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736B1 -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 Google Patents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736B1
KR100679736B1 KR1020040004853A KR20040004853A KR100679736B1 KR 100679736 B1 KR100679736 B1 KR 100679736B1 KR 1020040004853 A KR1020040004853 A KR 1020040004853A KR 20040004853 A KR20040004853 A KR 20040004853A KR 100679736 B1 KR100679736 B1 KR 100679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lock
protrusion
coupl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7134A (ko
Inventor
박병영
Original Assignee
(주)레코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코기술 filed Critical (주)레코기술
Priority to KR1020040004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736B1/ko
Publication of KR20050077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04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넬식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조되어 옹벽을 형성하는 판넬식 블록 및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판넬식 블록(10)이 적층되는 벽체에 있어서,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측면(12)들을 가지는 본체(11)와; 상기 각 측면(12) 중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11)의 측면 방향으로 삽입홀(110)이 형성된 돌출부(100)와, 이웃하는 블록(10)의 돌출부(100)와 대응되도록 상기 측면(12) 중 나머지에 형성된 돌출부 수용부(200)와, 상기 돌출부(100) 및 이웃하는 블록(10)의 돌출부(100)들에 형성된 삽입홀(110)들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블록(10)과 결합시키는 결합로드(310)를 포함하는 결합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10)을 제공한다.
판넬, 판넬식, 옹벽, 결합, 각도

Description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PANEL TYPE BLOCK AND RETAINING WALL HAVING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넬식 블록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판넬식 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판넬식 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1의 판넬식 블록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c는 도 1의 판넬식 블록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판넬식 블록의 본체보강부 및 돌출부보강부를 보여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1의 판넬식 블록의 본체보강부 및 돌출부보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1의 판넬식 블록이 적층된 옹벽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1의 판넬식 블록의 일부를 보여주는 일부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1의 판넬식 블록의 적층방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1의 판넬식 블록의 적층방식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판넬식 블록의 다른 적층방식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a는 도 1의 판넬식 블록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판넬식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판넬식 블록의 제 4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의 도 1의 판넬식 블록의 제 5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a의 도 1의 판넬식 블록의 제 6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판넬식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12의 도 1의 판넬식 블록의 제 5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판넬식 블록 11 : 본체
11a : 본체보강부 12 : 측면
13 : 결합부 100 : 돌출부
110 : 삽입홀 120 : 원기둥
121 : 제 1 턱부 200 : 돌출부 수용부
210 : 경사면 220 : 결합각 제한부
221 : 제 2 턱부 230 : 대응면
240 : 돌출부보강부 310 : 결합로드
410 : 지지부재 420 : 연결부재
430 : 연결부 431 : 관통공
440 : 고정부 500 : 본체결합부
510 : 결합돌출부 520 : 결합홈부
530 : 결합공 540 : 결합봉
본 발명은 판넬식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조되어 옹벽을 형성하는 판넬식 블록 및 옹벽에 관한 것이다.
옹벽이란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를 말하며, 지표지반(地表地盤)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
옹벽은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 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에 필요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① 블록 쌓기: 예로부터 널리 쓰이는 축벽(築壁)이 이것에 속하며 현재는 콘크리트블록이 많이 사용된다.
② 중력식(重力式) 콘크리트 옹벽: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막아내는 구조로 되었는데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채택된다.
③ 특수 철근콘크리트 옹벽: 옹벽의 높이가 커져서 중력식 옹벽으로는 경제적이지 않거나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 용지(用地)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용되며, 역T형식 ·부벽식(扶壁式: L자형) 등 여러 형식이 있다. 이 밖에 강판이나 목책(木柵)을 이용한 간단한 것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옹벽을 적층하기 위한 블록의 일종으로 판넬식 블록이 있는데, 판넬식 블록은 옹벽을 적층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벽체 또는 옹벽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옹벽의 전면이 평면이 아니라 굴곡된 형태를 이루거나 굽어진 형태로 축조되어야 하는데, 옹벽의 전면이 굴곡 또는 굽어진 부분에 맞는 판넬식 블록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옹벽을 형성하기 위하여 블록이 적층될 때 이웃하는 블록과의 결합각도가 변동될 필요가 있는데, 일반적인 판넬식 옹벽의 경우에는 그 결합각도를 조절하는 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웃하는 블록간의 결합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판넬식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곡선 또는 여러 가지 각도를 가지는 전면을 가지는 판넬식 블록이 축조된 옹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판넬식 블록은 판넬식 블록(10)이 적층되는 벽체에 있어서,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측면(12)들을 가지는 본체(11)와; 상기 각 측면(12) 중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11)의 측면 방향으로 삽입홀(110)이 형성된 돌출부(100)와, 이웃하는 블록(10)의 돌출부(100)와 대응되도록 상기 측면(12) 중 나머지에 형성된 돌출부 수용부(200)와, 상기 돌출부(100) 및 이웃하는 블록(10)의 돌출부(100)들에 형성된 삽입홀(110)들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블록(10)과 결합시키는 결합로드(310)를 포함하는 결합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10)을 제공한다.
상기 돌출부(100)들은 상기 본체(11)의 일측면에서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11)의 타측면에서 하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100)들은 상기 본체(11)의 측면(12)들에서 상측 또는 하측에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100)는 측면(12)의 일부가 상기 본체(11)와 일체로 결합된 원기둥(12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1)의 측면(12)은 상기 본체(11)의 측면(12)의 수직 단면과 경사 를 이루는 경사면(210)이 상기 돌출부(100)의 일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면(210)은 상기 본체(11)의 측면(12)의 수직 단면과 이루는 각도는 45°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1)의 측면(12)은 상기 돌출부(100)를 기준으로 상기 경사면(210)의 반대쪽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11)의 결합각을 제한하는 결합각 제한부(220)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각 제한부(220)는 상기 돌출부(100)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턱부(121)와; 상기 돌출부(100)와 대응되는 돌출부 수용부(200)에 상기 제 1 턱부(121)와 걸리도록 형성된 제 2 턱부(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 수용부(200)는 상기 돌출부(100)의 측면(12)과 접하도록 상기 경사면(210)과 상기 제 2 턱부(221) 사이에 대응면(230)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1)의 측면(12)은 상기 본체(11)의 측면(12)의 수직 단면과 상기 본체(11) 쪽으로 경사를 이루는 한 쌍의 경사면(210)이 상기 돌출부(100)의 양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면(210)은 직선 또는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 수용부(200)는 상기 돌출부(100)의 측면(12)과 접하도록 상기 경사면(210)과 상기 제 2 턱부(221) 사이에 대응면(230)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100)는 그 구조 강도의 보강을 위하여 상기 삽입홀(110)을 둘러싸는 돌출부보강부(240)가 본체(11)의 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1)는 그 구조 강도의 보강을 위한 본체보강부(11a)가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보강부(11a)는 상기 돌출부보강부(240)와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보강부(11a) 및 돌출부보강부(240)는 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재는 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1)는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본체(11)의 상측 및 하측 또는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1)는 블록(10)이 적층되는 내측에 설치된 지지부재(410)에 연결된 연결부재(420)와 연결을 위한 연결부(430)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430)는 상기 연결부재(42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431)과; 상기 연결부재(420)를 상기 본체(11)에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440)는 상기 연결부재(420)의 끝단에 형성된 수나사부(421)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420)를 상기 본체(11)의 전면에 고정 결합시키는 암나사부(4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1)의 전면에는 상기 암나사부(44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수용홈(442)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본체(11)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11)는 상측 또는 하측에 이웃하는 블록(1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상측 및 하측에 본체결합부(500)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결합부(500)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출부(510)와; 상기 결합돌출부(5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홈부(5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결합부(500)는 상기 본체(11)의 상측 및 하측에는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결합공(530)과; 상기 결합공(530)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블록(10)과 결합시키는 결합봉(5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판넬식 블록이 적층된 벽체를 제공한다.
상기 벽체는 옹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옹벽은 그 내측에 보강토가 적층되는 보강토 옹벽인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판넬식 블록은 도 1 내지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식 블록(10)이 적층되는 벽체에 있어서,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측면(12)들을 가지는 본체(11)와; 상기 각 측면(12) 중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11)의 측면 방향으로 삽입홀(110)이 형성된 돌출부(100)와, 이웃하는 블록(10)의 돌출부(100)와 대응되도록 상기 측면(12) 중 나머지에 형성된 돌출부 수용부(200)와, 상기 돌출부(100) 및 이웃하는 블록(10)의 돌출부(100)들에 형성된 삽입홀(110)들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블록(10)과 결합시키는 결합로드(310)를 포함하는 결합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10)을 제공한다.
상기 돌출부(100)들은 도 1과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의 일측면에서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11)의 타측면에서 하측에 형성된다.
한편 도 3a와 3b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돌출부(100)들은 도 3a와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측면(12)들에서 상측 또는 하측에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12)의 일부가 상기 본체(11)와 일체로 결합된 원기둥(120)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1)의 측면(12)은 본체(11)의 측면(12)의 수직 단면과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210)이 돌출부(100)의 일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210)은 본체(11)의 측면(12)의 수직 단면과 이루는 각도는 45°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경사면(210)의 각도는 축조되는 옹벽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의 측면(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00)를 기준으로 경사면(210)의 반대쪽에 위치되어 본체(11)의 결합각을 제한하는 결합각 제한부(220)가 추가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각 제한부(220)는 돌출부(100)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턱부(121)와; 돌출부(100)와 대응되는 돌출부 수용부(200)에 제 1 턱부(121)와 걸리도록 형성된 제 2 턱부(2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 수용부(200)는 돌출부(100)의 측면(12)과 접하도록 경사면(210)과 제 2 턱부(221) 사이에 대응면(230)이 추가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 수용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00)의 측면(12)과 접하도록 상기 경사면(210)과 상기 제 2 턱부(221) 사이에 대응면(230)이 추가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100)는 도 4a와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조 강도의 보강을 위하여 삽입홀(110)을 둘러싸는 돌출부보강부(240)가 본체(11)의 내측에 설 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는 도 4a와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조 강도의 보강을 위한 본체보강부(11a)가 추가로 설치된다. 물론, 상기 본체보강부(11a)는 상기 돌출부보강부(240)와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보강부(11a) 및 돌출부보강부(240)는 철근 등과 같은 강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의 형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은 물론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이 적층되는 내측에 설치된 지지부재(410)에 연결된 연결부재(420)와 연결을 위한 연결부(430)가 추가로 형성된다. 도면 부호 400은 본 발명에 따른 판넬식 블록이 적층된 옹벽의 후면에 채워지는 보강토를 가리킨다.
상기 연결부(43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42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431)과; 상기 연결부재(420)를 상기 본체(11)에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4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420)의 끝단에 형성된 수나사부(421)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420)를 상기 본체(11)의 전면에 고정 결합시키는 암나사부(4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의 전면에는 상기 암나사부(44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수용홈(442)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결합부(13)는 도 6a와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며, 본체(11)는 상측 또는 하측에 이웃하는 블록(1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상측 및 하측에 본체결합부(50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결합부(500)는 본체(11)의 상측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출부(510)와; 상기 결합돌출부(5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홈부(5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결합부(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의 상측 및 하측에는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결합공(530)과; 상기 결합공(530)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블록(10)과 결합시키는 결합봉(54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결합부(500)의 구조에 따라서 상기 본체(11)의 전면 또는 후면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1)의 전면(11b)은 도 8a와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의 중앙부에 상기 본체결합부(500)가 본체(11)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주변에는 복수개의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테두리부로 갈수록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후면 방향으로 후퇴되도록 형성된다. 도 8b는 본체(11)에 연결부재(420)가 결합된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상기 본체(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결합부(500)가 본체(11)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1)의 구조적 보강을 위하여 본체결합부(500)에 해당되는 부분이 본체(11)의 후면 쪽으로 돌출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판넬식 블록의 돌출부 및 돌출부 수용부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데, 그 변형의 한 예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이웃하는 블록과의 결합각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의 측면(1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측면(12)의 수직 단면과 본체(11) 쪽으로 경사를 이루는 한 쌍의 경사면(210)이 돌출부(100)의 양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210)은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12)의 일부가 상기 본체(11)와 일체로 결합된 원기둥(120)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전면(11b)은 도 11a와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의 중앙부에 상기 본체결합부(500)가 본체(11)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주변에는 복수개의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은 도 11a와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테두리부로 갈수록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후면 방향으로 후퇴되도록 형성된다. 도 11b는 본체(11)에 연결부재(420)가 결합된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상기 본체(1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결합부(500)가 본체(11)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1)의 구조적 보강을 위하여 본체결합부(500)에 해당되는 부분이 본체(11)의 후면 쪽으로 돌출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판넬식 블록은 적층되어 벽체를 구성하게 되며, 그 벽체는 옹벽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적층되는 블록의 후면에 보강토가 쌓이는 보강토 옹벽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은 이웃하는 블록과의 결합각을 자유롭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판넬식 블록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옹벽의 전면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판넬식 블록은 이웃하는 블록간의 결합각도를 90˚는 물론 작은 범위의 각도의 결합도 가능하다.

Claims (28)

  1. 판넬식 블록이 적층되는 벽체에 있어서,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측면들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각 측면 중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측면 방향으로 삽입홀이 형성된 돌출부와, 이웃하는 블록의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측면 중 나머지에 형성된 돌출부 수용부와, 상기 돌출부 및 이웃하는 블록의 돌출부들에 형성된 삽입홀들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블록과 결합시키는 결합로드를 포함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턱부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돌출부 수용부에 상기 제 1 턱부와 걸리도록 형성된 제 2 턱부를 포함하는 결합각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서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서 하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본체의 측면들에서 상측 또는 하측에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측면의 일부가 상기 본체와 일체로 결합된 원기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은 상기 본체의 측면의 수직 단면과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이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본체의 측면의 수직 단면과 이루는 각도는 45°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수용부는 상기 돌출부의 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 2 턱부 사이에 대응면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10.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은 상기 본체의 측면의 수직 단면과 상기 본체 쪽으로 경사를 이루는 한 쌍의 경사면이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직선 또는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그 구조 강도의 보강을 위하여 상기 삽입홀을 둘러싸는 돌출부보강부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구조 강도의 보강을 위한 본체보강부가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보강부는 상기 돌출부보강부와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보강부 및 돌출부보강부는 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상측 및 하측 또는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19.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블록이 적층되는 내측에 설치된 지지부재에 연결된 연결부재와 연결을 위한 연결부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본체에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본체의 전면에 고정 결합시키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상기 암나사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수용홈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23.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상측 또는 하측에 이웃하는 블록과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상측 및 하측에 본체결합부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출부와;
    상기 결합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상측 및 하측에는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블록과 결합시키는 결합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식 블록.
  26. 제 1 항에 따른 판넬식 블록이 적층된 벽체.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옹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은 그 내측에 보강토가 적층되는 보강토 옹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KR1020040004853A 2004-01-26 2004-01-26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KR100679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853A KR100679736B1 (ko) 2004-01-26 2004-01-26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853A KR100679736B1 (ko) 2004-01-26 2004-01-26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134A KR20050077134A (ko) 2005-08-01
KR100679736B1 true KR100679736B1 (ko) 2007-02-07

Family

ID=3726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853A KR100679736B1 (ko) 2004-01-26 2004-01-26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7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771B1 (ko) 2008-10-22 2011-03-07 나라앤텍 주식회사 소일네일링 공법이 적용된 흙막이 벽체
KR102184445B1 (ko) * 2019-08-08 2020-11-30 소병무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765B1 (ko) * 2018-11-26 2019-05-09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콘크리트 패널 측면 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 구조체와 콘크리트 패널 시공방법
KR102503397B1 (ko) * 2022-04-12 2023-02-24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회전형 옹벽패널 및 그것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5625A (ja) * 1992-12-16 1995-06-06 Nakamura Kensetsu Kk 土留擁壁作製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5625A (ja) * 1992-12-16 1995-06-06 Nakamura Kensetsu Kk 土留擁壁作製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771B1 (ko) 2008-10-22 2011-03-07 나라앤텍 주식회사 소일네일링 공법이 적용된 흙막이 벽체
KR102184445B1 (ko) * 2019-08-08 2020-11-30 소병무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134A (ko) 2005-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6334B1 (en) Dry stackable block structures
US20100162649A1 (en) Building block system
KR20170009571A (ko) 조립식 옹벽블럭 및 옹벽시공방법
KR100679736B1 (ko)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KR101276761B1 (ko) 내진용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396209Y1 (ko)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KR102533318B1 (ko) 기능성 보강토 블럭
KR200339448Y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100970303B1 (ko) 옹벽블럭
KR200238747Y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KR101087270B1 (ko)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
KR200432085Y1 (ko) 블럭식 보강토 옹벽구조
KR101148228B1 (ko) 강성그리드가 구비된 옹벽블럭의 장착구조
KR100401121B1 (ko) 조립식 옹벽 블록
CN214658262U (zh) 一种预制构造柱拼接处的连接结构
KR200396208Y1 (ko)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KR102553681B1 (ko) 구조적 일체화가 가능한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
KR102146634B1 (ko)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
CN212078440U (zh) 一种用于扁钢的钢格板
JPS6228245B2 (ko)
KR20070077335A (ko) 결합수단을 구비한 옹벽블록
CN218861908U (zh) 一种建筑用填充体芯模安装结构件及预制构件
KR200389265Y1 (ko) 보강토옹벽블록
KR100872999B1 (ko) 결속 수단을 구비한 보강토 블록
KR100671027B1 (ko)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