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454B1 - 조립형 옹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형 옹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454B1
KR102072454B1 KR1020190060723A KR20190060723A KR102072454B1 KR 102072454 B1 KR102072454 B1 KR 102072454B1 KR 1020190060723 A KR1020190060723 A KR 1020190060723A KR 20190060723 A KR20190060723 A KR 20190060723A KR 102072454 B1 KR102072454 B1 KR 102072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groove
wall block
bloc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수
Original Assignee
최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수 filed Critical 최인수
Priority to KR1020190060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조립형 옹벽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조립형 옹벽 구조물은, 전방면과 후방면을 갖고 상하면에는 각각 상측 및 하측 배수홈이 마련되고 일측면에는 조립돌기가 마련되고 타측면에는 조립홈이 마련되어 상기 조립돌기와 조립홈을 통해 측방향으로 인접한 서로 간에 결합 가능한 옹벽블록; 및 상기 옹벽블록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옹벽블록의 하측 배수홈과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옹벽블록의 상측 배수홈에 각각 삽입 가능한 지지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상측 배수홈은 상기 옹벽블록의 전방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하측 배수홈은 상기 옹벽블록의 후방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지지블록은 제1 및 제2 옹벽블록의 상하 적층을 통해 상기 제1 옹벽블록의 하측 배수홈과 상기 제2 옹벽블록의 상측 배수홈이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 배수홈과 상측 배수홈의 연통 영역과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측 배수홈, 하측 배수홈의 경사진 형상과 이에 대응하는 지지블록의 경사진 사변형(평행 사변형) 단면 구조를 통해 산사태나 기타 환경/인간적 요인에 의해 옹벽블록의 후방면을 향해 외력이 작용할 경우 작용 하중에 의해 옹벽블록이 전방으로 이탈하여 낙하하는 것을 월등히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형 옹벽 구조물{Assembled retaining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상하 적층된 옹벽블록간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외력이 옹벽블록의 측방향으로 가해지는 상황, 상하 방향 진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상황 발생시, 상하 적층된 옹벽블록 간 이탈 발생을 최대한 방지하여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형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땅을 깍거나 흙을 쌓아 생기는 비탈 지형이 흙의 압력 또는 흙의 유실 현상으로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든 벽을 말한다. 예를 들어,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의 지형에 축조되어 해당 지형이 흙의 압력 또는 흙의 유실 현상으로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옹벽은 과거에는 소정 형태의 석재 및 시멘트를 통해 축조되었으나, 이러한 옹벽 축조 방식의 경우, 축조되는 석재들이 시멘트의 결합력을 통해서만 고정됨에 따라 시멘트를 비교적 두껍게 타설해야 했고, 이는 시멘트의 양생에 필요한 시간을 길게 하여 해당 옹벽의 공사기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현상을 초래하였다. 또한, 옹벽은 성토지, 절개지 등의 지형에 흡수된 물, 수분이 적절히 배출되지 못하거나, 얼어 부피 팽창이 이루어질 경우 균열이 생기고 심한 경우 붕괴의 위험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복수의 블록을 조합하여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의 비탈 지형에 옹벽을 축조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적용되고 있는 옹벽은 상하 적층된 옹벽 블록간 결합력이 취약하여 예를 들면 옹벽 후방면에서 전방을 향해 외력이 작용하거나 지중에서 상하 방향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외력에 의해 옹벽블록이 이동하거나 심하게는 상하 적층된 옹벽블록 간 이탈이 발생하여 옹벽이 붕괴할 수 있는 심각한 불안 요소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외력이 옹벽블록의 측방향으로 가해지고, 상하 방향 진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하 적층된 옹벽블록 간 이탈 발생을 최대한 방지하여 결국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는 바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5154호(2015.08.20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하 적층된 옹벽블록간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외력이 옹벽블록의 측방향으로 가해지는 상황, 상하 방향 진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상황 발생시, 상하 적층된 옹벽블록 간 이탈 발생을 최대한 방지하여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형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방면과 후방면을 갖고 상하면에는 각각 상측 및 하측 배수홈이 마련되고 일측면에는 조립돌기가 마련되고 타측면에는 조립홈이 마련되어 상기 조립돌기와 조립홈을 통해 측방향으로 인접한 서로 간에 결합 가능한 옹벽블록; 및 상기 옹벽블록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옹벽블록의 하측 배수홈과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옹벽블록의 상측 배수홈에 각각 삽입 가능한 지지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상측 배수홈은 상기 옹벽블록의 전방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하측 배수홈은 상기 옹벽블록의 후방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지지블록은 제1 및 제2 옹벽블록의 상하 적층을 통해 상기 제1 옹벽블록의 하측 배수홈과 상기 제2 옹벽블록의 상측 배수홈이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 배수홈과 상측 배수홈의 연통 영역과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조립형 옹벽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상측 배수홈과 하측 배수홈이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연통 영역의 단면은 일측으로 기울어진 사변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측 배수홈은 상기 옹벽블록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측 오목홈과, 상기 상측 오목홈의 하부에 옹벽블록의 전방 및 후방면을 향해 각각 절곡되게 연통 형성되는 상측 절곡홈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 배수홈은 상기 옹벽블록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측 오목홈과, 상기 하측 오목홈의 상부에 옹벽블록의 전방 및 후방면을 향해 각각 절곡되게 연통 형성되는 하측 절곡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은, 지지블록 본체와 상기 지지블록 본체의 외면을 감싸며 일정 이상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및 하측 배수홈은 각각 상기 옹벽블록의 좌우 측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옹벽블록의 상측 배수홈에 상기 지지블록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옹벽블록은 상기 제2 옹벽블록에 대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및 하측 배수홈은, 상기 옹벽블록의 좌우 측면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우측 배수홈과 상기 좌우측 배수홈 사이를 연결하되 좌우측 배수홈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중앙 배수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배수홈에는 앵커가 마련되고, 상기 옹벽블록의 후방에는 지지 앵커가 마련되도록 후방 기초부가 시공되되, 상기 옹벽블록의 상부에는 지지와이어가 상기 앵커와 지지 앵커 사이를 경사진 상태로 연결 가능하도록 경사면을 갖는 와이어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조립형 옹벽 구조물에 의하면, 상측 배수홈, 하측 배수홈의 경사진 형상과 이에 대응하는 지지블록의 경사진 사변형(평행 사변형) 단면 구조를 통해, 산사태나 기타 환경/인간적 요인에 의해 옹벽블록의 후방면을 향해 외력이 작용할 경우, 작용 하중에 의해 옹벽블록이 전방으로 이탈하여 낙하하는 것을 월등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커버부를 추가적으로 마련하여 옹벽블록 후방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지지블록 본체에 작용하는 전단응력을 일정 부분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탄성커버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지지블록 본체로 전단응력이 작용하는 정도를 최대한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크랙이나 파단이 발생하는 것을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하측 배수홈을 각각 서로 폭이 다른 좌우측 배수홈과 중앙 배수홈으로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지지블록을 손쉽게 동일한 위치에 삽입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노동력을 절감하고 피로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측 배수홈과 하측 배수홈에 각각 상하측 절곡홈을 추가적으로 마련하고 지지블록 또한 동일하게 대응하는 형상으로 적용함으로써,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지지블록과 옹벽블록 간 걸림 관계를 통해 상하 이탈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홈에 경사면을 마련하고 앵커와 지지 앵커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와이어가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로 옹벽블록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옹벽블록의 후방면에 경사진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한층 안정적으로 옹벽블록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이 복수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이 복수로 결합되어 옹벽을 구축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의 옹벽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의 지지블록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옹벽블록의 후방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지지블록이 파단될 수 있는 상황을 예를 들어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의 옹벽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이 복수로 결합되어 옹벽을 구축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에 옹벽블록을 직립형으로 적층하여 견고한 결합력을 갖는 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산사태나 기타 안전사고 발생에 따른 외력이 옹벽에 작용하는 경우 옹벽이 인도, 차도 등과 같이 이면 방향으로 무너지거나 붕괴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적층된 옹벽블록간 이탈을 방지하기위해 상호간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합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지진 발생에 따른 옹벽의 상하/좌우 진동 발생시 상하 적층된 옹벽블록간 이탈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은 옹벽블록(100), 지지블록(110)을 포함한다.
먼저, 도 1,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블록(10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방면(101)과 후방면(102)을 갖고 상하면에는 각각 상측 및 하측 배수홈(103,104)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측 및 하측 배수홈(103,104)은 각각 옹벽블록(100)의 좌우 측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옹벽블록(100)의 일측면에는 조립돌기(105)가 마련되고 타측면에는 조립홈(106)이 마련되어 조립돌기와 조립홈을 통해 측방향으로 인접한 서로 간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옹벽블록(100)이 시공된 상태를 기준으로 절개지나 성토지 측을 향하면 면을 후방면이라 하고 그 반대를 향하는 면을 전방면이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측 배수홈(103) 내에는 옹벽블록의 시공시 크레인 등을 이용한 리프팅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앵커(107)가 마련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블록(100)의 후방 성토지 또는 절개지에는 후방 기초부(120)가 시공되고 후방 기초부(120)에 지지 앵커(121)가 설치되며 앵커(107)와 지지 앵커(121) 사이를 연결하도록 지지와이어(122)가 설치되는데, 상측 배수홈(103)을 중심으로 상면의 한쪽에는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측 배수홈(103)과 연통하고 타단이 외측으로 개방되는 와이어홈(108)이 형성되어 와이어홈(108) 내측에 지지와이어(122)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와이어(122)에 의한 지지력을 통해 옹벽블록(100)이 전방 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한층 방지하여 견고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후방 기초부(120) 및 다단으로 적층된 복수의 옹벽블록(100)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기반 시공은 통상의 시공 방법 및 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블록(110)은 옹벽블록(100)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옹벽블록의 하측 배수홈(104)과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옹벽블록의 상측 배수홈(103)에 각각 상하 양측이 삽입된다.
지지블록(110)은 상하 적층된 해당 옹벽블록(100) 간의 적층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하며, 구체적으로 옹벽블록(100)을 통해 축조되는 옹벽의 두께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 지지블록(110)이 상기 제1 옹벽블록, 제2 옹벽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해당 옹벽블록들이 옹벽 두께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즉, 지지블록(110)은 옹벽블록 간 적층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하는 동시에 해당 옹벽이 두께 방향의 외력에 일정 이상의 저항을 유지하도록 하여 결국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한 상측 배수홈(103), 하측 배수홈(104), 지지블록(110) 간의 결합 구조 및 형상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배수홈(103)은 옹벽블록(100)의 전방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하측 배수홈(104)은 옹벽블록(100)의 후방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된다. 즉, 상측 배수홈(103), 하측 배수홈(104)의 측면은 옹벽블록의 상하면에 대해 수직 상태로 마련되지 않고 각각 경사진 상태로 마련되며, 상측 배수홈(103)의 경우 상측 개구부를 기준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옹벽블록의 전방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하측 배수홈(104)의 경우 하측 개구부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갈수록 옹벽블록의 후방면을 향해 상하 경사지게 마련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블록(100)이 상하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 배수홈(103)과 하측 배수홈(104)은 서로 연통되며 측면에서 바라보았을때 연통 영역의 단면은 일측으로 기울어진 사변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관련 도면에는 예를 들어 평행 사변형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지지블록(110)은 옹벽블록(100)의 상하 적층을 통해 제1 옹벽블록의 하측 배수홈(104)과 제2 옹벽블록의 상측 배수홈(103)이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하측 배수홈(104)과 상측 배수홈(103)의 연통 영역과 대응하는 단면 형상, 즉 일측으로 기울어진 평행 사변형 형상을 가지며 상측 배수홈(103)의 길이 방향 양단 영역 근방에 각각 1개씩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제2 옹벽블록의 상측 배수홈(103)에 지지블록(110)을 삽입하고 그 상측에 제1 옹벽블록을 적층시킬 때 지지블록(110)의 경사진 구조로 인해, 제1 옹벽블록은 제2 옹벽블록에 대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제2 옹벽블록과의 사이에 지지블록(110)이 삽입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옹벽블록(100)이 상하 적층되어 옹벽을 구축한 상태에서, 상측 배수홈(103), 하측 배수홈(104)의 경사진 형상과 이에 대응하는 지지블록(110)의 경사진 사변형(평행 사변형) 단면 구조를 통해 산사태나 기타 환경/인간적 요인에 의해 옹벽블록(100)의 후방면을 향해 외력이 작용할 경우 작용 하중에 의해 옹벽블록이 전방으로 이탈하여 낙하하는 것을 월등히 방지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블록(110)의 우측면(도면 기준)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측 배수홈(103), 하측 배수홈(104)의 우측 벽면(도면상) 또한 모두 우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구조가 적용된 상태에서, 외력이 옹벽블록에 작용하는 경우 특히 지지블록(110)의 상부 영역과 하측 배수홈(104) 간의 걸림 구조를 통해 옹벽블록(100)이 전방(도면상 좌측)으로 이동, 심하게는 이탈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블록(110)은 지지블록 본체(111)와 지지블록 본체(111)의 외면을 감싸며 일정 이상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커버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커버부(112)는 고무, 에폭시,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큰 경도를 갖는 옹벽블록(100)과 지지블록(11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특히 지지블록(110)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만약, 지지블록(110)이 전술한 바와 같이 옹벽블록(100)의 후방면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고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외력에 의해 옹벽블록(100)이 이탈하거나 전방으로 낙하하는 커다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덧붙이자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블록(100)의 후방면에 일정 세기 이상의 엄청난 외력이 작용하면 외력이 작용하는 옹벽블록(100)의 하단부와 대응하는 지지블록(110)의 중앙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전단응력이 집중 작용하게 된다.
이때, 지지블록(110)이 이러한 전단응력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할 경우 전단응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크랙발생, 심하게는 파단이 발생하게 되며, 나아가서는 옹벽블록(100)의 이탈 및 옹벽의 붕괴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탄성커버부(112)를 통해 전술한 전단응력을 일정 부분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탄성커버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지지블록 본체(111)로 전단응력이 작용하는 정도를 최대한 감소하여 크랙이나 파단이 발생하는 것을 한층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복수의 옹벽블록(100)을 좌우 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며, 이때 조립돌기(105)와 조립홈(106) 간의 걸림구조를 통해 서로 견고하게 일체화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 복수의 옹벽블록(100)의 상측 배수홈(103) 내에 적어도 하나(도면상에는 2개)의 지지블록(110)을 배치한다. 여기서, 지지블록(110)은 상측 배수홈(103)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할 수도 있고 지지블록(110), 상측 배수홈(103) 모두 경사진 형상을 가지므로 지지블록(110)을 상측 배수홈(103)에 경사진 방향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할 수도 있다.
이어서, 옹벽블록(100)에 마련된 앵커(107)와 후방 기초부(120)의 지지 앵커(121)를 지지와이어(122)로 연결하며, 지지와이어(122)는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다음, 측방향으로 일체화된 복수의 옹벽블록(100) 상측에 또 다른 옹벽블록들을 적층하되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이어서 좌우 측방향으로 서로 다수를 연결한다. 이러한 적층 과정과 지지와이어 연결 과정을 반복 실시하여 일정 높이의 옹벽을 구축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을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2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번호를 사용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측 및 하측 배수홈(203,204)은 각각 옹벽블록(200)의 좌우 측면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우측 배수홈(231)과 좌우측 배수홈(231) 사이를 연결하되 좌우측 배수홈(231)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중앙 배수홈(232)을 포함한다.
즉, 좌우측 배수홈(231)과 중앙 배수홈(232)의 연결 부위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한 쌍의 지지블록(210)은 단턱에 접촉하도록 좌우측 배수홈(231) 내에 삽입된다.
좌우측 배수홈(231), 중앙 배수홈(232)의 폭을 동일하게 하지 않고 차이를 둠으로써, 작업자는 지지블록(210)을 삽입할 때 상기 단턱에 측면이 접촉하도록 삽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촉 구조를 통해 지지블록(210)은 중앙 배수홈(232) 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설정된 삽입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은 작업자가 복수의 옹벽블록(200)에 다수의 지지블록(210)을 삽입하는 작업을 장시간 다수회 반복하여 실시하더라도 지지블록(210)의 삽입 고정 위치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정된 위치에 신속/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노동력을 절감하고 피로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지지블록(210)이 개별 옹벽블록(200)의 상측 배수홈(203) 상의 동일한 위치에 삽입된 상태로 옹벽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시공 완료된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을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3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번호를 사용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상측 배수홈(303)은 옹벽블록(30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측 오목홈(341)과, 상측 오목홈(341)의 하부에 옹벽블록(300)의 전방 및 후방면을 향해 각각 절곡되게 연통 형성되는 상측 절곡홈(3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측 절곡홈(342)은 옹벽블록의 상면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된다.
또한, 하측 배수홈(304)은 옹벽블록(300)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측 오목홈(351)과, 하측 오목홈(351)의 상부에 옹벽블록(300)의 전방 및 후방면을 향해 각각 절곡되게 연통 형성되는 하측 절곡홈(352)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하측 절곡홈(352)은 옹벽블록의 하면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된다.
지지블록(310)은 상측 오목홈(341)과 하측 오목홈(351)의 연통 부위에 삽입되는 지지블록 본체(311)와, 상측 절곡홈(342) 내에 삽입되는 상측 절곡부(315)와, 하측 절곡홈(352) 내에 삽입되는 하측 절곡부(3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전체적인 단면 형상은 상측 배수홈(303)과 하측 배수홈(304) 연통 영역의 단면 형상과 대응된다.
본 발명은 상하 적층된 옹벽블록(300) 사이에 상측 절곡부(315)와 하측 절곡부(316)를 갖는 지지블록(310)이 개재됨으로써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상하 적층된 옹벽블록 간 이탈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단으로 적층된 옹벽블록(300)의 하방에서 상하 방향의 진동이 작용할 경우(예를 들면 상하진동파의 지진) 상측 절곡부(315), 하측 절곡부(316)와 옹벽블록(300) 간 걸림 구조에 의해 옹벽블록 간 상하 이탈을 최대한 방지하여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옹벽블록(300)의 후방면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옹벽블록이 전방으로 이탈하거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블록(310)과 옹벽블록 간 걸림 관계를 통해 상하 이탈 또한 방지할 수 있는 커다란 이점을 갖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을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4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번호를 사용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상측 배수홈(403)에는 앵커(407)가 마련되고, 옹벽블록(400)의 후방에는 지지 앵커(421)가 마련되도록 후방 기초부(420)가 동일하게 시공된다.
여기서, 앵커(407)와 지지 앵커(421) 사이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지지와이어(422)를 통해 연결되어 옹벽블록(400)의 전방 이탈(이동)을 최대한 지지해주게 되는데, 제1 실시예와 달리 옹벽블록(400)의 상부에는 지지와이어(422)가 앵커(407)와 지지 앵커(421) 사이를 경사진 상태로 연결 가능하도록 경사면(409)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옹벽블록(400)의 상부에는 상측 배수홈(403)과 연통하도록 와이어홈(408)이 형성되며, 와이어홈(408)의 바닥면은 옹벽블록의 상하면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개별 앵커(407)와 이와 대응하도록 각각 연결되는 지지 앵커(421)의 지면에 대한 높이를 서로 상이하게, 바람직하게는 지지 앵커(421)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하고 지지와이어(422)가 경사면(409)을 따라 경사진 상태로 앵커(407)와 지지 앵커(421) 사이를 연결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지지와이어(422)를 통해 작용하는 지지력은 옹벽블록(400)의 상하면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며, 옹벽블록(400)의 후방면에 작용하는 외력이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고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작용하는 경우 지지와이어(422)의 경사진 지지 구조를 통해 안정적으로 옹벽블록을 지지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예를 들어 산사태 발생시 옹벽블록(400)의 후방면에 작용하는 외력은 옹벽블록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작용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대개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작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본 발명은 경사면(409)과 지지와이어(422)의 경사진 지지 구조를 통해 옹벽블록의 후방면에 경사진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한층 안정적으로 옹벽블록을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복수의 옹벽블록(400)을 좌우 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며, 이때 조립돌기와 조립홈 간의 걸림구조를 통해 서로 견고하게 일체화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 복수의 옹벽블록(400)의 상측 배수홈(403) 내에 적어도 하나(도면상에는 2개)의 지지블록(410)을 배치한다. 여기서, 지지블록(410)은 상측 배수홈(403)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할 수도 있고 지지블록(410), 상측 배수홈(403) 모두 경사진 형상을 가지므로 지지블록(410)을 상측 배수홈에 경사진 방향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할 수도 있다.
이어서, 옹벽블록(400)에 마련된 앵커(407)와 일정 이상의 높이차를 갖도록 후방 기초부(420)에 지지 앵커(421)를 설치하고, 지지와이어(422)를 통해 앵커(407)와 지지 앵커(421)를 경사지게 연결한다.
다음, 측방향으로 일체화된 복수의 옹벽블록(400) 상측에 또 다른 옹벽블록들을 적층하되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이어서 좌우 측방향으로 서로 다수를 연결한다. 이러한 적층 과정과 지지와이어 연결 과정을 반복 실시하여 일정 높이의 옹벽을 구축하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200,300,400: 옹벽블록 103,203,303,403: 상측 배수홈
104,204,304,404: 하측 배수홈 107: 앵커
108: 와이어홈 110,210,310,410: 지지블록
111: 지지블록 본체 112: 탄성커버부
121: 지지 앵커 122: 지지와이어
231: 좌우측 배수홈 232: 중앙 배수홈
315: 상측 절곡부 316: 하측 절곡부
341: 상측 오목홈 342: 상측 절곡홈
351: 하측 오목홈 352: 하측 절곡홈
409: 경사면

Claims (7)

  1. 전방면과 후방면을 갖고 상하면에는 각각 상측 및 하측 배수홈(103,104,203,204,303,304,403,404)이 마련되고 일측면에는 조립돌기(105,205,305,405)가 마련되고 타측면에는 조립홈(106,206,306,406)이 마련되어 상기 조립돌기와 조립홈을 통해 측방향으로 인접한 서로 간에 결합 가능한 옹벽블록(100,200,300,400); 및
    상기 옹벽블록(100,200,300,400)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옹벽블록의 하측 배수홈(104,204,304,404)과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옹벽블록의 상측 배수홈(103,203,303,403)에 각각 삽입 가능한 지지블록(110,210,310,410)을 포함하되,
    상기 상측 배수홈(103,203,303,403)은 상기 옹벽블록의 전방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하측 배수홈(104,204,304,404)은 상기 옹벽블록의 후방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상측 배수홈(303)은 상기 옹벽블록(30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측 오목홈(341)과, 상기 상측 오목홈(341)의 하부에 옹벽블록의 전방 및 후방면 모두를 향해 절곡되게 연통 형성되는 상측 절곡홈(342)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 배수홈(304)은 상기 옹벽블록(300)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측 오목홈(351)과, 상기 하측 오목홈(351)의 상부에 옹벽블록의 전방 및 후방면 모두를 향해 절곡되게 연통 형성되는 하측 절곡홈(352)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상측 오목홈과 하측 오목홈의 연통 부위에 삽입되는 지지블록 본체와, 상기 상측 절곡홈 내에 삽입되는 상측 절곡부와, 상기 하측 절곡홈 내에 삽입되는 하측 절곡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제1 옹벽블록의 하측 배수홈과 상기 제2 옹벽블록의 상측 배수홈이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 배수홈과 상측 배수홈의 연통 영역과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측 및 하측 배수홈(203,204)은, 상기 옹벽블록의 좌우 측면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좌우측 배수홈(231)과 상기 좌우측 배수홈 사이를 연결하되 좌우측 배수홈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중앙 배수홈(232)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측 배수홈과 중앙 배수홈의 연결 부위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단턱에 그 측면이 접촉하도록 상기 좌우측 배수홈 내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옹벽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배수홈(103,203,303,403)과 하측 배수홈(104,204,304,404)이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연통 영역의 단면은 일측으로 기울어진 사변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옹벽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110)은, 지지블록 본체(111)와 상기 지지블록 본체의 외면을 감싸며 일정 이상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커버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옹벽 구조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배수홈은 각각 상기 옹벽블록의 좌우 측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옹벽블록의 상측 배수홈에 상기 지지블록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옹벽블록은 상기 제2 옹벽블록에 대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옹벽 구조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배수홈(403)에는 앵커(407)가 마련되고, 상기 옹벽블록의 후방에는 지지 앵커(421)가 마련되도록 후방 기초부(420)가 시공되되,
    상기 옹벽블록의 상부에는 지지와이어(422)가 상기 앵커와 지지 앵커 사이를 경사진 상태로 연결 가능하도록 경사면(409)을 갖는 와이어홈(408)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1020190060723A 2019-05-23 2019-05-23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102072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723A KR102072454B1 (ko) 2019-05-23 2019-05-23 조립형 옹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723A KR102072454B1 (ko) 2019-05-23 2019-05-23 조립형 옹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454B1 true KR102072454B1 (ko) 2020-02-03

Family

ID=6962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723A KR102072454B1 (ko) 2019-05-23 2019-05-23 조립형 옹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648B1 (ko) * 2022-05-27 2022-11-09 강태근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0442A (ja) * 1997-04-10 1998-10-20 Keicon Kk 結合構造を有する擁壁ブロック及び該擁壁ブロックを使用した擁壁の施工方法
JP2000336676A (ja) * 1999-06-01 2000-12-05 Marutaka Concrete Kogyo Kk 擁壁用大型ブロック
KR20120030513A (ko) * 2012-03-05 2012-03-28 김희준 셋 앵커 형태의 락볼트 및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KR20150095154A (ko) 2014-02-12 2015-08-20 한숙희 조립식 옹벽블록
KR101849530B1 (ko) * 2016-12-30 2018-04-17 최은경 옹벽블록 조립형 옹벽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0442A (ja) * 1997-04-10 1998-10-20 Keicon Kk 結合構造を有する擁壁ブロック及び該擁壁ブロックを使用した擁壁の施工方法
JP2000336676A (ja) * 1999-06-01 2000-12-05 Marutaka Concrete Kogyo Kk 擁壁用大型ブロック
KR20120030513A (ko) * 2012-03-05 2012-03-28 김희준 셋 앵커 형태의 락볼트 및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KR20150095154A (ko) 2014-02-12 2015-08-20 한숙희 조립식 옹벽블록
KR101849530B1 (ko) * 2016-12-30 2018-04-17 최은경 옹벽블록 조립형 옹벽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648B1 (ko) * 2022-05-27 2022-11-09 강태근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8353B1 (en)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wall construction
KR101103142B1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660379B1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102072454B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101759397B1 (ko) 기초보강재
AU1738699A (en)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KR102135594B1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20160050226A (ko) 절토 사면 보강공법
KR20200007335A (ko)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KR100878716B1 (ko) 연결식 축조식생블록
KR200440047Y1 (ko) 옹벽용 블록
KR200491914Y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200495163Y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200366898Y1 (ko) 콘크리트 팽이파일
KR102100590B1 (ko)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KR200194534Y1 (ko) 조립식옹벽블럭
KR20130062586A (ko) 옹벽용 블럭 및 옹벽용 블럭의 옹벽시공방법
JP4529631B2 (ja) 地下構造及び地下構造の構築方法
KR20200142308A (ko)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CN108999202A (zh) 防止沉井超沉的方法及装置
KR102423214B1 (ko)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록
KR101580747B1 (ko) 조립식 블록 및 그것을 이용한 고내구성 방수구조체 축조방법
KR102614600B1 (ko) 축력과 상향모멘트가 자동 도입되는 스마트 지하박스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135475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옹벽 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102316592B1 (ko)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