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233A - 절토부 패널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절토부 패널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1233A KR20180091233A KR1020170016143A KR20170016143A KR20180091233A KR 20180091233 A KR20180091233 A KR 20180091233A KR 1020170016143 A KR1020170016143 A KR 1020170016143A KR 20170016143 A KR20170016143 A KR 20170016143A KR 20180091233 A KR20180091233 A KR 201800912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t
- panel
- support
- vegetation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9504 Po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비식생 패널을 결합부와 연결핀으로 복수 개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비식생 패널을 절취 사면에 설치한 요부 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식생 패널의 요철형 결합부에 연결 지지 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 지지 홈에 T자형의 연결 지지대를 삽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비식생 패널을 절취 사면에 설치한 후 연결 지지 홈에 연결 지지대를 삽입하여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생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생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식생 패널을 복수 개 결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패널과 철망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도 8의 식생 패널과 철망을 조립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서 공정 (a) 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서 공정 (b) 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서 공정 (c) 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서 공정 (d) 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서 경사로 및 수로를 형성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서 식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는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00b : 식생 절토부 패널 110 : 결합부
111 : 상부 결합부 112 : 하부 결합부
113 : 연결 지지 홈 120 : 연결 홈
130 : 식생 수용부 131 : 격벽(partition wall)
140 : 철망 210 : 절취 사면
211 : 구멍 220 : 보강재
230 : 지지부 231 : 경사 결합부
240 : 경사부 250 : 수로
260 : 식생 자루 dh : 배수 공
P : 연결 핀 N : 연결 지지대
Claims (15)
- 절토부 패널에 있어서,
상면과 밑면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좌, 우측면에는 연결 지지대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연결 지지홈이 형성되며, 절취 사면 경사각에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면에 결합을 위한 요부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고, 밑면에는 결합을 위한 철부 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거나, 상면에 결합을 위한 철부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고, 밑면에는 결합을 위한 요부 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토부 패널은 요철 형태의 결합부 중 제일 아래쪽에 설치되는 어느 하나는 절취 사면과 연이어지는 기저면(基底面)에 형성되는 지지부을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대는 'ㅏ'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토부 패널은 연결부에 의해 분할되어 식생 수용부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결합부 및 연결부에는 관통공 형상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수용부는 격벽에 의해 분할되며,
상기 격벽에는 관통공 형상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절토부 패널면에 대해 하방으로 이단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단 경사진 부분에 상기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상에 기재된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으로서,
(a) 절취 사면(cut-slope)의 경사각에 맞추어 네일, 앵커, 락 볼트와 같은 보강재 및 연결 지지대의 삽입을 위한 복수 개의 구멍을 뚫는 공정;
(b) 상기 절취 사면에 형성된 각 구멍에 보강재를 삽입하고 그라우팅(grouting)하는 공정;
(c) 상기 절취 사면과 연이어지는 기저면(基底面)에 지지부를 형성하는 공정;
(d) 상기 지지부의 상면을 통해 절취 사면의 경사각에 따라 연결 지지대를 이용하여 절토부 패널을 상호 조립하고, 보강재와 연결, 고정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 옹벽 시공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대는 ㅏ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 지지대의 삽입을 위한 구멍에는 ㅏ 형상 연결 지지대의 수평부를 삽입하고 ㅏ 형상 연결 지지대의 수직부의 상하부를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절토부 패널의 연결 지지홈에 삽입하여 절토부 패널을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 옹벽 시공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홈은 횡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 옹벽 시공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최하부에 형성된 절토부 패널의 하부 연결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 옹벽 시공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에 형성된 절토부 패널의 하부 연결부는 단면이 둥근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홈도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 옹벽 시공방법. -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절토부 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으로서,
(a) 절취 사면(cut-slope)의 경사각에 맞추어 네일, 앵커, 락 볼트와 같은 보강재 및 연결 지지대의 삽입을 위한 복수 개의 구멍을 뚫는 공정;
(b) 상기 절취 사면에 형성된 각 구멍에 보강재를 삽입하고 그라우팅(grouting)하는 공정;
(c) 상기 절취 사면과 연이어지는 기저면(基底面)에 지지부를 형성하는 공정;
(d) 상기 지지부의 상면을 통해 절취 사면의 경사각에 따라 연결 지지대를 이용하여 절토부 패널을 상호 조립하고, 보강재와 연결, 고정하는 공정;
(e) 옹벽 최상단 및 절토부 패널 사이의 소단에 각각 경사부 및 수로를 형성하는 공정;
(f) 상기 절토부 패널의 식생 수용부에 토사와 씨앗을 수납,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 옹벽 시공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에는 아래쪽으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반원형의 배수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 옹벽 시공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와 씨앗은 식생 자루를 통해 식생 패널의 식생 수용부에 수납되고, 상기 식생 자루는 식생 수용부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 옹벽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6143A KR20180091233A (ko) | 2017-02-06 | 2017-02-06 | 절토부 패널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6143A KR20180091233A (ko) | 2017-02-06 | 2017-02-06 | 절토부 패널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5106A Division KR102100590B1 (ko) | 2019-08-27 | 2019-08-27 |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1233A true KR20180091233A (ko) | 2018-08-16 |
Family
ID=6344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6143A KR20180091233A (ko) | 2017-02-06 | 2017-02-06 | 절토부 패널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91233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1040B1 (ko) | 2011-12-26 | 2013-02-07 | 강석조 | 식생판넬과 이를 이용한 사면의 식생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그리고 성토부의 식생옹벽 시공방법 |
-
2017
- 2017-02-06 KR KR1020170016143A patent/KR2018009123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1040B1 (ko) | 2011-12-26 | 2013-02-07 | 강석조 | 식생판넬과 이를 이용한 사면의 식생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그리고 성토부의 식생옹벽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53270A (ko) | 인장재와 프리캐스트 패널 및 프리캐스트 보강구를 구비한 절토부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KR20100054776A (ko) | 조립식 화단 | |
JP2011144615A (ja) | 組立式親環境植生ブロック | |
KR100795084B1 (ko) | 주주용 베이스 | |
KR102100590B1 (ko) |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 |
KR100592720B1 (ko) | 도로 조립형 옹벽 구조물 | |
KR20180091233A (ko) | 절토부 패널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
KR20020076530A (ko) | 블록식 녹화 옹벽 | |
KR101366837B1 (ko) | 식생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 |
KR20060023600A (ko) | 쏘일네일과 끼움틀을 이용한 조립식 사면 보강장치와 그시공방법 | |
KR100956442B1 (ko) | 도로, 단지 및 하천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옹벽용 블록, 블록 고정 정착구와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 |
KR102494390B1 (ko) |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394315B1 (ko) | 식생 옹벽 구조물 | |
KR200420360Y1 (ko) | 식생용 옹벽블록 | |
KR101300071B1 (ko) | 비탈면 안정화용 콘크리트 보강블록 | |
KR101927290B1 (ko) | 식생 옹벽블록 | |
KR101012655B1 (ko) | 옹벽용 식생블록 | |
KR102519112B1 (ko) | 사면안정 격자구조물 | |
KR100660989B1 (ko) | 절취경사면 보강공법 및 그 구조물 | |
KR200235107Y1 (ko) | 블록식 녹화 옹벽 | |
JPS6011168Y2 (ja) | 法面用土留壁構造体 | |
KR100545940B1 (ko) | 도로 비탈면 블록 설치구조 | |
KR101138192B1 (ko) |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 | |
KR200465986Y1 (ko) | 블록설치용 식생 파레트 | |
KR20110000919A (ko) | 조립블록 및 그 조립블록을 이용한 옹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82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9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401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808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