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426B1 -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 및 이를이용하여 얻어진 강 합성 교량 - Google Patents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 및 이를이용하여 얻어진 강 합성 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426B1
KR101047426B1 KR1020080067879A KR20080067879A KR101047426B1 KR 101047426 B1 KR101047426 B1 KR 101047426B1 KR 1020080067879 A KR1020080067879 A KR 1020080067879A KR 20080067879 A KR20080067879 A KR 20080067879A KR 101047426 B1 KR101047426 B1 KR 101047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recast concrete
mortar
concrete floor
flo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299A (ko
Inventor
송재준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67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4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7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 주형과 프리캐스트 바닥 판을 고성능 몰 타르를 주입하여 접합시키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얻어진 강 합성 교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 주형의 상부 면에 연결 부재를 돌출형성시키는 단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하부 면에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되도록 오목 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강 주형의 상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을 배치하고,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된 오목 홈의 내부에 몰 타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강 주형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몰 타르 접착 연결이 이루어지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 주형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사이에서 몰 타르를 이용하여 몰 타르 접착이 이루어짐으로써 강 주형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사이에서 고강도의 신속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현장의 공기 단축과 시공 품질의 향상을 얻을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강 주형, 프리캐스트 바닥 판, 몰 타르, 강 합성 교량, 전단 연결재

Description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얻어진 강 합성 교량{Method for Constructing A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Concrete Mortar Bonding and the Steel Composite Bridge by Us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강 주형 위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을 연결하여 강 합성 교량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강 주형의 상부 플랜지 위에 요철(또는 무늬)이 있는 연결 부재를 세워서 용접하고, 그 위에 미리 제작한 프리캐스트 바닥 판을 올려 놓은 후, 그 사이 공간에 고성능 몰 타르를 주입하여 접합시키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얻어진 강 합성 교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 합성 교량은 콘크리트 바닥 판과 강 주형을 합성하여 제작한다. 이와 같은 강 합성 교량(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 판(110)과 강 주형(120)을 일체화시키기 위하여 기계적 연결장치인 스터드 전단 연결재(130)를 사용하게 된다. 즉 철재 빔으로 이루어진 강 주형(120)의 상부에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로 이루어진 철근 콘크리트 바닥 판(110)이 일체로 합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 방법은 현장 타설 방식에 의하여 철근 콘크리트 바닥 판(110)과 강주형(120)을 합성할 때에 경제적이고 시공이 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현장 콘크리트 타설 방식은 현장에서의 시공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는 다르게 철근 콘크리트 바닥 판(110)을 프리캐스트 부재(Pre-cast Member)로 미리 제작하여 현장으로 이동시키고, 강 주형(120)과 합성을 시키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 공법이 종래에 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 공법은 강 주형(120)의 상부에 장착된 스터드 전단연결재(130)가 설치되는 위치에 전단포켓이라는 홀(hole)(미 도시)을 미리 만들어 둔 후에 프리캐스트 바닥 판(120)을 강 주형(110) 위에 거치하고, 이 전단포켓에 몰 타르를 타설하여 일체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 공법의 경우, 전단포켓 위치와 전단연결재(130)의 설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해야 하고, 스터드 전단연결재(130)의 배치는 홀의 배치에 좌우된다. 그리고 전단 포켓에 전단력이 집중되므로 전단포켓의 주위에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구조적인 강도 저하는 물론 시공 품질의 저하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강 주형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결합을 통하여 현장에서 작업기간의 단축을 이루면서도 고강도의 신속한 결합이 가능함으로써 현장의 공기 단축과 시공 품질의 향상을 얻을 수 있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얻어진 강 합성 교량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 주형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을 연결하여 강 합성 교량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강 주형의 상부 면에 연결 부재를 돌출형성시키는 단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하부 면에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되도록 오목 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강 주형의 상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을 배치하고,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된 오목 홈의 내부에 몰 타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강 주형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몰 타르 접착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 주형의 상부 면에 연결 부재를 돌출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강 주형의 플랜지 상에 규사 코팅하여 몰 타르와의 접착력 및 마찰력을 높이는 단계를 추가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몰 타르 접착 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하부 면에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되도록 오목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하부 면에 워터 젯(water jet)을 가하여 골재를 노출시켜 표면 조도를 높이고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하부 면에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되도록 오목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은 강 주형과 접촉하는 부분에 다수의 돌기들이 돌출형성된 얇은 박판을 삽입하여 표면의 조도를 높이고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 주형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을 연결하여 제작된 강 합성 교량에 있어서,
상기 강 주형의 상부 면으로 돌출형성된 연결 부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하부 면에서 상기 연결 부재들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오목 홈; 및
상기 오목 홈의 내부에서 연결 부재의 외측 빈 공간에 충전되어 강 주형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을 접착 연결하는 몰 타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재는 강 주형의 상부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T"형 단면의 강재이고, 그 표면에는 무늬 또는 요철면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 부재가 장착된 강 주형의 상부 면에는 규사 코팅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재는 강 주형의 상부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 단면의 강재이고, 그 표면에는 무늬 또는 요철면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 부재의 측 방향으로는 다수의 관통 구멍들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한편, 상기 연결 부재가 장착된 강 주형의 상부 면에는 규사 코팅이 형성된 것 특징으로 하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재는 강 주형의 상부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사각 바, "ㄱ"형 단면의 철재 바, "T"형 단면의 철재 바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은 그 하부 면에 워터 젯(water jet)을 가하여 골재를 노출시켜 표면 조도가 향상된 거친 표면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은 그 하부 면에 강 주형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다수의 돌기들이 돌출형성된 얇은 박판을 삽입하여 표면의 조도를 높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 주형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사이에서 몰 타르를 이용하여 연결 부재와 오목 홈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강 주형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사이에서 몰 타르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현장에서 작업기간의 단축을 이루면서도 강 주형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사이에서 고강도의 신속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현장의 공기 단축과 시공 품질의 향상을 얻을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S)은 강 주형(210)과 프리캐스트 바닥 판(220)을 합성시키는데 있어서 강 주형(210)과 프리캐스트 바닥 판(220) 사이에 고성능 몰 타르(250)를 주입하여 접착방식에 의하여 일체화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S)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강 주형(210)의 상부 면에 연결 부재(230)를 돌출형성시키는 단계(S10)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연결 부재(230)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연결 부재(230)는 "|"자 모양으로 하거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들림(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T자 모양을 사용할 수 있으며, 면에는 무늬 또는 요철을 두어 몰 타르(250)와 강판의 접합력과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또는 강판에 홀을 뚫어 구멍 전단(Perfobond) 연결 부재(230)의 효과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강 주형(210)의 상부 면에 연결 부재(230)를 돌출형성시키는 단계(S10)는 상기 강 주형(210)의 플랜지(212) 상에 규사 코팅(215)하는 단계(S20)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규사 코팅(215)하는 단계(S20)는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고성능 몰 타르(250)와 강 주형(210)과의 접착력 및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거친 표면(227)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S)은 다음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하부 면에 상기 연결 부재(230)가 삽입되도록 오목 홈(225)을 형성하는 단계(S30)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오목 홈(225)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을 상하로 관통하는 구조가 아니라, 두께의 일부분을 커팅하여 오목하게 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와 같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하부 면에 상기 연결 부재(230)가 삽입되도록 오목 홈(225)을 형성하는 단계(S30)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하부 면에 워터 젯(water jet)을 가하여 거친 표면(227)을 형성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골재를 노출시켜 표면 조도를 높일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하부 면에 강 주형(210)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도 6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돌기들이 돌출형성된 얇은 박판(240)을 삽입하여 표면의 조도를 높인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S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표면 조도를 높이게 되면 몰 타르(250)와의 접합 면을 크게 하여 접착력과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으로 상기 강 주형(210)의 상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을 배치하고, 상기 연결 부재(230)가 삽입된 오목 홈(225)의 내부에 몰 타르(250)를 주입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몰 타르(250) 주입 단계(S50)는 상기 오목 홈(225)으로 고성능 몰 타르(250)를 주입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몰 타르(250)는 오목 홈(225)의 충전 공간뿐만 아니라 상기 강 주형(2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사이에도 충전되어 상기 강 주형(2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몰 타르(250) 접착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강 주형(2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사이에서 몰 타르(250)를 이용하여 연결 부재(230)와 오목 홈(225)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강 주형(2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사이에서 몰 타르(250)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현장에서 작업기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으면서도 강 주형(2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과의 사이에서 고강도의 신속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현장의 공기 단축과 시공 품질의 향상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서 강 주형(2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을 연결하여 제작된 강 합성 교량(2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 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200)은 도 3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 주형(210)의 상부 면으로 돌출형성된 연결 부재(23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연결 부재(230)는 예를 들면 강 주형(210)의 상부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T"형 단면의 강재(232a)이고, 그 표면에는 무늬 또는 요철면(232b)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연결 부재(230)는 강 주형(210)으로부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들림(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T자 형태의 단면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230)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 주형(210)의 상부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 단면의 강재(234a)이고, 그 표면에는 무늬 또는 요철면(234b)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 부재(230)의 측 방향으로는 다수의 관통 구멍(234c)들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연결 부재(230)는 강판의 측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멍(234c)로 인하여 상기 구멍(234c)의 내부에 몰 타르(250)가 충전되는 구멍 전단(Perfobond) 연결 부재의 효과를 이용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 부재(230)는 강 주형(210)의 상부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사각 바(235a), "ㄱ"형 단면의 철재 바(236a), "T"형 단면의 철재 바(238a)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각 바(235a) 형태의 연결 부재(230)는 도 4a),b)에 도시된 바 와 같이, 강 주형(210)의 상부 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각 바(235a)들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하부 면에 오목 홈(225)이 가공되는 경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내장된 철근(222)들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구조적으로 결합부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ㄱ"형 단면의 철재 바(236a)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 주형(210)의 상부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ㄱ"형 단면의 철재 바(236a)들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하부 면에 오목 홈(225)으로 삽입되어 몰 타르(250)에 의해서 결합되면, 강 주형(210)으로부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들림(부상)을 방지하고 구조적으로 결합부위를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T"형 단면의 철재 바(238a)는 도 5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 주형(210)의 상부 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구조를 갖추며, 이와 같은 구조들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하부 면에 오목 홈(225)으로 삽입되어 몰 타르(250)에 의해서 결합되면, 강 주형(210)으로부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들림(부상)을 방지하고 구조적으로 결합부위를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200)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하부 면에서 상기 연결 부재(230)들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오목 홈(225)을 갖는다. 이와 같은 오목 홈(225)은 도 3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단면 또는 타원(oval)과 같은 다양한 단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들 오목 홈(225)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을 상하로 관통하는 구조가 아니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 두께의 일부분을 커팅하여 오목하게 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의 오목 홈(225)은 강 주형(210)에 마련된 연결 부재(230)와의 결합이 쉽게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200)은 상기 오목 홈(225)의 내부에서 연결 부재(230)의 외측 빈 공간에 충전되는 몰 타르(250)를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몰 타르(250)는 상기 강 주형(2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을 접착 연결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몰 타르(250)의 접합면적을 증대시켜서 강 주형(2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 사이의 접착력 및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거친 표면(227)이 형성되는 데, 이와 같은 거친 표면(227)은 도 3a),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부재(230)가 장착된 강 주형(210)의 상부 면에 규사 코팅(215)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거친 표면(227)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에도 이루어지는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 면에 워터 젯(water jet)(229)을 가하여 골재를 노출시켜 표면 조도가 향상된 거친 표면이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거친 표면은 도 6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하부 면에 강 주형(210)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다수의 돌기(242a)(244a)(246a)들이 돌출형성된 얇은 박판(240)을 삽입하여 표면의 조도를 높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박판(24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 홈(225)의 크기에 대응하는 사다리꼴 단면의 구조(242)를 갖추고, 다수의 돌기(242a)들을 형성하며, 오목 홈(225) 부위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판(240)은 다수의 긴 돌기(244a)들을 형성한 평판형의 구조(244)를 갖추고, 오목 홈(225) 부위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판(240)은 다수의 돌기(246a)들을 형성한 평판형의 구조(246)를 갖추고, 오목 홈(225) 부위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상기 강 주형(2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사이에는 거친 표면(227)이 형성됨으로써 몰 타르(250)의 접합면적을 증대시켜서 강 주형(2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사이에서 접착력 및 마찰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200)은 상기 강 주형(210)의 상부 면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을 결합시키게 되면, 강 주형(210) 상의 연결 부재(230)들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하부 면에 형성된 오목 홈(225)의 내부로 쉽게 들어간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재(230)가 삽입된 오목 홈(225)의 내부에 몰 타르(250)를 주입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주입되는 고성능 몰 타르(250)는 상기 오목 홈(225)의 충전 공간뿐만 아니라 상기 강 주형(2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사이에 마련된 거친 표면(227)들 사이, 즉 강 주형(210)의 상부 면에 형성된 규사 코팅(215) 층과,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워터 젯(229) 또는 박판(240)으로 이루어진 거친 표면(227) 사이에도 주입되어 응고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서 제작되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200)은 상기 연결 부재(230)와 오목 홈(225)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강 주형(2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의 사이에서 몰 타르(250)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현장에서 작업기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으면서도 강 주형(2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220)과의 사이에서 고강도의 신속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현장의 공기 단축과 시공 품질의 향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의 형태를 다른 구조로 하거나, 거친 표면의 형성방식을 다른 구조로 할 수 있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강 합성 교량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을 도시한 상세도로서, a)도는 외관 분해 조립도, b),c)도는 조립 단면도, d)도는 강 주형과 연결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의 변형 구조를 도시한 상세도로서, a)도는 강 주형과 연결 부재의 사시도, b)도는 결합 단면도, c)도는 오목 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의 또 다른 변형 구조를 도시한 상세도로서, a),b)도는 강 주형과 연결 부재의 사시도, c)도는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의 거친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박판 상세도로서, a)도는 사시도, b)도는 긴 돌기의 박판 상세도, c)도는 작은 돌기의 박판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종래의 강 합성 교량 110..... 콘크리트 바닥 판
120..... 강 주형 130..... 스터드 전단 연결재
200.... 본 발명에 따른 강 합성 교량
210.... 강 주형 22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222.... 철근 225..... 오목 홈
230.... 연결 부재 232a..... "T"형 단면의 강재
232b... 요철면 234a.... "|"형 단면의 강재
234b... 요철면 234c.... 관통 구멍
235a... 사각 바 236a.... "ㄱ"형 단면의 철재 바
238a... "T"형 단면의 철재 바 240..... 박판
242.... 사다리꼴 단면의 구조 242a.... 돌기
244,246.... 평판형의 구조 244a.... 긴 돌기
246a.... 돌기 250.... 몰 타르
S......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
S10.... 강 주형의 상부 면에 연결 부재를 돌출형성시키는 단계
S20.... 강 주형의 플랜지 상에 규사 코팅하는 단계
S3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하부 면에 오목 홈을 형성하는 단계
S4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하부 면에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
S50.... 몰 타르 주입 단계

Claims (10)

  1. 강 주형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을 연결하여 강 합성 교량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강 주형의 상부 면에 연결 부재를 돌출형성시키는 단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하부 면에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되도록 오목 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강 주형의 상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을 배치하고,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된 오목 홈의 내부에 몰 타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강 주형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몰 타르 접착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오목 홈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을 상하로 관통하는 구조가 아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하부 면을 커팅하여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시키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은 강 주형과 접촉하는 부분에 다수의 돌기들이 돌출형성된 얇은 박판을 삽입하여 표면의 조도를 높이고 거친 표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 주형의 상부 면에 연결 부재를 돌출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강 주형의 플랜지 상에 규사 코팅하여 몰 타르와의 접착력 및 마찰력을 높이는 단계를 추가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하부 면에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되도록 오목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하부 면에 워터 젯(water jet)을 가하여 골재를 노출시켜 표면 조도를 높이 고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
  4. 삭제
  5. 강 주형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을 연결하여 제작된 강 합성 교량에 있어서,
    상기 강 주형의 상부 면으로 돌출형성된 연결 부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하부 면에서 상기 연결 부재들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오목 홈; 및
    상기 오목 홈의 내부에서 연결 부재의 외측 빈 공간에 충전되어 강 주형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을 접착 연결하는 몰 타르;를 포함하되,
    상기 오목 홈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을 상하로 관통하는 구조가 아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의 하부 면을 커팅하여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시키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은 그 하부 면에 강 주형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다수의 돌기들이 돌출형성된 얇은 박판을 삽입하여 표면의 조도를 높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강 주형의 상부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T"형 단면의 강재이고, 그 표면에는 무늬 또는 요철면이 형 성되며, 상기 연결 부재가 장착된 강 주형의 상부 면에는 규사 코팅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강 주형의 상부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 단면의 강재이고, 그 표면에는 무늬 또는 요철면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 부재의 측 방향으로는 다수의 관통 구멍들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한편, 상기 연결 부재가 장착된 강 주형의 상부 면에는 규사 코팅이 형성된 것 특징으로 하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강 주형의 상부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사각 바, "ㄱ"형 단면의 철재 바, "T"형 단면의 철재 바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판은 그 하부 면에 워터 젯(water jet)을 가하여 골재를 노출시켜 표면 조도가 향상된 거친 표면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10. 삭제
KR1020080067879A 2008-07-14 2008-07-14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 및 이를이용하여 얻어진 강 합성 교량 KR101047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879A KR101047426B1 (ko) 2008-07-14 2008-07-14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 및 이를이용하여 얻어진 강 합성 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879A KR101047426B1 (ko) 2008-07-14 2008-07-14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 및 이를이용하여 얻어진 강 합성 교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299A KR20100007299A (ko) 2010-01-22
KR101047426B1 true KR101047426B1 (ko) 2011-07-08

Family

ID=4181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879A KR101047426B1 (ko) 2008-07-14 2008-07-14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 및 이를이용하여 얻어진 강 합성 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378B1 (ko) * 2017-03-23 2018-02-28 김선곤 측면에 포켓부가 형성된 바닥판을 사용한 가교 및 이를 이용한 가교의 설치와 해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209A (ja) * 1996-09-20 1998-04-14 P S Co Ltd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その製造方法及びプレキャスト床版と桁との取合構造
JPH11264115A (ja) * 1998-03-19 1999-09-28 Hitachi Zosen Corp 橋 梁
KR20040105940A (ko) * 2003-06-10 2004-12-17 (주)대우건설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의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100641607B1 (ko) * 2005-06-02 2006-11-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단연결재 일체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 모듈 및 이를이용한 콘크리트 합성 바닥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209A (ja) * 1996-09-20 1998-04-14 P S Co Ltd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その製造方法及びプレキャスト床版と桁との取合構造
JPH11264115A (ja) * 1998-03-19 1999-09-28 Hitachi Zosen Corp 橋 梁
KR20040105940A (ko) * 2003-06-10 2004-12-17 (주)대우건설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의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100641607B1 (ko) * 2005-06-02 2006-11-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단연결재 일체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 모듈 및 이를이용한 콘크리트 합성 바닥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378B1 (ko) * 2017-03-23 2018-02-28 김선곤 측면에 포켓부가 형성된 바닥판을 사용한 가교 및 이를 이용한 가교의 설치와 해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299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03559C (en) Segments for building splice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gments
US9988775B1 (en) Concrete i-beam for bridge construction
JP484491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を使用した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の構築方法
KR10076039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그를 이용한 슬래브의시공방법
JP505159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を使用した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の構築方法
KR20090050520A (ko)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694587B1 (ko) 멀티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슬래브구조체
KR20120054705A (ko) 테이퍼 형상의 오목부에 의한 연결철근 접합을 이용한 uhpc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연결구조 및 연결시공방법
KR20160053289A (ko) 교량용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의 시공 방법
KR10081213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CN107905426B (zh) 一种双向空心叠合楼板的构造方法
KR101482522B1 (ko)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70405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JP4541592B2 (ja) 段差スラブ成形用コンクリート版及びこれを用いた段差スラブ構造
KR20040105446A (ko)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의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101047426B1 (ko) 몰 타르 접착에 의한 강 합성 교량 시공방법 및 이를이용하여 얻어진 강 합성 교량
KR20040105940A (ko)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의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101492066B1 (ko) 기둥의 기초공법
KR200434622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JP262515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用型枠組立体製造方法および型枠組立体
JPH0426483Y2 (ko)
CN211774951U (zh) 一种避免产生结构裂缝的预制楼板
KR102247374B1 (ko)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방법
CN216475806U (zh) 一种单向叠合板成型模具
JP4716311B2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部分の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