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590B1 -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 Google Patents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590B1
KR102100590B1 KR1020190105106A KR20190105106A KR102100590B1 KR 102100590 B1 KR102100590 B1 KR 102100590B1 KR 1020190105106 A KR1020190105106 A KR 1020190105106A KR 20190105106 A KR20190105106 A KR 20190105106A KR 102100590 B1 KR102100590 B1 KR 102100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vegetation
panel
retaining wall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950A (ko
Inventor
공학봉
Original Assignee
공학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학봉 filed Critical 공학봉
Priority to KR1020190105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59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절토부 패널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평 및 수직 변위를 억제하고 옹벽 선형을 바르게 하며, 하중으로 인한 변위를 차단하여 안전성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절토부 패널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절토부 패널에 있어서, 상면과 밑면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좌, 우측면에는 연결 지지대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연결 홈이 형성되며, 절취 사면 경사각에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Cut slope wall comprized of vegetation panel}
본 발명은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수평 및 수직 변위를 억제하고 옹벽 선형을 바르게 하며, 하중으로 인한 변위를 차단하여 안전성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절토부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도시형성과 도시 간의 원활한 연결을 위해 도로 및 철도 등과 같은 시설공사시 산이나 언덕 등 주변 지형을 잘라냄에 따라 발생하는 절취 사면(cut-slope)의 붕괴를 방지하고 미관을 해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절토부 패널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절토부 패널의 경우 수직으로 설치되어 빗물이나 인위적으로 살포하는 물을 수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식재되는 대부분의 식물이 말라죽거나 제대로 생장하지 못해 흉물로 남아 도리어 경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절토부 패널은 절취 사면의 경사각과 일치하게 시공할 경우, 패널의 자중(3000KG)으로 인하여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밀려 이동함으로 인해 보강재에 변위가 발생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감소시키고 옹벽 선형을 맞추지 못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절취 사면(切取斜面)을 1 : 0.5 경사로 일정 구간 구멍을 뚫고 상기 구멍에 네일, 앵커, 락 볼트와 같은 보강재를 삽입하여 전면에 수직으로 콘크리트 패널을 연결한 후, 상기 콘크리트 패널 사이에 일정 높이까지 콘크리트(레미콘)를 타설하고, 또 토사로 콘크리트 패널의 상부까지 다짐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공사기간이 길어져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오랜 시간이 지난 사면 석축은 상부에 위치하는 집, 기타 건물과 같은 상부 구조물 등으로 인하여 석축을 제거하지 못할 뿐 아니라 유지보수가 원활하지 못해 구조적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1231040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취 사면에 축조시 수평 및 수직 변위를 방지하여 옹벽의 선형을 바르게 함과 동시에 안전성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생 수용부으로 물 공급을 지속적이고 원활하게 이루도록 하여 식물의 생장을 활성화 시키고 미관과 구조적 안전성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토부 패널 사이에 콘크리트(레미콘) 타설과 토사 다짐 공정을 배제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비용 절감으로 경제성 향상과 작업성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절토부의 절취 사면에 식생 절토부 패널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옹벽으로서, 식생 절토부 패널은, 상부 결합부와, 상기 상부 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결합부와, 상기 상부 결합부 및 하부 결합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부와, 상기 상부 결합부, 하부 결합부 및 측면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를 분할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내부 공간의 내부를 분할하여 식생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결합부는 요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결합부는 상기 요부에 대응하는 철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식생 절토부 패널이 상하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적층되고, 상기 연결재가 형성된 측면부에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홈에 핀을 삽입함으로써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식생 절토부 패널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에서, 상기 상부 결합부의 요부 중심 및 하부 결합부의 철부 중심에는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은 측면에서 볼 때 대략 벌어진
Figure 112019088045098-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 형성된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에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에서, 상기 상부 결합부의 요부 중심 및 하부 결합부의 철부 중심에는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은 식생 절토부 패널의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1단 경사부와 상기 1단 경사부에 대해 다시 식생 절토부 패널의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2단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2단 경사부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에서, 상기 식생 수용부의 내부에는 식생 자루가 삽입되고, 상기 식생 절토부 패널의 전면에는 상기 식생 자루가 이탈되지 않도록 철망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에서, 상기 절취사면의 최상단에는 경사부 및 수로가 형성되고, 상가 경사부 및 수로의 하부에는 식생 절토부 패널이 적층되어 1단 식생 절토부 옹벽이 형성되며, 상기 1단 식생 절토부 옹벽의 하부에는 수로가 형성된 소단이 설치되며, 상기 소단의 하부에는 식생 절토부 옹벽이 적층되어 2단 식생 절토부 옹벽이 형성되고, 상기 2단 식생 절토부 옹벽의 하부에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절취 사면에 옹벽 축조시 수평 및 수직 변위를 방지하여 안전성 향상을 이루고 옹벽의 선형을 바르게 하여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식생 패널의 식생 수용부으로 물 공급을 지속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식물의 생장을 활성화 시키고 구조적 안전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 패널 사이에 콘크리트(레미콘) 타설과 토사 다짐 공정의 배제로 공사기간을 단축하여 작업성 향상을 이루고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식생 패널과 연결 핀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비식생 패널을 결합부와 연결핀으로 복수 개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비식생 패널을 절취 사면에 설치한 요부 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식생 패널의 요철형 결합부에 연결 지지 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 지지 홈에 T자형의 연결 지지대를 삽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비식생 패널을 절취 사면에 설치한 후 연결 지지 홈에 연결 지지대를 삽입하여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생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생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식생 패널을 복수 개 결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패널과 철망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도 8의 식생 패널과 철망을 조립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서 공정 (a) 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서 공정 (b) 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서 공정 (c) 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서 공정 (d) 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서 경사로 및 수로를 형성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서 식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는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 패널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 패널(100)은 상면과 밑면에 결합부(110)가 형성되고, 좌, 우측면에는 연결 핀(P)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연결 홈(12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절토부 패널(100)은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a)로 형성되거나 식생 절토부 패널(100b)로 형성될 수 있다.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a)은 대략 사각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부(110)는 상면에 결합을 위한 요부 형태의 상부 결합부(111)가 형성되고, 밑면에는 철부 형태의 하부 결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요부 및 철부가 형성되는 부분을 하부 결합부(112) 및 상부 결합부(111)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철 형태의 결합부(111), (112)는 견고한 결합력을 이룰 수 있는 것이라면 삼각, 사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토부 패널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결합부(112)를 둥근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a)의 측부에 형성되는 연결 홈(120)은 사각, 다각, 원형과 같은 형태의 홈이 정형(正形)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연결 핀(P)을 수용하여 각 절토부 패널(100)의 측면 연결을 견고하게 한다.
요철 형태의 결합부(111), (112)는 절토부 패널(100)을 상, 하로 연결할 경우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함으로써 옹벽의 상, 하 선형이 좋아지고, 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절취 사면(210)에 변위가 발생할 경우 변위를 억제함과 동시에 패널의 상, 하 일체화로 인해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a)은 요철 형태의 결합부(111), (112) 중 제일 아래쪽에 설치되는 어느 하나는 절토부 즉, 절취 사면(210)과 연이어지는 기저면(基底面)에 형성되는 지지부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30)을 통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230)는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다르도록 지지부 상단(230a) 및 지지부 하단(230b)으로 이루어지는 단차부 형상을 하지며 상단 및 하단 사이에는 절토부 패널의 하부 결합부(1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지지홈(23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지지홈(231)은 지지부(230)과 결합되는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a)의 밑면에 형성되는 요부 또는 철부 형태의 결합부(111), (112)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a)의 하부 연결부(112)가 삼각형상인 경우 하나의 사면이 지지부 하단(230b)의 상면에 접하고 다른 사면은 지지홈(231)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b)의 하부 연결부(112)를 단면이 둥근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지지홈(231)도 이에 대응하는 둥근 형태로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절토 사면의 경사의 변화에 대응하여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a)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230)의 경사 결합부(231)를 통해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a)이 견고하게 결합 되므로,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a)의 하중으로 인해 아래로 이동하는 변위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옹벽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a)의 요철 형태 결합부(111), (112)에는 절취 사면(210)에 축조시 절취 사면(210)과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a) 사이의 마찰력, 전단 응력, 휨 모멘트에 대한 저항하여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a)의 하중을 분산하고 지반 안정을 유지시키기 위해 연결 지지대(N)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연결 지지홈(1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지지 홈(113)은 천공 오차에 의한 좌, 우 유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횡방향 크기가 큰 장공(長孔)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 지지대(N)도 상기 연결 지지 홈(113)에 원활한 삽입을 이루고 절토부 패널(10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ㅏ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a)의 연결 지지 홈(113)에 ㅏ 형태의 연결 지지대(N)를 삽입, 연결할 경우, 좌, 우로 유동 가능하게 되므로 사면에 뚫은 구멍의 위치 오차를 흡수함과 동시에 지반으로 연결 지지대(N)의 일부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지반 자체의 전체적인 전단강도를 증대시키고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a)의 하중을 분산 고정 시킴으로써, 공사 도중이나 공사가 끝난 뒤에 예상되는 지반의 변위를 가능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절토부 패널(100)은 경우에 따라 내부에 토사 및 씨앗이 수용될 수 있도록 식생 절토부 패널(100b)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식생 절토부 패널(100b)은 기본적인 구성은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a)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면에 직접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부 결합부(111)에 장공형상의 연결 지지홈(113)을 형성하고 연결지지대(N)를 통해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부 결합부(112)를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둥근 형태로 하고 지지홈(231)도 이에 대응하는 둥근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식생 절토부 패널(100b)은 내부에 식생 수용부(130)가 형성된다는 점만이 비식생 절토부 패널(100a)와 상이하다.
이하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절토부 패널(100)을 식생 패널(100b)로 형성하는 경우 내부 공간이 연결부(114)에 의해 를 분할되어 다수의 식생 수용부(130)를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14)가 '+'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식생 수용부(130)은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십자 형태로 설치되는 격벽(partition wall)(131)에 의해 분할된다.
격벽(131)은 측면에서 볼 때 대략 벌어진
Figure 112019088045098-pat00002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형성된 수평부(131a)와 상기 수평부(131a)의 양단에 형성된 경사부(131b)로 이루어지며, 수평부(131a)에는 배수공(dh)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격벽(132)을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격벽(132)을 식생 절토부 패널(100b)의 수직면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1단 경사부(132a)와 상기 1단 경사부(132a)에 대해 다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2단 경사부(132b)로 이루어지며, 배수공(dh)은 2단 경사부(132b)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격벽(132)을 2단 경사부로 형성하는 경우 식생토사가 하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 상기 결합부(110), 격벽(131,132) 및 연결부(114)에는 수분 공급 및 유동을 위한 복수 개의 배수 공(drip hole)(dh)이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10), 격벽(131,132) 및 연결부(114)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배수 공(dh)은 상부에서 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배수 공(dh)은 식생 패널(100b)의 요부 형태의 결합부(111)와 연결부(114) 및 철부 형태의 결합부(112)를 관통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비가 내리거나 가뭄이 발생하여 물을 살포할 경우 옹벽의 최상단(H) 및 각 소단(M)을 통해 흘러내리는 물은 상기 배수 공(dh)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게 되므로 식생 수용부(130)에 수납되는 씨앗이나 식물에 수분을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생장활동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생 패널(100b)의 식생 수용부(130)에는 토사 및 씨앗이 수용된 별도의 식생 자루(260)를 삽입한 후, 식생 자루(2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철망(140)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망(140)의 고정은 예컨대, 클램프나 기타 체결구와 같이 견고한 결합과 분리 가능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비식생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 패널 옹벽 시공방법은 (a) 절취 사면(cut-slope)(210)의 경사각에 맞추어 네일, 앵커, 락 볼트와 같은 보강재(220) 및 연결 지지대(N)의 삽입을 위한 복수 개의 구멍(211)을 뚫는 공정(S10); (b) 상기 절취 사면(210)에 형성된 각 구멍(211)에 보강재(220)를 삽입하고 그라우팅(grouting)하는 공정(S20); (c) 상기 절취 사면(210)과 연이어지는 기저면(基底面)에 지지부(230)을 형성하는 공정(S30); (d) 상기 지지부(230)의 상면을 통해 절취 사면(210)의 경사각에 따라 연결 지지대(N)를 이용하여 절토부 패널(100)을 상호 조립하고, 보강재(220)와 연결, 고정하는 공정(S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a) 공정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및 철도 등의 시설공사를 하기 위해 비탈면을 절취함에 따라 형성되는 절취 사면(cut-slope)(210)의 경사각에 맞추어 네일, 앵커, 락 볼트와 같은 보강재(220) 및 상기 연결 지지대(N)의 삽입을 위해 복수 개의 구멍(211)을 뚫는다. (S10)
여기서, 상기 절취 사면(210)은 토사 면 또는 석축 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구멍(211)은 절취 사면(210)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추후 상기 절취 사면(210)을 따라 설치되는 절토부 패널(100)을 경사각에 맞추어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취 사면(210)은 토사 면 또는 석축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b) 공정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취 사면(210)에 형성된 각 구멍(211)에 앵커, 네일, 락 볼트와 같은 보강재(220)를 삽입하고 그라우팅(grouting)한다. (S20)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보강재(220)만으로 절토부 패널(100)을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ㅏ 형태의 연결 지지대(150)를 이용하여 절토부 패널(100)의 연결 부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지반 자체의 전체적인 전단강도를 증대시키고 추후 연결될 절토부 패널(100)의 하중을 분산 고정 시킬 수 있어 공사 도중이나 공사가 끝난 뒤에 예상되는 지반의 변위를 가능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c) 공정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취 사면(210)과 연이어지는 기저면(基底面)에 지지부(230)을 형성한다. (S30)
이때, 상기 지지부(23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절토부 패널(100)을 절취 사면(210)의 경사를 따라 안전하고 견고하게 받침 지지하도록 경사 결합부(23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결합부(231)는 지지부(230)과 결합 되는 절토부 패널(100)의 밑면에 형성된 철부 형태의 결합부(112)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230)의 경사 결합부(231)를 통해 절토부 패널(100)이 견고하게 결합 되므로, 절토부 패널(100)의 하중으로 인해 아래로 이동하는 변위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옹벽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 (d) 공정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30)의 상면을 통해 절취 사면(210)의 경사각에 따라 각 절토부 패널(100)을 상호 조립하고, 보강재(220)와 연결, 고정한다. (S40)
여기서, 상기 경사 결합부(231)는 절토부 패널(100)이 절취 사면(210)의 경사각에 따라 축조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230)의 경사 결합부(231)에 절토부 패널(100)의 밑면에 형성된 철부 형태의 결합부(112)를 삽입, 결합한다.
다음, 상기 각 절토부 패널(100)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 홈(120)에 연결 핀(P)을 삽입하여 좌, 우로 일체를 이루도록 상호 연결하고, 각 절토부 패널(100)의 상, 하면에 형성된 요철 형태의 결합부(111), (112)를 상호 연결하며, 각 절토부 패널(100)의 중앙은 절취 사면(210)에 고정된 보강재(220)와 연결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연결 지지대의 삽입을 위한 구멍에는 ㅏ 형상 연결 지지대(N)의 수평부를 삽입하고 ㅏ 형상 연결 지지대(N)의 수직부의 상하부를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절토부 패널(100a)의 연결 지지홈(113)에 삽입하여 절토부 패널(100a)을 조립한다.
따라서, 상기 각 절토부 패널(100a)을 좌, 우, 상, 하로 쉽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수평 및 수직 변위를 억제하여 옹벽 선형을 바르게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 내지 도 18 을 참조하여 식생 절토부 패널(100b)을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식생 절토부 패널(100b)를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경우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공정 (a) 내지 공정 (d) 는 동일하고, 공정 (e) 및 공정 (f)가 추가되는 점만이 상이하다.
즉,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e) 공정은, 절취사면의 옹벽 최상단(H)에 에 경사부(240) 및 다수의 수로(241)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240) 및 수로(241)의 하부에 식생 절토부 패널이 적층되어 1단 식생 절토부 옹벽이 형성되며, 상기 1단 식생 절토부 옹벽의 하부에는 수로가 형성된 소단(M)에는 경사부(250) 및 다수의 수로(251)가 형성되고, 상기 소단(M)의 하부에는 식생 절토부 옹벽이 적층되어 2단 식생 절토부 옹벽이 형성되고, 상기 2단 식생 절토부 옹벽의 하부에 지지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로(250)는 아래쪽으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마감 면에 홈 형태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반원형의 관이 매립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절토부 식생 패널(100b)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배수 공(dh)과 식생 수용부(130)으로 수분(물)이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식생 수용부(130)에 수납되는 풀, 화초, 나무와 같은 식물의 생장과 녹화를 원활하게 이룰 수 있다.
상기 (f) 공정은,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 패널(100b)의 식생 수용부(130)에 토사와 씨앗을 수납, 형성한다. (S60)
즉, 옹벽이 완공된 후에는 상기 각 식생 패널(100b)의 식생 수용부(130)에 토사와 씨앗을 수납한다.
그리고 상기 토사와 씨앗은 식생 자루(260)에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채워넣은 후, 상기 식생 자루(260)를 식생 패널(100b)의 식생 수용부(130)에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토사와 씨앗을 바로 식생 수용부(130)에 수납시킬 경우, 경사를 이루도록 축조되는 식생 수용부(130)으로 인해 토사와 씨앗이 아래쪽으로 흘러 유실될 수 있기 때문에 식생 자루(260)를 이용하여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식생 자루(260)는 식생 수용부(130)에 비해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식생 자루(260)의 두께를 식생 수용부(130)보다 더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식생 패널(100b)과 식생 자루(260)가 사면 경사를 통해 결합시 결합이 보다 일체화되고 보강재(220)와 식생 패널(100b)과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생 수용부(130)에 토사 및 씨앗이 수용된 식생 자루(260)를 삽입한 후, 식생 자루(2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철망(140)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식생 절토부 패널(100b)를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한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천 등으로 인한 물이 옹벽 최상단(H)에 형성된 경사부 및 수로를 따라 식생 절토부 패널(100b)로 유입된다.
유입된 물은 식생 절토부 패널(100b)의 상부 결합부(111)에 형성된 배수공(dh)를 통해 유입되어 격벽(131,132)에 형성된 배수공(dh)을 통과하여 식생 절토부 패널(100b)의 하부 결합부(112)을 통과하여 하방에 조립된 절토부 패널(100b)로 유입되어 동일한 방식으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식생 절토부 패널(100b)의 상하방향 사이로 소단(M)이 형성된 경우 소단(M)의 상부에 설치된 식생 절토부 패널(100b)에서 유출된 물은 마찬가지로 경사부 및 수로를 따라 유통하여 하방에 설치된 식생 절토부 패널(100b)로 유입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 패널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이와 같은 작용을 통해 옹벽의 수평 및 수직 변위를 방지하여 안전성 향상을 이루고, 식생 수용부으로 물 공급을 지속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식물의 생장을 활성화 시키고 구조적 안전성 향상을 이루며, 콘크리트(레미콘) 타설과 토사 다짐 공정을 배제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하여 작업성 향상을 이루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절토부 패널 100a : 비식생 절토부 패널
100b : 식생 절토부 패널 110 : 결합부
111 : 상부 결합부 112 : 하부 결합부
113 : 연결 지지 홈 120 : 연결 홈
130 : 식생 수용부 131 : 격벽(partition wall)
140 : 철망 210 : 절취 사면
211 : 구멍 220 : 보강재
230 : 지지부 231 : 경사 결합부
240 : 경사부 250 : 수로
260 : 식생 자루 dh : 배수 공
P : 연결 핀 N : 연결 지지대

Claims (5)

  1. 절토부의 절취 사면에 식생 절토부 패널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옹벽으로서,
    식생 절토부 패널은,
    상부 결합부와,
    상기 상부 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결합부와,
    상기 상부 결합부 및 하부 결합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부와,
    상기 상부 결합부, 하부 결합부 및 측면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를 분할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내부 공간의 내부를 분할하여 식생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격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결합부는 요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결합부는 상기 요부에 대응하는 철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식생 절토부 패널이 상하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적층되고,
    상기 연결부가 형성된 측면부에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홈에 핀을 삽입함으로써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식생 절토부 패널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상부 결합부의 요부 중심 및 하부 결합부의 철부 중심에는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은 측면에서 볼 때 벌어진
    Figure 112020002753418-pat00003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 형성된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에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부의 요부 중심 및 하부 결합부의 철부 중심에는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은 식생 절토부 패널의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1단 경사부와 상기 1단 경사부에 대해 다시 식생 절토부 패널의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2단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2단 경사부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식생 수용부의 내부에는 식생 자루가 삽입되고, 상기 식생 절토부 패널의 전면에는 상기 식생 자루가 이탈되지 않도록 철망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절취사면의 최상단에는 경사부 및 수로가 형성되고,
    상가 경사부 및 수로의 하부에는 식생 절토부 패널이 적층되어 1단 식생 절토부 옹벽이 형성되며,
    상기 1단 식생 절토부 옹벽의 하부에는 수로가 형성된 소단이 설치되며,
    상기 소단의 하부에는 식생 절토부 옹벽이 적층되어 2단 식생 절토부 옹벽이 형성되고,
    상기 2단 식생 절토부 옹벽의 하부에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KR1020190105106A 2019-08-27 2019-08-27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KR102100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106A KR102100590B1 (ko) 2019-08-27 2019-08-27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106A KR102100590B1 (ko) 2019-08-27 2019-08-27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143A Division KR20180091233A (ko) 2017-02-06 2017-02-06 절토부 패널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950A KR20190101950A (ko) 2019-09-02
KR102100590B1 true KR102100590B1 (ko) 2020-04-13

Family

ID=6795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106A KR102100590B1 (ko) 2019-08-27 2019-08-27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653B1 (ko) * 2020-02-24 2020-07-09 주식회사 에프에스티앤씨 친환경 옹벽패널과 이용한 옹벽구조 및 구축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041A (ja) * 2000-07-05 2002-01-23 Fumio Yamada 可動式擁壁及び可動式護岸工法
KR101231040B1 (ko) * 2011-12-26 2013-02-07 강석조 식생판넬과 이를 이용한 사면의 식생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그리고 성토부의 식생옹벽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638B1 (ko) * 2003-08-22 2007-03-08 이정수 금속재 전면판을 이용한 녹화용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옹벽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041A (ja) * 2000-07-05 2002-01-23 Fumio Yamada 可動式擁壁及び可動式護岸工法
KR101231040B1 (ko) * 2011-12-26 2013-02-07 강석조 식생판넬과 이를 이용한 사면의 식생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그리고 성토부의 식생옹벽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950A (ko) 201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84648A1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lock wall
KR101707523B1 (ko) 사면 보강 및 급속시공을 위한 계단식 옹벽 시공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US11149402B2 (en)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retaining wal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2100590B1 (ko)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DE69813809T2 (de) Böschungsmauersystem
KR20100053270A (ko) 인장재와 프리캐스트 패널 및 프리캐스트 보강구를 구비한 절토부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147459B1 (ko) 직립식 절토옹벽 시공방법
KR100402843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100393515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JP2019065641A (ja) 落石防護柵
KR20150019110A (ko) 경사면용 계단식 식생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110306588B (zh) 一种用于加筋土挡墙的面板模块单元及加筋土挡墙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CN208501468U (zh) 预制装配式混凝土结构休闲栈道
US20070079567A1 (en) Grid system for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therefor
KR100660989B1 (ko) 절취경사면 보강공법 및 그 구조물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20180091233A (ko) 절토부 패널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0235107Y1 (ko) 블록식 녹화 옹벽
CN215977363U (zh) 一种复合生态景观装配式挡土墙预制构件
JP7425516B1 (ja) コンクリート擁壁及びコンクリート擁壁の施工方法
JPS6011168Y2 (ja) 法面用土留壁構造体
KR102519112B1 (ko) 사면안정 격자구조물
KR200376567Y1 (ko) 식재공이 있는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
KR200380091Y1 (ko) 절취경사면 보강공법 및 그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