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648B1 -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648B1
KR102465648B1 KR1020220065177A KR20220065177A KR102465648B1 KR 102465648 B1 KR102465648 B1 KR 102465648B1 KR 1020220065177 A KR1020220065177 A KR 1020220065177A KR 20220065177 A KR20220065177 A KR 20220065177A KR 102465648 B1 KR102465648 B1 KR 102465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groove
engag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근
Original Assignee
강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근 filed Critical 강태근
Priority to KR102022006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25Adhesives, i.e. gl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하고 계단형으로 시공할 수 있는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록의 상하면에 적어도 두줄 이상의 조립홈을 형성하여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의 조립홈들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블록이 전후 방향으로 계단형으로 시공할 수 있는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block for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s thereby}
본 발명은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시공이 용이하고 계단형으로 시공할 수 있는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블록의 상하면에 적어도 두줄 이상의 조립홈을 형성하여 항하로 적층되는 블록의 조립홈들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블록이 전후 방향으로 계단형으로 시공할 수 있는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은 시멘트, 모래, 자갈을 물로 이겨 반죽한 것을 가압 성형하여 양생한 것으로 건축물의 벽, 구조물의 보강, 절개지의 보강 등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옹벽블록은 절개지나 경사지 등에 설치되어 도사가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 고하중으로 만들어지며, 시공을 용이하게 하거나 식물의 식생가능하게 하는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것이 개발되고 있고, 그 예로 특허문헌 1내지 4가 있다.
특허문헌 1은 옹벽 축조 시 외부로 노출되는 벽면부; 벽면부의 안쪽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연장되는 몸체부; 벽면부와 몸체부 사이에서 몸체부 상에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충진공; 및 몸체부의 상하면 어느 한 쪽에서 돌출되어, 충진공의 양측에 좌우 대칭으로 쌍을 이루면서, 축조 시상하 어느 한 쪽에 인접하는 다른 옹벽블록의 충진공 안으로 삽입되는 맞춤돌기로 이루어지되, 충진공과 인접한 다른 옹벽블록의 맞춤돌기 또는 맞춤돌기와 인접한 다른 옹벽블록의 충진공간의 상호 걸림에 의해 다른 옹벽블록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정해진 범위 내에 구속하도록 되어 있으며, 벽면부는 표면을 평탄화하도록 도포되어,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투명 도료층을 더 포함하되, 투명 도료층에 도포되는 투명 도료는 솔벤트 40 ~ 55중량%,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올리고머(Acrylate urethane oligomer) 24 ~ 39중량%, 다기능 아크릴레이트(Multifuntional Acrylate) 5 ~ 11중량%,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으로 이루어지는 광개시제 2.5 ~ 4.5중량%, 산화나 빛에 의해 발생되는 라디칼을 제거하는 광안정제 3 ~ 7중량%와, 투명 도료의 슬립성을 강화시키는 슬립성 기능 첨가제 0.5 ~ 2.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광안정제는 2-[4-[-1,3,5-트리아진과 2-[4-[옥시]-2-하이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옹벽블록이고,
특허문헌 2는 복수의 자연석 문양이 형성된 전방면과, 식생용 홈이 형성된 후방면과, 한 쌍의 측면과, 상면 및 저면을 포함하는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한 옹벽에 있어서, 식생축조블록의 상면 및 저면 각각에는 배수홈이 형성되며, 상면의 배수홈에는 앵커가 매립되어 고정되고, 앵커는 상면의 배수홈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식생축조블록은 제1식생축조블록과, 제2식생축조블록과, 제3식생축조블록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제1식생축조블록에는 복수의 자연석 문양이 형성되고, 우측면에는 조립홈이 형성되며, 제2식생축조블록에는 조립돌기와 조립홈이 형성되고, 제3식생축조블록에는 조립돌기와 복수의 자연석 문양이 형성된 것이며, 제1식생축조블록의 조립홈에 제2식생축조블록의 조립돌기가 끼움 결합되고, 끼움결합되고 남는 여유공간부를 형성하여 식생용 홈에서 흘러내리는 배수구로 활용되고, 제2식생축조블록의 조립홈에 제3식생축조블록의 조립돌기가 수평방향으로 끼움 결합함과 더불어 수직 직립방향으로 적층하여 시공하고, 식생축조블록들의 후방에는 후방 기초부가 시공되고, 복수의 식생축조블록의 상단과 후방 기초부의 상단에는 상단 콘크리트층이 시공되며, 후방 기초부에는 각 식생축조블록들의 앵커에 대응하는 높이에 복수의 지지앵커가 설치되고, 식생축조블록의 앵커와 후방 기초부의 지지앵커 사이에는 지지끈이 수평방향으로 긴장되게 연결됨으로써 각 식생축조블록은 후방 기초부에 지지되는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한 옹벽이고,
특허문헌 3은 상,하층을 이루도록 축조되며 결속핀을 매개로 결속되는 옹벽블록에 있어서, 결속핀에 구성된 본체의 상편 또는 하편이 맞물리도록 옹벽블록의 윗면과 저면 모두에는 맞물림홈이 형성되고, 윗면 또는 저면에 형성된 맞물림홈에는 상편 또는 하편으로부터 돌출된 후퇴기준 포스트가 삽입되는 포스트 삽입홈이 형성되며, 다른 한 면에 형성된 맞물림홈에는 후퇴기준 포스트와 대향하게 다른 한 편으로부터 돌출된 앵커가 삽입되는 앵커 삽입홈이 형성되고, 옹벽블록의 윗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된 맞물림홈은 결속핀의 본체가 위치에 상관없이 맞물릴 수 있는 일정 폭의 레일 형상이고, 포스트 삽입홈과 앵커 삽입홈은 위치에 구애 없이 삽입되도록 맞물림홈을 따라 일정한 길이의 레일 형상인 후퇴거리 조정이 가능한 옹벽블록이며,
특허문헌 4는 복수 개가 적층되어 토체를 지지하는 옹벽을 형성하는 옹벽블록에 있어서, 상측의 옹벽블록과의 적층을 위한 제1 맞춤부(fit portion)가 형성된 상면과, 하측의 옹벽블록의 제1 맞춤부와; 의 적층을 위한 제2 맞춤부가 형성된 하면을 포함하는 블록몸체; 및 블록몸체에 추가의 설비의 설치 또는 블록몸체의 이송을 위해 상면에 설치된 다용도 지지부를 포함하고, 다용도 지지부는, 블록몸체의 상면에 고정되며, 추가의 설비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지지판의 상면에는 이송장치의 리프팅 고리 또는 안전로프의 안전고리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고리가 형성되며, 블록몸체에는, 블록몸체의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토체에 매설된 유공배수관의 분기관이 수용될 수 있는 배수홈이 형성되되, 옹벽블록 적층시 하측에 배치된 옹벽블록의 지지고리가 상측에 배치된 옹벽블록의 배수홈을 통해 외부로 노
출되는 옹벽블록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갖는 옹벽블록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들은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540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45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552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422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시공이 용이하고 계단형으로 시공할 수 있는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블록의 상하면에 적어도 두줄 이상의 조립홈을 형성하여 항하로 적층되는 블록의 조립홈들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블록이 전후 방향으로 계단형으로 시공할 수 있는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시공이 가능한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은 경사지나 절개지에 설치되어 토사가 밀려 나오지 않게 지지하는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에 있어서, 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좌우 방향의 일측 단부에는 수평연결돌기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수평연결돌기에 결합되는 수평연결홈이 형성되며, 상하면 각각에는 적어도 2개의 적층결합홈이 형성된 옹벽블록; 상기 옹벽블록에 형성된 적층결합홈에 삽입되어 상하로 적층된 옹벽블록이 전후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층결합홈은 옹벽블록의 단부로부터 안쪽을 향하며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하방향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양단부를 향하며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층결합홈은 두 옹벽블록을 상하로 적층하여 상하면에 형성된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겹쳐졌을 때, 상부에 적층된 옹벽블록의 전단부가 하부에 적층된 옹벽블록의 중앙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벗어나지 않고, 상부면에 형성된 것 중 전방에 형성된 것은 상부에 적층된 옹벽블록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옹벽블록의 중앙에는 견인고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 조립체 시공 방법은 다수의 옹벽블록들을 수평방향으로 배열하여 수평결합돌기가 수평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게 하여 어느 한층을 구성하고, 옹벽블록 층의 상부에 다른 옹벽블록을 적층하되, 하부 옹벽블록의 상면 또는 상부 옹벽블록의 저면의 적층결합홈에 결합부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결합부재가 다른 옹벽블록에 형성된 적층결합홈에 대향되게 정렬한 상태로 상부 옹벽블록을 적층한 후, 상부 옹벽블록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적층결합홈을 따라 결합부재를 이동시켜 상부에 적층된 옹벽블록이 원하는 위치에 놓이게 정렬시키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재는 시멘트 접착제로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시공이 가능한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함에 따라 시공이 용이하고, 계단형으로 시공할 수 있어 보다 미려한 옹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블록의 상하면에 적어도 두줄 이상의 조립홈을 형성하여 항하로 적층되는 블록의 조립홈들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블록이 전후 방향으로 계단형으로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시공이 가능한 옹벽블록 조립체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시공이 가능한 옹벽블록 조립체의 일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시공이 가능한 옹벽블록 조립체를 구성하는 연결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시공이 가능한 옹벽블록 조립체의 시공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시공이 가능한 옹벽블록 조립체의 시공 상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시공이 가능한 옹벽블록 조립체를 설치하는 과정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시공이 용이하고 계단형으로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시공이 가능한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은 경사지나 절개지에 설치되어 토사가 밀려 나오지 않게 지지하는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좌우 방향의 일측 단부에는 수평연결돌기(1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수평연결돌기에 결합되는 수평연결홈(12)이 형성되며, 상하면 각각에는 적어도 2개의 적층결합홈(13)이 형성된 옹벽블록(10); 상기 옹벽블록에 형성된 적층결합홈에 삽입되어 상하로 적층된 옹벽블록이 전후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옹벽블록(10)는 시멘트모르타르로 만들어진 것으로, 거푸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옹벽블록(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가 종횡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옹벽을 구성하고, 이웃하는 것과 결합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에는 수평결합돌기(1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평결합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로 적층할 때 상부 옹벽블록과 하부 옹벽블록 사이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20)를 사용하고 있으며, 연결부재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옹벽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적층결합홈(13)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층결합홈(13)은 옹벽블록의 단부로부터 안쪽을 향하며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20)는 상하방향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양단부를 향하며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부재를 적층결합홈에 끼워 넣을 때 쉽게 끼워 넣을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적층결합홈(13)은 두 옹벽블록을 상하로 적층하여 상하면에 형성된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겹쳐졌을 때, 상부에 적층된 옹벽블록의 전단부가 하부에 적층된 옹벽블록의 중앙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벗어나지 않고, 상부면에 형성된 것 중 전방에 형성된 것은 상부에 적층된 옹벽블록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형으로 적층하였을 때 적층결합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부 옹벽블록의 전단부가 하부 옹벽블록의 전후 방향의 중간 보다 앞에 위치되게 함에 의해 하부 옹벽블록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옹벽블록이 뒤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물론 상부 옹벽블록의 전면이 하부 옹벽블록의 전면보다 돌출된 형태로 시공할 때는 상부 옹벽블록의 후단이 하부 옹벽블록의 중간보다 더 깊게 설치되어 상부 옹벽블록이 전면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옹벽블록은 고하중으로 장비를 이용하여 견인하여야 하고, 이때 견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옹벽블록의 중앙에는 견인고리(30)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견인고리는 상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주위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층결함홈(13, 14)에는 걸림홈(13g, 14g)과 삽입홈(13t, 14t)이 더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턱(20d)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삽입홈(13t, 14t)을 통해 결합부재의 걸림턱이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부재를 걸림홈 측으로 이동시키면 상입홈을 통과한 걸림턱(20d)이 걸림홈에 걸려 결합부재가 옹벽블록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20)의 하부걸림턱(20u)을 하부 옹벽블록의 상면 삽입홈(13t)을 통과시킨 후(도 6(a)참조) 일측으로 밀어 걸림홈(13g)에 걸리게 한 상태에서(도 6(b)참조) 상부 옹벽블록 저면의 삽입홈(14t)에 결합부재의 상부걸림턱(20t)을 정렬시킨 상태에서(도 6(c)참조) 옹벽블록을 하향하여 적층한 후, 상부 옹벽블록을 걸림홈(14g)측으로 이동시키면 고정부재의 상부걸림턱(20t)이 상부 옹벽블록의 걸림홈(14g)으로 이동하여 걸리고(도 6(d)참조), 이 상태에서 상하부 옹벽블록들은 서로 원하는 위치로 정렬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걸림턱의 단부를 모따기 하여 경사면(20s)을 형성함에 의해 걸림턱들이 쉽게 상입홈과 걸림홈으로 끼워져 이동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옹벽블록 조립체를 시공하는 방법은 다수의 옹벽블록들을 수평방향으로 배열하여 수평결합돌기가 수평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게 하여 어느 한층을 구성하고, 옹벽블록 층의 상부에 다른 옹벽블록을 적층하되, 하부 옹벽블록의 상면 또는 상부 옹벽블록의 저면의 적층결합홈에 결합부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결합부재가 다른 옹벽블록에 형성된 적층결합홈에 대향되게 정렬한 상태로 상부 옹벽블록을 적층한 후, 상부 옹벽블록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적층결합홈을 따라 결합부재를 이동시켜 상부에 적층된 옹벽블록이 원하는 위치에 놓이게 정렬시키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시공할 때, 상기 결합부재가 옹벽블록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해 시멘트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가 옹벽블록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걸림험을 형성하여 결합부재의 걸림턱이 걸림홈에 끼워져 걸리게 하는 것이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시공방법은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0: 옹벽블록
11: 수평연결돌기 12: 수평연결홈
13, 14: 적층결합홈
13g, 14g: 걸림홈 13t, 14t: 삽입홈
15: 불규칙물결무늬
20: 결합부재
20t, 20u: 걸림턱 20s: 경사면
30: 견인고리

Claims (6)

  1. 경사지나 절개지에 설치되어 토사가 밀려 나오지 않게 지지하는 옹벽블록 조립체로,
    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좌우 방향의 일측 단부에는 수평연결돌기(1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수평연결돌기에 결합되는 수평연결홈(12)이 형성되며, 상하면 각각에는 적어도 2개의 적층결합홈(13, 14)이 형성된 옹벽블록(10); 상기 옹벽블록에 형성된 적층결합홈에 삽입되어 상하로 적층된 옹벽블록이 전후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재(20); 및 상기 옹벽블록의 중앙에 설치된 견인고리(30)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결합홈(13, 14)은 옹벽블록의 단부로부터 안쪽을 향하며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20)는 상하방향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양단부를 향하며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으며,
    상기 적층결합홈(13, 14)은 두 옹벽블록을 상하로 적층하여 상하면에 형성된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겹쳐졌을 때, 상부에 적층된 옹벽블록의 전단부가 하부에 적층된 옹벽블록의 중앙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벗어나지 않고, 상부면에 형성된 것 중 전방에 형성된 것은 상부에 적층된 옹벽블록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계단형 시공이 가능한 옹벽블록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적층결함홈(13, 14)에는 걸림홈(13g, 14g)과 삽입홈(13t, 14t)이 더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턱(20d)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3t, 14t)을 통해 결합부재의 걸림턱이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부재를 걸림홈 측으로 이동시키면 삽입홈을 통과한 걸림턱(20d)이 걸림홈에 걸려 결합부재가 옹벽블록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시공이 가능한 옹벽블록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옹벽블록 조립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옹벽블록들을 수평방향으로 배열하여 수평결합돌기가 수평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게 하여 어느 한층을 구성하고, 옹벽블록 층의 상부에 다른 옹벽블록을 적층하되, 하부 옹벽블록의 상면 또는 상부 옹벽블록의 저면의 적층결합홈에 결합부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결합부재가 다른 옹벽블록에 형성된 적층결합홈에 대향되게 정렬한 상태로 상부 옹벽블록을 적층한 후, 상부 옹벽블록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적층결합홈을 따라 결합부재를 이동시켜 상부에 적층된 옹벽블록이 원하는 위치에 놓이게 정렬시키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되,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된 걸림턱(20d)이 상기 삽입홈(13t, 14t)을 통해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부재를 걸림홈 측으로 이동시켜 삽입홈을 통과한 걸림턱(20d)이 걸림홈에 걸려 결합부재가 옹벽블록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시공이 가능한 옹벽블록 조립체 시공방법.
  6. 삭제
KR1020220065177A 2022-05-27 2022-05-27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465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177A KR102465648B1 (ko) 2022-05-27 2022-05-27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177A KR102465648B1 (ko) 2022-05-27 2022-05-27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648B1 true KR102465648B1 (ko) 2022-11-09

Family

ID=8404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177A KR102465648B1 (ko) 2022-05-27 2022-05-27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648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0026A (ja) * 1997-12-26 1999-07-13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構造物
US6178715B1 (en) * 1996-12-24 2001-01-30 Designscape Enterprises Ltd. Mortarless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improved lateral and longitudinal reinforcement for a vertical, set forward and/or set back retaining wall in whole or in part constructed by utilizing standardized blocks
KR200445408Y1 (ko) * 2008-07-21 2009-07-28 (주) 녹지원 보강토 옹벽의 토사유출 차단장치
KR101145403B1 (ko) 2011-03-11 2012-05-15 코단콘크리트 주식회사 옹벽블록
KR101314556B1 (ko) 2013-04-12 2013-10-07 최은경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1845521B1 (ko) 2015-05-29 2018-04-05 나라앤텍 주식회사 후퇴거리 조정이 가능한 옹벽블록과 옹벽구조물
KR20180081985A (ko) * 2017-01-09 2018-07-18 권미해 옹벽블록
KR102072454B1 (ko) * 2019-05-23 2020-02-03 최인수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102139448B1 (ko) * 2020-05-19 2020-07-29 김형중 블록식 옹벽 구조물
KR20210117009A (ko) * 2020-03-18 2021-09-28 유흥식 울타리용 콘크리트 블록
KR102340292B1 (ko) * 2021-07-06 2021-12-16 김명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2342234B1 (ko) 2020-03-20 2021-12-21 신진희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8715B1 (en) * 1996-12-24 2001-01-30 Designscape Enterprises Ltd. Mortarless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improved lateral and longitudinal reinforcement for a vertical, set forward and/or set back retaining wall in whole or in part constructed by utilizing standardized blocks
JPH11190026A (ja) * 1997-12-26 1999-07-13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構造物
KR200445408Y1 (ko) * 2008-07-21 2009-07-28 (주) 녹지원 보강토 옹벽의 토사유출 차단장치
KR101145403B1 (ko) 2011-03-11 2012-05-15 코단콘크리트 주식회사 옹벽블록
KR101314556B1 (ko) 2013-04-12 2013-10-07 최은경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1845521B1 (ko) 2015-05-29 2018-04-05 나라앤텍 주식회사 후퇴거리 조정이 가능한 옹벽블록과 옹벽구조물
KR20180081985A (ko) * 2017-01-09 2018-07-18 권미해 옹벽블록
KR102072454B1 (ko) * 2019-05-23 2020-02-03 최인수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20210117009A (ko) * 2020-03-18 2021-09-28 유흥식 울타리용 콘크리트 블록
KR102342234B1 (ko) 2020-03-20 2021-12-21 신진희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2139448B1 (ko) * 2020-05-19 2020-07-29 김형중 블록식 옹벽 구조물
KR102340292B1 (ko) * 2021-07-06 2021-12-16 김명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368B1 (ko) 무장애 데크 지지판, 이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JP5234360B2 (ja) 既設ブロック塀の防護装置
KR101713284B1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pc 벽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EP1611302B1 (en) Modular pool constructive design
KR101419863B1 (ko) 사면보강용 현장타설 계단식옹벽 대체시공법이 적용되는 거푸집이 필요없는 pc 판넬
US20040237445A1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lock wall
KR102465648B1 (ko)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JP4947779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敷設方法
KR101050718B1 (ko) 아치 구조물
US20160362890A1 (en) Precast concrete wall member and method of erecting the same
KR101289155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
KR101084615B1 (ko) 피씨벽판을 이용한 선반식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20080115452A1 (en) Cladding panel
KR101571069B1 (ko) 고정부블록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교각 시공방법
KR101803177B1 (ko)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KR101325580B1 (ko)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도입한 홍예교의 시공법
JP2005213735A (ja) 法面における階段ブロックの施工方法および法面における一体式階段ブロック
JP6196088B2 (ja) 一体式基礎型枠および基礎型枠連結構造
KR102132470B1 (ko) 탑다운이 가능한 패널식 옹벽 시공방법
KR101238016B1 (ko) 옹벽블록을 쌓아 구축되는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90001058U (ko) 석재 판넬
KR100812656B1 (ko) 물하중 재하용 제방구조
US20050183373A1 (en) Landscaping block and system for use
KR102169385B1 (ko) 조립식 보도 낮춤턱 설치방법 및 조립식 보도 낮춤턱
AU2017251724A1 (en) Track suppo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