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108B1 - 중력식 옹벽블록 - Google Patents

중력식 옹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108B1
KR102465108B1 KR1020210157312A KR20210157312A KR102465108B1 KR 102465108 B1 KR102465108 B1 KR 102465108B1 KR 1020210157312 A KR1020210157312 A KR 1020210157312A KR 20210157312 A KR20210157312 A KR 20210157312A KR 102465108 B1 KR102465108 B1 KR 102465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block body
gravi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림
Original Assignee
(주)녹색산업
(주)엔에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녹색산업, (주)엔에스산업 filed Critical (주)녹색산업
Priority to KR1020210157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중력식 옹벽블록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중력식 옹벽블록은, 수직 증축 또는 경사 증축이 가능한 것으로서 외관 골조를 이루는 블록 바디; 및 상기 블록 바디의 일측 벽면에 형성되되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토사지에 흡수된 물을 전방으로 배수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바디가 수직 증축 또는 경사 증축될 때, 상기 배수홈부가 상기 블록 바디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력식 옹벽블록{WALL BLOCK}
본 발명은, 중력식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토사지에 흡수된 물을 전방으로 배수할 수 있어서 옹벽 구조물이 받는 압력을 종래보다 월등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옹벽 구조물을 붕괴 없이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중력식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에 축조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일탈과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축조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경사진 면에 소정 형태의 석재와 시멘트를 혼합하고, 이들의 양생으로 견고한 구조물로 축조되도록 이루어져, 성토지 또는 절개지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옹벽은 대형의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에 전술된 방식으로 시공될 경우, 축조된 석재 및 석재 사이에 외력의 작용 때문에 양생된 시멘트의 자중으로 인해 일탈 또는 붕괴의 우려가 있고, 석재 및 시멘트의 양생을 위해 과다한 시간이 필요하였다.
자연석을 석재로 마련하여 축대를 축조하는 것은 한정된 자원의 고갈로 축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점점 어려워지고, 석재를 마련하기 위해 큰 석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개하여 절단하는 부수적인 과정이 필요하여 가격이 고가이고, 시멘트 양생 등에 의하여 축조기간이 연장되고 인건비가 높아지기 때문에 이용하기에 무척 곤란하다.
또한,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의 토사에 흡수된 수분이 적절하게 배출되지 못하거나, 겨울철과 같이 날씨가 추워질 경우 수분이 얼어 부피가 팽창되면, 옹벽에 균열이 발생하고 심지어는 옹벽이 붕괴하는 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복수의 블록을 조합하여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에 시공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와 같은 구조의 옹벽블록(1,2)을 이용해서 옹벽을 시공한다. 참고로, 도 1은 옹벽블록(1)을 수직 증축한 것이고, 도 2는 옹벽블록(2)을 경사지게 증축한 것일 뿐 그 구조는 동일하다.
어떠한 형태이든지 옹벽블록(1)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에 축조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일탈과 붕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는 하는데, 이러한 통상의 옹벽블록(1)은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배수에 상당히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 및 도 2와 같은 옹벽 구조물은 중력 방향으로의 많은 힘을 받게 되는데, 적절한 배수 수단이 없으면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토사지에 흡수된 물의 압력이 옹벽 구조물에 가해짐에 따라 옹벽 구조물을 붕괴 없이 장기간 유지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옹벽블록의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5-000832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7-000048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7-000637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07203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토사지에 흡수된 물을 전방으로 배수할 수 있어서 옹벽 구조물이 받는 압력을 종래보다 월등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옹벽 구조물을 붕괴 없이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중력식 옹벽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수직 증축 또는 경사 증축이 가능한 것으로서 외관 골조를 이루는 블록 바디; 및 상기 블록 바디의 일측 벽면에 형성되되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토사지에 흡수된 물을 전방으로 배수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바디가 수직 증축 또는 경사 증축될 때, 상기 배수홈부가 상기 블록 바디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옹벽블록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배수홈부가 상기 블록 바디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되 단면 반원형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배수홈부의 단면이 상기 블록 바디의 전체 영역에 걸쳐 동일하게 가공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홈부의 단면이 상기 블록 바디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홈부의 보강을 위하여 상기 배수홈부에 추가로 접착 시공되는 반원형 보강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토사지에 흡수된 물을 전방으로 배수할 수 있어서 옹벽 구조물이 받는 압력을 종래보다 월등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옹벽 구조물을 붕괴 없이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옹벽 시공구조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중력식 옹벽블록을 이용해서 옹벽 구조물을 시공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의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의 이미지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정면도, 도 6은 도 3의 중력식 옹벽블록을 이용해서 옹벽 구조물을 시공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100)은 도 6과 같은 옹벽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토사지(A)에 흡수된 물을 전방으로 배수할 수 있어서 옹벽 구조물이 받는 압력을 종래보다 월등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옹벽 구조물을 붕괴 없이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100)은 블록 바디(110)를 포함하며, 블록 바디(110)에 아래의 구성이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블록 바디(110)는 수직 증축 또는 경사 증축이 가능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100)의 외관 골조를 이룬다.
이러한 블록 바디(110)는 대략 사각 블록(block)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가로, 세로 및 높이는 일정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의 일정 규격은 시방서의 기준을 따를 수 있다.
블록 바디(110)에 접합부(111)가 형성된다. 접합부(111)는 중력식 옹벽블록(100)들을 도 6처럼 쌓아 올릴 때, 이웃한 것끼리 접합되게 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접합부(111)는 홈 또는 돌기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간략하게 그 의미만 도시만 했다.
한편, 앞서 기술한 종래의 도 1 및 도 2와 같은 옹벽 구조물은 중력 방향으로의 많은 힘을 받게 되는데, 적절한 배수 수단이 없어서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토사지(A)에 흡수된 물의 압력이 옹벽 구조물에 가해짐에 따라 옹벽 구조물을 붕괴 없이 장기간 유지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블록 바디(110)에 배수홈부(130)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고할 수 있다.
배수홈부(130)는 블록 바디(110)의 일측 벽면에 형성되되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토사지(A)에 흡수된 물을 전방으로 배수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배수홈부(130)는 블록 바디(110)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단면 반원형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도 6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100)이 수직 증축 또는 경사 증축될 때, 블록 바디(110)에 형성되는 배수홈부(130)가 블록 바디(110)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토사지(A)에 흡수된 물이 전방으로 배수될 수 있다.
이처럼 토사지(A)에 흡수된 물을 전방으로 배수할 수 있으면 중력식 옹벽블록(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옹벽 구조물을 붕괴 없이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배수홈부(130)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블록 바디(110)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되 단면 반원형 구조를 이루는데, 배수홈부(130)의 단면이 블록 바디(110)의 전체 영역에 걸쳐 동일하게 가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토사지(A)에 흡수된 물을 전방으로 배수할 수 있어서 옹벽 구조물이 받는 압력을 종래보다 월등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옹벽 구조물을 붕괴 없이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200) 역시, 외관 골조를 이루되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블록 바디(210)와, 블록 바디(210)에 형성되는 배수홈부(230)를 포함한다.
배수홈부(230)는 블록 바디(210)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되 단면 반원형 구조를 이룬다.
이때, 본 실시예에 개시되는 배수홈부(230)의 단면이 블록 바디(210)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앞에서 볼 때는 외관의 미가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면서도 배수 효과는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토사지(A, 도 6 참조)에 흡수된 물을 전방으로 배수할 수 있어서 옹벽 구조물이 받는 압력을 종래보다 월등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옹벽 구조물을 붕괴 없이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300) 역시, 외관 골조를 이루되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블록 바디(310)와, 블록 바디(310)에 형성되는 배수홈부(3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배수홈부(330)는 블록 바디(310)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되 단면 반원형 구조를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배수홈부(330)에 반원형 보강 파이프(340)가 더 시공된다. 반원형 보강 파이프(340)는 배수홈부(330)에 추가로 접착 시공되는 구조물인데, 이러한 반원형 보강 파이프(340)가 배수홈부(330)에 추가로 접착 시공되면 배수홈부(330)를 보강하는데 유리하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토사지(A, 도 6 참조)에 흡수된 물을 전방으로 배수할 수 있어서 옹벽 구조물이 받는 압력을 종래보다 월등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옹벽 구조물을 붕괴 없이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400)은 전술한 실시예와 많이 다른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400)은 기능성이 강화된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400)은 외관 골조를 이루되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블록 바디(410)와, 플라스틱으로 사출되고 블록 바디(410)의 전면에 부착되어 블록 바디(410)와 한 몸체를 이루는 프론트 블록(440)과, 플라스틱으로 사출되고 블록 바디(410)의 후면에 부착되어 블록 바디(410)와 한 몸체를 이루는 리어 블록(450)을 포함한다.
블록 바디(410), 프론트 블록(440) 및 리어 블록(450)에 공통적으로 복수 개의 배수홈부(430)가 형성된다.
그리고, 프론트 블록(440)에는 홈부(441)가 형성되는데, 이 홈부(441)에 장식 패널(460)이 탈부착되게 결합한다. 이처럼 프론트 블록(440)에 장식 패널(460)이 결합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400)의 장식적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400)이 시공되는 주변 상황에 맞게 장식 패널(460)을 바꿔 끼워가면서 장식적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프론트 블록(440)과 리어 블록(450)의 상면에는 상부로 이웃한 중력식 옹벽블록(400)의 결합을 위한 상부 결합 돌기부(471)가 마련되며, 프론트 블록(440)과 리어 블록(450)의 측면에는 측부로 이웃한 중력식 옹벽블록(400)의 결합을 위한 측부 결합 돌기부(472)가 마련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400)에는 배수홈부(43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적용된다. 나뭇가지나 돌멩이 등에 의해 배수홈부(430)가 막히면 배수 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실시예의 경우, 이러한 기능이 상실되지 않게 배수홈부(43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프론트 블록(440)과 리어 블록(450)에 형성되는 슬롯(481)과, 슬롯(48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걸름망(482)을 포함한다. 걸름망(482)에는 복수 개의 미세 통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걸름망(482)이 배수홈부(430)의 앞단과 뒷단에 배치되면 나뭇가지나 돌멩이 등에 의해 배수홈부(430)가 막혀 배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토사지(A, 도 6 참조)에 흡수된 물을 전방으로 배수할 수 있어서 옹벽 구조물이 받는 압력을 종래보다 월등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옹벽 구조물을 붕괴 없이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제5 및 제6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의 구조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의 이미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옹벽블록(500)은 도 12와 같은 구조로 제작될 수 도 있다. 즉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블록 바디(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블록 바디(510)의 상단부에는 파형 패턴이 형성됨으로써 배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블록 바디(510)의 양측에는 이웃한 옹벽블록(500)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 돌출부(511)와 연결 돌출홈(512)이 형성된다.
물론, 중력식 옹벽블록(600)이 도 13의 형태로 제작되어 시공될 수도 있을 것인데,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중력식 옹벽블록(600)의 블록 바디(610)의 상단부에 배수홈부(6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되는 중력식 옹벽블록(600)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토사지(A, 도 6 참조)에 흡수된 물을 전방으로 배수할 수 있어서 옹벽 구조물이 받는 압력을 종래보다 월등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옹벽 구조물을 붕괴 없이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중력식 옹벽블록 110 : 블록 바디
111 : 접합부 130 : 배수홈부

Claims (5)

  1. 수직 증축 또는 경사 증축이 가능한 것으로서 외관 골조를 이루는 블록 바디; 및
    상기 블록 바디에 형성되되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토사지에 흡수된 물을 전방으로 배수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블록 바디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되 단면 반원형 구조를 이루며, 단면이 상기 블록 바디의 전체 영역에 걸쳐 동일하게 가공되면서 상기 블록 바디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홈부;
    상기 수평으로 형성되는 배수홈부의 보강을 위하여 상기 배수홈부 상부에 추가로 접착 시공되는 반원형 보강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바디가 수직 증축 또는 경사 증축될 때, 상기 배수홈부가 상기 블록 바디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옹벽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57312A 2021-11-16 2021-11-16 중력식 옹벽블록 KR102465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312A KR102465108B1 (ko) 2021-11-16 2021-11-16 중력식 옹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312A KR102465108B1 (ko) 2021-11-16 2021-11-16 중력식 옹벽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108B1 true KR102465108B1 (ko) 2022-11-10

Family

ID=8410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312A KR102465108B1 (ko) 2021-11-16 2021-11-16 중력식 옹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10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007Y1 (ko) * 2004-03-31 2004-06-09 박병옥 식생호안블록
KR20050097291A (ko) * 2004-04-01 2005-10-07 주식회사 삼성산업 옹벽 블록 시공 방법
KR100589661B1 (ko) * 2006-01-11 2006-06-14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도로용 블록식 보강토옹벽 구조
KR20120072030A (ko)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격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8324A (ko) 2013-07-12 2015-01-22 경상남도 신규한 고온적응성 새송이버섯 균주 32×15(kccm11435p)
KR20170006374A (ko) 2015-07-08 2017-01-18 지옥주 분무경베드를 이용한 수경더덕의 대량생산방법
KR20170000482U (ko) 2015-07-27 2017-02-06 최현태 돔 하우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007Y1 (ko) * 2004-03-31 2004-06-09 박병옥 식생호안블록
KR20050097291A (ko) * 2004-04-01 2005-10-07 주식회사 삼성산업 옹벽 블록 시공 방법
KR100589661B1 (ko) * 2006-01-11 2006-06-14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도로용 블록식 보강토옹벽 구조
KR20120072030A (ko)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격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8324A (ko) 2013-07-12 2015-01-22 경상남도 신규한 고온적응성 새송이버섯 균주 32×15(kccm11435p)
KR20170006374A (ko) 2015-07-08 2017-01-18 지옥주 분무경베드를 이용한 수경더덕의 대량생산방법
KR20170000482U (ko) 2015-07-27 2017-02-06 최현태 돔 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396B1 (ko) 셀구조의 격자형 구조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59832B1 (ko) 건축물의 기초공사 시공방법
KR101314556B1 (ko)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0442566B1 (ko) 생태블럭 및 그를 이용한 생태적 식생 호안공 및 식생옹벽공의 시공방법
US20050044781A1 (en) Ecological brick for slope lands
KR102135594B1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102465108B1 (ko) 중력식 옹벽블록
KR20200007335A (ko)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CN103334441B (zh) 一种公路边坡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644795B1 (ko) 조립 패널 옹벽
KR102340292B1 (ko)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1215838B1 (ko)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102437778B1 (ko) 게비온 옹벽블록
KR20060059409A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JP5117683B2 (ja) 堤体の補強構造
KR100440091B1 (ko) 블록식 옹벽의 축조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194534Y1 (ko) 조립식옹벽블럭
KR200394946Y1 (ko) 환경식생 옹벽블록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JP2001107442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この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からコンクリート構築物を構築する工法
KR101070701B1 (ko) 골격구조를 이용한 식생옹벽
KR20040057186A (ko) 옹벽을 구성하는 l형 조립식 강재틀 및 이를 이용한옹벽구조
KR200297588Y1 (ko) 조립식 강재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