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292B1 -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 Google Patents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292B1
KR102340292B1 KR1020210088381A KR20210088381A KR102340292B1 KR 102340292 B1 KR102340292 B1 KR 102340292B1 KR 1020210088381 A KR1020210088381 A KR 1020210088381A KR 20210088381 A KR20210088381 A KR 20210088381A KR 102340292 B1 KR102340292 B1 KR 102340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groove
block body
block
functional vegetation
vegetation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1020210088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은, 일측면에 자연석 패턴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블록 바디; 상기 블록 바디의 상부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1개의 상부 중앙 결합홈부; 상기 블록 바디의 하부 중앙 영역에 형성되되 다른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의 상부 중앙 결합홈부와 선택적으로 형합하는 1개의 하부 중앙 결합홈부; 및 상기 하부 중앙 결합홈부에 이웃하게 상기 블록 바디의 하부 사이드 영역에 마련되되 상기 하부 중앙 결합홈부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하부 사이드 결합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VEGETATION BLOCK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직쌓기 외에도 결합핀을 이용한 들여쌓기 등의 다양한 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는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에 관한 것이다.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에 축조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일탈과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축조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경사진 면에 소정 형태의 석재와 시멘트를 혼합하고, 이들의 양생에 의해 견고한 구조물로 축조되도록 이루어져,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옹벽은, 대형의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에 전술된 방식으로 시공될 경우 축조된 석재 및 석재 사이에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양생된 시멘트의 자중으로 인해 일탈 또는 붕괴의 우려가 있고, 석재 및 시멘트의 양생을 위해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자연석을 석재로 마련하여 축대를 축조하는 것은 한정된 자원의 고갈에 의하여 축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점점 어려워지고, 석재를 마련하기 위해 큰 석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개하여 절단하는 부수적인 과정이 필요하여 가격이 고가이고, 시멘트 양생 등에 의하여 축조기간이 연장되고 인건비가 높아지기 때문에 이용하기에 무척 곤란하다.
또한,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의 토사에 흡수된 수분이 적절하게 배출되지 못하거나, 겨울철과 같이 날씨가 추워질 경우 수분이 얼어 부피가 팽창되면, 옹벽에 균열이 발생하고 심지어는 옹벽이 붕괴하는 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복수의 블록을 조합하여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에 시공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와 같은 구조의 블록을 사용해서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지형에 시공한 예가 있다.
하지만, 도 1 및 도 2와 같은 블록, 혹은 이와 유사한 형태의 블록은 외관이 콘크리트로 되어 있고, 단조로운 형상에 의하여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점이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옹벽용 블록은 성토지 또는 경사지의 안전만을 위하여 제작되어 축조된 것이므로, 초목, 해초 등의 식물들이 자라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주변 환경과 동화되지 못하는 이질적인 경관을 제공하였다.
또한, 옹벽이 하천, 해안 등지에 축조될 경우 동/식물의 성장환경을 억제하여 자연생태계가 위협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하천, 해안 자체의 자생능력이 저하됨은 물론, 주민들의 자연친화적인 환경의 요구에 부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공간을 조성할 수 있도록 옹벽에 식물/해초 등을 심을 수 있는 식생축조블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한 옹벽은 식생축조블록이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에서 그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옹벽의 전체 강도가 상대적으로 취약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314556호와 같은 구조가 제안된 바 있기는 하지만, 이의 구조는 수직쌓기만 가능한 구조여서 결합핀을 이용한 들여쌓기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5-000832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7-000048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7-000637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9-00049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쌓기 외에도 결합핀을 이용한 들여쌓기 등의 다양한 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는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측면에 자연석 패턴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블록 바디; 상기 블록 바디의 상부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1개의 상부 중앙 결합홈부; 상기 블록 바디의 하부 중앙 영역에 형성되되 다른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의 상부 중앙 결합홈부와 선택적으로 형합하는 1개의 하부 중앙 결합홈부; 및 상기 하부 중앙 결합홈부에 이웃하게 상기 블록 바디의 하부 사이드 영역에 마련되되 상기 하부 중앙 결합홈부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하부 사이드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에 의해 달성된다.
이웃한 한 쌍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의 상부 중앙 결합홈부 및 하부 중앙 결합홈부가 소정의 결합핀에 의해 대응 연결됨으로써 수직쌓기가 가능해지고, 이웃한 한 쌍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의 상부 중앙 결합홈부 및 하부 사이드 결합홈부가 상기 결합핀에 의해 대응 연결됨으로써 들여쌓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생축조블록들을 직선 라인으로 또한 곡선 라인으로 수평 연결하기 위해 상기 블록 바디의 일측면이 수직된 수직벽면을 형성하고, 타측면이 경사진 경사벽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블록 바디의 수직벽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 바디의 경사벽면에 다른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의 요철부가 요철 결합하는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 바디의 경사벽면 일측에 배수를 위한 배수용 홈부가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쌓기 외에도 결합핀을 이용한 들여쌓기 등의 다양한 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조립식 옹벽블록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식 옹벽블록이 핀결합공에 의해 엇쌓기 형태로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해서 수직쌓기를 한 옹벽 구조이다.
도 8은 도 3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해서 들여쌓기를 한 옹벽 구조이다.
도 9는 도 3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들을 직선 라인으로 수평 연결한 구조이다.
도 10은 도 3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들을 곡선 라인으로 수평 연결한 구조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의 정면도로서 캡이 분리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도 3의 정면도, 도 6은 도 3의 배면도, 도 7은 도 3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해서 수직쌓기를 한 옹벽 구조, 도 8은 도 3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해서 들여쌓기를 한 옹벽 구조, 도 9는 도 3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들을 직선 라인으로 수평 연결한 구조, 도 10은 도 3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들을 곡선 라인으로 수평 연결한 구조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생축조블록(100)을 사용할 경우, 수직쌓기 외에도 결합핀(120)을 이용한 들여쌓기 등의 다양한 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생축조블록(100)은 블록 바디(110)를 포함하며, 블록 바디(110)의 각 위치에 아래 구조들이 형성되는 형태를 취한다.
블록 바디(110)는 대략 사각 블록(block)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가로, 세로 및 높이는 일정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정 규격은 시방서의 기준을 따른다.
블록 바디(110)의 일측면에는 자연석 패턴부(11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생축조블록(100)을 이용해서 옹벽 구조를 이룬 경우, 자연석 패턴부(111)로 인해 콘트리트가 아닌 마치 자연석 옹벽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미를 제공할 수 있다.
블록 바디(110)의 상부 중앙 영역에는 1개의 상부 중앙 결합홈부(121)가 형성된다. 그리고, 블록 바디(110)의 하부에는 하부 중앙 결합홈부(122)와 하부 사이드 결합홈부(123)가 형성된다.
하부 중앙 결합홈부(122)는 블록 바디(110)의 하부 중앙 영역에 형성되되 다른 기능성 식생축조블록(100)의 상부 중앙 결합홈부(121)와 선택적으로 형합하는 부분이다. 1개 형성된다.
하부 사이드 결합홈부(123)는 하부 중앙 결합홈부(122)에 이웃하게 블록 바디(110)의 하부 사이드 영역에 마련되되 하부 중앙 결합홈부(122)와 동일한 형상을 이룬다. 이 역시, 1개 형성된다.
이에, 이웃한 한 쌍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100)의 상부 중앙 결합홈부(121) 및 하부 중앙 결합홈부(122)가 소정의 결합핀(120)에 의해 대응 연결됨으로써 도 7과 같은 수직쌓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이웃한 한 쌍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100)의 상부 중앙 결합홈부(121) 및 하부 사이드 결합홈부(123)가 결합핀(120)에 의해 대응 연결됨으로써 도 8과 같은 들여쌓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기능성 식생축조블록(100)들을 직선 라인으로 또한 곡선 라인으로 수평 연결하기 위해 블록 바디(110)의 일측면이 수직된 수직벽면(112)을 형성하고, 타측면이 경사진 경사벽면(113)을 이룬다.
따라서, 도 9처럼 기능성 식생축조블록(100)들을 직선 라인으로 수평 연결할 수도 있고, 도 10처럼 기능성 식생축조블록(100)들을 곡선 라인으로 수평 연결할 수도 있다.
수평 연결을 위하여, 블록 바디(110)의 수직벽면(112)에 요철부(131)가 형성되고, 블록 바디(110)의 경사벽면(113)에 다른 기능성 식생축조블록(100)의 요철부(131)가 요철 결합하는 요홈부(132)가 형성된다. 도 9처럼 기능성 식생축조블록(100)들을 직선 라인으로 수평 연결할 때는 요철부(131)가 요홈부(132)에 완전히 끼워 맞춤되지는 않지만 수평 연결을 이루는 데에는 이상이 없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블록 바디(110)의 경사벽면(113) 일측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용 홈부(115)가 함몰되게 형성된다. 배수용 홈부(115)로 인해 옹벽 구조의 배수가 원활해질 수 있어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쌓기 외에도 결합핀(120)을 이용한 들여쌓기 등의 다양한 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의 단면 구조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생축조블록(200)은 콘크리트로 된 블록 바디(210)와, 블록 바디(21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전면 장식판부(250)를 포함한다.
전면 장식판부(250)가 블록 바디(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블록 바디(210)에는 착탈 결합홈(211)이 형성되고, 전면 장식판부(250)에는 착탈 결합돌기(251)가 형성된다. 또한, 전면 장식판부(250)의 전면에는 자연석 패턴부(252)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전면 장식판부(250)는 블록 바디(210)와 달리 플라스틱이나 대리석 등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블록 바디(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옹벽 구조가 완성된 이후에도 전면 장식판부(250)를 선택 적용할 수 있어서 자연석 패턴부(252)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좀 더 자연 친화적인 옹벽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수직쌓기 외에도 결합핀(120)을 이용한 들여쌓기 등의 다양한 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의 정면도로서 캡이 분리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생축조블록(100) 역시, 블록 바디(110)를 포함하며, 블록 바디(110)의 각 위치에 아래 구조들이 형성되는 형태를 취한다. 즉 블록 바디(110)의 상부 중앙 영역에는 1개의 상부 중앙 결합홈부(121)가 형성된다. 그리고, 블록 바디(110)의 하부에는 하부 중앙 결합홈부(122)와 하부 사이드 결합홈부(123)가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 사이드 결합홈부(123)에 캡(340)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캡(340)은 고무 재질일 수 있는데, 사용하지 않는 하부 사이드 결합홈부(123)에 캡(340)을 결합시켜 둠으로써 하부 사이드 결합홈부(123)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부 구조물과의 밀착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수직쌓기 외에도 결합핀(120)을 이용한 들여쌓기 등의 다양한 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110 : 블록 바디
111 : 자연석 패턴부 112 : 수직벽면
113 : 경사벽면 115 : 배수용 홈부
120 : 결합핀 121 : 상부 중앙 결합홈부
122 : 하부 중앙 결합홈부 123 : 하부 사이드 결합홈부
131 : 요철부 132 : 요홈부

Claims (6)

  1. 일측면에 자연석 패턴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블록 바디;
    상기 블록 바디의 상부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1개의 상부 중앙 결합홈부;
    상기 블록 바디의 하부 중앙 영역에 형성되되 다른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의 상부 중앙 결합홈부와 선택적으로 형합하는 1개의 하부 중앙 결합홈부; 및
    상기 하부 중앙 결합홈부에 이웃하게 상기 블록 바디의 하부 사이드 영역에 마련되되 상기 하부 중앙 결합홈부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하부 사이드 결합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식생축조블록들을 직선 라인으로 또는 곡선 라인으로 수평 연결하기 위해 상기 블록 바디의 일측면이 수직된 수직벽면을 형성하고, 타측면이 경사진 경사벽면을 이루며,
    상기 블록 바디의 경사벽면 일측에 배수를 위한 배수용 홈부가 함몰되게 형성되고,
    이웃한 한 쌍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의 상부 중앙 결합홈부 및 하부 중앙 결합홈부가 소정의 결합핀에 의해 대응 연결됨으로써 수직쌓기가 가능해지고,
    이웃한 한 쌍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의 상부 중앙 결합홈부 및 하부 사이드 결합홈부가 상기 결합핀에 의해 대응 연결됨으로써 들여쌓기가 가능해지며,
    상기 블록 바디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 장식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바디에는 착탈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장식판부에는 착탈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전면 장식판부의 전면에는 자연석 패턴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블록 바디의 수직벽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 바디의 경사벽면에 다른 기능성 식생축조블록의 요철부가 요철 결합하는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사이드 결합홈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를 이용한 옹벽.
KR1020210088381A 2021-07-06 2021-07-06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2340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381A KR102340292B1 (ko) 2021-07-06 2021-07-06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381A KR102340292B1 (ko) 2021-07-06 2021-07-06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292B1 true KR102340292B1 (ko) 2021-12-16

Family

ID=7903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381A KR102340292B1 (ko) 2021-07-06 2021-07-06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648B1 (ko) * 2022-05-27 2022-11-09 강태근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360A (ja) * 1993-08-17 1995-02-28 Chiba Tokushu Concrete Kogyo Kk 壁面構成用ブロック及び壁面構築方法
KR200361109Y1 (ko) * 2004-06-04 2004-09-07 서재화 옹벽블럭
KR200445408Y1 (ko) * 2008-07-21 2009-07-28 (주) 녹지원 보강토 옹벽의 토사유출 차단장치
KR101088477B1 (ko) * 2011-05-04 2011-11-30 그린이엔지 주식회사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공법
KR20160001367A (ko) * 2014-06-27 2016-01-06 김철환 전면판이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보강토옹벽용 블록
KR20170000482U (ko) 2015-07-27 2017-02-06 최현태 돔 하우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360A (ja) * 1993-08-17 1995-02-28 Chiba Tokushu Concrete Kogyo Kk 壁面構成用ブロック及び壁面構築方法
KR200361109Y1 (ko) * 2004-06-04 2004-09-07 서재화 옹벽블럭
KR200445408Y1 (ko) * 2008-07-21 2009-07-28 (주) 녹지원 보강토 옹벽의 토사유출 차단장치
KR101088477B1 (ko) * 2011-05-04 2011-11-30 그린이엔지 주식회사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공법
KR20160001367A (ko) * 2014-06-27 2016-01-06 김철환 전면판이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보강토옹벽용 블록
KR20170000482U (ko) 2015-07-27 2017-02-06 최현태 돔 하우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648B1 (ko) * 2022-05-27 2022-11-09 강태근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44781A1 (en) Ecological brick for slope lands
KR102340292B1 (ko)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1215838B1 (ko)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20050118110A (ko) 절개지 또는 제방의 경사면에 상협하광 형태의 경사면 통공구가 구성되도록 식생블록을 제작 설치하는 토목공법
KR200185613Y1 (ko) 호안용 블록
KR200394946Y1 (ko) 환경식생 옹벽블록
KR20070033302A (ko) 식생형 호안구조
JP2684974B2 (ja) 舗装材の製造方法
KR102465108B1 (ko) 중력식 옹벽블록
KR100477033B1 (ko) 생태 안정화 블록
KR100744990B1 (ko)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
KR200413509Y1 (ko) 수로용 식생 블록
KR20070053922A (ko)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324509Y1 (ko) 환경친화적 식생호안블럭
KR102505314B1 (ko) 가변형 옹벽 구조물
KR20060119854A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520425B1 (ko) 호안블록
KR200263856Y1 (ko) 호안블록
KR102437778B1 (ko) 게비온 옹벽블록
CN207904870U (zh) 一种组合式方形连锁式护坡砌块
CN210658232U (zh) 一种水利工程护坡结构
KR200203385Y1 (ko) 식생대
CN218667383U (zh) 一种河流堤岸水生态块护坡
KR200242401Y1 (ko) 기초석
CN207073111U (zh) 一种水利工程生态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