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843Y1 - 옹벽축조용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축조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843Y1
KR200167843Y1 KR2019990018435U KR19990018435U KR200167843Y1 KR 200167843 Y1 KR200167843 Y1 KR 200167843Y1 KR 2019990018435 U KR2019990018435 U KR 2019990018435U KR 19990018435 U KR19990018435 U KR 19990018435U KR 200167843 Y1 KR200167843 Y1 KR 200167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retaining wall
block
present
bui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계환
Original Assignee
나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계환 filed Critical 나계환
Priority to KR2019990018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8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8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의 전면이 직선을 포함한 내,외향의 곡면으로 축조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또 블록 상호간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보다 견실한 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옹벽축조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통상의 옹벽축조용 블록본체(10)에 있어서 블록본체(10)의 상면에는 전방 및 후방 돌기(11)(11')를 일체로 형성하고 전방돌기(11)의 외측방으로는 구멍(12)을 천공하여 된 구조로서 본 고안은 블록본체(10)의 상면에 상부 블록본체 (10')적층하되 상부 블록본체(10')는 하부의 블록본체(10)사이에 위치하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되며 이때 상부의 블록본체(10')는 공히 그 전방 상면 양단에 형성된 구멍(12)이 하부 블록본체(10)의 전방돌기(11)에 끼워지도록 결속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구멍과 돌기의 결합구조로서 블록의 조적 및 지형에 따른 곡면으로의 구축이 용이하고 특히 블록 상호간의 전후좌우 결속력이 강화되어 일층 견실한 옹벽을 구축하게 된다.

Description

옹벽축조용 블록 {Block for Retaining Wall}
본 고안은 콘크리트 보강토의 옹벽을 효과적으로 축조하기 위한 옹벽축조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옹벽의 전면이 직선을 포함한 외향 또는 내향의 곡면으로 축조하기 용이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때 블록 상호간의 결속력을 강화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옹벽은 지형에 따라 다양한 내,외향의 곡면으로 구축되고 또 그 견고한 구축을 위한 블록 상호간의 효과적인 결속구조가 요구된다. 일반적인 블록은 특별한 결속구조없이 그리고 지형에 따라 적당히 내,외향의 곡면으로 배열하여 구축하고 있으나 곡면의 구성이 용이하지 못하고 특히 그 견고성은 극히 미흡한 수준이다. 최근에 핀 결합방식이 제공되고 있는데 이는 블록에 구멍을 뚫어 그 구멍을 통하여 별도의 유리재 핀을 꼽아 상호 결속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핀 결속수단은 작업성이 떨어지고 있으며 별도의 부품생산 등으로 인한 가격경쟁에서 매우 불리한 입장이다. 한편, 기초블록 및 연결블록 그리고 마감블록으로 세분화된 연결블록 (BASIC STONE BLOCK)축조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 또한 많은 부품의 사용에 따른 작업성의 결여 내지는 기초블록의 상호 결속력이 연결블록에 의존함에 따라 곡선쌓기가 매우 난해하다. 그리고 블록의 상면에는 돌출부를 구성하고 그 저면에는 이와 일치하는 홈을 형성하여 돌출부가 홈에 삽입되는 구조로 상,하블록이 적층되게한 구조도 알려지고 있으나 이는 좌,우 결속력이 떨어지는 관계로 부동침하에 의해 균열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블록의 전후좌우 결속력이 우수하고 특히 곡면의 옹벽축조에 극히 용이하도록 함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에따라 본 고안은 원추형의 돌기와 구멍을 갖는 블록 구조로서 상기 돌기가 구멍에 끼워지면서 전후좌우 결속력을 유지하며 특히 자유로운 방향설정이 가능하여 곡면쌓기가 극히 용이하도록 하는 일종의 앵커,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볼록쌓기 평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오목쌓기 평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직선쌓기 평면 구성도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 : 블록본체 11 : 전방돌기
11' : 후방돌기 12 : 구멍
통상의 옹벽축조용 블록본체(10)에 있어서 블록본체(10)의 상면에는 전방 및 후방 돌기(11)(11')를 일체로 형성하고 전방돌기(11)의 외측방으로는 구멍(12)을 천공하여 된 구조이다. 본 고안의 블록본체(10)전면은 도 1에서 다수의 파상형 돌출부를 구성하고 있으나 이는 외관을 고려한 것이므로 도 2 이하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 상기 블록본체(10)는 전방부는 넓고 후방부는 좁게 구성하고 있으며 후방부의 일측면은 요입부(a)를 구성하고 있다.
본 고안의 옹벽축조상태는 도 2내지 도 4에서 평면구조로 나타내고 있으며 실선의 블록본체(10)위에 2점 쇄선으로 표시한 블록본체(10')는 상기 블록본체(10)의 상면에 적층 결합된 블록을 나타낸다. 또 이들은 공히 도면상 하단부가 블록 전면이 되며 상단부는 블록 후면이 된다.
본 고안은 상부 및 하부의 블록본체(10')(10)를 상하로 적층하되 상부의 블록본체(10')는 하부의 블록본체(10)사이에 위치하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되며 이때 상부의 블록본체(10')는 공히 그 전방 상면 양단에 형성된 구멍(12)이 하부 블록본체(10)의 전방돌기(11)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도면상 상부 블록본체(10')의 왼쪽구멍은 하부 블록본체(10)의 오른쪽 돌기에 그리고 상부 블록본체(10')의 오른쪽 구멍은 하부 블록본체(10)의 왼쪽구멍에 각각 끼워지며 이와같은 결합수단으로 점진적으로 쌓아 옹벽을 구축한다. 또 본 고안의 전방돌기(11)는 구멍(1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원추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옹벽구축시 지형에 따라 도 2에서와 같이 블록전면이 전체적으로 볼록한 상태로 구축할 수도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내향으로 오목한 상태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직선으로 구축할 수도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볼록쌓기의 경우 최초에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 블록본체(10)를 지형의 볼록구조에 부합하도록 볼록곡면으로 배열하고 그 상면의 상부 블록본체(10')는 상기한 바와같이 그 구멍(12)을 전방 돌기(11)에 끼우면서 하부 블록본체(10)의 곡면방향으로 조절하여 결합, 안착하는 방법으로 계속 상하좌우 연속적으로 쌓게되면 축조된 블록전체는 그 좌우 전면이 외방으로 볼록하게 구성된다. 또 이와같은 볼록쌓기의 경우 후방 측면의 요입부(a)가 후방돌기(11')에 접면되어 상,하 블록본체(10')(10)의 유동을 방지하여 결속력을 강화시켜 주는 효과도 있다. 물론 곡면이 완만하여 상기 요입부(a)가 후방돌기(11')에 접면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후방돌기(11')는 복토에 의해 매립되므로 블록본체(10)(10')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기능은 갖는다. 한편, 도 3의 오목쌓기의 경우 상기 볼록쌓기와는 반대로 최초에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 블록본체(10)를 지형의 구조에 따라 내향으로 곡면을 유지하도록 배열하고 이어 상부 블록본체(10')를 그 구멍(12)을 전방돌기(11)에 끼워주면서 하부 블록본체(10)가 배열된 내향곡면의 방향과 부합되게 좌우 및 상하로 연속 축조 하게되면 전체적으로 내향으로 오목한 곡면구조의 옹벽을 구축하게 된다. 즉, 이와같이 축조된 본 고안의 블록본체(10)(10')는 구멍(12)과 전방돌기(11)의 결합구조로서 블록 조적의 용이함을 제공하고 특히 블록 상호간의 전후좌우 결속력이 강화되어 일층 견실한 옹벽을 구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옹벽을 구축함에 있어서, 볼록쌓기 및 오목쌓기가 용이하여 지형의 내,외향 곡면 또는 파상형 구조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는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효과와 함께 시공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조적이 용이한 한편, 우수한 결속력을 가짐에 따라 옹벽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Claims (1)

  1. 통상의 옹벽축조용 블록본체(10)에 있어서 블록본체(10)의 상면에는 전방 및 후방 돌기(11)(11')를 일체로 형성하고 전방돌기(11)의 외측방으로는 구멍(12)을 천공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축용 블록.
KR2019990018435U 1999-09-01 1999-09-01 옹벽축조용 블록 KR2001678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435U KR200167843Y1 (ko) 1999-09-01 1999-09-01 옹벽축조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435U KR200167843Y1 (ko) 1999-09-01 1999-09-01 옹벽축조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843Y1 true KR200167843Y1 (ko) 2000-02-15

Family

ID=1958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435U KR200167843Y1 (ko) 1999-09-01 1999-09-01 옹벽축조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8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01007A2 (en) * 2000-06-29 2002-01-03 Lee, Seung-Hoon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setback locator therefor
CN115748740A (zh) * 2022-12-21 2023-03-07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沟谷大跨内凹拱式加筋土挡墙支护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01007A2 (en) * 2000-06-29 2002-01-03 Lee, Seung-Hoon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setback locator therefor
WO2002001007A3 (en) * 2000-06-29 2002-05-30 Lee Seung Hoon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setback locator therefor
CN115748740A (zh) * 2022-12-21 2023-03-07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沟谷大跨内凹拱式加筋土挡墙支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5265A (en) Corner and end block for interlocking building block system
US6474036B2 (en) Retaining wall block
US7818938B2 (en) Block and connector system
AU2004216646A1 (en) Interlocking block
CA2696981A1 (en) Building block system
PL172426B1 (pl) Zestaw pustaków murarskich PL
KR200397873Y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167843Y1 (ko) 옹벽축조용 블록
KR100878716B1 (ko) 연결식 축조식생블록
KR200238747Y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KR100401121B1 (ko) 조립식 옹벽 블록
KR100430530B1 (ko) 옹벽용 블록
CN209066711U (zh) 一种装配式墙体及装配式建筑砌块
KR100541013B1 (ko)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JP3930016B2 (ja) 建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0679736B1 (ko)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EP0383740A1 (en) Autofitting building blocks and bricks
KR200273590Y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의 결합구조
WO2002002876A1 (en) Pivotable interlock block connector
KR200387146Y1 (ko)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KR200396206Y1 (ko) 축조블럭
CN109306760A (zh) 装配式墙体及装配式建筑砌块
KR200314012Y1 (ko)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JP3017405U (ja) 抱き合わせブロック及び抱き合わせブロックの組積み構造
KR20060100830A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