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214B1 -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록 - Google Patents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214B1
KR102423214B1 KR1020220014894A KR20220014894A KR102423214B1 KR 102423214 B1 KR102423214 B1 KR 102423214B1 KR 1020220014894 A KR1020220014894 A KR 1020220014894A KR 20220014894 A KR20220014894 A KR 20220014894A KR 102423214 B1 KR102423214 B1 KR 102423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body
blocks
present
stepwise ma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9012A (ko
Inventor
홍만의
장기혁
Original Assignee
홍만의
장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만의, 장기혁 filed Critical 홍만의
Priority to KR1020220014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21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9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면에 설치되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관으로 형성된 블록에는 "┗ "형의 2단 턱이 형성되어 블록들이 계단식으로 결합되었을 때 블록들이 미끄러지지 않아 견고한 결합을 이루고. 별도의 연결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블록들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사각 관으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흙을 채워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구성된 식생(植生)블록 몸체(10); 상기 블록 몸체(10)에는 수평면(21)과 수직면(22)으로 구성된 "┗ "형의 2단 턱(20)이 형성되어, 다른 블록 몸체(10)가 계단식으로 결합되더라도, 2단 턱(20)에 결려져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에 설치되는 블록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록{Installed on an incline, the block}
본 발명은 경사면에 설치되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관으로 형성된 블록에는 "┗ "형의 2단 턱이 형성되어 블록들이 계단식으로 결합되었을 때 블록들이 미끄러지지 않아 견고한 결합을 이루고. 별도의 연결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블록들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은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구조물로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중에서도 시멘트 블록은 절개된 도로나 호안(湖岸)의 비탈면을 보호하여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사면 블록들은 연속 설치된 블록들이 면대 면으로 연속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블록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결장치들을 사용해야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종래에는 등록특허 제10-0535208호 "다공성 에코 콘크리트 단위 블럭과 다공성 에코 콘크리트 연결핀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에코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조립시공방법"(선행기술1) 및 등록실용 제20-0379963호 "경사면의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선행기술2)이 제안된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1은 "하천 호안의 경사면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경사면에 하단에 다공성 에코 단위블록을 서로 인접하게 일렬로 설치하는 단계;상기 다공성 에코 콘크리트 단위블록의 중앙 통공부에 다공성 에코 콘크리트 연결핀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경사면의 하단에 조립설치가 완료된 후에 다음 열부터는 콘크리트 단위블록의 측면 홈부에 콘크리트 연결핀을 삽입하고, 하단열의 콘크리트 단위블록의 상단열의 콘크리트 단위블록의 전면이 설치될 수 있도록 지그재그로 적층 조립 설치하여 전 경사면에 조립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에코 콘크리트 단위블럭과 다공성 에코 콘크리트 연결핀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에코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조립시공방법"이다.
상기 선행기술2는 "절개지의 경사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면에 서로 맞대어 연속 반복되게 설치하는 십자형블록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블록은 중앙부에 상,하로 개구된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에는 경사면(S)으로부터 십자형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제1락볼트가 삽입 설치되며, 십자형블록의 내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와이어(W)가 삽입 관통되는 제1관통공과 제1관통공과 높이를 달리하되 수평방향으로 수직 교차되어 와이어(W)가 삽입 관통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고, 제1,2관통공 에 삽입된 와이어(W)의 양측에는 하부가 경사면에 매설되어 십자형블록을 경사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락볼트가 각각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붕괴방지용 십자형블록"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1은 콘크리트 단위블럭들이 면대면 연속으로 결합되고, 콘크리트 연결핀들에 의하여 고정되는 기술이고,, 선행기술2는 연속으로 설치되는 십자형블록들이 제1,2락볼트들과 와이어(W)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기술이므로, 본원발명과 같이, 사각관 블록에는 2단을 이루는 턱이 형성되어 블록들이 계단식으로 결합되었을 때 블록들이 미끄러지지 않아 견고한 결합을 이루고. 별도의 연결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블록들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 기술은 찾아볼 수 없었다.
등록특허 제10-053520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블록들이 계단식으로 결합되고, 사각관 블록에는 2단을 이루는 턱이 형성되어 블록들이 결합되었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견고한 결합을 이루며. 별도의 연결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블록들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고기능성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블록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사각 관으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흙을 채워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구성된 식생(植生)블록 몸체(10); 상기 블록 몸체(10)에는 수평면(21)과 수직면(22)으로 구성된 "┗ "형의 2단 턱(20)이 형성되어, 다른 블록 몸체(10)가 계단식으로 결합되더라도, 2단 턱(20)에 결려져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에 설치되는 블록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절개된 도로나 호안(湖岸)에 형성된 비탈면에 블록 몸체(10)들을 연속 설치하면서 "┗ "형 2단 턱(20)의 수평면(21) 위에 다른 블록 몸체(10)를 올려놓으면 수직면(22)에 걸려져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이므로 블록 몸체(10)들을 계단식으로 결합되었을 때 블록들이 미끄러지지 않아 견고한 결합을 이루는 것이므로 별도의 연결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블록들의 이탈이 방지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는 것으로서 대외 경쟁력이 우수한 고기능성의 경사면 설치 블록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 몸체가 연속으로 설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 몸체가 연속으로 설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 몸체가 연속으로 설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록 몸체(10)는 콘크리트를 사각 관으로 형성한 구조이고, 사각 관의 내부에는 흙을 채워 식물(植物)을 심을 수 있도록 구성된 식생(植生)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블록 몸체(10)에는 2단 턱(20)이 형성되어 있고, 블록 몸체(10)들은 계단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블록 몸체(10)의 2단 턱(20)은 수직면(22)과 수평면(21)이 "┗ "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평면(21) 위에 다른 블록 몸체(10)를 올려놓으면 수직면(22)에 걸려져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이므로 계단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도 5 내지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2단 턱(20)의 수직면(22)과 수평면(21)이 만나는 곳에는 결합홈(21a)이 형성되고, 다른 블록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양측 결합돌기(21b)들이 양측 결합홈(21a)에 끼워져 더욱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블록 몸체(10)와 다른 블록 몸체(10)를 계단식으로 결합시 블록 몸체(10)의 수직면(22)은 다른 블록 몸체(10)의 전방벽에 전체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절개된 도로나 호안(湖岸)에 형성된 비탈면에 블록 몸체(10)들을 연속 설치하면서 "┗ "형 2단 턱(20)의 수평면(21) 위에 다른 블록 몸체(10)를 올려놓으면 수직면(22)에 걸려져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이므로 블록 몸체(10)들이 계단식으로 결합되었을 때 블록들이 미끄러지지 않아 견고한 결합을 이루고. 별도의 연결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블록들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블록 몸체
20 : 2단 턱
21 : 수평면
21a : 결합홈
21b : 결합돌기
22 : 수직면

Claims (1)

  1. 사각 관으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흙을 채워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구성된 블록 몸체(10);
    상기 블록 몸체(10)에는 수평면(21)과 수직면(22)으로 구성된 "┗ "형의 2단 턱(20)이 형성되어, 다른 블록 몸체(10)가 계단식으로 결합되더라도, 2단 턱(20)에 결려져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2단 턱(20)의 수직면(22)과 수평면(21)이 만나는 곳에는 결합홈(21a)이 형성되고, 다른 블록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양측 결합돌기(21b)들이 양측 결합홈(21a)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상기 블록 몸체(10)는 계단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블록 몸체(10)와 상기 다른 블록 몸체(10)를 상기 계단식으로 결합시 상기 결합홈(21a)의 하단부부터 상기 수직면(22)의 상단부까지는 상기 다른 블록 몸체(10)의 전방벽에 접촉되고,
    상기 블록 몸체(10)는 절개된 도로나 호안에 형성된 비탈면에 연속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블록 몸체(10)는 계단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KR1020220014894A 2021-04-01 2022-02-04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록 KR102423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894A KR102423214B1 (ko) 2021-04-01 2022-02-04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947A KR20210040017A (ko) 2021-04-01 2021-04-01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록
KR1020220014894A KR102423214B1 (ko) 2021-04-01 2022-02-04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947A Division KR20210040017A (ko) 2021-04-01 2021-04-01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012A KR20220019012A (ko) 2022-02-15
KR102423214B1 true KR102423214B1 (ko) 2022-07-21

Family

ID=754400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947A KR20210040017A (ko) 2021-04-01 2021-04-01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록
KR1020220014894A KR102423214B1 (ko) 2021-04-01 2022-02-04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록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947A KR20210040017A (ko) 2021-04-01 2021-04-01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4001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992A (ja) * 2000-02-16 2001-08-24 Senkoo Kaihatsu:Kk 土留ブロック
KR200361675Y1 (ko) * 2004-06-12 2004-09-13 박창우 식생이 가능한 옹벽 및 호안블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208B1 (ko) 2002-11-09 2005-12-12 학교법인 민송학원 다공성 에코 콘크리트 단위블럭과 다공성 에코 콘크리트 연결핀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에코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조립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992A (ja) * 2000-02-16 2001-08-24 Senkoo Kaihatsu:Kk 土留ブロック
KR200361675Y1 (ko) * 2004-06-12 2004-09-13 박창우 식생이 가능한 옹벽 및 호안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017A (ko) 2021-04-12
KR20220019012A (ko)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5520Y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용 연결구조
KR102423214B1 (ko)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록
KR102135594B1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100878716B1 (ko) 연결식 축조식생블록
CN109006033B (zh) 护坡块
US7326000B2 (en) Block for embankment
KR100430530B1 (ko) 옹벽용 블록
KR200491914Y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20190142199A (ko)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록
KR100401121B1 (ko) 조립식 옹벽 블록
KR200318088Y1 (ko) 하천 제방의 설치구조
KR102072454B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200495163Y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100699235B1 (ko)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KR100581171B1 (ko) 옹벽용 블록
KR101303944B1 (ko) 식생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2331654B1 (ko) 벽체용 블록의 핀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KR200387146Y1 (ko)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KR100627672B1 (ko) 호안 블록
KR101580747B1 (ko) 조립식 블록 및 그것을 이용한 고내구성 방수구조체 축조방법
KR200334293Y1 (ko) 옹벽용 블록
KR200361076Y1 (ko) 축대용 조립식 식생블럭
KR102287339B1 (ko) 다목적 블록
KR200389265Y1 (ko) 보강토옹벽블록
KR200392540Y1 (ko) 옹벽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