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270B1 -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 - Google Patents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7270B1 KR101087270B1 KR1020090073087A KR20090073087A KR101087270B1 KR 101087270 B1 KR101087270 B1 KR 101087270B1 KR 1020090073087 A KR1020090073087 A KR 1020090073087A KR 20090073087 A KR20090073087 A KR 20090073087A KR 101087270 B1 KR101087270 B1 KR 1010872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geogrid
- retaining wall
- concave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럭본체와 연이어 연결되는 지오그리드를 일체로 결합시켜 옹벽 블럭에 전도방지를 통한 안정성 확보와 토사의 부동침하와 유실을 방지하고 옹벽 블럭의 부피와 무게를 경감시켜 운송 및 시공 비용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은,
옹벽 블럭에 있어서,
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가 연결벽(130)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연결벽의 사이 공간에 중공부(140)가 형성되는 블럭본체(100)와;
상기 전면벽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다른 블럭본체와 결합시키기 위한 돌출부(150)와;
상기 연결벽의 어느 일측에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요철부(160)와;
상기 연결벽의 타측에 다른 블럭본체의 요철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요홈부(170)와;
옹벽 블럭 형성시 시멘트에 삽입되어 시멘트 양생시 고정되는 블럭내부지오그리드부(200a)와,
옹벽 블럭 외부에 구성되는 블럭외부지오그리드부(200b)를 포함하여 구성되 는 지오그리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요철부(160)와 요홈부(170)에는,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요철부와 결합할 경우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홈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블럭본체에 대표적 보강재인 지오그리드를 블럭 성형과정에서 일체로 일부를 내부에 결합시켜 옹벽 블럭을 지오그리드가 지반쪽으로 견고히 지지해줌으로써, 옹벽 블럭의 전도를 방지하고 동시에 지오그리드를 통하여 블럭과 재방이 일체화된 하나의 토체를 형성함으로써 지반 보강의 효과와 재방의 부동침하와 유실을 방지하여 제방 전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지오그리드, 옹벽, 블럭.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럭본체와 연이어 연결되는 지오그리드를 일체로 결합시켜 옹벽 블럭에 전도방지를 통한 안정성 확보와 토사의 부동침하와 유실을 방지하고 옹벽 블럭의 부피와 무게를 경감시켜 운송 및 시공 비용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교적 가파른 경사로 이루어진 하안(河岸)이나 해안(海岸) 및 재방 등을 보호하여 유수에 의한 물가선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비탈면에는 옹벽블럭을 이용한 옹벽을 시설하고 있으며, 특히 수직경사로 이루어진 도로변의 시공면에는 옹벽블럭을 이용한 수직 옹벽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옹벽의 시공방법은 예로부터 널리 쓰이는 철근콘크리트옹벽 이나 석축을 쌓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근래에는 콘크리트로 된 옹벽블럭으로 옹벽을 형성하고 있다.
콘크리트로 된 옹벽은 콘크리트자체의 중량으로 지반 붕괴를 막아내는 구조의 중력식 콘크리트옹벽과, 옹벽의 높이가 높아져 중력식 옹벽으로는 경제적 가치가 없거나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 용지의 이용을 극대화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철근 콘크리트옹벽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콘크리트로 된 옹벽블럭에 의한 옹벽은 단순히 옹벽블럭을 적층하거나 배열한 후 인접한 옹벽 블럭에 몰타르를 접합하거나 돌기나 홈을 결합하여 옹벽을 형성함에 따라 견고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토압력에 의한 형태변형 및 붕괴가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블럭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돌출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옹벽 블럭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블럭 설치후 흙다지기를 실시할 경우 블럭이 수평을 유지할 수 없어 부실한 흙다지기로 제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시공상의 불편한 점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옹벽 블럭 자체의 부피가 커지고 중량이 무거워져 자재비는 물론 운반시 운반비용 및 설치시 설치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종래의 지오그리드가 옹벽 블럭에 활용될 경우에는 옹벽 블럭에 지오그리드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여 양생시킨 옹벽 블럭의 공간에 지오그리드를 삽입한 후 볼트 너트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단단히 고정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우는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작업자가 작업 시간을 단축시 키기 위하여 고정 결합시키지 않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고정 작업 부재에 따른 부실 우려가 있으며, 토압력에 의한 형태변형 및 붕괴가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럭본체에 대표적 보강재인 지오그리드를 블럭 성형과정에서 일체로 일부를 내부에 결합시켜 옹벽 블럭을 지오그리드가 지반쪽으로 견고히 지지해줌으로써, 옹벽 블럭의 전도를 방지하고 동시에 지오그리드를 통하여 블럭과 재방이 일체화된 하나의 토체를 형성함으로써 지반 보강의 효과와 재방의 부동침하와 유실을 방지하여 제방 전체의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옹벽 블럭을 제공함으로써, 옹벽 블럭의 무게와 부피를 경감시켜 자재비와 운반 비용 및 시공의 간편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옹벽블럭의 저면에 바닥으로부터 중공부로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설치하여 지오그리드를 삽입 보관하여 이동 중에 지오그리드가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벽의 상부에 중간돌출부를 형성하여 옹벽블럭의 요홈부와 다른 옹벽블럭의 요철부를 결합하거나, 요철부와 다른 옹벽블럭의 요 홈부를 결합하고, 상단에 또 다른 옹벽블럭을 적층할 경우에 옹벽블럭의 중간돌출부와 다른 옹벽블럭의 중간돌출부가 상단에 적층된 또 다른 옹벽블럭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적층시 옹벽블럭의 안전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은,
옹벽 블럭에 있어서,
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가 연결벽(130)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연결벽의 사이 공간에 중공부(140)가 형성되는 블럭본체(100)와;
상기 전면벽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다른 블럭본체와 결합시키기 위한 돌출부(150)와;
상기 연결벽의 어느 일측에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요철부(160)와;
상기 연결벽의 타측에 다른 블럭본체의 요철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요홈부(170)와;
옹벽 블럭 형성시 시멘트에 삽입되어 시멘트 양생시 고정되는 블럭내부지오그리드부(200a)와,
옹벽 블럭 외부에 구성되는 블럭외부지오그리드부(2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오그리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요철부(160)와 요홈부(170)에는,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요철부와 결합할 경우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홈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은 블럭본체에 대표적 보강재인 지오그리드를 블럭 성형과정에서 일체로 일부를 내부에 결합시켜 옹벽 블럭을 지오그리드가 지반쪽으로 견고히 지지해줌으로써, 옹벽 블럭의 전도를 방지하고 동시에 지오그리드를 통하여 블럭과 재방이 일체화된 하나의 토체를 형성함으로써 지반 보강의 효과와 재방의 부동침하와 유실을 방지하여 제방 전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옹벽 블럭의 무게와 부피를 경감시켜 자재비와 운반 비용 및 시공의 간편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옹벽블럭의 저면에 바닥으로부터 중공부로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설치하여 지오그리드를 삽입 보관하여 이동 중에 지오그리드가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벽의 상부에 중간돌출부를 형성하여 옹벽블럭의 요홈부와 다른 옹벽블럭의 요철부를 결합하거나, 요철부와 다른 옹벽블럭의 요홈부를 결합하고, 상단에 또 다른 옹벽블럭을 적층할 경우에 옹벽블럭의 중간돌출부와 다른 옹벽블럭의 중간돌출부가 상단에 적층된 또 다른 옹벽블럭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적층시 옹벽 블럭의 안전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은,
옹벽 블럭에 있어서,
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가 연결벽(130)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연결벽의 사이 공간에 중공부(140)가 형성되는 블럭본체(100)와;
상기 전면벽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다른 블럭본체와 결합시키기 위한 돌출부(150)와;
상기 연결벽의 어느 일측에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요철부(160)와;
상기 연결벽의 타측에 다른 블럭본체의 요철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요홈부(170)와;
옹벽 블럭 형성시 시멘트에 삽입되어 시멘트 양생시 고정되는 블럭내부지오그리드부(200a)와,
옹벽 블럭 외부에 구성되는 블럭외부지오그리드부(2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오그리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요철부(160)와 요홈부(170)에는,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요철부와 결합할 경우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 여 고정홈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은,
옹벽 블럭에 있어서,
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가 연결벽(130)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연결벽의 사이 공간에 중공부(140)가 형성되는 블럭본체(100)와;
상기 전면벽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다른 블럭본체와 결합시키기 위한 돌출부(150)와;
상기 연결벽의 어느 일측에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요철부(160)와;
상기 연결벽의 타측에 다른 블럭본체의 요철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요홈부(170)와;
상기 중공부의 하측에 블럭외부지오그리드부를 삽입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구멍(400)과;
상기 연결벽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중간돌출부(410)와;
옹벽 블럭 형성시 시멘트에 삽입되어 시멘트 양생시 고정되는 블럭내부지오그리드부(200a)와,
옹벽 블럭 외부에 구성되는 블럭외부지오그리드부(2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오그리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요철부(160)와 요홈부(170)에는,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요철부와 결합할 경우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홈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다른 블럭본체의 요철부를 결합하거나, 요철부와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를 결합하고, 상단에 또 다른 블럭본체를 적층할 경우에,
블럭본체의 중간돌출부와 다른 블럭본체의 중간돌출부가 상단에 적층된 또 다른 블럭본체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은,
옹벽 블럭에 있어서,
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가 연결벽(130)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연결벽의 사이 공간에 중공부(140)가 형성되는 블럭본체(100)와;
상기 전면벽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다른 블럭본체와 결합시키기 위한 돌출부(150)와;
상기 연결벽의 어느 일측에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요철부(160)와;
상기 연결벽의 타측에 다른 블럭본체의 요철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요홈부(170)와;
옹벽 블럭 형성시 시멘트에 삽입되어 시멘트 양생시 고정되는 블럭내부지오그리드부(200a)와,
옹벽 블럭 외부에 구성되는 블럭외부지오그리드부(2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오그리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요철부(160)와 요홈부(170)에는,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요철부와 결합할 경우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홈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지오그리드의 일부를 옹벽 블럭 형성시 시멘트에 삽입시켜 시멘트 양생시 일체로 제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오그리드는,
옹벽 블럭 형성시 시멘트에 삽입되어 시멘트 양생시 고정되는 블럭내부지오그리드부(200a)와,
옹벽 블럭 외부에 구성되는 블럭외부지오그리드부(2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오그리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지오그리드의 일부가 후면벽체 내부에 혼입되며 나머지 부분이 후면벽체 외부에 노출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블럭본체는 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가 한 조의 연결벽(130)에 의해 연결되며, 연결벽 사이에는 중공부(140)가 형성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중공부를 형성할 필요없이 연결벽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면벽체에는 그 상부면에 돌출부(150)가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블럭본체와 다른 블럭본체를 적층할 경우, 블럭본체의 연결벽 상부에 다른 블럭본체가 적층됨에 따라 상, 하에 이웃하는 각 블럭본체들은 견고한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벽의 어느 일측에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요철부(160)와;
상기 연결벽의 타측에 다른 블럭본체의 요철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요홈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다른 블럭본체와 결합시켜 좌, 우에 이웃하는 각 블럭본체들은 견고한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홈부(180)를 요철부 및 요홈부에 중간 부위 또는 어느 부위에 구성하여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요철부와 결합할 경우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옹벽 블럭의 견고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블록의 상단에 핀을 설치하고 블록의 하단에 삽입공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시키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단지 상하 블록들을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지만 본 발명은 좌우에 인접한 블록간 요홈부와 요철부에 의해 결합시 견고성을 더욱 배가시키기 위하여 고정홈부를 구성한 것으로서 견고성을 더욱 배가시키게 된다.
이는 상하 블록의 정열이 외압에 의해 분열되는 것보다 좌우 블록의 정열이 외압에 의해 분열되는 것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이에 따른 견고성을 배가시키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블럭본체의 후면벽체에 보강재로 널리 사용되는 지오그리드(200)가 결합되는데, 상기 지오그리드의 블럭외부지오그리드부(200b)가 흙속에 포설된 상태가 된다.
또한, 지오그리드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면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어느 블럭본체와 결합되어 있는 블럭외부지오그리드부(200b)와 다른 블럭본체와 결합되어 있는 블럭외부지오그리드부(200b) 사이의 빈 공간에 토사(300)를 삽입하여 토사다지기를 실행하여 옹벽 블럭을 시공하게 된다.
상기 지오그리드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m 정도이며 시공 현장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생산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의 결합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은,
옹벽 블럭에 있어서,
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가 연결벽(130)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연결벽의 사이 공간에 중공부(140)가 형성되는 블럭본체(100)와;
상기 전면벽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다른 블럭본체와 결합시키기 위한 돌출부(150)와;
상기 연결벽의 어느 일측에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요철부(160)와;
상기 연결벽의 타측에 다른 블럭본체의 요철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요홈부(170)와;
상기 중공부의 하측에 블럭외부지오그리드부를 삽입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구멍(400)과;
상기 연결벽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중간돌출부(410)와;
옹벽 블럭 형성시 시멘트에 삽입되어 시멘트 양생시 고정되는 블럭내부지오그리드부(200a)와,
옹벽 블럭 외부에 구성되는 블럭외부지오그리드부(2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오그리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요철부(160)와 요홈부(170)에는,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요철부와 결합할 경우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홈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관통구멍을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부의 하측에 형성시켜 블럭외부지오그리드부를 삽입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하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지오그리드를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 보관하여 이동 중에 지오그리드가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중간돌출부를 연결벽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옹벽블럭들을 결합시켜 옹벽을 형성할 경우에 다시 말해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다른 블럭본체의 요철부를 결합하거나, 요철부와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를 결합하고, 상단에 또 다른 블럭본체를 적층할 경우에 블럭본체의 중간돌출부와 다른 블럭본체의 중간돌출부가 상단에 적층된 또 다른 블럭본체의 관통구멍에 삽입하게 된다.
이는 옹벽블럭들을 적층시 옹벽블럭의 안전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도로 절개지등에서 사용되는 보강토 옹벽블럭과 지오그리드를 별도로 시공하는 공법은 다짐용 중장비인 로울러등을 이용하여 높이 적층하는 구조이므로 넓은 배후 부지의 확보가 필수적이며 특히 토사와의 마찰력에 의한 안전성 확보가 생명인 지오그리드의 특성상 소하천과 달리 물에 의한 보강토의 유실 이 없는 것을 전제로한 공법이다.
그러나 소하천에서는 하폭과 제방의 폭이 좁고 제방의 높이가 3미터 안쪽으로 낮으며 수시로 물이 들고 나면서 토사가 유출되므로 일반적인 지오그리드 공법의 적용이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블럭을 크게 만들어서 중량 및 길이를 길게 하여 안정성을 주는데 주력해 왔으나 이에 따른 생산성 저하 및 부피증가에 따른 운반비 및 제조비 상승과 시공상의 어려움을 동시에 제공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물에 의한 토사 유출에도 불구하고 블럭과 지오그리드가 분리되지 않게 하면서 블럭의 크기와 중량의 증가 없이도 효과는 동일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지오그리드를 성형시점에 블럭본체와 결합하여 일체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시점에 블럭본체에 지오그리드의 일부분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옹벽 블럭에 지오그리드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여 양생시킨 옹벽 블럭의 공간에 지오그리드를 삽입한 후 볼트 너트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단단히 고정시키는 종래 방식의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작업자가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고정 결합시키지 않는 경우에 고정 작업 부재에 따른 부실 우려와 토압력에 의한 형태 변형 및 붕괴가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하는 종래의 기술은 결합부재의 파손 혹은 수분에 의한 빠른 부식으로 인하여 쉽게 떨어지는 단점을 내재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한 점 결합이 아닌 면 결합의 일체형으로 즉, 지오그리드를 옹벽 블럭 제조시 옹벽 블럭을 구성하고 있는 콘크리트와 혼입하여 지오그리드를 결합시켜 일체로 제조하여 상기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블럭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돌출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옹벽 블럭을 사용하여 블럭 설치 후 흙다지기를 실시할 경우 블럭이 수평을 유지할 수 없어 부실한 흙다지기로 제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는 점과 시공상의 불편한 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적층된 블럭본체의 사이에 위치한 지오그리드는 상, 하로 적층된 블럭본체간의 마찰력을 향상시켜줌으로써 블럭본체가 토압력에 의해 앞으로 밀려서 형태가 변형되거나 붕괴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며,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은 블럭본체에 대표적 보강재인 지오그리드를 일체로 결합시켜 옹벽 블럭을 지오그리드가 지반쪽으로 견고히 지지해줌으로써, 옹벽 블럭의 전도를 방지하고 동시에 지오그리드를 통한 지반 보강의 효과로 토사의 부동침하와 유실을 방지하여 제방 전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어 블럭 분야에 널리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의 결합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블럭본체
110 : 전면벽체
120 : 후면벽체
130 : 연결벽
140 : 중공부
150 : 돌출부
160 : 요철부
170 : 요홈부
200 : 지오그리드
200a : 블럭내부지오그리드부
200b : 블럭외부지오그리드부
300 : 토사
400 : 관통구멍
410 : 중간돌출부
Claims (3)
- 옹벽 블럭에 있어서,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가 연결벽(130)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연결벽의 사이 공간에 중공부(140)가 형성되는 블럭본체(100)와;상기 전면벽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다른 블럭본체와 결합시키기 위한 돌출부(150)와;상기 연결벽의 어느 일측에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요철부(160)와;상기 연결벽의 타측에 다른 블럭본체의 요철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요홈부(170)와;옹벽 블럭 형성시 시멘트에 삽입되어 시멘트 양생시 고정되는 블럭내부지오그리드부(200a)와,옹벽 블럭 외부에 구성되는 블럭외부지오그리드부(2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오그리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요철부(160)와 요홈부(170)에는,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요철부와 결합할 경우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홈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
- 옹벽 블럭에 있어서,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가 연결벽(130)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연결벽의 사이 공간에 중공부(140)가 형성되는 블럭본체(100)와;상기 전면벽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다른 블럭본체와 결합시키기 위한 돌출부(150)와;상기 연결벽의 어느 일측에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요철부(160)와;상기 연결벽의 타측에 다른 블럭본체의 요철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요홈부(170)와;상기 중공부의 하측에 블럭외부지오그리드부를 삽입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구멍(400)과;상기 연결벽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중간돌출부(410)와;옹벽 블럭 형성시 시멘트에 삽입되어 시멘트 양생시 고정되는 블럭내부지오그리드부(200a)와,옹벽 블럭 외부에 구성되는 블럭외부지오그리드부(2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오그리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요철부(160)와 요홈부(170)에는,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와 요철부와 결합할 경우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홈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블럭본체의,요홈부와 다른 블럭본체의 요철부를 결합하거나, 요철부와 다른 블럭본체의 요홈부를 결합하고, 상단에 또 다른 블럭본체를 적층할 경우에,블럭본체의 중간돌출부와 다른 블럭본체의 중간돌출부가 상단에 적층된 또 다른 블럭본체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3087A KR101087270B1 (ko) | 2009-08-10 | 2009-08-10 |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3087A KR101087270B1 (ko) | 2009-08-10 | 2009-08-10 |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5718A KR20110015718A (ko) | 2011-02-17 |
KR101087270B1 true KR101087270B1 (ko) | 2011-11-29 |
Family
ID=4377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3087A KR101087270B1 (ko) | 2009-08-10 | 2009-08-10 |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727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3403B1 (ko) | 2018-08-09 | 2019-06-26 | 강현재 | 스트립형 섬유보강재와 블록 사이의 연결용 연결부재, 이를 구비한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 방법 |
KR102666680B1 (ko) | 2023-12-29 | 2024-05-17 | (주)88콘크리트 | 자립형 중력식 옹벽블록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4125B1 (ko) * | 2011-08-25 | 2013-11-01 | (주) 에코월드 | 경사면을 갖는 옹벽축조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
KR101494973B1 (ko) * | 2013-10-16 | 2015-03-02 | 삼보굴착(주) | 반력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개착 추진기지용 조립식 반력벽 설치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8431Y1 (ko) | 2004-12-31 | 2005-03-14 | 황성민 | 식생용 옹벽블록 |
-
2009
- 2009-08-10 KR KR1020090073087A patent/KR1010872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8431Y1 (ko) | 2004-12-31 | 2005-03-14 | 황성민 | 식생용 옹벽블록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3403B1 (ko) | 2018-08-09 | 2019-06-26 | 강현재 | 스트립형 섬유보강재와 블록 사이의 연결용 연결부재, 이를 구비한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 방법 |
KR102666680B1 (ko) | 2023-12-29 | 2024-05-17 | (주)88콘크리트 | 자립형 중력식 옹벽블록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5718A (ko) | 2011-0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7270B1 (ko) |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 | |
KR102112388B1 (ko) | 절토부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에 의해 시공된 절토부 옹벽 | |
CN105133620A (zh) | 局部流塑状淤泥质土体坑中坑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 |
JP6207949B2 (ja) | 擁壁構造 | |
CN210597345U (zh) | 模块化装配式挡水围堰 | |
KR101531238B1 (ko) | 부벽이 구비된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005351B1 (ko) |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KR101311257B1 (ko) | 옹벽용 블록 구조 | |
KR101212619B1 (ko) | 중공박스형 기초구조 | |
KR100592346B1 (ko) | 비탈면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 |
KR200440047Y1 (ko) | 옹벽용 블록 | |
CN212078003U (zh) | 一种重力挡土墙 | |
KR101510612B1 (ko) | 법면 보강용 블럭의 고정구 | |
KR101005352B1 (ko) |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 | |
KR101203289B1 (ko) | 커브 엘러먼트를 가진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CN212078004U (zh) | 一种挡土墙 | |
KR101148228B1 (ko) | 강성그리드가 구비된 옹벽블럭의 장착구조 | |
KR200238747Y1 (ko) |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 |
KR101045019B1 (ko) | 블록식 옹벽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CN203546713U (zh) | H型支护桩连接结构 | |
CN114075830A (zh) | 预制混凝土的锁扣件及支护组件 | |
KR100679736B1 (ko) |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 |
CN110565630A (zh) | 用于河道永久护岸结构的高强度生态组合板桩 | |
KR102451553B1 (ko) | 흙막이 판부재 | |
CN215562315U (zh) | 一种新型生态驳岸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