (ko) 조립형 동물 울타리
US11118343B2 (en) Architectural structure
KR200454364Y1 (ko) 조립형 동물 울타리
US955114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 assembling a structure
KR102388469B1 (ko) 슬라이드 계단 가변형 조립식 개집
KR101059397B1 (ko) 정글짐 연결 구조
KR200495461Y1 (ko) 애완동물을 위한 조립식 하우스
TWM611842U (zh) 寵物籠及寵物籠組合
KR101854245B1 (ko) 동물용 울타리
KR20170001624U (ko) 애완동물용 집
JP5049411B1 (ja) 組立式植栽用容器の組立てセット及び組立式植栽用容器
US20170020102A1 (en) Support For A Vertical Panel
KR102117396B1 (ko) 동물용 울타리
JP5103576B1 (ja) 連結構造
TWI764502B (zh) 寵物籠組合
KR20130001293U (ko) 커버의 분리가 용이한 애완동물용 파이프하우스
WO2001004431A1 (en) A construction kit for use in building a structure
KR200493166Y1 (ko) 방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