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127B1 -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127B1
KR100649127B1 KR1020050000018A KR20050000018A KR100649127B1 KR 100649127 B1 KR100649127 B1 KR 100649127B1 KR 1020050000018 A KR1020050000018 A KR 1020050000018A KR 20050000018 A KR20050000018 A KR 20050000018A KR 100649127 B1 KR100649127 B1 KR 100649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member
reinforcement
composite structure
connection
reinforce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9585A (ko
Inventor
홍찬윤
노삼영
Original Assignee
홍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찬윤 filed Critical 홍찬윤
Priority to KR1020050000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127B1/ko
Publication of KR20060079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10)의 내면 또는 외면에 설치되는 표면부재(100)와; 전단부가 상기 표면부재(100)의 심부에 근입되어 결합된 연결부재(200)와; 상기 연결부재(200)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표면부재(10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구조물(10)의 배근구조를 형성하는 배근부재(300)를; 포함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을 제시함으로써, 시공이 편리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면서도, 표면부재와 구조물의 결합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표면부재, 배근, 복합구조물

Description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COMPLEX STRUCTURE OF SURFACE MEMBER-FRAME MEMBERAN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제2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제3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제4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제5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제5실시예의 평면도.
도 8은 제6실시예의 평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9는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기술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조물 20 : 거푸집
21 : 돌부 22 : 격벽
100 : 표면부재 110 : 외장용 홈
120 : 표면부재내부배근부재 200 : 연결부재
210 : 표면부재연결보강수단 211 : 측방연장보강부재
300 : 배근부재
본 발명은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건축, 토목 분야의 구조물의 표면부재와 배근부재의 시공을 보다 편의롭게 하기 위한 복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표면부재란 구조물의 표면 마감이나 외장을 위하여, 구조물의 벽체 등의 표면에 장착되는 부재를 말하며, 블럭, 자연석, 인공석 등이 사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부재(100)는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구조물(10)의 벽체 등의 표면에 마감, 외장 등의 목적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일반적이다.
표면부재(100)를 설치하는 방법은 몰타르와 같은 접착제에 의해 표면부재(100)를 구조물(10)의 표면에 하나하나 접착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표면부재 설치공법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첫째, 구조물의 표면에 표면부재를 일일이 접착시키는 방식을 취하므로, 시공이 불편하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린다.
둘째, 구조물의 배근구조와 관계없이, 그 구조물의 표면에 표면부재를 접착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표면부재와 구조물의 결합강도가 약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공이 편리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면서도, 표면부재와 구조물의 결합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내면 또는 외면에 설치되는 표면부재와; 전단부가 상기 표면부재의 심부에 근입되어 결합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표면부재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구조물의 배근구조를 형성하는 배근부재를; 포함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배근부재는 상기 표면부재의 후면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상기 표면부재의 후면에 밀착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배근부재의 일부가 상기 표면부재에 근입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근부재는 평면적 그물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입체적 배근구조 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전단부에는 상기 표면부재와 연결부재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표면부재연결보강수단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부재연결보강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의 전단부에서 측방으로 연장형성된 측방연장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부재연결보강수단은 상기 표면부재 내부의 표면부재내부배근부재와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부재의 전면에는 외장용 홈이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상기 표면부재가 하나의 상기 배근부재에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개의 표면부재는 상호간 이격된 공간에 의해 외장용 홈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 즉, 상기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심부에 상기 외장용 홈을 형성하기 위한 돌부가 구비된 거푸집에 상기 표면부재의 재료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부재와 배근부재를 연결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부재의 전단부를 상기 표면부재의 재료에 근입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 즉, 표면 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심부에 상기 외장용 홈을 형성하기 위한 격벽이 구비된 거푸집에 상기 표면부재의 재료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부재와 배근부재를 연결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부재의 전단부를 상기 표면부재의 재료에 근입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은 기본적으로, 구조물(10)의 내면 또는 외면에 설치되는 표면부재(100)와; 전단부가 상기 표면부재(100)의 심부에 근입되어 결합된 연결부재(200)와; 상기 연결부재(200)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표면부재(10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구조물(10)의 배근구조를 형성하는 배근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전단부가 표면부재(100)의 심부에 근입되고, 후단부가 배근부재(300)에 결합된 연결부재에 의해, 표면부재(100)와 배근부재(300)가 일체로 형성된 복합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이다.
구조물(10)의 벽체 등의 시공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을 소정 위치에 장착시키고, 거푸집 작업을 한 후, 콘크리트 등의 재료를 타설함으로써, 표면부재(100)의 설치가 이미 완료된 상태일 뿐만 아니라, 구조물(10)의 배근부재(300)와 표면부재(100)가 일체로 결합된 견고한 구조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조물의 표면에 표면부재를 일일이 접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시 공이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구조물의 배근구조와 표면부재가 일체로 결합된 방식을 취하므로, 표면부재와 구조물의 결합강도가 매우 강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배근부재(300)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근부재(300)는 장차 시공될 구조물의 배근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연결부재(200)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표면부재(100)를 지지하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라도 관계없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근부재(300)가 표면부재(100)의 후면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부재(100)의 후면에 밀착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근부재(300)의 일부가 표면부재(100)에 근입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배근부재(300)는 평면적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입체적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배근부재(300)가 평면적 그물구조인 경우(300a)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비교적 작고 가벼운 구조의 표면부재(100)를 시공하는데 적합한 실시예로서, 표면부재(100)를 얇은 철사에 의한 철망 등의 배근부재(300)와 결합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배근부재(300)가 입체적 배근구조인 경우(300b)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비교적 크고 무거운 구조의 표면부재(100)를 시공하는데 적합한 실시예로서, 표면부재(100)를 철근 등에 의한 입체적 배근부재(300)와 결합하고, 그 배 근부재(300) 자체가 구조물의 벽체의 배근구조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표면부재(100)와 연결부재(200)의 결합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200)의 전단부는 표면부재(100)의 심부에 근입되는데, 그 연결부재(200)와 표면부재(100)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해서는, 연결부재(200)의 전단부에 표면부재연결보강수단(210)이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부재연결보강수단(210)은 연결부재(200)의 전단부가 표면부재(10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며, 도 2는 연결부재(200)의 전단부에서 측방으로 측방연장보강부재(211)가 연장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표면부재(100)가 비교적 큰 구조를 취하는 경우, 그 표면부재(100) 자체가 내부에 배근부재(120)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표면부재연결보강수단(210)은 표면부재(100) 내부의 표면부재내부배근부재(120)와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취함으로써, 표면부재(100)와 연결부재(200)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이하, 표면부재(100)의 구조에 관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구조물에 있어서, 표면부재(100)는 각 배근부재(300)마다 하나의 표면부재(100)가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복수개의 표면부재(100)가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데, 이하에서는 2가지 실시예를 제시한다.
첫째, 도 1 내지 도 7은 하나의 배근부재(300)에 하나의 표면부재(100)가 결합된 구조로서, 표면부재(100)의 전면에 외장용 홈(110)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 고 있는데, 이러한 외장용 홈(110)은 하나의 표면부재(100)가 설치된 경우에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마치 복수개의 표면부재(100)가 설치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표면부재(100)가 하나의 배근부재(300)에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복수개의 표면부재(100)는 상호간 이격된 공간에 의해 외장용 홈(110)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구조를 취함으로써,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배근부재(300)의 탄성이 크거나, 표면부재(100)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은 경우, 표면부재(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첫째, 상기 표면부재(100)의 구조에 관한 실시예 중 첫째 실시예의 복합구조물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구조물의 제조를 위해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거푸집(20)이 필요한데, 이 거푸집(20)은 기본적으로 표면부재(100)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표면부재(100)의 외장용 홈(110)을 형성하기 위한 돌부(21)가 구비될 것이 요구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연결부재(200) 및 배근부재(300)를 원하는 표면부재(100)의 형상 및 구조를 감안하여 설계하고, 설계된 바와 같이 제작된 연결부재(200)와 배근부재(300)를 연결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거푸집(20)에 콘크리트와 같은 표면부재(100)의 재료를 타설하고, 배근부재(300)와 결합된 연결부재(200)의 전단부를 표면부재(100)의 재료에 근입하고 양생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둘째, 상기 표면부재(100)의 구조에 관한 실시예 중 둘째 실시예의 복합구조물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는 첫째 실시예와 대동소이한데, 하나의 거푸집(20)에 의해 복수개의 표면부재(100)가 제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거푸집(20)의 돌부(21) 대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0)의 격벽(22)이 마련된다.
따라서, 격벽(22)에 의해 표면부재(100)가 인접된 표면부재(100)와 상호 분리되면서도, 연결부재(200) 및 배근부재(300)에 의해 전체적으로 상호 연결된 구조의 복합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시공이 편리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면서도, 표면부재와 구조물의 결합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을 제공한다.

Claims (14)

  1. 구조물(10)의 내면 또는 외면에 설치되는 표면부재(100)와;
    전단부가 상기 표면부재(100)의 심부에 근입되어 결합된 연결부재(200)와;
    상기 연결부재(200)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표면부재(10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구조물(10)의 배근구조를 형성하는 배근부재(300)를;
    포함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근부재(300)는 상기 표면부재(100)의 후면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근부재(300)는 상기 표면부재(100)의 후면에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근부재(300)의 일부가 상기 표면부재(100)에 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근부재(300)는 평면적 그물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근부재(300)는 입체적 배근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0)의 전단부에는 상기 표면부재(100)와 연결부재(200)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표면부재연결보강수단(21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재연결보강수단(210)은 상기 연결부재(200)의 전단부에서 측방으로 연장형성된 측방연장보강부재(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재연결보강수단(210)은 상기 표면부재 내부의 표면부재내부배근 부재(120)와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재(100)의 전면에는 외장용 홈(1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표면부재(100)가 하나의 상기 배근부재(300)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표면부재(100)는 상호간 이격된 공간에 의해 외장용 홈(110)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13. 제10항의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심부에 상기 외장용 홈(110)을 형성하기 위한 돌부(21)가 구비된 거푸집(20)에 상기 표면부재(100)의 재료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부재(200)와 배근부재(300)를 연결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부재(200)의 전단부를 상기 표면부재(100)의 재료에 근입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의 제조방법.
  14. 제12항의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심부에 상기 외장용 홈(110)을 형성하기 위한 격벽(22)이 구비된 거푸집(20)에 상기 표면부재(100)의 재료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부재(200)와 배근부재(300)를 연결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부재(200)의 전단부를 상기 표면부재(100)의 재료에 근입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의 제조방법.
KR1020050000018A 2005-01-03 2005-01-03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49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018A KR100649127B1 (ko) 2005-01-03 2005-01-03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018A KR100649127B1 (ko) 2005-01-03 2005-01-03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585A KR20060079585A (ko) 2006-07-06
KR100649127B1 true KR100649127B1 (ko) 2006-11-27

Family

ID=3717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018A KR100649127B1 (ko) 2005-01-03 2005-01-03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1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435U (ko) * 1989-08-09 1991-03-19 다께나까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건축용 외장재
JPH08197528A (ja) * 1995-01-23 1996-08-06 Chichibu Onoda Cement Corp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
JPH09177211A (ja) * 1995-12-26 1997-07-08 Iwamoto:Kk 石壁パネ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435U (ko) * 1989-08-09 1991-03-19 다께나까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건축용 외장재
JPH08197528A (ja) * 1995-01-23 1996-08-06 Chichibu Onoda Cement Corp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
JPH09177211A (ja) * 1995-12-26 1997-07-08 Iwamoto:Kk 石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585A (ko)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607B1 (ko) 전단연결재 일체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 모듈 및 이를이용한 콘크리트 합성 바닥판
KR101177916B1 (ko) 돔형 구조물
CN204435542U (zh) 一体化梁柱节点模板结构
KR101741218B1 (ko) 내다이아프램이 설치된 박스형 cft기둥구조체 및 그의 제작방법
RU2293162C1 (ru) Блок для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101458434B1 (ko) 선제작된 pc패널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EP3686365A1 (en) Wall structure using blocks and frames with wedge-type coupling part formed therei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using same
KR20060127632A (ko) 멀티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슬래브구조체
KR100649127B1 (ko)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1036928A1 (ja) 住宅用基礎パネルユニット、住宅用基礎構造及び住宅用基礎形成方法
KR101196343B1 (ko) 석재외장 콘크리트 아치형 슬래브 교량
JP2017008578A (ja) 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施工方法
KR102093011B1 (ko) 절곡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95375B1 (ko) 습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200434622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JP2002201757A (ja) 化粧板ブロック及びその構造体
JP2008223242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製作方法
KR20030028787A (ko)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KR100650017B1 (ko) 에스아이비공법 건축물 시공방법
KR20070053922A (ko)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859294B1 (ko) 블럭형 옹벽을 이용한 옹벽 시공공법
JP2985595B2 (ja) Pc型枠
KR101047426B1 (ko)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 및 이를이용하여 얻어진 강 합성 교량
JPH11200618A (ja) 型枠材
KR20060122000A (ko)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