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335A -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 Google Patents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335A
KR20200007335A KR1020180081331A KR20180081331A KR20200007335A KR 20200007335 A KR20200007335 A KR 20200007335A KR 1020180081331 A KR1020180081331 A KR 1020180081331A KR 20180081331 A KR20180081331 A KR 20180081331A KR 20200007335 A KR20200007335 A KR 20200007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unit
block
wall
prefabricated
preventing collap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홍
Original Assignee
조성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홍 filed Critical 조성홍
Priority to KR1020180081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7335A/ko
Publication of KR20200007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08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next to each other on one end surface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opposite en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단, 앉음벽, 옹벽, 장식가벽, 석축 등의 벽체를 손쉽고 견고하게 축조할 수 있으며, 벽체가 쉽게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는 제1블록유닛, 제2블록유닛, 제3블록유닛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간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지반의 부등 침하나 벽체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벽체가 쉽게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간 다양한 패턴 및 형태로 결합 가능하므로 다양한 구조 및 디자인의 벽체를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Prefabricated block structure for preventing collapse}
본 발명은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단, 앉음벽, 옹벽, 장식가벽, 석축 등의 벽체를 손쉽고 견고하게 축조할 수 있으며, 벽체가 쉽게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땅을 깎거나 흙을 쌓아 생기는 비탈 지형이 흙의 압력 또는 흙의 유실 현상으로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든 벽을 말한다.
예를 들어,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의 지형에 축조되어 해당 지형이 흙의 압력 또는 흙의 유실 현상으로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옹벽은 과거에는 소정 형태의 석재 및 시멘트를 통해 축조되었으나, 이러한 옹벽 축조 방식의 경우, 축조되는 석재들이 시멘트의 결합력을 통해서만 고정됨에 따라 시멘트를 비교적 두껍게 타설해야 했고, 이는 시멘트의 양생에 필요한 시간을 길게 하여 해당 옹벽의 공사기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현상을 초래하였다.
또한, 옹벽은 성토지, 절개지 등의 지형에 흡수된 물, 수분이 적절히 배출되지 못하거나, 얼어 부피 팽창이 이루어질 경우 균열이 생기고 심한 경우 붕괴의 위험에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 및 그에 따른 붕괴 위험은 상술한 과거의 옹벽에서 더 잘 발생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복수의 블록을 조합하여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의 비탈 지형에 옹벽을 축조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0762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010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조립 및 해체시에 철거를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블록유닛들을 상부 및 하부 세그먼트로 나누어 자체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상호간 체결력을 증대시켜 벽체의 붕괴를 예방함으로써 안정적인 사면을 유지시킬 수 있는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붕괴 방지용 조립식 블록구조체는 상호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1블록유닛과, 제2블록유닛과, 제3블록유닛을 적층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조립식 블록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유닛은 상호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평평하게 형성되고 전단 측과 후단 측에 각각 제1하부결합홈과 제1하부결합돌기가 형성된 제1하부몸체와, 상기 제1하부몸체와 어긋나도록 상기 제1하부몸체의 전단 측 상부에 상기 제1하부몸체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전단 측과 후단 측에 각각 제1상부결합홈과 제1상부결합돌기가 형성된 제1상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블록유닛은 상기 제1블록유닛 또는 상기 제3블록유닛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상부몸체와 대응되는 두께를 갖고 평평하게 형성된 제2하부몸체와, 상기 제2하부몸체와 단차지도록 상기 제2하부몸체의 전단 측 상부에 형성된 제2상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3블록유닛은 상기 제1블록유닛 또는 상기 제2블록유닛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블록유닛의 상기 제1하부몸체 또는 상기 제1상부몸체와 대응되는 두께를 갖고 평평하게 형성되며 전단 측에는 제3결합홈이 형성되고 후단 측에는 제3결합돌기가 형성된 제3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블록유닛의 제2하부몸체는 상기 제1상부몸체와 대응되는 두께를 갖고, 평평하게 형성되며, 후단 측에는 상기 제1블록유닛의 상기 제1상부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1하부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3블록유닛의 제3결합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되는 제2하부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블록유닛의 제2상부몸체는 상기 제2하부몸체와 대응되는 두께를 갖고, 평평하고 형성되며, 후단 측에는 상기 제1블록유닛의 상기 제1상부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1하부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3블록유닛의 제3결합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결합되는 제2상부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블록유닛은 상기 벽체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하부몸체 또는 상기 제3몸체와 대응되는 두께를 갖고 평평하게 형성되는 하부분할몸체와, 상기 하부분할몸체와 어긋나도록 상기 하부분할몸체의 전단 측 상부에 상기 하부분할몸체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상부분할몸체를 포함하는 제1분할블록과, 상기 제1분할블록의 상기 하부분할몸체와 상기 상부분할몸체 사이에 설치되는 제2분할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블록유닛 내지 제3블록유닛의 일 면에는 문양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는 제1블록유닛, 제2블록유닛, 제3블록유닛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간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지반의 부등 침하나 벽체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벽체가 쉽게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간 다양한 패턴 및 형태로 결합 가능하므로 다양한 구조 및 디자인의 벽체를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를 이용하여 화단 또는 앉은벽 구조의 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를 이용하여 화단 또는 앉은벽 구조의 벽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의 제1블록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의 제2블록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의 제3블록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블록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제1블록유닛, 도 5의 제3블록유닛, 도 6의 제2블록유닛을 이용하여 옹벽 구조의 벽체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및 조립식 블록구조체를 이용한 벽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는 적층하여 벽체(10)를 형성하도록 상호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1블록유닛(100)과, 제2블록유닛(200)과, 제3블록유닛(300)을 구비한다.
제1블록유닛(100)은 상호 수평방향으로 결합되고, 대각 방향으로 적층 및 상호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계단 형태로 형성되며, 제1하부몸체(110)와, 제1상부몸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하부몸체(110)는 상부 및 하부가 평평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단 측과 후단 측에 각각 내측으로 인입된 제1하부결합홈(111)과 외측으로 돌출된 제1하부결합돌기(113)가 형성된다.
제1상부몸체(130)는 제1하부몸체(110)와 어긋나 제1하부몸체(110)와 함께 계단 형태를 형성하도록 제1하부몸체(110)의 전단 측 상부에 제1하부몸체(110)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부 및 하부가 평평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단 측과 후단 측에 각각 내측으로 인입된 제1상부결합홈(131)과 외측으로 돌출된 제1상부결합돌기(133)가 형성된다.
제2블록유닛(200)은 제1블록유닛(100) 또는 제3블록유닛(300)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제1하부몸체(110) 또는 제1상부몸체(130)와 대응되는 두께를 갖고 평평하게 형성된 제2하부몸체(210)와, 제2하부몸체(210)와 단차지도록 제2하부몸체(210)의 전단 측 상부에 형성된 제2상부몸체(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블록유닛(200)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상부몸체(230)보다 더 짧게 형성된 제2상부몸체(230)가 상방을 향하도록 'ㄴ' 형태로 배치되는 정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제2상부몸체(230)가 하방을 향하도록 'ㄱ' 형태로 배치되는 역방향으로 뒤집어 설치될 수도 있다.
제2블록유닛(200)의 제2상부몸체(230) 후단 측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제2상부결합홈(231)이 형성되고, 제2블록유닛(200)의 제2하부몸체(210) 후단 측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제2하부결합홈(211)이 형성된다. 제2상부결합홈(231) 또는 제2하부결합홈(211)에는 제1블록유닛(100)의 제1상부결합돌기(133) 또는 제1하부결합돌기(113) 또는 제3블록유닛(300)의 제3결합돌기(313)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3블록유닛(300)은 제1블록유닛(100) 또는 제2블록유닛(200)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일정 길이를 갖는 '一'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블록유닛(100)의 제1하부몸체(110) 또는 제1상부몸체(130)와 대응되는 두께를 갖고 상부 및 하부가 평평하게 형성되며, 전단 측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제3결합홈(311)이 형성되고, 후단 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3결합돌기(313)가 형성된 제3몸체(310)를 포함한다.
제3블록유닛은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전단 측에 제3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후단 측에 제3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는 제1 내지 제3블록유닛들을 적층했을 때 자연석을 쌓아 올린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제1블록유닛(100) 내지 제3블록유닛(300)의 전단 측을 기준으로 좌 측면 또는 우 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는 자연석 모양의 문양부(3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의 제1블록유닛 내지 제3블록유닛은 제1블록유닛 내지 제3블록유닛을 형성하는 소재를 압축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압축하는 상부금형 측에 문양부를 형성하기 위한 문양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상부금형만 교체하면 제1블록유닛 내지 제3블록유닛에 다양한 형상의 문양부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는 제1블록유닛(100) 상호간, 제3블록유닛(300) 상호간, 제1블록유닛(100) 내지 제3블록유닛(300)들 상호간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벽체(1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는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 제1블록유닛(100)의 제1상부몸체(130)에 형성된 제1상부결합홈(131)에 일 측의 제1블록유닛(100)을 중심으로 좌측 상방 대각방향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타 측 제1블록유닛(100)의 제1하부몸체(110)에 형성된 제1하부결합돌기(113)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측 제1블록유닛(100)의 제1상부몸체(130)에 형성된 제1상부결합돌기(133)가 일 측의 제1블록유닛(100)을 중심으로 우측 상방 대각방향에 적층 배치되는 타 측 제1블록유닛(100)의 제1하부몸체(110)에 형성된 제1하부결합홈(111)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측 제1블록유닛(100)의 제1하부몸체(110)에 형성된 제1하부결합홈(111)에 일 측의 제1블록유닛(100)을 중심으로 좌측 하방 대각방향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타 측 제1블록유닛(100)의 제1상부몸체(130)에 형성된 제1상부결합돌기(133)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측 제1블록유닛(100)의 제1하부몸체(110)에 형성된 제1하부결합돌기(113)가 일 측의 제1블록유닛(100)을 중심으로 우측 하방 대각방향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타 측 제1블록유닛(100)의 제1상부몸체(130)에 형성된 제1상부결합홈(131)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2블록유닛(200)은 벽체(10)의 좌측 및 우측을 마감하도록 좌,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벽체(10)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제2블록유닛(200)이 'ㄴ'자 형상으로 정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제2블록유닛(200) 상에는 제1블록유닛(100)이 단순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정방향으로 배치된 제2블록유닛(200)의 제2하부몸체(210) 상에 제1블록유닛(100)의 제1하부몸체(110)가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2블록유닛(200)의 제2상부몸체(230) 상에 제1블록유닛(100)의 제1상부몸체(130)가 접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벽체(10)의 우측 가장자리에는 제2블록유닛(200)이 'ㄱ'자 형상으로 즉, 역방향으로 뒤집어 배치될 수 있다.
제2블록유닛(200)은 벽체(10)의 바닥부에 배치된 제3블록유닛(300) 상에 설치되고, 제3블록유닛(300)의 제3결합돌기(313)가 제2상부몸체(230)의 제2상부결합홈(231)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블록유닛(200)은 제1블록유닛(1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블록은 제1블록유닛(100)의 제1하부몸체(110) 상에 제2하부몸체(210)가 접하면서 제1블록유닛(100)의 제1상부몸체(130)에 형성된 제1상부결합돌기(133)가 제2하부몸체(210)에 형성된 제2하부결합홈(211)에 삽입 결합되고, 제1블록유닛(100)의 제1하부몸체(110) 단부 측에 제2상부몸체(230) 단부가 접하면서 제1블록유닛(100)의 제1하부몸체(110)에 형성된 제1하부결합돌기(113)가 제2상부몸체(230)에 형성된 제2상부결합홈(231)에 삽입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측 제1블록유닛(100)의 제1상부결합돌기(133) 또는 제1하부결합돌기(113)는 일 측의 제1블록유닛(100)을 중심으로 좌, 우측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3블록유닛(300)의 제3결합홈(311)에 삽입 결합될 수 있고, 일 측 제1블록유닛(100)의 제1상부결합홈(131) 또는 제1하부결합홈(111)에는 일 측의 제1블록유닛(100)을 중심으로 좌, 우측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3블록유닛(300)의 제3결합돌기(313)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3블록유닛(300)은 벽체(10)의 바닥부를 형성하도록 상호가 서로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바닥에 일렬로 설치할 수도 있고, 제1블록유닛(100)들 사이 또는 제2블록유닛(200)의 일 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는 제3블록유닛(300)을 이용하여 벽체(10)의 양측 단부에 사각의 기둥부(20)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는 4개의 제3블록유닛(300)을 수평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하여 하나의 단을 형성하고, 단을 여러개 적층하여 기둥부(20)를 형성할 수 있다. 각 단은 4개의 제3블록유닛(300)을 서로 직각이 되도록 배치 즉, 일 측 제3블록유닛(300)에 형성된 제3돌출부가 인접하는 타 측 제3블록유닛(300)의 일 면에 접하도록 배치하고, 타 측 제3블록유닛(300)의 제3돌출부가 다른 타 측 제3블록유닛(300)의 일 면에 접하도록 배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의 제1블록유닛(100)의 제1상부몸체(130)와 제1하부몸체(110)의 상면에는 각각 하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고, 제1블록유닛(1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안내홈(151)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록유닛(100)의 제1상부몸체(130) 및 제2하부몸체(210)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고, 제1블록유닛(1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안내돌기(153)가 형성된다.
일 측 제1블록유닛(100)의 제1안내홈(151)에는 타 측 제1블록유닛(100)의 제1안내돌기(153)가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이 제1안내돌기(153)와 제1안내홈(151)의 결합에 의해 제1블록유닛(100)들 상호 간 제1블록유닛(100)의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제1블록유닛(100)이 길이방향으로 유동 및 슬라이딩 되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블록유닛(200)의 제2상부몸체(230) 상면과, 제2하부몸체(210) 상면 및 저면에는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고, 제2블록유닛(2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블록유닛(100)의 제1안내돌기(153)가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안내홈(251)이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블록유닛(300)의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고, 제3블록유닛(3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블록유닛(100)의 제1안내돌기(153)가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안내홈(351)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는 제1분할블록, 제2분할블록, 제3분할블록에 각각 형성된 제1안내돌기 및 제1안내홈, 제2안내홈, 제3안내홈을 각각 제1분할블록, 제2분할블록, 제3분할블록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제1분할블록, 제2분할블록, 제3분할블록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분할블록, 제2분할블록, 제3분할블록의 폭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때, 블록들 상호 간이 수평방향으로 밀려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는 제1블록유닛(100), 제2블록유닛(200), 제3블록유닛(300)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간 유기적인 결합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지반의 부등 침하나 벽체(1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벽체(10)가 쉽게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간 다양한 패턴 및 형태로 결합 가능하므로 다양한 구조 및 디자인의 벽체(10)를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에는 제2블록유닛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제2블록유닛과 앞서 설명한 제1블록유닛 및 제3블록유닛을 이용한 벽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블록유닛(1200)은 벽체(1010)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제2블록유닛(1200)은 제1분할블록(1210)과 제2분할블록(1220)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블록유닛(1200)을 분할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제1분할블록(1210)과, 제2분할블록(1220)을 포함한다.
제1분할블록(1210)은 제1하부몸체(110) 또는 제3몸체와 대응되는 두께를 갖고 평평하게 형성되는 하부분할몸체(1211)와, 하부분할몸체(1211)와 어긋나도록 하부분할몸체(1211)의 전단 측 상부에 하부분할몸체(1211)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상부분할몸체(1215)를 포함한다.
제2분할블록(1220)은 사각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분할블록(1210)의 하부분할몸체(1211)와 상부분할몸체(1215)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제2블록유닛(1200)은 하부분할몸체(1211)와, 상부분할몸체(1215) 상면에 각각 하방으로 인입되고, 제2블록유닛(12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블록유닛(100)의 하부에 형성된 제1안내돌기(153)가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안내홈(1257)이 형성된다. 제4안내홈(1257)은 제2분할블록(1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벽체
20 : 기둥부
100 : 제1블록유닛
110 : 제1하부몸체
111 : 제1하부결합홈
113 : 제1하부결합돌기
130 : 제1상부몸체
131 : 제1상부결합홈
133 : 제1상부결합돌기
200 : 제2블록유닛
210 : 제2하부몸체
211 : 제2하부결합홈
230 : 제2상부몸체
231 : 제2상부결합홈
300 : 제3블록유닛
311 : 제3결합홈
313 : 제3결합돌기

Claims (4)

  1. 상호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1블록유닛과, 제2블록유닛과, 제3블록유닛을 적층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조립식 블록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유닛은 상호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평평하게 형성되고 전단 측과 후단 측에 각각 제1하부결합홈과 제1하부결합돌기가 형성된 제1하부몸체와, 상기 제1하부몸체와 어긋나도록 상기 제1하부몸체의 전단 측 상부에 상기 제1하부몸체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전단 측과 후단 측에 각각 제1상부결합홈과 제1상부결합돌기가 형성된 제1상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블록유닛은 상기 제1블록유닛 또는 상기 제3블록유닛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상부몸체와 대응되는 두께를 갖고 평평하게 형성된 제2하부몸체와, 상기 제2하부몸체와 단차지도록 상기 제2하부몸체의 전단 측 상부에 형성된 제2상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3블록유닛은 상기 제1블록유닛 또는 상기 제2블록유닛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블록유닛의 상기 제1하부몸체 또는 상기 제1상부몸체와 대응되는 두께를 갖고 평평하게 형성되며 전단 측에는 제3결합홈이 형성되고 후단 측에는 제3결합돌기가 형성된 제3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록유닛의 제2하부몸체는 상기 제1상부몸체와 대응되는 두께를 갖고, 평평하게 형성되며, 후단 측에는 상기 제1블록유닛의 상기 제1상부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1하부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3블록유닛의 제3결합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되는 제2하부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블록유닛의 제2상부몸체는 상기 제2하부몸체와 대응되는 두께를 갖고, 평평하고 형성되며, 후단 측에는 상기 제1블록유닛의 상기 제1상부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1하부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3블록유닛의 제3결합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결합되는 제2상부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록유닛은 상기 벽체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하부몸체 또는 상기 제3몸체와 대응되는 두께를 갖고 평평하게 형성되는 하부분할몸체와, 상기 하부분할몸체와 어긋나도록 상기 하부분할몸체의 전단 측 상부에 상기 하부분할몸체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상부분할몸체를 포함하는 제1분할블록과,
    상기 제1분할블록의 상기 하부분할몸체와 상기 상부분할몸체 사이에 설치되는 제2분할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유닛 내지 제3블록유닛의 일 면에는 문양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KR1020180081331A 2018-07-12 2018-07-12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KR20200007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331A KR20200007335A (ko) 2018-07-12 2018-07-12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331A KR20200007335A (ko) 2018-07-12 2018-07-12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335A true KR20200007335A (ko) 2020-01-22

Family

ID=6936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331A KR20200007335A (ko) 2018-07-12 2018-07-12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73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8179A (ko) * 2020-10-30 2022-05-09 김쌍도 조립식 개비온 옹벽 블록 키트
KR20220146799A (ko) * 2021-04-26 2022-11-02 강상식 가변형 옹벽 구조물
KR102581114B1 (ko) * 2022-04-04 2023-09-20 이양석 다양한 형태의 축조가 가능한 성벽형 보강토 블럭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628A (ko) 2005-07-11 2007-01-16 (주)한국마사끼엔벡 화단 경계블록 및 그 시스템
KR100801017B1 (ko) 2007-09-04 2008-02-04 주식회사 광명기업 조립식 수로용 옹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628A (ko) 2005-07-11 2007-01-16 (주)한국마사끼엔벡 화단 경계블록 및 그 시스템
KR100801017B1 (ko) 2007-09-04 2008-02-04 주식회사 광명기업 조립식 수로용 옹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8179A (ko) * 2020-10-30 2022-05-09 김쌍도 조립식 개비온 옹벽 블록 키트
KR20220146799A (ko) * 2021-04-26 2022-11-02 강상식 가변형 옹벽 구조물
KR102581114B1 (ko) * 2022-04-04 2023-09-20 이양석 다양한 형태의 축조가 가능한 성벽형 보강토 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7335A (ko)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JP7016538B2 (ja) 連結ブリック組立体及びその組立て方法
KR101116393B1 (ko) 보강토 옹벽용 블럭
KR20160050226A (ko) 절토 사면 보강공법
US20140037389A1 (en) Structural Unit and Positioning Member
KR102041892B1 (ko) 조적 안정성과 상호 결합성이 증대된 보강토 옹벽블럭 및 그 옹벽블럭의 제조방법
KR200396209Y1 (ko)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KR101598148B1 (ko)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KR200482818Y1 (ko) 옹벽용 블록 조립체
JP3030767B2 (ja) 舗装ブロック用合成樹脂製函型フレームとそれを使用したブロック舗装の施工法
KR10079776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
KR200491914Y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200396208Y1 (ko)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KR102505314B1 (ko) 가변형 옹벽 구조물
KR100467042B1 (ko) 옹벽용 조립식 블록
KR200461055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KR200461591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KR200433132Y1 (ko) 조립식 호안 블럭
KR100719281B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조립체
KR20090012102U (ko) 옹벽용 블럭
JP3810400B2 (ja) ブロック
KR10254662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KR101647089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
CN211815301U (zh) 可快速拼装的铺装模框结构
KR102465108B1 (ko) 중력식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