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397B1 - 기초보강재 - Google Patents

기초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397B1
KR101759397B1 KR1020150149520A KR20150149520A KR101759397B1 KR 101759397 B1 KR101759397 B1 KR 101759397B1 KR 1020150149520 A KR1020150149520 A KR 1020150149520A KR 20150149520 A KR20150149520 A KR 20150149520A KR 101759397 B1 KR101759397 B1 KR 101759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foundation
steel plates
foundation steel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879A (ko
Inventor
박광호
Original Assignee
박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호 filed Critical 박광호
Priority to KR1020150149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397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의 기초보강재로서 뿐만 아니라, 지하 터파기 공법에 사용된 가설 기둥 둘레로 형성하여 상기 가설 기둥을 구조물 기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강하고,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기초의 바닥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소진시키며, 끼움구조를 채택하여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키면서도 결합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초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초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상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개된 제1절개부(11)를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병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기초철판(10); 상기 제1기초철판(10)의 제1절개부(11)를 통해 상기 제1기초철판(10)과 직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제1기초철판(10)과 동일 수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개된 제2절개부(21)를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병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기초철판(20); 상기 제1기초철판(10)과 제2기초철판(20)의 각 끝단에서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20) 간을 연결하는 제1긴결철봉(50); 및 상기 제1기초철판(10)과 제2기초철판(20)의 각 끝단에서 상기 제1기초철판(10) 간 및 상기 제2기초철판(20) 간을 연결하는 제2긴결철봉(6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초보강재{REINFORCEMENT OF FOUNDATION}
본 발명은 기초보강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 터파기 공법에 사용된 가설 기둥 둘레로 형성하여 상기 가설 기둥을 구조물 기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강하고,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기초의 바닥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소진시키며, 끼움구조를 채택하여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키면서도 결합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초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 자중에 의한 지반 침하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하여 건물 시공시 건물의 하부에는 건물 하중이 지반에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기초판이 시공되는데, 종래의 기초판은 두꺼운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설계되어 왔다.
최근 건축물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기초판에 인가되는 하중 역시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기초판의 경우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된 기초판의 크기를 증대시킴으로써 휨내력과 전단내력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기초판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기초판을 지면 내부에 묻을 수 있도록 그 만큼 터파기의 깊이가 깊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기초판을 묻기 위한 암반 터파기 작업과 기초판 제작 작업의 규모가 커지게 되므로 공사기간과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건축물 하부가 암반일 경우에는 터파기를 깊게 하는 작업은 대단히 어려우므로 공사기간과 공사기가 대폭 증대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철근콘크리트로 기초판을 시공하는 경우 터파기의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기초판과 지하수와의 접촉이 불가피해 지는데, 이와 같이 기초판이 장기간 지하수와 접촉하게 되면 철근콘크리트의 품질이 저하되어 건축물의 하중을 정상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624075호(기초보강재, 2006.09.07. 등록, 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가 개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상측면 중심부에 하향으로 오목한 홈이 형성되는 철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직립되어 배열되는 둘 이상의 기초철판과, 각 기초철판의 양측면 상단부에 결합되는 보강철판과, 기초철판의 표면과 평행하도록 길게 위치되어 양 끝단이 보강철판에 각각 결합되는 긴결철봉과, 각 기초철판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각 기초철판에 결합되는 연결철봉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기초에 작용하는 거대한 집중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어 기초 위에 세워지는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종래보다 기초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터파기 깊이를 얕게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공사시간과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기초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기초보강재의 경우에는, 기초보강재를 설치한 후 그 기초보강재와 연결되게 기둥을 설치하는 공법에 대해 효과적일 수 있으나, 지하터파기 공법에 사용된 가설 기둥을 구조물 기둥으로 사용하는 공법에 대해서는 적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즉, 기초보강재의 중심으로 긴결철봉이 교차하여 통과하게 되므로, 구조물 기둥은 긴결철봉과 간섭되지 않는 지점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구조물 기둥이 철골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H형강의 크기 및 위치가 제약될 뿐만 아니라 H형강 간이 긴결철봉에 의해 이격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하중이 기초철판의 상부 측면으로 전달되어 기초철판의 중앙 하부에 대해 휨모멘트가 발생하고 이러한 휨모멘트를 긴결철봉의 인장력에 의해 상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 기초철판의 중앙부로 하중이 집중된다면, 기초철판의 중앙 하부에 대해 상기와 반대방향의 휨모멘트가 발생하게 되고, 긴결철봉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긴결철봉은 특별한 기능을 하지 못한 채 좌굴될 수 있다. 더구나, 종래기술에서는 하중의 전달이 기초철판의 상부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하중이 기초의 바닥으로 전달되면서 소진되는 매커니즘을 구현하지 못하여 기초보강재와 기초의 바닥과의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 터파기 공법에 사용된 가설 기둥 둘레로 형성하여 상기 가설 기둥을 구조물 기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강하는 기초보강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기초의 바닥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소진시키는 기초보강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끼움구조를 채택하여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키면서도 결합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초보강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초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상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개된 제1절개부를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병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기초철판; 상기 제1기초철판의 제1절개부를 통해 상기 제1기초철판과 직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제1기초철판과 동일 수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개된 제2절개부를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병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기초철판; 상기 제1기초철판과 제2기초철판의 각 끝단에서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 간을 연결하는 제1긴결철봉; 및 상기 제1기초철판과 제2기초철판의 각 끝단에서 상기 제1기초철판 간 및 상기 제2기초철판 간을 연결하는 제2긴결철봉;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의 상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에 대해 수직으로 상부보강철판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보강철판에는 구조물 기둥의 철근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의 하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에 대해 수직으로 바닥보강철판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보강철판은,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의 중앙부 상단에 설치되는 제1보강철판과,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의 제2사면구간 상단에 설치되는 제2보강철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보강철판은, 상기 상부보강철판과 높이방향으로 대응되는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의 중앙부 하단에 설치되는 제3보강철판과,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의 양단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3보강철판과 이격 배치되는 제4보강철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은, 상기 제1 및 제2절개부가 형성된 중앙부에서 높이가 감소되며 연장되는 제1사면구간과, 상기 제1사면구간에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사면구간을 갖는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은, 상기 제1 및 제2절개부가 형성된 중앙부와 상기 제1사면구간 사이의 하부에서 절개되는 절개구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긴결철봉은 상기 제2사면구간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초보강재에 따르면,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의 기초보강재로서 뿐만 아니라, 지하 터파기 공법에 사용된 가설 기둥 둘레로 형성하여 상기 가설 기둥을 구조물 기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강함으로서 가설 기둥을 해체할 필요 없이 구조물 기둥으로 활용 가능하여 공사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기초의 바닥으로 전달하여 소진시킬 수 있어 자체적으로 견딜 수 있는 외력이 증가함에 따라 설계 하중 이상의 외력이 가해져도 건축물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진에 의한 횡하중이 가해졌을 때에도 횡하중의 고른 분산을 통해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절개부를 통한 끼움구조를 채택하여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키면서도 결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쉽고 빠른 시공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보강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보강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보강재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보강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보강재에 대한 하중 분산 및 각 부위 응력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보강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보강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보강재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보강재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보강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초보강재는 제1기초철판(10), 제2기초철판(20), 제1긴결철봉(50) 및 제2긴결철봉(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기초철판(10)은 상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개된 제1절개부(11)를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병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1절개부(11)는 상부로부터 수직으로 상기 제1기초철판(10)의 높이방향 중간까지 절개되고, 한 쌍의 제2기초철판(2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소 이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기초철판(10)은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1절개부(11)가 형성되는 중앙부(12)와 상기 중앙부(12) 양측에 형성되는 제1사면구간(13), 및 상기 제1사면구간(13) 외측에 형성되는 제2사면구간(14)으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기초철판(20)은 상기 제1기초철판(10)의 제1절개부(11)를 통해 상기 제1기초철판(10)과 직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제1기초철판(10)과 동일 수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개된 제2절개부(21)를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병렬로 배치된다.
그리고 제2기초철판(20)도 제1기초철판(10)과 마찬가지로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2절개부(21)가 형성되는 중앙부(22)와 상기 중앙부(22) 양측에 제1사면구간(23) 및 제2사면구간(24)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의 중앙부(12, 22)는 철근조 또는 철골콘크리트조의 구조물 기둥과 연결되어 구조물 기둥으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직접 받는 부분이고, 제1 및 제2사면구간(13, 14, 23, 24)은 그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여 소진시키는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사면구간(13, 23)은 상기 중앙부(12, 22)에서 높이가 감소되며 연장되고, 상기 제2사면구간(14, 24)은 상기 제1사면구간(13, 23)에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제1사면구간(13, 23)이 사선형태로 높이가 감소 또는 증가되는 형태로 도시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곡선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2사선구간(14, 24)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되기만 하면, 높이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형태 또는 곡선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2사면구간(14, 24)의 수평방향 단면적은 제1사면구간(13, 23)보다 증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초보강재의 발(shoe)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2사면구간(14, 24)은 제1사면구간(13, 23)보다 증대된 단면적에 의해 제1사면구간(13, 23)을 통해 전달된 외력을 고르게 분산하여 지중으로 소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중앙부(12, 22)와 제1사면구간(13, 23) 사이의 하부에는 상부를 향하여 절개되는 절개구간(15, 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구간(15, 25)은 상기 중앙부(12, 22)에서 제2사면구간(14, 24)으로 연결되는 제1사면구간(13, 23)의 단면적을 축소시키고 제2사면구간(14, 24)을 중앙부(12, 22)와 이격시켜 상기 제2사면구간(14, 24)이 중앙부(12, 22)와는 다른 역학적 특성을 나타내도록 한다. 즉, 중앙부(12, 22)는 수직하중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고, 제2사면구간(14, 24)은 중앙부(12, 22)에 가해진 수직하중의 일부를 분담하여 지중으로 소진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중앙부(12, 22)와 제2사면구간(14, 24)의 이러한 역할 분담은 절개구간(15, 25)에 의해 상호 분리되면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중앙부(12, 22)에서 받는 수직하중 중 일부가 제1사면구간(13, 23)으로 분산되어 중앙부(12, 22)에 대한 수직하중이 감소하면서 중앙부(12, 22)의 역학적 성능을 향상시키게 되고, 제1사면구간(13, 23)으로 분산된 하중은 제2사면구간(14, 24)에서 상대적으로 넓어진 하단을 통해 지중으로 분산되어 소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에는 측면으로도 복수개의 관통공(16, 26)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관통공(16, 26)은 수평철근이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을 관통하여 시공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나, 추가적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일체화를 돕는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에는 복수개의 전단키(미도시)가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의 상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에 대해 수직으로 상부보강철판(30)이 설치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에 대해 수직으로 바닥보강철판(40)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보강철판(30)은 기초보강재와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관통공(31a)을 형성하여 구조물 기둥의 수직철근이 삽입 시공되어 수직철근과 기초보강재가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보강철판(30)은,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의 중앙부(12, 22) 상단에 설치되는 제1보강철판(31)과,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의 제2사면구간(14, 24) 상단에 설치되는 제2보강철판(33)으로 구성되고, 제1보강철판(31)은 중앙부(12, 22)에서의 수직하중이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에 전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제2보강철판(33)은 제2사면구간(14, 24)으로 전달된 수직하중에 의한 휨모멘트에 저항한다.
또한 바닥보강철판(40)은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의 직립성을 도와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지중에 대한 접지면적을 증대시켜 하중의 분산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바닥보강철판(40)은, 상기 상부보강철판(30)과 높이방향으로 대응되는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의 중앙부(12, 22) 하단에 설치되는 제3보강철판(41)과,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의 각 제2사면구간(14, 24)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3보강철판(41)과 이격 배치되는 제4보강철판(43)으로 구성되고, 제3보강철판(41)은 중앙부(12, 22)에서의 수직하중을 담당하며, 제4보강철판(43)은 제2사면구간(14, 24)으로 전달된 수직하중의 분산을 담당한다.
또한 이러한 상부보강철판(30)과 바닥보강철판(40)이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될 때 제1기초철판(10)의 상부보강철판(30)과 바닥보강철판(40)이 제2기초철판(20)의 상부보강철판(30)과 바닥보강철판(40)과 각각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서로 대응되는 보강철판 중 하나는 절개되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긴결철봉(50)은 상기 제1기초철판(10)과 제2기초철판(20)의 각 끝단, 즉 제2사면구간(14, 24)에서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 간을 연결하고, 제2긴결철봉(60)은 제1기초철판(10)과 제2기초철판(20)의 각 끝단, 즉 제2사면구간(14, 24)에서 상기 제1기초철판(10) 간 및 상기 제2기초철판(20) 간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1긴결철봉(50)과 제2긴결철봉(60)은 상호 연결되거나 하나의 철봉을 절곡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별개의 철봉으로 구성하되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2사면구간(14, 24)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긴결철봉(50, 60)은 수직하중이 분산되면서 제1사면구간(13, 23)을 통해 제2사면구간(14, 24)으로 전달될 때 제2사면구간(14, 24)이 벌어지거나 휘어짐과 같이 변형되지 않도록 인장력을 발휘하여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긴결철봉(50, 60)은 상기 중앙부(12, 22)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제2사면구간(14, 24)에 설치되므로, 수직하중이 경사방향으로 분산될 때 기초보강재의 하단부에서 기초보강재를 잡아줌으로서 경사방향으로 분산되는 하중의 지중 전달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즉, 경사방향으로 분산된 하중의 추가 분산을 방지하여 제2사면구간(14, 24)과 그 하단에 배치된 제4보강철판(43)으로 분산된 하중이 지중으로 분산되어 소진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초보강재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산과 각 부위에 발생되는 응력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보강재에 대한 하중 분산 및 각 부위 응력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이 결합되어 구획된 사각형 형상의 중앙부(12, 22)로 기둥을 통해 수직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중앙부(12, 22)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하중이 지중으로 전달되고, 일부 하중은 제1사면구간(13, 23)을 따라 제2사면구간(14, 24)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제2사면구간(14, 24)은 제1사면구간(13, 23)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므로 제1사면구간(13, 23)을 통해 전달된 하중이 제2사면구간(14, 24)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면서 지중으로 전달된다.
또한 제2사면구간(14, 24)은 중앙부(12, 22)와 절개구간(15, 25)을 통해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2사면구간(14, 24)은 제1사면구간(13, 23)을 통해 전달된 하중만을 부담한다.
이때 제2사면구간(14, 24)은 중앙부(12, 22)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사면구간(14, 24)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휨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제2사면구간(14, 24)은 제1긴결철봉(50)과 제2긴결철봉(60)에 의해 상호간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및 제2긴결철봉(60)의 인장력에 의해 제2사면구간(14, 24)에 가해지는 변형력은 제1 및 제2긴결철봉(60)의 인장력에 의해 상쇄되어 상기 제2사면구간(14, 24)의 휨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보강철판(30)에 형성된 관통공(31a)과,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의 측면으로 형성된 관통공(16, 26)으로 각각 수직철근 및 수평철근이 배근되어 기초보강재를 둘러 시공되는 철근콘크리트와 일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초보강재의 구조 및 철골철근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와의 일체화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기초보강재가 시공된 기초는 단위용적에 대한 내력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제1기초철판 11 : 제1절개부 12 : 중앙부
13 : 제1사면구간 14 : 제2사면구간
15 : 절개구간 16 : 관통공
20 : 제2기초철판 21 : 제2절개부 22 : 중앙부
23 : 제1사면구간 24 : 제2사면구간
25 : 절개구간 26 : 관통공
30 : 상부보강철판 31 : 제1보강철판 31a : 관통공
33 : 제2보강철판
40 : 바닥보강철판 41 : 제3보강철판 43 : 제4보강철판
50 : 제1긴결철봉
60 : 제2긴결철봉

Claims (8)

  1. 상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개된 제1절개부(11)를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병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기초철판(10);
    상기 제1기초철판(10)의 제1절개부(11)를 통해 상기 제1기초철판(10)과 직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제1기초철판(10)과 동일 수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개된 제2절개부(21)를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병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기초철판(20);
    상기 제1기초철판(10)과 제2기초철판(20)의 각 끝단에서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 간을 연결하는 제1긴결철봉(50); 및
    상기 제1기초철판(10)과 제2기초철판(20)의 각 끝단에서 상기 제1기초철판(10) 간 및 상기 제2기초철판(20) 간을 연결하는 제2긴결철봉(6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은, 상기 제1 및 제2절개부(11, 21)가 형성된 중앙부(12, 22)에서 높이가 감소되며 연장되는 제1사면구간(13, 23)과, 상기 제1사면구간(13, 23)에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사면구간(14, 2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보강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의 상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에 대해 수직으로 상부보강철판(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보강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강철판(30)에는 구조물 기둥의 수직철근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다수개의 관통공(3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보강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의 하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에 대해 수직으로 바닥보강철판(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보강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강철판(30)은,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의 중앙부(12, 22) 상단에 설치되는 제1보강철판(31)과,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의 제2사면구간(14, 24) 상단에 설치되는 제2보강철판(33)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보강철판(40)은, 상기 상부보강철판(30)과 높이방향으로 대응되는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의 중앙부(12, 22) 하단에 설치되는 제3보강철판(41)과,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의 양단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3보강철판(41)과 이격 배치되는 제4보강철판(4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보강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기초철판(10, 20)은, 상기 제1 및 제2절개부(11, 21)가 형성된 중앙부(12, 22)와 상기 제1사면구간(13, 23) 사이의 하부에서 절개되는 절개구간(15, 2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보강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긴결철봉(50, 60)은 상기 제2사면구간(14, 24)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보강재.
KR1020150149520A 2015-10-27 2015-10-27 기초보강재 KR101759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520A KR101759397B1 (ko) 2015-10-27 2015-10-27 기초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520A KR101759397B1 (ko) 2015-10-27 2015-10-27 기초보강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879A KR20170048879A (ko) 2017-05-10
KR101759397B1 true KR101759397B1 (ko) 2017-07-19

Family

ID=5874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520A KR101759397B1 (ko) 2015-10-27 2015-10-27 기초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3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73A1 (ko) * 2020-10-22 2022-04-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거푸집 일체화 pc 패널을 이용한 하부기초 시공방법, 스트럿 타이 보강재를 이용한 하부기초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53750A (ko) 2020-10-22 2022-05-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스트럿 타이 보강재를 이용한 하부기초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53748A (ko) * 2020-10-22 2022-05-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거푸집 일체화 pc 패널을 이용한 하부기초 시공방법
KR20230025096A (ko) * 2021-08-13 2023-02-21 (주)바로건설기술 분산판이 구비된 스트럿-타이 기초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24096232A1 (ko) * 2022-11-04 2024-05-10 (주)바로건설기술 볼트 조립형 스트럿-타이 기초보강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9804A (zh) * 2021-09-02 2021-12-14 温州慧谷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具有抗震能力的加固地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378B1 (ko) * 2008-03-14 2012-05-03 극동건설주식회사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378B1 (ko) * 2008-03-14 2012-05-03 극동건설주식회사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73A1 (ko) * 2020-10-22 2022-04-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거푸집 일체화 pc 패널을 이용한 하부기초 시공방법, 스트럿 타이 보강재를 이용한 하부기초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53750A (ko) 2020-10-22 2022-05-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스트럿 타이 보강재를 이용한 하부기초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53748A (ko) * 2020-10-22 2022-05-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거푸집 일체화 pc 패널을 이용한 하부기초 시공방법
KR102482690B1 (ko) * 2020-10-22 2023-01-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거푸집 일체화 pc 패널을 이용한 하부기초 시공방법
KR102482691B1 (ko) * 2020-10-22 2023-01-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스트럿 타이 보강재를 이용한 하부기초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30025096A (ko) * 2021-08-13 2023-02-21 (주)바로건설기술 분산판이 구비된 스트럿-타이 기초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544808B1 (ko) 2021-08-13 2023-06-15 (주)바로건설기술 분산판이 구비된 스트럿-타이 기초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24096232A1 (ko) * 2022-11-04 2024-05-10 (주)바로건설기술 볼트 조립형 스트럿-타이 기초보강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879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397B1 (ko) 기초보강재
KR101058520B1 (ko)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되는 흙막이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103142B1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6941492B2 (ja) 杭頭構造
KR100624075B1 (ko) 기초보강재
JP2016199861A (ja) 杭基礎構造
KR101255027B1 (ko) 프리캐스트 라멘형 암거박스
JP2016528406A (ja) 土留め仮施設工事の切梁連結構造
JP4213753B2 (ja) 基礎補強材
KR100869764B1 (ko)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
JP6654428B2 (ja) 逆打ち工法を用いた建築方法
KR100808977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버팀보의 연결장치
JP6070118B2 (ja) 土留壁構造、土留壁構造の構築方法
KR101164989B1 (ko) 지반 보강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10022956A (ko) 변단면 파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엄지말뚝 흙막이 구조물
JP6553855B2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JP5322214B2 (ja) 既存の木造住宅における土台の補強方法
JP7133366B2 (ja) 擁壁構造
KR20110078445A (ko) 띠장 연결장치
JP7230312B2 (ja) 基礎構造及び基礎構築方法
KR101736009B1 (ko) 층고절감이 가능한 시공단계 단순접합식 역타 시공방법
KR101182802B1 (ko) 복합 마이크로파일
JP2010043439A (ja) 既存の木造住宅における基礎の補強方法
JP6774774B2 (ja) 杭基礎構造
KR102511386B1 (ko)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