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973B1 - 반력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개착 추진기지용 조립식 반력벽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반력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개착 추진기지용 조립식 반력벽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973B1
KR101494973B1 KR20130123400A KR20130123400A KR101494973B1 KR 101494973 B1 KR101494973 B1 KR 101494973B1 KR 20130123400 A KR20130123400 A KR 20130123400A KR 20130123400 A KR20130123400 A KR 20130123400A KR 101494973 B1 KR101494973 B1 KR 101494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action force
wall
block housing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희
문경식
Original Assignee
삼보굴착(주)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굴착(주), 주식회사 삼안 filed Critical 삼보굴착(주)
Priority to KR20130123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3/00Large underground chamber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5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forcing prefabricated elements through the ground, e.g. by pushing lining from an access p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추진기지의 보강벽 일측 또는 내측에 일측면이 접촉 지지되는 블록하우징과; 상기 블록하우징의 중공에 구성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반력블록이 제공되며; 상기 블록하우징은,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대향되는 바닥면에 요홈부가 형성된 중공을 가지며, 육면체 형상을 가지거나,상기 보강벽의 내벽이 곡선일 경우 보강벽에 접촉 지지되는 일측면이 라운드진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다면체 형상을 가지고, 철판 또는 철판과 콘크리트가 혼합된 재질로 구성되며, 외부 측면에 결착고리 또는 결착플랜지가 구성되고; 상기 구조물은, 상기 블록하우징의 내부 중공에 콘크리트 반죽이 주입된 후 상기 블록하우징의 개구부 상측으로 요홈부에 끼움 지지되도록 돌출 구성되는 끼움부를 가지면서 양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반력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개착 추진기지용 조립식 반력벽 설치방법{Reaction block and fabricated reaction wall installing method for non-excavation propelling bas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반력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개착 추진기지용 조립식 반력벽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개착 굴착 시공시 비개착 추진기지의 보강벽에 복수개의 반력블록이 조립식으로 적층되어 반력벽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반력벽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반력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개착 추진기지용 조립식 반력벽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전선이나 케이블 등은 정보화 사회를 맞이하여 지하로 매설되고 있는 추세이나, 각종 서비스 업체별로 제휴가 원만히 이루어지지 않은 관계로 각각의 서비스 업체별로 관로를 개설하는 작업이 흔히 이루어져 통행하는 시민들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새로운 관로 즉, 신관을 개설하는 매설 작업이 시공될 때면,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각종 관로나 가스관 등을 사전에 탐지한 후, 관로매설경로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관로를 매설하는 공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이 관로 매설 공법 즉, 신관 매설 공법은, 철도, 도로, 유수 등의 하부로 굴착 시공을 하고자 하는 경우 개토 작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추진기지와 도달기지의 갱구가 확보된 상태에서 추진기지로부터 도달기지까지 강관을 연속적으로 압입하고 강관 내부의 토사를 굴착 배출시키는 비개착 굴착 시공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비개착 굴착 시공 방법은, 등록특허 제10-0291550호 또는 공개특허 10-2013-479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추진기지의 갱구에 설치된 강관압입추진장치가 갱구에 구성된 반력벽에 지지된 상태에서 도달기지측으로 강관을 연속적으로 압입하면서 매설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강관압입추진장치에 반력을 제공하는 반력벽은, 콘크리트로서, 통상적으로 갱구의 보강벽에 소정의 면적으로 설치되는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주입 양생된 후 거푸집이 제거되는 것을 통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현장에서 추진기지의 갱구 해당 위치에 반력벽이 구성되도록 하는 것은, 거푸집의 설치, 콘크리트의 반죽, 콘크리트 반죽의 주입과 양생 및 거푸집의 해체 등과 같은 공사 과정이 수행되어야 하고, 또한, 상기 강관압입추진장치의 반력에 의해 반력벽이 파손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공사 과정이 반복되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의 소요에 따른 공기의 장기화가 불가피하고, 이에 대한 공사 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주변 교통 정체 및 상관에 대한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개착 굴착시공방법을 통한 신관 매설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추진기지에 구성된 반력벽을 부수거나 폭파시키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강제로 해체한 후 이를 수거하여 폐기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해체와 처리에 따른 비용의 소요와 함께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개착 추진기지의 보강벽에 복수개의 반력블록이 조립식으로 적층되어 반력벽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반력벽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반력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개착 추진기지용 조립식 반력벽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추진기지의 보강벽 일측 또는 내측에 일측면이 접촉 지지되는 블록하우징과; 상기 블록하우징의 중공에 구성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반력블록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블록하우징은,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대향되는 바닥면에 요홈부가 형성된 중공을 가지며, 육면체 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보강벽의 내벽이 곡선일 경우 보강벽에 접촉 지지되는 일측면이 라운드진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다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하우징은, 철판 또는 철판과 콘크리트가 혼합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하우징은, 외부 측면에 결착고리 또는 결착플랜지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조물은, 상기 블록하우징의 내부 중공에 콘크리트 반죽이 주입된 후 상기 블록하우징의 개구부 상측으로 요홈부에 끼움 지지되도록 돌출 구성되는 끼움부를 가지면서 양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조물은, 상기 블록하우징의 개구부 상단에 일치하도록 콘크리트 반죽을 주입 및 스킴(skim) 처리한 후 상기 요홈부의 높이와 가로 길이에 대응되는 끼움편이 요홈부의 세로 길이에 대응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비개착 굴착 시공을 위해 굴착된 추진기기의 갱구 내벽에 보강벽이 구성된 후, 상기 보강벽의 벽면에 일측면이 접촉되도록 복수개의 반력블록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면서 반력벽으로 구성되는 반력블록을 이용한 비개착 추진기지용 조립식 반력벽 설치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육면체 또는 다면체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반력블록(100)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을 통하여, 추진기지의 보강벽에 반력벽의 설치 작업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강벽의 설치 작업 및 해체 작업이 간편히 이루어짐으로써, 공기의 단축과 함께 비용의 감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비개착 굴착시공방법을 통한 신관 매설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추진기지에 구성된 반력벽을 부수거나 폭파시키지 않고 재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환경을 보호하고 폐기물 처리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력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반력블록을 나타낸 정단면도와 측단면도;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1의 반력블록이 반력벽으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반력벽이 비개착 추진기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1의 반력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력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반력블록을 나타낸 정단면도와 측단면도이며,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1의 반력블록이 반력벽으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반력벽이 비개착 추진기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반력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력블록(100)은, 추진기지(A)의 보강벽(B) 일측 또는 내측에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반력벽(20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블록하우징(110)과, 상기 블록하우징(110)의 중공에 양생 구성되는 구조물(120)을 포함한다.
상기 블록하우징(110)은, 내부 중공에 양생되는 구조물(120)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하우징부재로, 상측에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1)에 대향되는 바닥면에 요홈부(112)가 형성된 중공을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보강벽(B)의 내벽이 곡선일 경우 보강벽(B)에 접촉 지지되는 일측면이 라운드진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다면체 형상을 가진다.
상기 블록하우징(110)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111)는 상기 구조물(120)의 반죽이 주입되도록 하는 주입구 기능을 가지고,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는 요홈부(112)는 복수개의 반력블록들이 적층되는 경우 하단에 위치된 반력블록의 구조물(120)이 끼움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블록하우징(110)은,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철판 또는 철판과 콘크리트가 혼합된 재질로 구성되고, 가로 3m 내지 4m, 세로 1m 및 높이 0.5m 정도의 규격을 통하여 추진관경에 따라 반력블록(100)의 반력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하우징(110)의 외부 측면 예를 들면, 개구부(111)의 외부 모서리 부위에는 결착고리(113)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반력블록(100)들이 크레인 등과 같은 승강장비에 거치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반력벽(200)으로 구성되기 위한 적층 작업 또는 해체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120)은, 상기 블록하우징(110)의 중공에 주입 양생되어 블록하우징(110)들의 적층시 반력을 제공하는 반력제공부재로, 상기 블록하우징(110)의 내부 중공에 콘크리트 반죽이 주입된 후 상기 블록하우징(110)의 개구부(111) 상측으로 요홈부(112)에 끼움 지지되도록 돌출 구성되는 끼움부(121)를 가지면서 양생된다.
여기서, 상기 구조물(120)은, 상기 블록하우징(110)의 중공에 충진되어 블록하우징(110)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구조물(120)은, 복수개의 블록하우징(110A,110B) 적층시 제1구조물(120A)을 가지는 제1블록하우징(110A) 하측 요홈부(112A)에 상기 제1블록하우징(110A)의 하측부에 위치되는 제2블록하우징(110B)의 제2구조물(120B)의 상측부인 끼움부(121B)가 끼움 지지되는 구조를 통하여, 제2블록하우징(110B)의 끼움부(121B)가 제1블록하우징(110A)의 하측부(상기 요홈부(112A)의 격벽 부분)에 의해 커버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에, 상기 끼움부(121)가 블록하우징(110)의 요홈부(112)에 끼워지는 것을 통하여 블록하우징(110)들이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반력블록(100)에 의하면, 육면체 또는 다면체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반력블록(100)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을 통하여, 추진기지(A)의 보강벽(B)에 반력벽(200)의 설치 작업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력블록(100)은, 상기 블록하우징(110)의 외부 측면 예를 들면, 개구부(111)의 외부 모서리 부위에는 결착고리(113)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반력블록(100)들이 크레인 등과 같은 승강장비에 하나씩 거치된 상태에서 반력벽(200)으로 적층 또는 해체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결착고리(113) 대신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하우징(110)의 외부 측면 예를 들면, 가로 길이 방향의 양측단부에 결착플랜지(114)가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복수개가 반력블록(100)들이 적층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결착플랜지(114)들에 결착봉(C)이 관통되도록 한 후 결착봉(C)이 승강장비에 거치되도록 하여 적층 또는 해체 작업이 보다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력블록(100)은, 상기 구조물(120)이 상기 블록하우징(110)에 개구부(111) 상측으로 요홈부(112)에 끼움 지지되도록 돌출 구성되는 끼움부(121)를 가지면서 구성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끼움부(121) 대신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하우징(110)의 개구부(111) 상단에 일치하도록 콘크리트 반죽을 주입 및 스킴(skim) 처리한 후 상기 요홈부(112)의 높이와 가로 길이에 대응되는 끼움편(122)이 요홈부(112)의 세로 길이에 대응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개의 끼움편(122)들이 요홈부(112)에 끼움 지지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 구조물(120)에 끼움편(122)들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끼움편(122)들이 승강장비에 거치된 상태에서 적층 또는 해체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블록하우징(110)에 구성되는 결착고리(113) 또는 결착플랜지(114)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력블록을 이용한 비개착 추진기지용 조립식 반력벽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비개착 굴착 시공을 위해 굴착된 추진기기(A)의 갱구 내벽에 보강벽(B)이 구성된다.
이후, 상기 보강벽(B)의 벽면에 일측면이 접촉되도록 제1반력블록(100-1)이 위치된 후, 제1반력블록(100-1)의 상측부에 제2반력블록(100-2) 내지 제8반력블록(100-8) 또는 제n반력블록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면서 간편하게 반력벽(200)으로 구성된다.
이후, 상기 반력벽(200)에 강관압입추진장치(미부호)의 반력추진수단이 지지되어 굴착 시공이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반력블록(100)들의 적층시에는, 하측부에 위치된 반력블록(100)의 구조물(120)에 구성된 끼움부(121) 또는 끼움편(122)들이 상측부에 위치된 반력블록(100)의 블록하우징(110)에 구성된 요홈부(112)에 끼움 지지된 상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반력블록(100)들의 적층시에는, 반력블록(100)의 블록하우징(110)에 구성된 결착고리(113) 또는 결착플랜지(114)와 반력블록(100)의 구조물(120)에 구성된 끼움편(122)들이 승강장비에 거치된 상태에서 해당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력벽(200)의 면적은 상기 추진기지(A)의 갱구에 구비되어 강관을 도달기지까지 순차적으로 압입 매설하는 강관압입추진장치(미부호)의 반력추진수단의 면적에 대응되어야 하므로, 상기 반력블록(100)들의 적층수는 상기 반력추진수단의 면적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벽(B)의 벽면이 곡선 형상을 가지는 상태에서,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반력블록(100)들을 적층하여 반력벽(200)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보강벽(B)의 벽면과 상기 벽면에 대면하는 반력벽(200)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반죽이 주입된 후 양생되도록 하는 뒷채움 시공이 실시되어, 반력벽(200)의 반력이 균일하게 강관압입추진장치(미부호)의 반력추진수단에 작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반력블록(100)들이 보강벽(B)의 벽면에 일측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적층되어 반력벽(200)으로 구성된 후에는 상기 결착고리(113) 또는 결착플랜지(114)에 결착용 클램프 또는 결착봉(C)이 각각 상하 관통 구성되어 결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반력벽(200)의 반력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반력블록(100)들이 적층되어 반력벽(200)으로 구성된 후 굴착 시공이 완료되어 반력벽(200)이 해체되는 경우에는, 반력벽(200)의 최상단에 위치된 제8반력블록(100-8) 또는 제n반력블록의 블록하우징(110)에 구성된 결착고리(113) 또는 반력블록(100)의 구조물(120)에 구성된 끼움편(122)들이 승강장비에 거치된 상태에서 제1반력블록(110-1)까지 순차적으로 분리되도록 하거나, 복수개의 반력블록(100)들의 결착플랜지(114)에 결착봉(B)이 관통 체결된 후 상기 결착봉(B)이 승강장비에 거치된 상태에서 복수개가 한번에 분리되도록 하여 해체 작업이 간편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력블록(100)들의 적층시에는, 반력블록(100)의 블록하우징(110)에 구성된 결착고리(113) 또는 결착플랜지(114)와 반력블록(100)의 구조물(120)에 구성된 끼움편(122)들이 승강장비에 거치된 상태에서 해당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반력블록을 이용한 비개착 추진기지용 반력벽 설치방법에 의하면, 육면체 또는 다면체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반력블록(100)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을 통하여, 추진기지(A)의 보강벽(B) 일측에 반력벽(200)으로의 설치 작업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강벽(B)의 설치 작업 및 해체 작업이 간편히 이루어짐으로써, 공기의 단축과 함께 비용의 감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비개착 굴착시공방법을 통한 신관 매설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추진기지에 구성된 반력벽(200)을 부수거나 폭파시키지 않고 재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환경을 보호하고 폐기물 처리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추진기지(A)의 보강벽(B) 일측 또는 내측에 일측면이 접촉 지지되는 블록하우징(110)과;
    상기 블록하우징(110)의 중공에 구성되는 구조물(120)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하우징(110)은,
    외부 측면에 결착고리(113) 또는 결착플랜지(114)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력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하우징(110)은,
    상측에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1)에 대향되는 바닥면에 요홈부(112)가 형성된 중공을 가지며,
    육면체 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보강벽(B)의 내벽이 곡선일 경우 보강벽(B)에 접촉 지지되는 일측면이 라운드진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다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력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하우징(110)은,
    철판 또는 철판과 콘크리트가 혼합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력블록.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20)은,
    상기 블록하우징(110)의 내부 중공에 콘크리트 반죽이 주입된 후 상기 블록하우징(110)의 개구부(111) 상측으로 요홈부(112)에 끼움 지지되도록 돌출 구성되는 끼움부(121)를 가지면서 양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력블록.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20)은,
    상기 블록하우징(110)의 개구부(111) 상단에 일치하도록 콘크리트 반죽을 주입 및 스킴(skim) 처리한 후 상기 요홈부(112)의 높이와 가로 길이에 대응되는 끼움편(122)이 요홈부(112)의 세로 길이에 대응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력블록.
  7. 비개착 굴착 시공을 위해 굴착된 추진기지(A)의 갱구 내벽에 보강벽(B)이 구성된 후,
    상기 보강벽(B)의 벽면에 일측면이 접촉되도록 복수개의 반력블록(100)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면서 반력벽(200)으로 구성되며,
    상기 반력블록(100)은,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력블록을 이용한 비개착 추진기지용 조립식 반력벽 설치방법.
  8. 삭제
KR20130123400A 2013-10-16 2013-10-16 반력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개착 추진기지용 조립식 반력벽 설치방법 KR101494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400A KR101494973B1 (ko) 2013-10-16 2013-10-16 반력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개착 추진기지용 조립식 반력벽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400A KR101494973B1 (ko) 2013-10-16 2013-10-16 반력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개착 추진기지용 조립식 반력벽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973B1 true KR101494973B1 (ko) 2015-03-02

Family

ID=5302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3400A KR101494973B1 (ko) 2013-10-16 2013-10-16 반력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개착 추진기지용 조립식 반력벽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9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393B1 (ko) * 2015-10-06 2017-07-27 최종훈 추진공법용 조립식 반력벽
KR101853947B1 (ko) * 2017-12-06 2018-05-02 동서건설 주식회사 추진력을 강화한 지향식 수평굴착 시스템
KR20200092765A (ko) 2019-01-25 2020-08-04 (주)구조실험네트워크 조립용 반력블럭을 이용한 현장조립형 구조실험용 반력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5495A (en) * 1980-11-14 1982-05-28 Kido Kensetsu Kogyo Improvement of reaction supporting apparatus for original thrust hydraulic jack for propelling method
JP2000291389A (ja) * 1999-04-02 2000-10-17 Nippon Steel Corp 鋼殻セグメント構造
JP2005009122A (ja) * 2003-06-17 2005-01-13 Takuo Yukimoto 護岸ブロックとその護岸ブロックを用いた護岸構造
KR20110015718A (ko) * 2009-08-10 2011-02-17 박대한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5495A (en) * 1980-11-14 1982-05-28 Kido Kensetsu Kogyo Improvement of reaction supporting apparatus for original thrust hydraulic jack for propelling method
JP2000291389A (ja) * 1999-04-02 2000-10-17 Nippon Steel Corp 鋼殻セグメント構造
JP2005009122A (ja) * 2003-06-17 2005-01-13 Takuo Yukimoto 護岸ブロックとその護岸ブロックを用いた護岸構造
KR20110015718A (ko) * 2009-08-10 2011-02-17 박대한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생태 옹벽 블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393B1 (ko) * 2015-10-06 2017-07-27 최종훈 추진공법용 조립식 반력벽
KR101853947B1 (ko) * 2017-12-06 2018-05-02 동서건설 주식회사 추진력을 강화한 지향식 수평굴착 시스템
KR20200092765A (ko) 2019-01-25 2020-08-04 (주)구조실험네트워크 조립용 반력블럭을 이용한 현장조립형 구조실험용 반력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9877B1 (ko) 파형강판 구조물의 보강라이너 설치용 거푸집
US7467910B2 (en) Prefabricated structure made of reinforced concrete with an integrated removable handling system
KR101494973B1 (ko) 반력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개착 추진기지용 조립식 반력벽 설치방법
JP5594629B2 (ja) 排水設備を有するトンネル底部構造の構築方法
RU88713U1 (ru) Колодец кабельной канализации
KR100926173B1 (ko) 현장타설 배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7070807A (ja) ソイルセメント地中連続壁を利用した防振型合成地下壁およびその構築工法
KR101549418B1 (ko) 쐐기 형상의 지수판 및 이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매립형 신축이음매 거푸집
JP5697480B2 (ja) 推進工法の支圧壁及び支圧壁の施工方法並びに積層用ピース
JP2011220736A (ja) 放射線遮蔽壁、放射線遮蔽壁の構築工法、及び放射線遮蔽壁の解体工法
JP2011032684A (ja) 覆工構造及び覆工方法
JP5377563B2 (ja) マンホールの補強方法
KR20090079750A (ko) 일체형 유압해머다짐 장치에 의한 장심도 지반개량공법
JP6327660B2 (ja) 立坑の構築方法
JP2007198071A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開口部の補強構造とその補強方法
JP5874890B2 (ja) 函体構造物の設置方法
US20180044918A1 (en) Pre-fabricated structures and methods
JP2008002154A (ja) セグメントユニット
JP2010144469A (ja) 本設の地下外壁の構築方法及び地下外壁並びに山留め壁
KR20140009701A (ko)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
KR101318301B1 (ko) 지하구조물용 프레임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 지하구조물구축방법
KR100379574B1 (ko) 강재 거푸집 설치 및 해체 시스템
JPH09184199A (ja) リサイクルビル架構及びその施工方法並びに解体方法
JP5123967B2 (ja) 免震化方法
JP5769103B2 (ja) 地下室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