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171B1 - 옹벽용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171B1
KR100581171B1 KR1020030059333A KR20030059333A KR100581171B1 KR 100581171 B1 KR100581171 B1 KR 100581171B1 KR 1020030059333 A KR1020030059333 A KR 1020030059333A KR 20030059333 A KR20030059333 A KR 20030059333A KR 100581171 B1 KR100581171 B1 KR 100581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support shaft
presen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1205A (ko
Inventor
신용근
Original Assignee
신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근 filed Critical 신용근
Priority to KR1020030059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171B1/ko
Publication of KR20050021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도로, 택지, 공단조성, 방조제 등에 시공되는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된 블록본체(1')의 하측단부로 걸림턱(2')을 가진 매설부(2)가 일체로 구비되고, 블록본체(1')내측으로는 연결공(12)을 가지는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1') 중심 상면으로 일정크기의 식재공(11)과 지지축(101)이 삽설되는 한쌍 이상의 연결공(12)을 나란히 관통 형성하되, 상기 한쌍의 연결공(12)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개 다열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옹벽용 블록의 적층 각도를 계단식 배열로 자유로이 설정함과 동시에 각각의 블록에 지지축을 삽설하여 상호 연결 시공이 가능케 하므로 블록의 연결강도를 높여 주고 또 옹벽 외주면으로는 초본류 및 잔디 등을 자연적 또는 임의적으로 식재 가능케 하므로 환경친화적인 옹벽을 얻을 수 있다는 데 그 큰 장점이 있는 것이다.
옹벽, 블록, 연결공, 식재공, 지지축

Description

옹벽용 블록{RETAINING WALL BLOCK}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가'부 선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나-나'부 선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적층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층단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상태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상태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블록 1' : 블록본체
11 : 식재공 12 : 연결공
101 : 지지축 2 : 매설부
2' : 걸림턱
본 발명은 하천, 도로, 택지, 공단조성, 방조제 등에 시공되는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시공각도에 따라 블록의 적층각도를 자유로이 부여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블록을 지지축으로 상호 반복 연결시켜 그 연결강도를 높여 옹벽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블록의 상부로 식재공을 형성하여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여줌에 그 목적으로 가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도로주변으로 옹벽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옹벽용 블록을 시공면적에 따라 다수개 적층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시공장소가 일정한 경사면을 가질 경우 옹벽용 블록을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적층시키거나 옹벽용 블록을 조금씩 뒷쪽으로 내설하면서 적층시키는 방법으로 시공하게 되는데 이는 단순히 블록을 쌓는 것에 불과 하므로 우천 내지는 토압에 의하여 쉽게 옹벽이 밀려나가거나 무너져 버리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으므로 유지보수에 매우 큰 비용이 낭비되는 폐단은 물론 외관이 매우 지저분해지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조금이나마 보완코져 종래에 옹벽용 블록과 블록사이에 지지체를 삽설하여 연결하는 옹벽용 블록도 안출된 바 있으나 이는 단순히 블록을 연결하는 구성에 불과하므로 경사진 시공장소에서는 옹벽 전체를 경사지게 시공하여야 하는 또 다른 문제점과 더불어 굴곡진 면을 가지는 시공장소에서는 블록과 블록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흙이 흘러내리는 등 옹벽 외관이 매우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환경친화적인 옹벽을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경사면 또는 굴곡면을 가진 시공장소에 옹벽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옹벽외주면으로 식재를 가능케 하여 그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만든 환경친화적인 옹벽이 절실히 요구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제반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옹벽용 블록의 적층 각도를 계단식 배열로 자유로이 설정함과 동시에 각각의 블록에 지지축을 삽설하여 상호 연결시공이 가능케 하므로 블록의 연결강도를 높여 주고 또 옹벽 외주면으로는 초본류 및 잔디 등을 자연적 또는 임의적으로 식재 가능케 하므로 환경친화적인 옹벽을 얻을 수 있도록 함에 그 기술적 과제를 가지는 것이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일정형태의 블록본체(1')와 걸림턱(2')을 가진 매설부(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1') 중심 상면으로 일정크기의 식재공(11)과 지지축(101)이 삽설되는 한쌍 이상의 연결공(12)을 나란히 관통 형성하되, 상기 한쌍의 연결공(12)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개 다열 배치한 구조이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을 이용한 옹벽의 적층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자면 우선,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시공장소가 일정 경사면을 가질 경우 다수개의 블록(1)을 계단형태로 시공하되, 이때 다수개의 블록(1)은 그 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공(12)을 단계별로 일치시킨 다음 연결공(12)내로 지지축(101)을 각각 삽설하여 블록(1)이 상호 지지축으로 연결되면서 적층되게 하여 그 연결강도를 높여 준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옹벽용 블록은 블록(1) 내측으로 연결공(12)을 한쌍으로 하여 단계별로 다수개 형성하고 있어, 상기 블록(1)으로 옹벽을 시공시 옹벽 시공현장의 여건에 맞게 수직으로 경사없이 시공이 가능 할 뿐 아니라 비스듬한 계단 형태의 시공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이는 상기 블록(1)으로 한쌍의 연결공(12)이 단계별로 다수개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시공현장에서 수직 시공시, 상기 블록(1)을 수직으로 바르게 적층시킨 다음 각각의 블록(1)에 형성된 연결공(12)을 상호 동일하게 연통시켜 그 내에 하나의 지지축(101)을 삽설하여 고정케 하므로 보다 견고한 옹벽이 시공되어 지고, 또 상기 옹벽을 비스듬이 시공할 경우에는 다수개의 블록(1)을 계단형태로 시공하되, 이때 다수개의 블록(1)은 그 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공(12)을 단계별로 일치시킨 다음 연결공(12)내로 지지축(101)을 개별로 삽설하여 상하 블록 한쌍이 각각 지지축에 의해 연결고정되도록 시공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공(12)은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 필요갯수로 형성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옹벽의 시공현장에서 그 여건에 맞게 경사각을 가지는 계단식 옹벽 시공은 물론 수직 옹벽 시공이 선택적으로 가능하여 어떠한 여건에도 무리 없이 옹벽의 시공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계단형태로 적층되는 블록(1)은 도 6과 같이 그 상부면으로 일정크기의 식재공(11)이 마련되어 있어, 우천에 의한 자연적 또는 임의적으로 흙을 투입시켜 초본류 및 잔디 등을 식재 가능케 하므로, 옹벽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여 주는 환경친화적인 옹벽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8의 (가)(나)에서 처럼 옹벽의 시공장소가 굴곡을 가질경우에는 옹벽용 블록(1)의 양측면에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블록(1)의 외측단부를 맞춘 상태에서 그 내측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굴곡진 위치를 따라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옹벽의 시공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하여 줌과 동시에 블록의 연결강도를 높여 우천이나 토압에 의해 옹벽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이점을 가짐은 물론 옹벽 외주면으로 초본류 및 잔디 등을 식재하여 외관상 매우 미려한 환경친화적인 식재 블록을 제공하여 줌에 그 큰 장점을 가진 것이다.

Claims (2)

  1. 양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된 블록본체(1')의 하측단부로 걸림턱(2')을 가진 매설부(2)가 일체로 구비되고, 블록본체(1')내측으로는 연결공(12)을 가지는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1') 중심 상면으로 일정크기의 식재공(11)과 지지축(101)이 삽설되는 한쌍 이상의 연결공(12)을 나란히 관통 형성하되, 상기 한쌍의 연결공(12)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개 다열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2. 삭제
KR1020030059333A 2003-08-26 2003-08-26 옹벽용 블록 KR100581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333A KR100581171B1 (ko) 2003-08-26 2003-08-26 옹벽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333A KR100581171B1 (ko) 2003-08-26 2003-08-26 옹벽용 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417U Division KR200334293Y1 (ko) 2003-08-26 2003-08-26 옹벽용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205A KR20050021205A (ko) 2005-03-07
KR100581171B1 true KR100581171B1 (ko) 2006-05-22

Family

ID=3722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333A KR100581171B1 (ko) 2003-08-26 2003-08-26 옹벽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1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064B1 (ko) * 2008-09-09 2011-03-22 문광균 사면절토 옹벽용 블록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205A (ko) 2005-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6619B2 (en) Protective wall assembly
KR101331840B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100644795B1 (ko) 조립 패널 옹벽
KR100581171B1 (ko) 옹벽용 블록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20090001728U (ko) 생태 옹벽축조블록
KR200334293Y1 (ko) 옹벽용 블록
KR102267291B1 (ko)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0536304B1 (ko)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KR10072092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KR200376814Y1 (ko) 원지반 식생용 옹벽블록유닛
KR100612485B1 (ko) 호안블록
KR100970457B1 (ko) 담장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
KR100746128B1 (ko)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JP3774459B2 (ja) 組立柵工
KR101331826B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423214B1 (ko) 경사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록
KR200352991Y1 (ko) 사면 보호용 식생 호안 블럭 구조물
KR200446445Y1 (ko)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럭
KR100770559B1 (ko) 옹벽축조 구조물
KR101089356B1 (ko) 옹벽용 보강토 블럭 및 설치방법
KR100645320B1 (ko) 하천 구축용 조립식 블록
KR200352883Y1 (ko)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KR200245413Y1 (ko)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